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찌리비크

덤프버전 :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파일:939MS.png 0939 찌리배리
파일:940MS.png 0940 찌리비
파일:941MS.png 0941 찌리비크
파일:942MS.png 0942 오라티프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펼치기 · 접기 ]



1. 정보
2. 개요
3. 포획 및 스토리
4. 대전
5.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5.1. 애니메이션
6. 기타
6.1. 삽화
6.2. 국가별 명칭



1. 정보[편집]




기본 정보
이름
도감 번호
타입
파일:940MS.png
찌리비
カイデン(카이덴)
Wattrel
전국: 0940
팔데아: 177본토




파일:941MS.png
찌리비크
タイカイデン(타이카이덴)
Kilowattrel
전국: 0941
팔데아: 178본토

특성(숨겨진 특성은 *)
풍력발전
바람 계열 기술을 받으면 충전 상태가 된다.
축전
전기 타입 기술을 받으면 무효화하고 전체 HP의 1/4만큼 체력을 회복한다.
*승기
능력치가 하락하면 특수공격이 2랭크 상승한다.

세부 정보
포켓몬
분류
신장
체중
포획률
0940 찌리비
바다제비 포켓몬
0.4m
3.6㎏
180
0941 찌리비크
군함조 포켓몬
1.4m
38.6㎏
90

유전 정보
성비
알 그룹
부화 카운트
최대 경험치량
수컷: 50%
암컷: 50%
수중 1, 비행
20
1,059,860

진화
진화
파일:940.gif
0940 찌리비
레벨 25

파일:941.gif
0941 찌리비크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2배
1배
0.5배
0배






















종족치
포켓몬
HP
공격
방어
특수공격
특수방어
스피드
합계
파일:940MS.png
찌리비
40
40
35
55
40
70
280
파일:941MS.png
찌리비크
70
70
60
105
60
125
490

울음소리
파일:940MS.png
찌리비

파일:941MS.png
찌리비크


도감설명
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skip을 눌러주세요.

파일:940MS.png
0940 찌리비
스칼렛
날개의 뼈는 바람을 받으면 전기를 만들어 낸다. 바다에 뛰어들어 먹이를 감전시켜서 잡는다.
바이올렛
바닷가 절벽에 둥지를 짓는다. 둥지는 바삭바삭한 식감 덕에 인기 있는 별미다.
파일:941MS.png
0941 찌리비크
스칼렛
목의 주머니를 부풀려서 전기를 증폭시킨다. 바람을 타고 하루에 700km를 비행할 수 있다.
바이올렛
목의 주머니에 날개로 만든 전기를 저장한다. 깃털에 유분이 매우 적어서 헤엄치는 것은 서툴다.


2. 개요[편집]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신규 포켓몬.

찌리비는 바다제비, 찌리비크는 아메리카군함조를 모티브로 하였다.[1]


3. 포획 및 스토리[편집]


스토리 진행
가능 작품

SV
포지션
높은 스피드와 특수공격을 기반으로 한 특수형 딜러
장점
높은 스피드, 적은 약점, 특성 축전
단점
낮은 내구력, 견제기를 배우지 못함
추천되는 도구
자석, 예리한부리
보좌 가능한
스타팅 포켓몬

마스카나, 라우드본, 웨이니발
추천 기술배치
10만볼트 or 방전 or 일렉트릭볼 or 볼트체인지(필수)/에어커터 or 에어슬래시(필수)/그 외 택 2
바다새라서 조금 스토리를 진행하고 나서야 동부 에리어 2의 해안가에서 19~21레벨 사이로 출현하는 개체를 잡을 수 있다. 본작의 초반 새 포지션은 화살꼬빈[2]. 체육관 관장 모야모도 선봉으로 사용한다. 야생에서의 찌리비크 계열은 플레이어를 봐도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고, 멀뚱멀뚱 본체만체 한다.

진화도 금방 하고, 방전 습득 레벨은 48로 꽤 늦기는 하지만 스피드가 빨라서 일렉트릭볼의 대미지도 괜찮은데다 모야모에게 받은 볼트체인지를 배우게 할 수도 있어 전기 타입 자속기는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다. 마리아네이드 마을 입구 포켓몬 센터 남동쪽 방향 가까운 곳에서 10만볼트 기술머신도 입수 가능하니 이쪽을 사용하는 것도 좋다.

비행 타입 특수기술은 에어커터를 오랫동안 사용해야 하고, 이후에 에어슬래시를 기술머신으로 가르칠 수 있다. 그 전에는 더블윙을 써야하는데, 의외로 위력이 괜찮아서 스토리에 쓰기 꽤 좋다.

비자속 견제기는 딱히 이렇다할 기술을 배우지는 못하지만, 입수시기도 빠르고 준수한 종족값에 전기와 땅을 무효로 받는 우수한 상성으로 스토리에서 사용하기 꽤나 편한 포켓몬이다. 전기타입은 물리보단 특수형이 여러모로 써먹기 더 편하기도 하고.

