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아파트/목록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LH아파트

  • 볼드체로 표시된 곳은 곧 재건축이 예정된 단지, 취소선이 그어져 있는 곳은 이미 재건축이 되어있거나 진행중인 단지이다.
  • 행복주택 단지는 해당 문서 참조.

2. 부산광역시
3. 대구광역시
4. 인천광역시
5. 광주광역시
6. 대전광역시
7. 울산광역시
8. 세종특별자치시
17. 제주특별자치도
17.1. 제주시
17.2. 서귀포시
18. 관련 문서


1. 서울특별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LH아파트/목록/서울특별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 부산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북구
화명주공[1]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4,100세대1981년 12월
만덕주공 1단지[2]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1,232세대1984년 5월
덕천주공 1단지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1,320세대1991년 10월
덕천주공 2단지1507세대199?년 ?월
금곡주공 1단지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1099세대199?년 ?월
금곡주공 2단지1460세대199?년 ?월
금곡주공 3단지1484세대1994년 8월
금곡주공 4단지1937세대199?년 ?월
금곡주공 5단지713세대1994년 11월
금곡주공 6단지504세대1995년 8월
금곡주공 7단지802세대199?년 ?월
금곡주공 8단지623세대1996년 5월
금곡주공 9단지743세대1996년 5월
수정강변타운[3][4]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1,780세대2001년 8월
율리마을주공840세대2004년 6월
화명뜨란채981세대2004년 7월
만덕3주공[5]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1,350세대2003년 11월
만덕휴먼시아 2단지360세대2001년 11월
만덕휴먼시아 3단지402세대2009년 11월
금정산 센트럴포레[6]216세대2011년 10월
더 래디언트 금정산[7]1,677세대2019년 10월
동구
오션브릿지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652세대2018년 6월
금정구
구서주공[8]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2,180세대1980년 9월
동래구
안락주공[9]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450세대1976년 1월
사직주공[10]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세대1977년 ?월
안락뜨란채 1단지[11]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464세대2005년 7월
안락뜨란채 2단지1,420세대2005년 10월
강변뜨란채[12]814세대2006년 4월
안락4 휴먼시아619세대2011년 7월
연제구
망미주공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2,038세대1986년 11월
부산진구
개금주공 1단지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380세대1987년 1월
개금주공 2단지2,544세대1988년 6월
개금주공 3단지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2,716세대1989년 6월
당감주공 1단지383세대1999년 6월
백양뜨란채[13]851세대1999년 7월
백양푸른채[14]1,116세대1999년 11월
범천LH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533세대2013년 5월
전포LH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794세대2016년 10월
LH센트럴힐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498세대2025년 2월 (예정)
사상구
엄궁주공[15]부산광역시 사상구 엄궁동920세대1985년 ?월
모라주공 1단지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동2,529세대1992년 5월
백양그린[16]1080세대1992년 7월
모라주공 3단지2,385세대1993년 6월
백양푸른숲[17]900세대1993년 7월
괘법LH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291세대2013년 3월
감전LH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622세대2014년 11월
사하구
다대주공 1단지[18]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429[19]세대1984년 ?월
다대주공 2단지[20]1,562세대1984년 ?월
사하뷰웰[21]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900세대2016년 12월
강서구
지사휴먼시아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961세대2011년 10월
명지 더 웨스턴[22]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1,201세대2018년 6월
남구
오륙도 뜨란채[23]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480세대2000년 4월
해운대구
해운대 주공AID[24][25]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2,060세대1975년 ?월
반송주공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1,084세대1991년 12월
해운대주공 1단지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420세대1997년 12월
해운대 센트럴파크[26]799세대1998년 3월
좌동 SK뷰[27]1,721세대1998년 3월
좌동 LH뜨란채[28]928세대1997년 12월
아시아선수촌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2,290세대2002년 6월
송정주공 1단지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828세대2007년 4월
송정2 휴먼시아890세대2010년 7월
영도구
동삼주공1단지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976세대1993년 9월
동삼그린힐[29]4,056세대1993년 9월
기장군
양산기장주공부산광역시 기장읍140세대1985년 10월
