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양공(통일왕조)

덤프버전 : r20210301 (♥ 0)

진(秦) 군주
[ 펼치기 · 접기 ]

---초대 국군
비자진후공백진중
제1대 국군제2대 국군제3대 국군제4대 국군
장공양공문공헌공
제5대 국군제6대 국군제7대 국군제8대 국군
출자무공덕공선공
제9대 국군제10대 국군제11대 국군제12대 국군
성공목공강공공공
제13대 국군제14대 국군제15대 국군제16대 국군
환공경공애공혜공
제17대 국군제18대 국군제19대 국군제20대 국군
도공여공공조공회공
제21대 국군제22대 국군제23대 국군제24대 국군
영공간공후혜공출공
제25대 국군제26대 국군제27대 국군
초대 왕
제28대 국군
제2대 왕
헌공효공혜문왕무왕
제29대 국군
제3대 왕
제30대 국군
제4대 왕
제31대 국군
제5대 왕
제32대 국군
제6대 왕
초대 황제
소양왕효문왕장양왕시황제
제33대 국군
제7대 왕
제2대 황제
제34대 국군
제8대 왕
제3대 황제
이세황제진왕 자영
삼황오제 · · ·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
오대십국 · · 서하 · · · · · · 중화민국 · 중화인민공화국



진(秦)나라 2대 국군
양공
襄公
영(嬴)
조(趙)
개(開)
아버지진장공(秦莊公) 영기(嬴其)
생몰 기간음력기원전 ???년 ~ 기원전 766년
재위 기간음력기원전 787년 ~ 기원전 766년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춘추시대 진(秦)나라의 제2대 군주. 진장공의 아들. 진문공의 아버지. 휘는 개(開).

진장공이 견융 땅에서 죽자, 그 뒤를 이어 형인 세보(世父)와 함께 견융과 전투를 벌였다.


2. 생애[편집]


진양공 원년(기원전 787년), 그는 풍왕(豐王)에게 여동생 목영(繆瀛)을 시집보냈다.

진양공 2년(기원전 786년), 견구로 천도했는데, 서융족이 견구를 포위하니 세보가 그것을 막다가 서융의 포로가 되었다.

진양공 3년(기원전 785년), 세보가 다시 돌아왔다.

진양공 7년(기원전 771년), 신후는 견융족에게 호경을 치게해[1] 유왕정환공은 여산에서 전사했다. 진양공은 병사를 거느리고 주나라를 구하러 왔다. 평왕이 낙읍[2]으로 동천하자 진양공이 그를 호위했다. 그 덕택에 진나라의 백작이 되었다. 평왕이 호경 주위를 내리니 진나라는 강성해졌다.

진양공 12년(기원전 766년), 진양공이 서융을 토벌하다가 죽고 서수 땅에 묻혔다. 그리고 그 아들이 진나라 군주가 되니 그가 바로 진문공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그 이유는 자신의 딸과 외손자를 괄시한 것에 앙심을 품어서이다.[2] 지금의 낙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