여담으로 6성 레이드에 등장하는 찌리비크는 일반적으로는 배울 수 없는 기술인 비바라기를 쓸 수 있다. 다만 비바라기는 실제 기술폭에는 없는 추가 기술이기 때문에 잡는다고 해서 비바라기 찌리비크를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4. 대전[편집]


타입은 전기 / 비행으로 원종 썬더, 스핀로토무, 에몽가, 볼트로스, 파칙파칙스타일 춤추새와 같다. 비행 타입 덕에 땅 타입 기술에 약점을 찔리지 않아 약점이 2개밖에 없는 우수한 타입 조합. 다만 썬더와 달리 이쪽은 내구력이 약해서 타입 조합의 우수함의 효과를 크게 받지는 못한다.

전형적인 고스핏 특수 어태커의 종족값 분배를 지녔다. 특공은 105로 기본은 되고 스피드는 125로 빠른 편이다.

특성의 경우 먼저 전용 특성 풍력발전이 있다. 바람 기술을 맞으면 충전 상태에 들어간다고 하는데, 바람 기술은 다음의 16개이다.

그러나 문제는 교체가 아닌 이상 전기 타입에게 폭풍을 날릴 경우는 없을 뿐더러, 무엇보다 큰 문제는 발동시켜도 충전 특성상 화력이 오르는 건 1번뿐이라는 것. 교체 플레이로 바람 기술을 맞고 나오기엔 70/60/60 내구는 문제가 많다. 열사의폭풍중력이라도 깔린 게 아니면 맞지도 않으며, 날려버리기는 교체기라서 의미가 없다. 최소한 더블 배틀에서 모래바람이나 순풍을 써줄 서포터가 필수가 된다. 더블에서는 열풍이나 눈보라를 맞을 확률도 약간 올라가긴 하는데 전술했듯이 내구가 별로 안 세서 의도적으로 노리기는 어렵다.

물론 이건 상대방이나 파트너가 써줄 경우의 이야기. 자신이 쓴다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자신이 쓰는 순풍에도 특성이 발동되기 때문에 순풍 서포터 및 전기 타입 딜러로써 활약이 가능하다. 주 전법은 선턴에 순풍을 깔고, 살아있다면 특성으로 발동된 충전의 효과로 전기 타입 기술을 날리는 것. 단순하지만 꽤 강해서 찌리비크의 주 전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풍력발전 보정을 받은 C252 생구 10만볼트의 위력은 41330, 볼트체인지는 32146으로 볼트체인지만 해도 명랑 한카리아스의 역린 수준의 화력이 나온다.

다른 두 특성도 쓸 만하다. 먼저 축전은 1배로 들어오는 전기 기술을 무효화하고 역으로 체력을 회복시키며, 승기는 더블에서 쓰기 좋다. 125의 빠른 스피드를 지녔으니 축전을 쓴다면 깔짝 아니면 서포터, 승기를 쓴다면 어태커로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기술폭으로 보면 에어슬래시, 10만볼트방전, 번개, 폭풍, 볼트체인지 등 자속기 쪽에는 문제가 없으나, 견제기가 말 그대로 웨더볼밖에 없는데다 이마저도 스스로 날씨를 깔지 못하기에 더블배틀이 아니면 활용도가 높지 않다. 군함조의 신체적 특성을 반영해서 파도타기를 못 배울 뿐더러, 바닷새라서 그런지 날개가 있고 물, 풀, 얼음 타입이 붙지도 않았는데 열풍도 못 배운다.

폭풍, 번개, 웨더볼을 전부 배울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시즌 1 랭크게임에서는 비파티에서 주로 연구되고 있다. 시즌 1 환경에서 고속 어태커로 꼽히는 마스카나보다 빠르며 축전으로 상대의 전기 기술을 안전하게 받아낼 수 있다. 비파티는 태생적으로 전기 기술에 약하며 특히 날씨 스타터인 패리퍼는 전기에 4배를 받는데, 찌리비크가 이를 보완해주는 셈이다.

같은 타입의 썬더와 비교하면 어태커로 쓰기에는 전반적으로 썬더가 견제폭도 넓고 안정감이 있지만, 스피드는 찌리비크가 더 빠르고 위협 - 승기 등을 감안하면 화력 쪽은 찌리비크가 좀 더 좋을 수도 있다.


5.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편집]



5.1. 애니메이션[편집]


포켓몬스터(2023년 애니메이션) 13~14화에서 야생 찌리비가 등장한다. 특징으로는 보통 찌리비보다 체구가 작고 무리지어 다니는 다른 찌리비들과 달리 혼자 다니며 날지 못하고[3] 지면에서 두 다리로 뛰어다닌다. 마치 째려보는 것처럼 눈을 반쯤 감고 다녀서 표정이 더러워보였으나 이후 14화에서는 다채로운 표정을 보여준다.

13화에서 로드가 뜨아거에게 샌드위치를 줄 때 그것을 훔쳐가버린다. 로드와 뜨아거는 이를 따라가고 절벽까지 몰아붙인다. 그리고 뜨아거가 땅 기술인 분함의발구르기로 공격했지만 비행 타입인 찌리비는 공중에 살짝 떠서 이를 피한다.