청강주공502세대1990년 10월
서부주공702세대2001년 5월
기장교리주공875세대2003년 9월
내리휴먼시아 1단지1,002세대2008년 11월
정관신도시 휴먼시아 1단지부산광역시 정관읍1,533세대2008년 12월
정관신도시 휴먼시아 2단지1,301세대2010년 1월
서희 스타힐스[30]444세대2011년 4월
정관LH 4단지964세대2012년 9월
정관LH 5단지1,128세대2013년 10월
정관 센트럴파크[31]588세대2009년 12월
정관LH 7단지1,934세대2017년 7월
고촌휴먼시아 1단지부산광역시 철마면1,084세대2009년 10월
고촌 센트럴[32]474세대2014년 2월
고촌LH 3단지468세대2016년 3월


3. 대구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중구
남산휴먼시아 1단지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604세대2008년 10월
청라센트럴파크[33]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575세대2008년 10월
동구
효목주공[34]대구광역시 동구 효목동1,241세대1973년 2월
신천LH[35]대구광역시 동구 신천동917세대1989년 7월
신천주공 2단지609세대1998년 9월
신천역더뷰파크[36]174세대2002년 10월
안심주공 1단지[37]대구광역시 동구 율하동864세대1994년 7월
율하 뜨란채 2단지대구광역시 동구 율하동340세대1997년 7월
안심주공 3단지대구광역시 동구 신기동984세대1994년 7월
안심주공 4단지대구광역시 동구 율하동194세대2003년 8월
율하 휴먼시아 5단지860세대2008년 10월
율하 휴먼시아 6단지808세대2008년 12월
율하 휴먼시아 7단지712세대2008년 11월
율하센트럴파크 8단지[38]253세대2009년 2월
율하센트럴파크 9단지[39]332세대2009년 2월
율하 휴먼시아 10단지976세대2010년 5월
율하리버파크[40]486세대2009년 2월
율하리버파크뷰[41]442세대2010년 8월
율하 휴먼시아 15단지457세대2009년 9월
신암 뜨란채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828세대2005년 9월
신천역 센트럴리버파크[42]대구광역시 동구 신천동785세대2011년 3월
신천 휴먼시아 6단지550세대2011년 1월
대구혁신 3단지 천년나무[43]대구광역시 동구 각산동448세대2014년 9월
대구혁신 4단지572세대2017년 9월
대구혁신 5단지 에듀포레350세대2013년 12월
대구혁신 6단지 천년나무1,208세대2016년 2월
대구혁신 8단지 이노힐즈대구광역시 동구 사복동487세대2015년 12월
대구혁신 10단지1,088세대2017년 1월
대구혁신 13단지 천년나무대구광역시 동구 숙천동340세대2016년 10월
대구혁신 14단지 천년나무178세대2016년 10월
LH뉴웰시티 디어포레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1,812세대2021년 2월
연경LH천년나무 2단지916세대2020년 1월
서구
중리주공[44]대구광역시 서구 중리동1,720세대1979년 3월
신평리주공[45]대구광역시 서구 평리동1,730세대1979년 5월
남구
이천주공 1단지대구광역시 남구 이천동576세대1999년 6월
이천주공 2단지320세대2002년 11월
이천 뜨란채 3단지238세대2006년 7월
이천 뜨란채 4단지193세대2006년 7월
북구
복현주공 1단지[46]대구광역시 북구 복현동?세대1984년 ?월
복현주공 2단지[47]250세대1985년 4월
복현주공 3단지[48]?세대1984년 11월
복현주공 4단지[49]1,98?세대1984년 ?월
산격주공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1,862세대1991년 12월
칠곡그린빌 1단지대구광역시 북구 국우동876세대1999년 10월
칠곡그린빌 2단지대구광역시 북구 구암동656세대2001년 5월
칠곡그린빌 3단지1,389세대2000년 8월
칠곡그린빌 4단지900세대2001년 12월
칠곡그린빌 5단지대구광역시 북구 국우동714세대2002년 10월
칠곡그린빌 6단지852세대2002년 10월
칠곡그린빌 7단지295세대2007년 10월
대구동서변그린빌대구광역시 북구 무태조야동1,282세대2002년 5월
대현 뜨란채대구광역시 북구 대현동736세대2006년 5월
대현 한신휴플러스[50]751세대2010년 9월
센트럴파크 대현[51]1,106세대2016년 4월
매천 휴먼시아 1단지대구광역시 북구 태전동1,937세대2008년 9월
매천센트럴파크[52]대구광역시 북구 관문동928세대2008년 1월
대구역 서희스타힐스[53]대구광역시 북구 칠성동1,250세대2012년 1월
금호LH천년나무 1단지대구광역시 북구 관문동1,088세대2014년 9월
금호LH천년나무 5단지1,252세대2016년 12월
금호LH천년나무 8단지1,022세대2016년 4월
연경LH천년나무 1단지대구광역시 북구 연경동600세대2019년 4월
달서구
내당주공[54]대구광역시 달서구 두류동1,199세대1979년 5월
성당주공 1단지[55]대구광역시 달서구 본리동2,103세대1982년 6월
성당주공 2단지[56]대구광역시 달서구 성당동650세대1983년 12월
성당주공 3단지[57]대구광역시 달서구 감삼동420세대1983년 12월
송현주공 1단지[58]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세대1985년 10월
송현주공 2단지[59]?세대1985년 10월
송현주공3단지[60]1,080세대1986년 11월
본동주공대구광역시 달서구 송현동1234세대199?년 ?월
월성주공 1단지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1,234세대1991년 8월
월성주공 2단지2,364세대1991년 9월
월성주공 3단지1,482세대1991년 12월
월성센트로파크[61]1,840세대1992년 3월
월성주공 5단지대구광역시 달서구 본동1,740세대1992년 8월
성서주공 1단지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1,877세대1995년 5월
성서주공 2단지1,412세대1995년 5월
성서주공 3단지 한빛마을대구광역시 달서구 이곡동1,461세대1998년 4월
성서주공 4단지570세대1996년 11월
성서주공 5단지대구광역시 달서구 용산동891세대1997년 2월
성서주공 6단지1,034세대1998년 1월
성서주공 7단지794세대1997년 11월
성서주공 8단지693세대1997년 10월
대곡주공 1단지 가람마을대구광역시 달서구 도원동1,446세대1997년 3월
대곡주공 2단지 미리샘마을1,120세대1998년 3월
대곡주공 5단지 한실들마을1,653세대1996년 12월
대곡주공 6단지 별메마을1,594세대1996년 8월
대곡주공 7단지 산새마을1,302세대1996년 8월
대곡주공 8단지 나래마을1,060세대1997년 4월
대곡주공 9단지 아람마을1,348세대1997년 4월
장기주공대구광역시 달서구 장기동750세대2005년 4월
대곡LH 천년나무 1단지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810세대2019년 3월
수성구
황금주공 1단지[62]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세대1981년 5월
