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격의 거인/인기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진격의 거인

파일:진격의 거인 한글 로고.png
[ 펼치기 · 접기 ]

#000000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2d2f34><tablecolor=#191919,#dddddd> [[진격의 거인/등장인물|{{{#010101,#dddddd 등장인물}}}]] · [[진격의 거인/설정|{{{#010101,#dddddd 설정}}}]] · [[진격의 거인/떡밥|{{{#010101,#dddddd 떡밥}}}]] · [[진격의 거인/연표|{{{#010101,#dddddd 연표}}}]] · [[진격의 거인/단행본 각화 부제목|{{{#010101,#dddddd 부제목}}}]] · [[진격의 거인/미디어 믹스|{{{#010101,#dddddd 미디어 믹스}}}]] · [[진격의 거인/인기투표|{{{#010101,#dddddd 인기투표}}}]] · [[진격의 거인#2차 창작|{{{#010101,#dddddd 2차 창작}}}]] || ||<-2> [[진격의 거인/인기|{{{#010101,#dddddd 인기}}}]] · [[진격의 거인/사건 사고|{{{#010101,#dddddd 사건 사고}}}]] · [[진격의 거인/평가|{{{#010101,#dddddd 평가}}}]] · [[진격의 거인/비판 및 논란|{{{#010101,#dddddd 비판 및 논란}}}]]^^[[진격의 거인/결말 논란|{{{#010101,#dddddd (결말}}}]] | [[진격의 거인/비판 및 논란/설정|{{{#010101,#dddddd 설정)}}}]]^^ || ||<colbgcolor=#000> [[진격의 거인/애니메이션|{{{#fff '''애니메이션'''}}}]] || {{{-2 [[진격의 거인/애니메이션/회차 목록|{{{#010101,#dddddd 회차 목록}}}]] · [[진격의 거인/애니메이션#OVA|{{{#010101,#dddddd OVA}}}]] · [[진격의 거인/애니메이션#극장판|{{{#010101,#dddddd 극장판}}}]] · [[진격의 거인/애니메이션/줄거리|{{{#010101,#dddddd TVA 줄거리}}}]]^^([[진격의 거인(애니메이션 1기)/줄거리|{{{#010101,#dddddd 1기}}}]] ·[[진격의 거인(애니메이션 2기)/줄거리|{{{#010101,#dddddd 2기}}}]] · [[진격의 거인(애니메이션 3기)/줄거리|{{{#010101,#dddddd 3기}}}]] · [[진격의 거인 The Final Season/줄거리|{{{#010101,#dddddd The Final Season}}}]])^^ · [[진격의 거인/애니메이션/음반|{{{#010101,#dddddd OST}}}]] · [[진격의 거인/애니메이션/엔드 카드|{{{#010101,#dddddd 엔드 카드}}}]] · [[진격의 거인/애니메이션/현재 공개 가능한 정보|{{{#010101,#dddddd 현재 공개 가능한 정보}}}]]}}} || || {{{#fff '''TVA'''}}} || {{{-2 [[진격의 거인(애니메이션 1기)|{{{#010101,#dddddd TVA 1기}}}]] · [[진격의 거인(애니메이션 2기)|{{{#010101,#dddddd TVA 2기}}}]] · [[진격의 거인(애니메이션 3기)|{{{#010101,#dddddd TVA 3기}}}]] · [[진격의 거인 The Final Season|{{{#010101,#dddddd The Final Season}}}]]^^([[진격의 거인 The Final Season/공개 정보|{{{#010101,#dddddd 공개 정보}}}]] · [[진격의 거인 The Final Season/평가 및 반응|{{{#010101,#dddddd 평가 및 반응}}}]])^^}}} || || {{{#fff '''스핀오프'''}}} || {{{-2 [[진격의 거인 Before the fall|{{{#010101,#dddddd Before the fall}}}]] · [[진격의 거인: 후회없는 선택|{{{#010101,#dddddd 후회없는 선택}}}]] · [[진격의 거인 Lost girls|{{{#010101,#dddddd Lost Girls}}}]] · [[진격의 거인 SD 날아라! 훈련병단|{{{#010101,#dddddd 꼬마 캐릭터 극장}}}]] · [[진격! 거인 중학교|{{{#010101,#dddddd 거인 중학교}}}]] · [[진격의 스쿨 카스트|{{{#010101,#dddddd 스쿨 카스트}}}]]}}} || || [[진격의 거인/커뮤니티|{{{#fff '''커뮤니티'''}}}]] || {{{-2 [[진격의 거인/커뮤니티#s-2.1|{{{#010101,#dddddd 네이버 카페}}}]] · [[진격의 거인/커뮤니티#s-2.2|{{{#010101,#dddddd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 [[진격의 거인/커뮤니티#s-2.3|{{{#010101,#dddddd 레딧}}}]] · [[진격의 거인/커뮤니티#s-2.4|{{{#010101,#dddddd 위키}}}]] · [[진격의 거인/커뮤니티#s-2.5|{{{#010101,#dddddd 츄잉}}}]]}}} ||



1. 개요
2. 일본에서
2.1. 누계 발행 부수
2.2. 오리콘 판매 부수
3. 한국에서
4. 북미에서
5. 유럽에서


1. 개요[편집]


만화 진격의 거인의 인기를 정리한 문서다.