이후 찌리비가 강한 소음을 일으키고 이에 로드가 뜨아거에게 큰 소리로 노래를 부르라고 지시해 소리 대결을 하다 그로 인해 주위의 포켓몬들이 도망치는 걸 보자 로드가 둘을 말린 후 하는 수 없이 샌드위치를 반으로 나눈다.

뜨아거가 샌드위치 반쪽을 주나 다 먹은 찌리비는 만족 못했는지 뜨아거가 주는 샌드위치는 물론이고 뜨아거 몫의 샌드위치까지 뺏어 먹는다,[4] 이후 로드가 리코와 같이 배로 돌아가면서 찌리비 이야기를 하다 뭔가 신경이 쓰였는지 찌리비에게 다시 간다.

14화의 제목이 '날아올라라! 찌리비!!'에서 주역으로 등장. 로드와 뜨아거가 야생 비퀸에게 쫒길 때 본인도 말려들게 된다.

로드의 응원과 도움으로 아주 낮은 언덕에서 뛰어내릴 수는 있게 되었지만 여전히 날지는 못했다. 로드가 랜드에게 빌린 낚싯대로 찌리비가 나는 훈련을 도와주고 덕분에 하늘을 날 수 있게 되었다.

로드에게 정이 들었는지 떠나는 로드의 뒤를 애처롭게 바라보다가 결국 로드에게 가기로 결심하면서 날아갔으나 갑자기 불어온 역풍에 중심을 잃어 추락하는 위기의 상황에서 로드가 기지를 발휘해 몬스터볼을 던져 포획되면서 구조함과 동시에 정식으로 로드의 두번째 포켓몬이 된다.

6. 기타[편집]


  • 초반 비행 타입에 해당된 포켓몬이지만, 전작의 아머까오처럼 노말 타입이 들어가지 않고[5], 스왈로, 패리퍼 이후 오랜만에 등장한 1진화형 포켓몬이다.

  • 초반 비행 타입 포지션임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늦은 타이밍에 볼 수 있어 지역 번호가 177번이나 된다.

  • 스왈로처럼 시니컬하면서도 반항아 같은 외모라 스왈로의 리전폼으로 착각한 유저들도 있다. 마침 일본판 한정으로 진화하면서 종명이 바뀌는 방식도 스바메 -> 오오스바메(큰 테일로), 카이덴 -> 타이카이덴(큰 찌리비)으로 굉장히 유사하다.


  • 한칭 한정으로 찌리비가 바로 앞의 찌리배리와 '찌리ㅂ-'까지 명칭이 똑같아서 이름만 보면 찌리배리의 진화형처럼 보인다.

  • 일본어 이름 카이덴은 리듬 게임 용어 개전(皆伝; かいでん)의 일본어 발음과 똑같아 포켓몬과 리듬 게임을 둘 다 하는 유저들 사이에서 이야깃거리가 되기도 한다.

6.1. 삽화[편집]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도감 이미지
파일:940 찌리비 dex.png
파일:941 찌리비크 dex.png
찌리비
찌리비크


6.2. 국가별 명칭[편집]


언어
이름
유래
한국어
찌리비
찌릿찌릿 + 바다제비
일본어
カイデン
海(かい, 바다) + 電気(でんき, 전기)
영어
Wattrel
Watt(와트) + Petrel(바다제비)

언어
이름
유래
한국어
찌리비크
찌리비 + 크다[6] 혹은 찌릿찌릿 + beak(부리)
일본어
タイカイデン
太(크다) + カイデン(찌리비)
영어
Kilowattrel
Kilowatt(킬로와트) + Pettrel(바다제비)



[1] 다만 암수 디자인에 차이를 두지는 않았기에 현실과는 달리 암컷도 목주머니를 부풀릴 수 있다.[2] 일정 확률로 주인공 집 위에서 시비꼬가 간혹 자리잡고 있는데, 이를 포획하여 초반 새 포켓몬으로 써먹을 수도 있다. 이외에도 남부에리어 1 깊숙한 부분에 5~7레벨 정도 되는 꼬이밍고도 등장하기에 이쪽도 포획에서 초반 새 포켓몬으로 활용이 가능하나 여기는 초반에 등장하는 포켓몬 치고는 종족값이 높은 편이어서 까딱하다 스윕당할 위험이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3] 다만 뜨아거의 분함의발구르기를 피할 때의 묘사로 보아 아주 짧게 비행하는 것은 가능해보인다. 혹은 단순하게 땅 타입 기술인 분함의발구르기가 비행 타입인 찌리비에게는 통하지 않는다는 연출일 가능성도 높다.[4] 여기서 찌리비가 처음 안 찢어진 샌드위치를 물었을 때, 분명 자기 배보다 1.5배 정도 더 컸다. 그럼에도 그걸 다 먹는 걸 보면, 겉모습과 다르게 위가 더 크거나 만화적 과장인 듯.[5] 대신 다른 새 포켓몬인 시비꼬가 노말 타입을 받았다.[6] 포푸니크와 비슷한 작명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