황금주공 2단지[63]?세대1981년 5월
황금주공 3차978세대1992년 9월
달성군
현풍주공대구광역시 현풍읍230세대1985년 12월
논공주공대구광역시 논공읍360세대1997년 7월
용계주공대구광역시 가창면302세대2005년 4월
다사주공 1단지대구광역시 다사읍439세대2006년 8월
다사주공 2단지308세대2006년 8월
죽곡 휴먼시아 1단지594세대2008년 6월
서재 휴먼시아757세대2010년 7월
대구테크노폴리스LH 1단지대구광역시 현풍읍1,390세대2016년 2월
대구테크노폴리스LH 2단지1,126세대2016년 3월
대구테크노폴리스LH 3단지1,020세대2017년 4월
옥포 LH천년나무 2단지대구광역시 옥포읍1,366세대2015년 2월
대구옥포 LH 천년나무 3단지791세대2016년 3월
옥포 LH허브시티815세대2015년 4월
군위군
군위LH 천년나무군위군 군위읍408세대2015년 4월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LH아파트/목록/경상북도 문서의 r4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LH아파트/목록/경상북도 문서의 r4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4. 인천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중구
영종주공 스카이빌 10단지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740세대2001년 7월
영종주공 스카이빌 12단지323세대2001년 1월
영종LH 1단지770세대2012년 10월
영종LH 2단지990세대2018년 11월
영종LH 7단지인천광역시 중구 중산동295세대2012년 9월
동구
송현주공인천광역시 동구 송림동575세대1993년 5월
화도진그린빌주공인천광역시 동구 화수동365세대2001년 10월
만석비치타운주공인천광역시 동구 만석동1,273세대2002년 10월
솔빛마을주공1차인천광역시 동구 송현동2,711세대2003년 4월
솔빛마을주공2차 1단지386세대2003년 12월
솔빛마을주공2차 2단지354세대2003년 12월
미추홀구
도화AID[64]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숭의동506세대1975년 5월
주안주공 1, 2단지[65]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안동2,970세대1976년 ?월
LH미추홀퍼스트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동870세대2018년 11월
LH미추홀 3단지1,500세대2018년 12월
연수구
연수주공 1단지[영구임대]인천광역시 연수구 연수동1,654세대1992년 7월
연수주공 2단지960세대1992년 6월
연수주공 3단지1,170세대1993년 10월
남동구
간석맨션[66]인천광역시 남동구 간석동590세대1979년 12월
간석주공[67]인천광역시 남동구 간석동2,100세대1979년 7월
구월주공[68]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동5,800세대1979년 ?월
주안주공 3단지[69]인천광역시 남동구 간석동?세대1976년 ?월
만수주공 1단지[a]인천광역시 남동구 만수동516세대1985년 10월
만수주공 2단지[a]1,920세대1987년 7월
만수주공 3단지[a]510세대1986년 10월
만수주공 4단지[a]2,220세대1987년 7월
만수주공 5단지[a]900세대1987년 9월
만수주공 6단지[a]800세대1986년 11월
만수주공 7단지[영구임대]1466세대1990년 12월
만수주공 8단지1440세대1989년 10월
만수주공 9단지630세대1994년 6월
만수주공 10단지420세대1994년 5월
만수주공 11단지902세대1997년 11월
논현주공 1단지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1,190세대1998년 8월
논현주공 2단지1,252세대1998년 8월
도림주공 1단지인천광역시 남동구 도림동714세대2003년 7월
도림주공 2단지642세대2003년 10월
장수주공인천광역시 남동구 장수동714세대2005년 7월
논현1단지 숲속마을 휴먼시아[70][71]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872세대2009년 6월
논현2단지 범마을 휴먼시아1,278세대2008년 6월
논현3단지 하늘마을 휴먼시아2,148세대2008년 5월
논현4단지 하늘마을 LH412세대2018년 12월
논현5단지 달맞이마을 휴먼시아1,522세대2007년 4월
논현8단지 동산마을 휴먼시아838세대2006년 7월
논현11단지 단풍마을 휴먼시아898세대2006년 7월
논현12단지 산뒤마을 휴먼시아801세대2006년 4월
논현13단지 푸르내마을 휴먼시아785세대2006년 4월
논현14단지 등대마을 휴먼시아1800세대2006년 9월
논현15단지260세대2020년 12월
소래 휴먼시아 1단지882세대2011년 4월
소래 휴먼시아 3단지2,026세대2010년 11월
소래LH 4단지820세대2014년 11월
포레시안[72]인천광역시 남동구 만수동3,208세대2011년 5월
향촌 휴먼시아 2단지438세대2012년 5월
간석LH 1단지인천광역시 남동구 간석동587세대2014년 11월
간석LH 2단지792세대2014년 11월
서창LH 1단지인천광역시 남동구 서창동2,186세대2015년 2월
LH 청아안[73]742세대2016년 3월
서창 퍼스트뷰[74]1,196세대2012년 6월
서창 12단지 LH1,534세대2014년 4월
서창 14단지 LH950세대2020년 1월
서창 15단지 LH678세대2017년 12월
부평구
삼산주공 1단지[영구임대]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동1,764세대1991년 8월
갈산주공 1단지인천광역시 부평구 갈산동1,650세대1992년 6월
갈산주공 2단지1,170세대1992년 5월
일신주공[75]인천광역시 부평구 일신동967세대1995년 11월
부개주공 1단지인천광역시 부평구 부개동1,044세대1996년 11월
부개주공 2단지[76]446세대1996년 10월
부개주공 3단지1,724세대1996년 10월
부개주공 5단지960세대1998년 6월
부개주공 6단지1,240세대1997년 10월
부개주공 7단지957세대1998년 6월
삼산미래타운주공 1단지[77]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동608세대2000년 6월
삼산미래타운주공 2단지684세대2000년 8월
삼산미래타운주공 3단지946세대2000년 7월
삼산미래타운주공 4단지968세대2000년 9월
삼산미래타운주공 5단지620세대2000년 5월
삼산타운 1단지[78]1,873세대2005년 6월
삼산타운 2단지 두산아파트[79]1,622세대2005년 10월
삼산타운 4단지1,696세대2004년 7월
삼산타운 6단지784세대2004년 8월
삼산타운 7단지1,314세대2004년 8월
십정 뜨란채인천광역시 부평구 십정동920세대2005년 7월
삼산3 휴먼시아 1단지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동870세대2010년 6월
부평LH 1단지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297세대2012년 7월