2. 일본에서[편집]


일본의 1억 부 클럽 만화
[ 펼치기 · 접기 ]

순위만화작가연재 기간권수수치
1위원피스오다 에이치로1997년 ~ 연재 중106권5억 1,660만부
2위드래곤볼토리야마 아키라1984년 ~ 1995년42권3억부
3위고르고13사이토 타카오1968년 ~ 연재 중206권3억부
4위명탐정 코난아오야마 고쇼1994년 ~ 연재 중103권2억 7,000만부
5위나루토키시모토 마사시1999년 ~ 2014년72권2억 5,000만부
6위도라에몽후지코 F. 후지오1969년 ~ 1996년45권2억 5,000만부
7위슬램덩크이노우에 다케히코1990년 ~ 1996년31권1억 7,000만부
8위여기는 잘나가는 파출소아키모토 오사무1976년 ~ 2016년201권1억 5,700만부
9위귀멸의 칼날고토게 코요하루2016년 ~ 2020년23권1억 5,000만부
10위크레용 신짱우스이 요시토1990년 ~ 연재중45권1억 4,800만부
11위진격의 거인이사야마 하지메2009년 ~ 2021년34권1억 4,000만부
12위맛의 달인카리야 테츠(원작)
하나사키 아키라(그림)
1983년 ~ 2014년(휴재)111권1억 3,500만부
13위블리치쿠보 타이토2001년 ~ 2016년74권1억 3,000만부
14위죠죠의 기묘한 모험아라키 히로히코1987년 ~ 연재 중131권1억 2,180만부
15위소년탐정 김전일아마기 세이마루 (원작)
카나리 요자부로 (원작)
사토 후미야 (작화)
1992년 ~ 연재 중83권1억 1,500만부
16위철완 아톰데즈카 오사무1952년 ~ 1968년23권1억부
17위터치아다치 미츠루1981년 ~ 1986년26권1억부
18위북두의 권부론손(스토리)
하라 테츠오(작화)
1983년 ~ 1988년27권1억부
19위더 화이팅모리카와 죠지1989년 ~ 연재 중136권1억부
20위킹덤하라 야스히사2006년 ~ 연재 중69권1억부
출처 1 / 출처 2



2021년 일본 만화 총선거
[ 펼치기 · 접기 ]

2021년 1월 2일 테레비 아사히가 발표한 신년 특집 '만화총선거 일본 국민 15만명이 뽑은 좋아하는 만화 베스트 100'의 결과다.
전 세대를 대상으로 조사했고 한 사람당 좋아하는 만화 5개를 적었다. 중복 투표는 금지됐다.
1위원피스(포인트: 33,600점)
2위귀멸의 칼날(29,100점)
3위슬램덩크(26,700점)
4위명탐정 코난(25,400점)
5위드래곤볼(22,400점)
6위진격의 거인(21,900점)
7위나루토(19,800점)
8위하이큐!!(18,700점)
9위강철의 연금술사(18,500점)
10위죠죠의 기묘한 모험(17,100점)
11위헌터×헌터(16,200점)
12위은혼(16,100점)
13위킹덤(15,200점)
14위월드 트리거(11,700점)
15위도라에몽(11,300점)
16위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900점)
17위유유백서(8,600점)
18위블랙 잭(8,200점)
19위주술회전(8,000점)
20위나츠메 우인장(7,400점)
21위유리가면(7,100점)
22위북두의 권(7,000점)
23위블리치(6,950점)
24위터치(6,900점)
25위불새(6,800점)
26위바나나 피쉬(5,800점)
27위베르사이유의 장미(5,600점)
28위이누야샤(5,300점)
29위내일의 죠(5,100점)
30위드래곤 퀘스트 다이의 대모험(4,950점)
31위바람의 검심 -메이지 검객 낭만기-(4,900점)
32위메종일각(4,600점)
33위금색의 갓슈!!(4,400점)
34위포의 일족(4,100점)
35위여기는 잘나가는 파출소(4,080점)
36위고르고13(4,060점)
37위사자에상(4,040점)
38위거인의 별(4,020점)
39위철완 아톰(4,000점)
40위골든 카무이(3,950점)
41위도쿄 구울(3,900점)
42위도카벤(3,850점)
43위5등분의 신부(3,800점)
44위에이스를 노려라!(3,600점)
45위동물의사 Dr.스쿠르(3,450점)
46위약속의 네버랜드(3,400점)
47위더 화이팅(3,100점)
48위요괴소년 호야(3,000점)
49위마스터 키튼(2,900점)
50위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2,850점)
51위암살교실(2,800점)
52위쿠로코의 농구(2,750점)
53위흑집사(2,700점)
54위테니스의 왕자(2,650점)
55위하이카라씨가 간다(2,600점)
56위캔디캔디(2,300점)
57위시티헌터(2,290점)
58위체인소 맨(2,260점)
59위노다메 칸타빌레(2,230점)
60위기생수(2,200점)
61위시끌별 녀석들(2,000점)
62위카드캡터 사쿠라(1,900점)
63위근육맨(1,850점)
64위문호 스트레이독스(1,800점)
65위페어리 테일(1,790점)
66위두근두근 투나잇(1,760점)
67위가정교사 히트맨 REBORN!(1,730점)
68위봉신연의(1,700점)
69위사이보그 009(1,550점)
70위꽃보다 남자(1,500점)
71위철인 28호(1,300점)
72위H2(1,250점)
73위은하철도 999(1,200점)
74위데빌맨(1,160점)
75위마기(1,130점)
76위맛의 달인(1,100점)
77위아부상(1,050점)
78위우주전함 야마토(1,000점)
79위바사라(990점)
80위캡틴(980점)
81위바리바리 전설(960점)
82위히카루의 바둑(950점)
83위메이저(930점)
84위불꽃 소방대(920점)
85위지박소년 하나코 군(900점)
86위꼭두각시 서커스(890점)
87위후르츠 바스켓(860점)
88위바람의 대지(830점)
89위유한클럽(800점)
90위ARIA(780점)
91위베르세르크(760점)
92위마카로니 호렌소(740점)
93위리본의 기사(720점)
94위여친, 빌리겠습니다(700점)
95위D.Gray-man(690점)
96위스켓(660점)
97위캡틴 츠바사(640점)
98위천사가 아니야(600점)
99위3월의 라이온(580점)
100위닥터 스톤(560점)
같이 보기: 만화 총선거, 애니송 총선거
2021년 발표, 출처1 / 출처 2



1권 발매 당시 초판 발행부수는 5만 권, 연재 잡지의 발행부수는 고작 6만 부였다. 1권은 아예 발매 주차에 오리콘 차트에 집계되지 않았으며 2권도 주간 초동이 3만권이 채 되지 않았다. 그러나 입소문을 타고 반향을 얻어 주간 소년 매거진에 3회에 걸쳐 출장 단편을 게재하는 등 잡지에서도 밀어주는 작품이 되었으며[1] 2010년 말에는 인기작의 대열에 합류했다.

소년 매거진의 발표에 따르면 단행본 9권 발행 시점에서 누계 발행부수 1000만 부를 돌파했다. 권당 100만 부 이상이라는 것인데, 당시 일본 만화 중 권당 100만 부 수준으로 팔리고 있는 것은 이 작품을 포함해서 손에 꼽을 정도.[2] 출판사의 판촉을 기대할 수 없는 신인의 작품이, 1년 만에 입소문 만으로 100배 가까이 팔린 것이다.

2011년 이 만화가 굉장해! 남성판 1위(최단기간 연재작 1위!), 전국 책 점원이 선정한 추천 만화 1위, 만화 대상 7위, 제 35회 코단샤 만화상 소년 부문을 수상했다. 2012년 데즈카 오사무 문화상 후보에도 올랐으나 수상하지는 못했다.

2013년 6월 4일부로 2,000만 부를 돌파했다. 권당 평균 200만 부라는 수치는 그전까지 《데스노트》와 《강철의 연금술사》 두 작품밖에 없었다.[3] 게다가 21세기 소년 매거진 계열 작품 중에서는 유일한 권당 200만 부 작품. 점프계열 작품 중에서도 200만 부 이상의 작품은 데스노트를 제외하면 전부 20세기 작품이며, 《블리치》도 인기 하락 이후로는 권당 150만 부 수준이다. 《진격의 거인》의 흥행으로 잡지의 판매부수도 20만부까지 상승했다.

2013년 8월 9일 발매된 11권 기준으로 2,300만 부를 넘었다고 한다. 11권 초판 발매부수가 185만 부를 넘는 등 승승장구하는 중. 11권 통상판+특장판 초동 약 95만 부를 기록하며 원피스 이외에 적수가 없을 만큼의 위상을 확립했다. 12권 통상판+한정판 초동은 각각 90, 30으로 총 120만 부를 기록하며 승승장구. 그리고 2013년 10월 기준으로 2,500만 부를 돌파했다. 2013년 12월 단행본 11권 기준으로 2,800만 부를 달성. 또한 2013년 12월에 발매하는 단행본 12권의 초판 발행 부수는 220만 부. 2010년 3월에 발매한 단행본 1권의 초판 발행 부수가 4만 부였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불과 4년 만에 50배가량 급증한 셈이다. 2013년 일본 만화 판매량 5위 ~ 15위에 진격의 거인이 전권 랭크되었다. 이는 작년에 비해 판매량이 약 6배 증가한 수치다.