부평LH 2단지704세대2012년 7월
계양구
계산주공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1,140세대1990년 6월
동양주공 1단지인천광역시 계양구 동양동654세대2006년 5월
동양주공 2단지701세대2006년 5월
동양 한진해모로[80]478세대2006년 6월
동양주공 4단지324세대2006년 10월
박촌 휴먼시아인천광역시 계양구 박촌동230세대2009년 12월
서구
가좌주공 1단지[81]인천광역시 서구 가좌동1,630세대1982년 6월
가좌주공 2단지[82]1,000세대1983년 12월
신현주공[83]인천광역시 서구 신현동1,850세대1983년 ?월
석남주공 1단지[84]인천광역시 서구 석남동?세대198?년 ?월
석남주공 2단지[85]400세대198?년 ?월
마전주공인천광역시 서구 왕길동621세대2004년 4월
청라LH 4단지인천광역시 서구 청라동1,767세대2011년 9월
가정LH 3단지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동1,525세대2012년 11월
LH 웨스턴블루힐1,243세대2015년 8월


5. 광주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동구
두암그린파크[86]광주광역시 동구 산수동473세대1995년 4월
학1마을광주광역시 동구 학동297세대2007년 7월
무등산리버파크[87]794세대2011년 11월
지산휴먼시아광주광역시 동구 지산동375세대2010년 6월
용산 LH 1단지[임대]광주광역시 동구 용산동528세대2019년 07월
서구
쌍촌주공[88]광주광역시 서구 쌍촌동300세대1975년 7월
화정주공[89][90]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동2,910세대1982년 12월
염주주공[91]1,118세대1985년 3월
쌍촌주공영구임대[영구임대]광주광역시 서구 쌍촌동1,416세대1991년 4월
상무버들마을1단지 주공광주광역시 서구 유촌동937세대2000년 4월
상무버들마을2단지 주공1,298세대1999년 8월
내방마을주공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동1,210세대2002년 9월
동천마을1단지[국민임대]광주광역시 서구 동천동1,442세대2005년 11월
동천 센트럴파크[92]698세대2007년 2월
동천 리버팰리스[93]864세대2008년 6월
동천마을6단지[국민임대]1,308세대2006년 9월
양동 센트럴 뷰[94]광주광역시 서구 양동716세대2010년 9월
남구
양림1단지휴먼시아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987세대2008년 9월
양림2단지휴먼시아[국민임대]949세대2008년 5월
무등산 센트럴파크[95]광주광역시 남구 방림동1,071세대2009년 8월
루엔시티[96]광주광역시 남구 백운동838세대2011년 10월
광주백운2휴먼시아[국민임대]240세대2011년 10월
광주백운3휴먼시아[국민임대]754세대2011년 6월
송화마을휴먼시아 1단지[국민임대]광주광역시 남구 노대동355세대2007년 12월
송화마을휴먼시아 2단지[국민임대]384세대2007년 12월
송화마을휴먼시아 3단지[국민임대]853세대2007년 11월
송화마을휴먼시아 4단지[국민임대]449세대2007년 11월
송화마을휴먼시아 5단지576세대2007년 12월
송화 레이크 포레[97]404세대2010년 6월
송화마을휴먼시아 7단지530세대2010년 4월
LH 송화마을 8단지[국민임대]460세대2018년 11월
효천 LH천년나무 1단지[임대]광주광역시 남구 행암동922세대2014년 10월
효천 LH천년나무 2단지[임대]324세대2014년 6월
효천 남해오네뜨 1단지[98]461세대2014년 5월
효천 남해오네뜨 2단지[99]266세대2014년 5월
브라운스톤 효천[100]521세대2017년 6월
효천 LH천년나무 6단지[임대]532세대2016년 4월
효천 LH천년나무 7단지[임대]902세대2017년 10월
효천1 LH1단지[임대]광주광역시 남구 임암동710세대2021년 7월
효천1 LH3단지[임대]264세대2020년 2월
광주월산 LH 행복주택[임대]광주광역시 남구 월산동30세대2021년 7월
북구
운암주공 1단지[101]광주광역시 북구 운암동1,220세대1979년 7월
운암주공 2단지[102]2,381세대1982년 ?월
운암주공 3단지[103]2,020세대1984년 11월
우산주공 1단지[104]광주광역시 북구 문흥동620세대1989년 11월
각화주공[임대]광주광역시 북구 각화동1,415세대1991년 11월
율곡타운[105]광주광역시 북구 두암동1,068세대1993년 12월
두암주공 2단지[영구임대]1,640세대1992년 12월
두암주공 3단지712세대1994년 3월
두암주공 4단지1,133세대1993년 12월
우산주공 2단지광주광역시 북구 문흥동1,138세대1990년 6월
우산주공 3단지[임대]광주광역시 북구 우산동1,274세대1992년 5월
오치주공 1단지[영구임대]광주광역시 북구 오치동1,658세대1992년 5월
오치주공 2단지[106]1,170세대1992년 10월
동림푸른마을 주공1단지광주광역시 북구 동림동357세대1998년 6월
동림푸른마을 주공2단지[임대]535세대1998년 6월
동림푸른마을 주공3단지1,514세대1997년 12월
동림푸른마을 주공4단지1,160세대1998년 12월
용두주공광주광역시 북구 신용동1,795세대1998년 8월
용두2주공[국민임대]광주광역시 북구 용두동711세대2007년 12월
용봉주공[국민임대]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901세대2004년 11월
양산주공[임대]광주광역시 북구 양산동496세대2004년 12월
신용주공[임대]광주광역시 북구 신용동492세대2005년 5월
임동 리버파크[107]광주광역시 북구 임동548세대2005년 11월
연제주공[임대]광주광역시 북구 연제동861세대2006년 4월
죽림마을주공[임대]광주광역시 북구 동림동815세대2007년 3월
광주용봉2휴먼시아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266세대2009년 3월
첨단휴먼시아 1단지[국민임대]광주광역시 북구 신용동1,232세대2011년 1월
첨단휴먼시아 2단지[국민임대]728세대2013년 12월
광산구
송정주공[108]광주광역시 광산구 우산동500세대1983년 12월
하남주공 1차[영구임대]광주광역시 광산구 우산동1,884세대1990년 12월
하남주공 2차1,350세대1991년 11월
운남주공 1단지[국민임대]광주광역시 광산구 운남동476세대1997년 4월
운남주공 2단지863세대1997년 1월
운남주공 3단지894세대1996년 6월
운남주공 4단지1,511세대1996년 6월
운남주공 5단지1,106세대1997년 11월
운남주공 6단지1,148세대2001년 12월
운남주공 7단지1,673세대2001년 11월
운남주공 8단지1,321세대2000년 9월
신가주공광주광역시 광산구 신가동390세대2002년 10월
영천마을9단지 주공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곡동1,262세대2003년 5월
영천마을10단지 주공1,300세대2003년 8월
이름마을 휴먼시아 1단지[임대]광주광역시 광산구 신가동632세대2009년 5월