2017년 발표된 픽시브의 10주년 기념 기획 - 히스토리에서 2013년 "인기를 끌었던 테그와 상위작품" 중 143,022개의 게시물이 등록되어 당해 1위 태그로 선정되었다. 2위 카게로우 프로젝트는 94,256개, 3위 Free!는 42,345개였다. 이는 그 당시에 얼마나 이 작품이 히트였는지 잘 보여주는 수치이다.# 진격거가 휩쓸었던 픽시브201306 여성향

2014년 1월 기준으로 3,000만 부를 돌파했다. 그 외에도 북미 66만 부, 한국 53만 부, 대만 42만 부를 기록 중. 13권 초판 부수는 275만 부를 기록하며 계속해서 기록을 세우고 있다. 이는 405만부의 원피스에 이은 역대 2위 기록. 진격의 거인 담당 편집자 트위터에서 발췌. 15권 발매 이후 누적 발행 부수가 약 4,200만 부이상이 되어 권당 발행 280만부라는 기록을 세웠다. 16권 발매 후 누적 발행 4,500만 부를 돌파하였다. 이는 21세기에 연재가 시작된 만화중 권당 발행 부수 원톱의 수치. 데스노트강철의 연금술사의 권당 부수를 능가하는 엄청난 수치이다.

2014년 11월 기준 연재되고 있는 모든 일본 만화들 중 원투펀치 중 하나. 지난 5년 동안 상반기/하반기 결산 판매량에서 오리콘 만화 차트 부동의 1위를 유지해오던 원피스를 제치고 2014년 상반기 차트 1위에 올랐다. 2위로 밀린 원피스와의 판매량 차이는 340만 5413부.[4] 하지만 이 수치는 원톱이라고 볼 수 없는 성적이다. 그 이유는 전해 12월 ~ 5월까지 진격의 거인은 12, 13권이 나왔지만 원피스는 73권 달랑 한 권 나왔다. 물론 원피스는 13년 하반기에 70,71,72권이 나왔다. 오리콘 차트 상반기 결산은 '전해 12월 ~ 당해 5월', 하반기 결산은 '6월 ~ 11월' 이 해당된다. 하반기에 진격의 거인은 14권 달랑 하나 나와서 720,431부+a 에 그친 반면 원피스는 2권 (74,75권)에 4,818,452부+a 로 진격의 거인을 제치고 연말 1위를 할 가능성이 높았고 예상대로 원피스는 2014년 1위 자리를 지켰다. 최종 연말 판매량은 원피스 11,889,517부. 진격의 거인은 11,728,358부.

단권으로는 진격의 거인 12,13,14권은 원피스 73,74,75권에 이어 4,5,6위를 차지했다. 참고로 원피스 73권은 301만 801부, 74권은 283만 4558부, 75권은 269만 8071부가 판매되었고, 진격의 거인은 13권 192만 1457부, 12권은 189만 5305부, 14권은 177만 3871부.

2015년에는 877만 8048부가 팔려, 다크호스였던 일곱 개의 대죄의 1030만 4112부에도 밀려 3위에 랭크됐다. 하지만 단권 판매량은 15권이 5위로 200만 137부, 16권이 6위로 192만 780부, 17권이 7위로 180만 7155부가 팔려 오히려 더 늘었다. 2016년에는 암살교실, 킹덤에 밀려 전체 판매량 순위 4위에 랭크되었다. 2017년에는 다시 전체 판매량 2위를 기록했으나 1위인 원피스와의 차이는 예전보다 많이 벌어졌다. 2018년에는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에 밀려 3위. 2019년 상반기에는 원피스, 약속의 네버랜드, 킹덤,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5등분의 신부의 뒤를 이어 6위, 2019년 전체는 7위를 기록했다. 작년과 2019년 4월에 애니 방영을 했음에도 판매량이 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이제 신규 독자 유입은 거의 없는 듯. 그러나 단권 판매량은 원피스에 이어 2위를 기록하는 중.

2015년 11월 누적 발행 5천만부 돌파, 2016년 20권 기준으로 누적 발행 6천만부를 돌파했다. 2018년 24권 기준으로 누적 발행 7100만을 돌파하였다. 2019년 4월 단행본 누적 발행 7800만부 돌파, 2019년 9월 29일 누적 발행 8400만 부를 돌파했음을 알렸다. #

그리고 2020년 1월에 기어이 전자책 포함 전세계 누계 발행 부수가 1억 부를 돌파하였다. 이것으로 블리치가 가지고 있던 '1억부를 돌파한 유일한 21세기 만화'의 기록이 깨지게 되었다.