이름마을 휴먼시아 2단지[임대]996세대2009년 5월
이름마을 휴먼시아 3단지[임대]1,067세대2009년 12월
장자울마을 휴먼시아 4단지[임대]광주광역시 광산구 흑석동603세대2009년 7월
장자울마을 휴먼시아 5단지[임대]355세대2009년 7월
신완마을 휴먼시아 6단지[임대]광주광역시 광산구 장덕동1,116세대2010년 10월
신완마을 휴먼시아 7단지[임대]1,215세대2011년 4월
고실마을 휴먼시아 8단지[임대]826세대2010년 8월
선운휴먼시아[임대]광주광역시 광산구 선암동1,147세대2011년 11월
광주하남 LH 천년나무[임대]광주광역시 광산구 우산동300세대2019년 1월
광주우산 LH 1단지[*임대 ]361세대2019년 10월
광주첨단 LH 1단지[임대]광주광역시 광산구 쌍암동100세대2020년 2월
광주첨단 LH 2단지[임대]100세대2020년 2월
광주첨단 LH 3단지[임대]200세대2020년 2월
광주도산 LH 1단지[임대]광주광역시 광산구 도산동50세대2022년 8월

6. 대전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중구
태평주공 1단지[109]대전광역시 중구 태평동?세대1979년 ?월
태평주공 2단지[110]?세대1981년 ?월
-중촌주공 1단지-[111]대전광역시 중구 중촌동500세대1983년 11월
중촌주공 2단지1,060세대1991년 10월
중촌주공 3단지964세대1998년 7월
문화주공 1단지대전광역시 중구 문화동960세대1994년 9월
문화주공 2단지810세대1994년 9월
문화주공 3단지900세대1994년 9월
동구
용운주공 1단지[112]대전광역시 동구 용운동1,130세대1985년 4월
용운주공 2단지840세대1987년 9월
가오주공[113]대전광역시 동구 가오동460세대1985년 10월
천동주공[114]560세대1985년 11월
산내주공대전광역시 동구 낭월동624세대?년?월
판암주공 1단지대전광역시 동구 판암동1,016세대1990년 3월
판암주공 2단지1,130세대1990년 10월
판암주공 3단지768세대1991년 8월
판암주공 4단지2,415세대1992년 8월
판암주공 5단지1,436세대1992년 8월
판암주공 6단지720세대1992년 8월
석촌주공대전광역시 동구 성남동451세대2000년 7월
효촌마을818세대2003년 4월
용방마을주공 3단지대전광역시 동구 용운동1,350세대2003년 5월
신흥마을주공대전광역시 동구 신흥동721세대2006년 5월
은어송마을주공 4단지대전광역시 동구 가오동307세대2007년 7월
주공삼성타운대전광역시 동구 삼성동613세대2007년 9월
천동휴먼시아 1단지대전광역시 동구 천동946세대2008년 11월
천동휴먼시아 2단지763세대2008년 11월
새들뫼 휴먼시아 1단지대전광역시 동구 대동897세대2010년 10월
새들뫼 휴먼시아 2단지375세대2010년 7월
성남 스마트뷰대전광역시 동구 성남동1,115세대2011년 2월
아침마을LH대전광역시 동구 가양동1,025세대2011년 8월
대동 펜타뷰대전광역시 동구 대동767세대2011년 10월
천동 위드힐대전광역시 동구 천동960세대2013년 6월
이스트시티LH 1단지대전광역시 동구 신흥동1,345세대2018년 11월
이스트시티LH 2단지636세대2018년 10월
서구
가장주공 1단지[115]대전광역시 서구 가장동1,380세대1978년 ?월
가장주공 2단지[116]대전광역시 서구 내동1,750세대1980년 11월
탄방주공 1단지[117]대전광역시 서구 탄방동540세대1984년 6월
탄방주공 2단지[118]428세대198?년 ?월
둔산주공 1단지[119]대전광역시 서구 월평동1,491세대1993년 7월
은뜰마을 2단지1,130세대1993년 7월
둔산주공 3단지1,390세대1993년 7월
원앙마을주공 1단지대전광역시 서구 관저동660세대1997년 7월
원앙마을주공 2단지1,734세대1997년 7월
원앙마을주공 4단지1,886세대1997년 7월
구봉마을주공 5단지1,000세대2000년 6월
구봉마을주공 7단지1,188세대1999년 5월
구봉마을주공 8단지1,000세대1999년 5월
구봉마을주공 9단지1,030세대2000년 6월
느리울마을주공 11단지940세대2004년 6월
느리울마을주공 12단지750세대2002년 11월
느리울마을주공 13단지880세대2002년 11월
관저LH 천년나무 1단지1,106세대2015년 12월
다온숲 3단지1,401세대2016년 7월
관저 어반힐스819세대2017년 8월
대덕구
비래주공[120]대전광역시 대덕구 비래동?세대1977년 ?월
덕암주공[121]대전광역시 대덕구 덕암동589세대1984년 ?월
와동주공[122]대전광역시 대덕구 회덕동570세대1986년 3월
법동주공 1단지[123]대전광역시 대덕구 법동1,100세대1986년 11월
법동주공 2단지1,220세대1987년 9월
법동주공 3단지1,488세대1990년 11월
신대주공대전광역시 대덕구 회덕동540세대1987년 5월
연축주공670세대1987년 11월
유성구
도룡주공[124]대전광역시 유성구 도룡동192세대1981년 11월
송림마을 4단지대전광역시 유성구 하기동861세대2005년 5월
도안 4단지 휴먼시아대전광역시 유성구 상대동1,216세대2010년 11월
도안 10단지 휴먼시아대전광역시 유성구 원신흥동1,647세대2010년 9월
도안 11단지 LH1,460세대2016년 10월
도안 센트럴시티 6단지대전광역시 유성구 봉명동854세대2010년 10월
대전노은 4단지대전광역시 유성구 지족동624세대2012년 6월
해랑숲마을 5단지518세대2014년 6월
해랑숲마을 6단지342세대2014년 6월
죽동 천년나무대전광역시 유성구 죽동492세대2016년 5월


7. 울산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동구
화정주공울산광역시 동구 화정동985세대1991년 7월
방어휴먼시아울산광역시 동구 방어동918세대2012년 5월
남구
야음주공 1단지[125]울산광역시 남구 야음동1,870세대1979년 12월
야음주공 2단지[126]490세대1984년 12월
삼호주공[127]울산광역시 남구 무거동490세대1991년 7월
달동주공 1단지울산광역시 남구 달동948세대1993년 11월
달동주공 2단지720세대1993년 12월
달동주공 3단지1,378세대1993년 12월
굴화주공 1단지[128]울산광역시 남구 무거동1,046세대1997년 4월
굴화주공 2단지836세대1996년 12월
옥현주공 1단지733세대2000년 4월
옥현주공 2단지834세대2000년 4월
옥현으뜸마을주공 3단지1,412세대2001년 11월
북구
명촌주공울산광역시 북구 명촌동534세대2003년 4월
호계주공 1단지울산광역시 북구 호계동558세대2004년 8월
호계주공 2단지638세대2004년 8월
화봉휴먼시아 1단지울산광역시 북구 화봉동494세대2009년 4월
화봉주공 2단지753세대2009년 4월
화봉휴먼시아 3단지733세대2009년 4월
울산송정LH 1단지946세대2019년 7월
울산송정LH 2단지946세대2020년 12월
중구
우정혁신LH 1단지울산광역시 중구 서동736세대2014년 6월
우정혁신LH 2단지울산광역시 중구 태화동536세대2014년 11월
우정혁신LH 3단지492세대2014년 11월
울주군
덕신주공울산광역시 온산읍528세대1992년 9월
동부주공울산광역시 언양읍487세대1999년 7월
굴화주공 3단지[129]울산광역시 범서읍494세대2002년 12월
굴화주공 4단지332세대2002년 12월
구영주공 1단지708세대2007년 5월
구영주공 2단지407세대2007년 11월
웅촌LH울산광역시 웅촌면300세대2019년 3월


8. 세종특별자치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조치원읍
신흥주공[130]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126세대1984년 9월
신흥주공 2단지974세대1999년 5월
번암주공480세대1989년 11월
행정중심복합도시
첫마을 1단지세종특별자치시 한솔동895세대2011년 11월
첫마을 2단지446세대2011년 11월
첫마을 3단지901세대2011년 11월
첫마을 4단지 푸르지오322세대2012년 6월
첫마을 5단지 푸르지오1,240세대2012년 6월
첫마을 6단지 힐스테이트1,388세대2012년 6월
첫마을 7단지 래미안1,328세대2012년 6월
가재마을 1단지세종특별자치시 종촌동1,684세대2016년 11월
가온마을 9단지세종특별자치시 다정동1,080세대2019년 9월
새뜸마을 7단지세종특별자치시 새롬동1,164세대2017년 9월
새뜸마을 8단지세종특별자치시 한솔동906세대2018년 2월
호려울마을 2단지[131]세종특별자치시 보람동674세대2018년 7월
해들마을 5단지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1,438세대2019년 1월


9. 경기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LH아파트/목록/경기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0. 강원특별자치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LH아파트/목록/강원특별자치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1. 충청북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LH아파트/목록/충청북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2. 충청남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LH아파트/목록/충청남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3. 경상북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LH아파트/목록/경상북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4. 경상남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LH아파트/목록/경상남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5. 전라북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LH아파트/목록/전라북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6. 전라남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LH아파트/목록/전라남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7. 제주특별자치도[편집]



17.1. 제주시[편집]


  • 분양단지나 차후 분양전환이 되는 단지에는 *로 표기함.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비택지
도남주공연립*[132]제주시 도남동180세대1984년 5월
이도주공 1단지 *제주시 이도동480세대1985년 7월
이도주공 2,3단지 *[133]760세대1988년 9월
도련주공제주시 도련동382세대2005년 11월
한림주공제주시 한림읍212세대2008년 2월
봉개LH제주시 봉개동540세대2018년 11월
아라지구
아라LH[134]제주시 아라동696세대1992년 4월
화북지구
화북주공 1단지 *제주시 화북동392세대1998년 6월
화북주공 2단지 *566세대1998년 1월
화북주공 3단지590세대1997년 12월
화북주공 4단지 *810세대1998년 1월
삼화지구
삼화휴먼시아 1단지제주시 화북동1,364세대2011년 2월
삼화LH 2단지 *411세대2014년 8월
삼화LH 3단지제주시 도련동850세대2015년 12월
NHF제주삼화 1단지 *제주시 삼양동560세대2017년 12월
연동지구
해오름아파트 *제주시 노형동346세대2001년 1월
으뜸마을420세대2001년 10월
노형지구
정든마을 1단지제주시 노형동620세대2004년 12월
정든마을 3단지511세대2005년 3월
노형 뜨란채 *1,068세대2006년 1월
외도지구
아름마을제주시 외도동321세대2005년 7월
하귀1지구
하귀휴먼시아 1단지 *제주시 애월읍445세대2010년 9월
하귀휴먼시아 2단지 *246세대2010년 10월


17.2. 서귀포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동홍주공 1단지서귀포시 동홍동310세대1988년 10월
동홍주공 2단지300세대1990년 12월
동홍LH 3단지[135]320세대1994년 4월
동홍주공 4단지320세대1994년 10월
동홍주공 5단지830세대1999년 4월
동홍주공 6단지602세대2008년 6월
중문푸른마을주공서귀포시 중문동460세대2003년 5월
대정 휴먼시아서귀포시 대정읍327세대2010년 3월
혁신도시LH 1단지서귀포시 서호동450세대2014년 1월
혁신도시LH 2단지548세대2015년 9월
혁신도시LH 3단지200세대2019년 1월
남원LH서귀포시 남원읍354세대2016년 1월
강정LH서귀포시 강정동556세대2016년 12월
성산LH서귀포시 성산읍346세대2020년 11월


18.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30 00:43:58에 나무위키 LH아파트/목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화명 롯데캐슬 카이저로 재건축되었는데 이게 무려 5,239세대의 대단지다. 부산에선 전국에서 용호동 LG메트로시티(7,374세대) 다음으로 큰 규모이며 LG메트로시티는 1차~5차까지 이루어져 있지만 1차, 2차, 3차 구분이 없는 단일 단지로만 보면 부산 최대 규모이다. 대신 1차, 2차 구분이 없지만 대단지 내에 총 7개의 단지가 있다.[2] 백양산 동문굿모닝힐로 재건축 되었다.[3] 원래 '수정마을주공'이었지만 '수정강변타운'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4] 대우건설과 공동시공[5] 상록한신아파트 옆에있는 단지로 만덕휴먼시아 3단지하고는 별개의 단지다.[6] 원래 만덕휴먼시아 6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7] 원래 금정산LH 뉴웰시티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8] 금정구에 있었던 아파트 중에서는 가장 단명한 아파트로 지어진지 고작 14년만에 재개발이 추진되어 22년만에 철거되었으며 부산시 전체를 통틀어봐도 가장 단명한 축에 속하는 아파트이다. 여담이지만 둔촌주공1단지 및 2단지, 인천 간석주공맨션, 과천주공1단지 및 10단지와 외형이 똑같았다. 현재는 구서 롯데캐슬 골드 아파트로 재건축 완료. 