오리콘 연간 랭킹에서 2013년부터 2019년까지 꾸준히 단권 판매량 100만부 이상을 유지하면서 7년 연속으로 원피스에 이어 단권 판매량 2위 자리를 지켰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 기세는 떨어지지 않고 단권 최대 판매량 190~200만부 수준을 기록했으나 2017년부터는 최대 170만부, 2018년에는 최대 148만부, 2019년에는 최대 134만부가 팔리면서 점점 페이스가 떨어지는 추세를 보였다. 결국 2020년에는 30권이 102만부를 기록, 2020년 단권 최대 판매량에서 439만부의 귀멸의 칼날, 205만부의 원피스, 106만부의 스파이 패밀리에 이어 4위를 기록하였다. # 그래도 2000년대에 연재를 시작한 작품 중에서 권당 판매량은 여전히 1위.

# 2023년 11월29일 1억 4천만부를 달성했다.

파일:픽시브커플링순위20210301.png
- 참조: 2021.03.01. 기준 픽시브 순위
이 통계에서도 알 수 있듯, 동인계(특히 여성향)에서의 인기도 폭발적이였다.

또 픽시브 백과사전에 실린 각 일본 만화, 애니메이션 문서들 중에서의 조회수도 높은 편이다.[5]

파일:덕코.png
청불임에도 대중적으로 성공한 만큼 인싸애니로 분류되어서 덕코하는 사람들 입에 자주 오르내리는 밈이 생겼다. 원피스귀멸의 칼날처럼.

2.1. 누계 발행 부수[편집]


돌파 시점누계 발행 부수출처
2010/12/08100만#
2011/04/06416만#
2012/12/071000만#
2013/06/042000만#
2013/08/092300만#
2013/10/062500만#
2013/12/062800만#
2014/01/293000만#
2014/08/014000만#
2014/12/294200만#
2015/08/055000만#
2016/09/036000만#
2018/01/037100만#
2019/06/068000만#
2019/12/251억#
2022/09/061억 1000만#
2023/11/291억 4000만#

2.2. 오리콘 판매 부수[편집]


제목초동(반영일수)2주차 누적누계 판매부수(반영일수)[6]
진격의 거인 1권15,012(5)-2,706,099(1496)
진격의 거인 2권28,389(3)54,6742,434,760(1277)
진격의 거인 3권185,674(4)281,2472,357,513(1124)
진격의 거인 4권266,812(3)454,9452,228,894(1004)
진격의 거인 5권400,289(6)524,8012,190,791(881)
진격의 거인 6권285,829(3)480,0022,144,676(759)
진격의 거인 7권386,244(7)480,3562,107,364(637)
진격의 거인 8권290,694(4)460,7132,206,109(550)
진격의 거인 9권237,991(3)435,6312,473,087(709)
진격의 거인 10권417,414(6)561,6002,455,354(587)
진격의 거인 11권764,022(3)1,054,9152,362,555(465)
진격의 거인 12권90,699(0)1,015,3842,276,439(343)
진격의 거인 13권1,130,508(5)1,390,6372,239,782(222)
진격의 거인 14권852,757(3)1,340,2382,299,200(472)
진격의 거인 15권1,011,559(6)1,263,1942,241,496(349)
진격의 거인 16권868,694(4)1,221,3092,162,772(228)
진격의 거인 17권771,157(3)1,303,9951,978,023(108)
진격의 거인 18권969,743(5)1,293,7122,039,527(348)
진격의 거인 19권719,197(3)1,133,3811,799,179(227)
진격의 거인 20권918,357(6)1,194,4871,915,498(468)
진격의 거인 21권632,419(3)997,7171,810,035(346)
진격의 거인 22권652,849(3)1,026,5911,708,567(227)
진격의 거인 23권821,811(5)1,139,7731,510,533(103)
진격의 거인 24권541,970(3)884,0511,516,024(346)
진격의 거인 25권701,722(7)886,0871,395,368(224)
진격의 거인 26권590,383(4)892,6261,263,974(102)
진격의 거인 27권504,390(3)808,3951,279,533(164)
진격의 거인 28권573,681(6)751,2851,080,577(62)

출처


3. 한국에서[편집]


애니메이션화 이후로 특히 한국에서도 큰 인기를 끌어서 소위 말하는 비오덕 애니 중 하나로 불린다.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을 받은 작품치고 대중적으고 성공한 드문 사례. 작가 이사야마 하지메가 극우 사상을 반영해 작품을 만든다는 선동 이전과 이후로 나뉘지만, 여전히 상당한 인기를 자랑하고 있다.