근데 부가가치세 관련으로 인해 재건축 입주민들이 롯데건설에게 소송을 걸어버렸다.[9] 안락 경동리인으로 재건축 되었다.[10] 사직 쌍용예가로 재건축 되었다.[11] 강변뜨란채와 같이 민간분양.[12] 안락뜨란채 3단지로 예정되었으나 입주자회의를 통해 명칭이 변경되었다.[13] 원래 당감주공 2단지 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14] 원래 당감주공 3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15] 엄궁 롯데캐슬 리버로 재건축되었다.[16] (구) 모라주공 2단지[17] (구) 모라주공 4단지[18] 다대 푸르지오로 재건축되었다.[19] 14평형(19세대), 16평형(191세대), 19평형(210세대), 상가(9세대) [20] 롯데캐슬 블루로 재건축되었다.[21] 원래 신평LH 천년나무 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22] 원래 LH 오션타운 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23] 원래 용호주공이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24] 2003년에 지반 악화로 건물 일부에 금이 가서 재건축이 추진되었는데 그 때 아래 초등학교에서는 건물이 무너지는 줄 알아 대부분이 겁에 질렸다고 한다.[25] 철거할 때 석면방호대책을 제대로 세우지 않아 난리가 난 적이 있었다. 해운대 힐스테이트 위브로 재건축.[26] 원래 해운대주공 2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27] 원래 해운대주공 3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28] 원래 해운대주공 4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29] 원래 동삼주공2,3,4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30] 원래 센트럴 휴먼시아 3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31] 원래 센트럴 휴먼시아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32] (구) 고촌LH 2단지[33] 본래 남산휴먼시아 2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34] 태왕메트로시티로 재건축되었다.[35] 신천주공 1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36] 신천주공 3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37] 1·3~4단지는 안심주공이라고 부르지만 나머지 단지들은 율하뜨란채, 율하휴먼시아라고 부른다. 2단지는 뜨란채 브랜드, 5~12, 15단지는 휴먼시아 브랜드.[38] 율하휴먼시아 8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39] 율하휴먼시아 9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40] 율하휴먼시아 11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41] 율하휴먼시아 12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42] 신천휴먼시아 5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43] 3단지, 6단지, 13단지, 14단지는 천년나무 브랜드이다.[44] 중리 롯데캐슬로 재건축되었다.[45] 평리 푸르지오로 재건축되었다.[46] 복현 푸르지오로 재건축되었다.[47] 복현자이로 재건축되었다.[48] 복현 태왕아너스로 재건축되었다.[49] 복현 블루밍 브라운스톤 명문세가로 재건축되었다.[50] 대현휴먼시아 2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51] 대현LH 3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52] 매천휴먼시아 2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53] 칠성휴먼시아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54] 두류삼정그린빌로 재건축되었다. 이름과 달리 행정구역상 두류동에 있는데 달구벌대로 건너편이 진짜 내당동이다. 다만, 두류동 자체도 달서구로 분구하기 전에는 내당동이긴 하였다.[55] 성당 래미안 e편한세상으로 재건축되었다.[56] 1단지와 마찬가지로 성당 래미안 e편한세상으로 재건축되었다.[57] 성당 코오롱하늘채로 재건축되었다.[58] 상인화성파크드림으로 재건축되었다.[59] 1단지와 마찬가지로 상인화성파크드림으로 재건축되었다.[60] 상인센트럴자이로 재건축 예정이다. 철거는 완료되었다.[61] 월성주공 4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62] 캐슬골드파크로 재건축되었다.[63] 1단지와 마찬가지로 캐슬골드파크로 재건축되었다.[64] 이 아파트는 재건축이 아니라 수봉공원 확장으로 인해 철거되었다. 여타 주공아파트와 달리 새 아파트로 재건축되지 않은 이유는 이 일대가 고도제한에 걸렸기 때문이다. 참고로 이 자리에는 인공폭포와 광장, 수봉도서관이 있으며, 이 일대 지적편집도를 자세히 보면 지금도 이 아파트의 흔적이 남아있다.[65] 1, 2단지 합쳐서 2008년 주안 더 월드 스테이트로 재건축되었다. 3단지는 간석동풍림아이원으로 1, 2단지보다 앞서서 재건축되었다.[영구임대] A B C D E F G 영구임대아파트[66] 간석주공과 평수 차이만 있지 간석주공으로 취급되던 아파트로,(단, 간석맨션은 사채로 건설했으나, 간석주공은 국민주택과 임대주택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간석금호어울림으로 재건축되었다.[67] 간석래미안자이로 재건축되었다.[68] 구월 힐스테이트 & 롯데캐슬 골드로 재건축 되었다. 정확히는 구월주공 1, 3단지가 재건축 된 단지가 힐스테이트이고, 구월주공 2단지가 재건축 된 단지가 롯데캐슬 골드이다. 본래 '퍼스트시티'라는 독자 브랜드를 쓸 예정이었다.[69] 횡단보도 하나를 놓고 갈라져 있던 1, 2단지와 달리 간석동 소재의 아파트였다. 2004년 간석동풍림아이원으로 재건축되었다.[a] A B C D E F 재건축 안전진단 통과[70] 위에 있는 논현주공과 휴먼시아 1,2단지는 비슷한 이름으로 여러 사람들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 1998년 현재 논현 1지구에 논현주공 1, 2단지가 들어오고 2008년에는 논현 2지구에 숲속마을 1단지와 범마을 2단지가 생겼다. 그러자 지역주민들과 택시기사들은 혼란에 빠졌는데, 예를 들면 범마을 2단지에 집들이를 하러 온 사람들이 주공 2단지에서 헤매고 있고, 택시기사들은 손님이 '논현주공 2단지 갑시다.'라고 하면 원래 주공 2단지에 내려줘야 할 사람을 범마을 2단지에 내려준적도 있다. 그러니 택시를 타고 논현주공 1,2단지를 가려고 하면 기사에게 '구주공 1,2단지로 가주세요~'라고 하면 되고 숲속마을이나 범마을로 가려고 하면 '숲속마을 또는 범마을로 가주세요~'라고 하면 된다.