파일:2013 진격인기체감.jpg
애니메이션 1기 방영 당시 지상파 및 다수 언론에서 '문화 현상'이라는 표현이 나올 정도로 신드롬에 가까운 인기를 끌었다.[7] 애니메이션이 첫 방영된 2013년 4월 7일에 한국에서는 네이버, 다음을 비롯한 각종 포털사이트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1위에 올랐다. 가끔 뜬금없는 검색어들이 1위에 오르는 일들이 있어서 아무렇지 않게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사실 대부분이 알듯 일본 만화가 한국의 각종 포털사이트에서, 그것도 동시에 검색어 1위에 오르는 것은 굉장히 이례적인 일이다. 그것도 4월 7일 거의 하루종일 검색어 순위 1위를 유지했다. 그래서인지 아직 한국에 방영조차 되지 않은 진격의 거인에 대한 기사가 폭증하였다.#

데스노트와 같이 거론되며 비교를 많이 당한다. 모에로 팔아먹지 않으면서 이토록 폭발적인 반응을 끌어낸 게 비슷하기 때문인 듯한데 오히려 양쪽 다 모에하지 않아서 오덕후가 아닌 일반인들의 거부반응이 적어 더 크게 히트한 경우. 강철의 연금술사와도 거론 및 비교가 많이 되었는데[8] 사실 설정이나 스토리, 캐릭터 관계도로 따지면 데스노트보다 훨씬 유사하다.#] 시작부터 끝까지 희석되지 않은 한가지의 주제의식(등가교환, 자유) 등.

지상파에서도 진격 드립이 나오고, 2013년 6월 9일 개그콘서트 방영분 중 옛코너인 슈퍼스타 KBS에서 마빡이 파트에서 김시덕이 '내가 진격의 시덕이야!'하면서 아예 애니 오프닝까지 나오는 등 일본 만화쪽에선 꽤나 독보적인 인기를 누리고있다. 또한 뉴스 외 기사에서도 "진격의 XX"하는 식으로 아예 관용어구가 되어가고 있다. 심지어 진격의~로 시작하는 상호명의 자전거포나 술집까지도 있다. 한국의 데브워크스라는 게임회사가 이 작품의 세계관을 표절한 자이언트 러쉬라는 안드로이드용 게임을 만들었다.

2013년 8월 9일, SBS 8시 뉴스에서 문화 신드롬 된 日 애니 '진격의 거인', 왜?(자동재생 주의)라는 보도가 나갔다. 여태까지 일본 애니메이션이라는 주제 아래 여러 작품을 소개한 경우는 더러 있었어도 한 작품에만 초점을 맞춰 기사를 할애한 경우는 거의 없었기에 이례적이다. '진격의~' 라는 표현이 유행하는 현상과 패러디물을 소개한 후 거인과 인간의 갑을관계, 나아가 일본과 주변국 간의 관계를 비유한 것이 작품의 메시지라는 내용. 이어서 '여름 극장가에서 사라진 한국 애니메이션' 뉴스가 보도됐다.

다음 커뮤니케이션에서 2013년 올해의 검색어 1위로 선정되었으며 구글코리아 또한 2013년 한 해 가장 많은 인기를 끈 검색어를 발표하면서 진격의 거인을 1위로 발표했다.

만화 갤러리를 비롯한 애니, 만화 관련 갤러리들이 진격의 거인 이야기로 가득찰 때가 많았는데, 운영진 측에서도 진격의 열기를 눈치챘는지 진격의 거인 갤러리[9]가 신설되었다. 만화 갤러리에서 특정 작품이 분리된 사례는 진격의 거인이 처음인데, 이 작품이 얼마나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지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오늘의 유머여성시대에서 엄청난 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극우 사상이 담긴 작품이라는 선동과 이를 뒷받침하는 인플루언서들 때문에, 팬덤은 탈덕 현상이 두드러졌으며 분서 인증을 하는 격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특히 국내에서 토미노 요시유키의 "진격의 거인은 왕따가 분풀이하기 위해 만든 만화"[10]라는 평이 널리 알려져 그를 신성시하는 사이트를 위주로 이러한 여론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물론 극우사상 선동이 터지기 전 하늘을 찌를 듯 했던 인기는 한풀 꺾였으나 선동이 일어난 후에도 볼 사람들은 다 보고 있었다. 그리고 점차 작품이 진행되면서 내용이 우익과는 한참 거리가 있고 전쟁의 참혹함과 반복되는 증오의 연쇄를 종결시키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이 드러남과 동시에 작품 자체의 평가가 올라가며 입소문을 타자 우익 논란 당시 주도적으로 언급을 금기시하고 작품을 우익으로 몰았던 루리웹 등 오타쿠 커뮤니티에서도 반응이 대체로 호의적으로 변했다.

오히려 이후 전개에서는 극우 선동이 일어난 게 무색하게, 작중에서 주인공 엘런이 이끄는 예거파는 극우 파시스트적인 면모를 보이며 주인공을 제외한 여러 주역들에게 비판의 대상이 되는 반면에 일부 독자들에게는 옹호의 대상이 되고 있는데, 작중에서 극단적인 사상의 세태를 비판하는 장치가 여럿 있었던 것을 감안하면 아이러니의 극치라 볼 수 있을 것이다.

2021년 넷플릭스에서 파이널 시즌이 1화가 나온지 하루만에 '오늘 한국에서 TOP 10 콘텐츠'에서 5위를 기록했다.[11] 이후에도 매주 새로운 에피소드가 나오면 2~3일 정도 한국 넷플릭스 전체 콘텐츠 TOP 10에 들고 있다. 결국 2월 4일 한국 넷플릭스 1위를 기록했다.#

현재는 극우 사상으로 이 작품을 비난하는 것 자체가 의미가 없어졌다. 4기가 공개되고 한국에서도 일본, 서양만큼은 아니더라도 꽤 승승장구 하고 있다.


4. 북미에서[편집]


전 세계의 만화 판매 순위 100
[ 펼치기 · 접기 ]

순위만화국가연재 기간권수수치
1위슈퍼맨미국1938년 ~ 연재 중15000화6억부
2위원피스일본1997년 ~ 연재 중104권5억 2,000만부
3위배트맨미국1939년 ~ 연재 중17000화4억 8,400만 부
4위스파이더맨미국1963년 ~ 연재 중13500화3억 8700만부
5위아스테릭스프랑스1959년 ~ 연재 중39권3억 8500만부
6위드래곤볼일본1984년 ~ 1995년42권3억 5000만부
7위고르고13일본1968년 ~ 연재 중206권3억 900만부
8위도라에몽일본1969년 ~ 1996년45권3억부
9위럭키 루크벨기에1946년 ~ 연재 중82권3억부
10위용호문홍콩1969년 ~ 연재 중2,427권2억 8000만부
11위명탐정 코난일본1994년 ~ 연재 중102권2억 7000만부
12위피너츠미국1950년 ~ 2000년26권2억 7000만부
13위땡땡의 모험벨기에1926년 ~ 1976년24권2억 7000만부
14위엑스맨미국1963년 ~ 연재 중12000화2억 6000만부
15위나루토일본1999년 ~ 2014년72권2억 5,000만부
16위스파이크와 수지벨기에1945년 ~ 연재 중365권2억 3000만부
17위캡틴 아메리카미국1941년 ~ 연재 중9000화2억 1000만부
18위철완 아톰일본1952년 ~ 1968년23권2억부
19위블랙 잭일본1973년 ~ 1983년25권1억 7,600만부
20위슬램덩크일본1990년 ~ 1996년31권1억 7,000만부
21위여기는 잘나가는 파출소일본1976년 ~ 2016년201권1억 5,650만부
22위디아볼릭이탈리아1962년 ~ 연재 중862화1억 5000만부
23위스폰미국1992년 ~ 연재 중600화1억 5000만부
24위더 팬텀미국1936년 ~ 연재 중3500화1억 5000만부
25위귀멸의 칼날일본2016년 ~ 2020년23권1억 5000만부
26위진격의 거인일본2009년 ~ 2021년34권1억 4,000만부
27위가필드미국1978년 ~ 연재 중-1억 3500만부
28위맛의 달인일본1983년 ~ 2014년(휴재)111권1억 3,500만부
29위블리치일본2001년 ~ 2016년74권1억 3,000만부
30위죠죠의 기묘한 모험일본1987년 ~ 연재 중131권1억 2,180만부
31위터치일본1981년 ~ 1986년26권1억 2000만부
32위소년탐정 김전일
김전일 37세의 사건부 포함
일본1992년 ~ 연재 중83권1억 1500만부
33위북두의 권일본1983년 ~ 1988년27권1억 500만부
34위더 화이팅일본1989년 ~ 연재 중136권1억부
35위Amar Chitra Katha인도1967년 ~ 연재 중449권1억부
36위꼬마 유령 캐스퍼미국1949년 ~ 연재 중-1억부
37위킹덤일본2006년 ~ 연재 중67권9500만부
출처 1 / 출처 2



전 세계의 만화 판매 순위 100에 들어가는 작품 중 하나이다.

2015년 12월 북미 지역 단행본 발매달에 20위 이내에 진입했던 유일한 일본 만화이며 서구권 최대 일본 애니메이션 사이트 MyAnimeList에서 진격의 거인 1기가 354만명이 참여함으로서 Top Anime 부문 중 Most Popular 1위, Most Favorited 6위, Top Manga 부문에서는 60만명이 참여함으로서 Most Popular 1위, Most Favorited 3위를 차지하고 있다. 파일:mal 진격 10년.jpg

MyAnimeList에 따르면 진격의 거인은 지난 10년 동안 가장 인기 있는 일본 애니메이션으로 나타났다.