만약 이름을 외우기가 귀찮으면 그냥 휴먼시아 1,2단지라고 말해도 된다.[71] 1998년에 세워진 주공단지에서 이에 대해서 변경해주거나 1, 2단지에도 마을 이름 지어서 다른 1, 2단지와 구별해 줄것을 한국토지주택공사에 청원하였지만 무슨 이유에선지 몰라도 반려되었다. LH에서 주공 1,2단지의 외부를 재 도색할때 1단지에 사리울 마을이라는 이름을 붙여주기는 했으나 지역주민들 사이에서 주공 1,2단지는 구 주공아파트단지로,휴먼시아 1,2단지는 숲속마을과 범마을로 굳혀지는 분위기이다.(또는 그냥 휴먼시아라고 부르기도 한다.)[72] 2021년 11월에 향촌 휴먼시아 1단지에서 명칭이 변경되었다.[73] 서창 3단지라고도 불린다.[74] 본래 서창 7단지 LH였으나 명칭이 변경되었다.[75] 원래 2단지로 건설하려고 했으나, 실제로는 1단지만 건설하였다. 2단지 부지는 풍림산업에게 매각되어 풍림아파트로 건설되었다.[76] 공공임대[77] 삼산1동이다.[78] 여기는 삼산2동이다. 4단지는 국민임대주택.[79] 해당 턴키설계도집에서 해당 아파트의 도면이 확인되어 주공에서 발주했음을 알 수 있다.[80] 본래 동양뜨란채 3단지였으나 명칭이 변경되었다.[81] 2003년 말에 철거되어 2007년 9월 가좌 한신휴플러스로 재건축되었다.[82] 2015년 8월에 철거되어 2017년 11월 가좌 두산위브 트레지움으로 재건축되었다.[83] 2006년 8월에 철거되어 2010년 4월 루원 e편한세상 하늘채로 재건축되었다.[84] 인천 석남 금호어울림으로 재건축되었다.[85] 서인천 월드 메르디앙으로 재건축되었다.[86] 옛 두암주공 5단지. 임대아파트인 두암주공 2~4단지와 성격이 다르다는 이유로 현재 두암그린파크라는 이름을 쓰고있다. 구조 조정으로 북구 두암동에서 동구 산수동으로 편입되어 행정구역 또한 변경되어 완전히 다른 단지처럼 되어버렸다.[87] 원래 ‘학2마을아파트’였으나 자체브랜드로 명칭을 변경했다.[임대]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 \ ] 공공임대[88] 한국병원 인근에 있는 단지로 광주 최초의 주공아파트였다. 2018년 상무엘리체로 재건축되었다.[89] 2015년 유니버시아드 힐스테이트로 재건축되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2015년 유니버시아드대회 선수촌 아파트로 활용되었다. [90] 이 아파트가 철거 직전인 2012년 초반에 관찰 카메라 24시간이라는 프로그램에서 이 아파트에 남은 주민들의 삶을 소재로 나오기도 했었다.[91] 2019년 철거되었고 2022년 더샵 염주센트럴파크로 재건축되었다.[국민임대]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국민임대주택[92] 원래 ‘동천마을2단지휴먼시아’였으나 자체브랜드로 명칭을 변경했다.[93] 원래 ‘동천마을3단지휴먼시아’였으나 자체브랜드로 명칭을 변경했다.[94] 원래 ‘양동 휴먼시아’였으나 자체브랜드로 명칭을 변경했다.[95] 원래 ‘방림휴먼시아’였으나 자체브랜드로 명칭을 변경했다.[96] 원래 ‘광주백운1휴먼시아’였으나 자체브랜드로 명칭을 변경했다.[97] 원래 ‘송화마을휴먼시아 6단지’였으나 자체브랜드로 명칭을 변경했다.[98] 원래 ‘효천 LH천년나무 3단지‘였으나 시공사 브랜드인 남해오네뜨로 변경했다. 동 번호도 300번대에서 100번대로 변경[99] 원래 ’효천 LH천년나무 4단지‘였으나 시공사 브랜드인 남해오네뜨로 변경했다. 동 번호도 400번대에서 200번대로 변경[100] 원래 ‘효천 LH천년나무 5단지’였으나 시공사 브랜드인 브라운스톤으로 변경했다. 동 번호도 500번대에서 100번대로 변경[101] 2006년에 운암동 롯데캐슬로 재건축되었다.[102] 2008년에 벽산블루밍 메가씨티로 재건축되었다.[103] 운암자이포레나 퍼스티체로 재건축될 예정이다.[104] 2단지와 같이 위치는 문흥동이지만 위치상으로 더 가까운 우산동의 이름을 따왔을 가능성이 높다[105] 옛 두암주공 1단지. 영구임대아파트인 2단지와 성격이 다르다는 이유로 현재 율곡타운이란 이름을 쓰고있다. 하지만 구조 조정으로 산수동으로 편입된 5단지(두암그린파크)와는 다르게 행정구역상으로는 그대로 두암동이다.[106] '한우리아파트'라는 다른 이름이 있다(외벽 또한 '한우리'로 적혀있음). 이 역시 '주공'이라는 이름이 부정적으로 들리기 때문이다.[107] 원래 ‘임동주공아파트’였으나 자체브랜드로 명칭을 변경했다.[108] 송정동에 없으며 행정구역상 우산동에 있다. 입주시기였던 1983년 당시 광산군 송정읍에 있었기 때문인듯. 여담으로 단지 가운데에는 평범한 박스모양 5층짜리 아파트가 있었는데, 그 둘레에 2층짜리 다가구주택들이 있었다... 단지 북쪽에는 1층짜리도 있었다.(...) 현재는 광주 세계수영선수권대회 선수촌으로 이용된 우산 중흥S-클래스 센트럴로 재건축되었다. 비슷한 단지로 창원의 명곡주공, 청주에 봉명주공1단지가 있었는데, 이쪽도 재건축되어 현재는 찾아볼 수 없다.[109] 태평벽산아파트로 재건축되었다.[110] 태평 쌍용예가로 재건축되었다.[111] 중촌 SK VIEW로 재건축중이다.[112] e편한세상 대전 에코포레로 재건축되었다.[113] 재건축 시공사로 코오롱글로벌이 선정되었고 추후 재건축이 이루어질 예정이다.[114] 재건축 시공사로 롯데건설이 선정되었다. 2023년 8월 기준 철거가 시작되었다.[115] 대전 삼성래미안으로 재건축되었다.[116] 맑은아침아파트로 재건축되었다.[117] e편한세상 둔산 1단지로 재건축되었다.[118] e편한세상 둔산 2단지로 재건축되었다.[119] 단지 이름만 둔산주공이지 행정구역상으로는 둔산동과 동떨어진 월평동에 위치한다. 월평동이 둔산지구에 묶여 신도시로 개발되었기 때문. 근처 버스 정류장 이름도 월평주공이다.1,3단지는 영구임대 아파트이고 2단지는 일반적으로 거래 가능한 아파트로 주변에 10평대 아파트가 없어서 세종시 및 정부청사에 다니는 독신들이 많이 거주한다 하더라...[120] 1988년에 재건축조합을 결성했는데, 재건축 조합장이 돈을 들고 튀고, 겨우 다시 업체를 선정하여 재건축에 들어갔는데, 그 건설 회사가 부도가 나버려서 재건축이 무산되었다. 우여곡절 끝에 2002년에 비래 휴플러스로 재건축이 완료되었다.[121] 행복한 마을아파트로 재건축되었다.[122] 대덕 브라운스톤으로 재건축중이다.[123] e편한세상 대전 법동으로 재건축되었다.[124] 1~2동은 일반적인 주공아파트였고, 3~11동은 타운하우스라는 이름으로 테라스가 있는 복층빌라였다. 도룡 SK뷰로 재건축되었다.[125] 울산 롯데캐슬로 재건축되었다.[126] 힐스테이트 수암으로 재건축되었다.[127] 삼호 비스타동원으로 재건축 중이다.[128] 3,4단지는 울주군에 위치한다.[129] 4단지와 같이 굴화강변그린빌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130] 3층짜리 연립으로 되어 있다. 조치원 금호어울림 더 프리미엄으로 재건축 예정.[131] 천년나무 브랜드이다.[132] 도남 해모로 리치힐로 재건축. 제주 최초의 재건축 아파트 단지이다.[133] 힐스테이트 아너스티지로 재건축 예정이다.[134] 본래 아라주공이였으나 명칭이 변경되었다.[135] 본래 동홍주공 3단지였으나 명칭이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