서구권에서 상당한 인기를 누린 나루토의 완결 이후 연재되는 만화/애니 가운데 진격의 거인을 능가하는 인기를 서구권에서 누리는 일본 애니메이션은 없다고 해도 무방하다.[12]

파일:진격의 거인 2021년 수상.jpg
2021년 전세계적으로 가장 수요가 많은 TV쇼로 선정되었고 이후 수상까지 하였다.

파일:진격 올해의 애니.png
미국 최대 일본 애니 스트리밍 사이트인 crunchyroll에서 진행한 Anime Awards 2022에서 올해의 애니로 선정되었다.

위처럼 4기가 방영되고 북미에서 그야말로 신드롬 수준의 상황이 벌어졌다. 수상 26개, 노미네이트 48개 그리고 일본 애니 최초이자 비영어권 TV시리즈 최초로 연간 가장 높은 수요를 기록한 작품으로 기네스에도 등재되는 엄청난 일을 해낸 것이다. 비록 한국에선 극우 논란 때문에[13] 인기가 식었지만, 해외에선 따라올 적수가 없을 정도로 엄청난 흥행과 인기를 보이고 있다.


5. 유럽에서[편집]


  • 프랑스 840만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01:30:49에 나무위키 진격의 거인/인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주간 매거진의 출창 게재가 작품 홍보에 상당히 도움이 되었다고.[2]원피스》, 《나루토》,《헌터×헌터》, 《나나》, 《너에게 닿기를》 등.[3] 이후 귀멸의 칼날이 권당 200만 부를 돌파한다.[4] 진격의 거인 834만 2268부, 원피스 493만 6855부[5] 2022년 6월 기준 드래곤볼이 2만대, 슬램덩크가 4만대, 헌터x헌터가 1~12만대,(제목 표기에 따라 문서가 여럿이기 때문) 스파이 패밀리가 16만대, 사자에상 시공이 28만대, 데스노트가 41만대, 베르세르크가 63만대, 크레용 신짱이 78만대, 너의 이름은도 78만대, 도라에몽이 86만대, 포켓몬스터이건 원래 게임이지만가 90만대, 신세기 에반게리온이 116만대,(신극이 2만), 주술회전이 132만대, 강철의 연금술사가 136만대, 명탐정 코난이 230만대, 일곱 개의 대죄가 239만대, 원피스가 240만대, 나루토가 325만대, 진격의 거인이 520만대이다.[6] 7권부터 한정판 누계 판매부수(최소 2만권~최대 38만권)까지 합산하여 반영 [7] 관련 링크 1, 2, 3, 3, 4, 5, 6 [8] 예시.[9] 국내에서 진격의 거인을 선호하는 커뮤니티 중에서 유일하게 여초성향이 배척받는 곳이다. 그만큼 BL을 극도로 혐오한다.(그래서 부녀자들이 자이언트 갤러리에서 활동하게되었다.) 과거에는 여러 성향들이 겹쳐서 서로간의 충돌이 잦았지만, 지금은 진정되었다.[10] 토미노는 자신의 이름을 건 건담 작품도 제대로 보지 않고 평하기로 유명하다. 당장 건담 시리즈의 SEED와 00도 핀트에 맞지 않는 비판을 했다. 재미있게도 토미노의 원작 이름 걸고 제작되는 건담 작품 중 진격의 거인과 소재가 거의 일치하는 졸작이 있다. 약자가 강자들에게 살아남기 위해서 저항, 악마의 힘, 조직 폭력배를 연상케하는 주인공 집단, 인종차별. 두 작품에서 이 소재들을 어떻게 다루는지 확연한 수준의 차이가 나서인지 니코동에서는 소재가 비슷한 쿠소 애니 카미 애니 콜라보로 간간히 둘이 엮이기도 한다. 애초에 이 양반이 리뷰를 했다는 건 일단 재밌게 봤다는 거다[11] 우익으로 논란이 있었던 일본 애니메이션이 그것도 한국 예능과 드라마 사이에서 이런 기록을 하는 것은 정말 힘든 일이다.[12] 이는 일본 만화들 중 제일 많은 판매량을 기록한 원피스, 2019년 이후 신드롬에 가까운 인기를 보여준 귀멸의 칼날도 포함된다. 원피스는 한국과 일본 아시아에서의 입지전적인 인기에 비하면 북미에서의 인기는 많이 모자란 편이다. 또한 귀멸의 칼날의 경우 일본에서 유례없는 신드롬급 인기를 누리고 있으며 북미에서도 애니 1기가 화제를 불러일으켰지만, 진격거 1기와 4기의 파급력에 비하면 턱없이 모자랐다. 그래도 극장판이 북미에서 4700만 달러를 벌어들였고 뒤이은 2기의 방영으로 뛰어난 성장세를 보여주는 중. 공교롭게도 귀멸 2기와 진격거 4기 2부가 22년 1분기, 거의 동시간대에 방영하며 경쟁관계를 형성하고 있다.[13] 사실 줄거리는 오히려 극우를 비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