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비서국/역대 구성

덤프버전 : (♥ 0)



1. 6기
2. 7기
2.1. 명단
2.2. 분야별 변동
3. 8기
3.1. 명단
3.2. 분야별 변동



1. 6기[편집]


성명임기시작임기종료직책비고
6기 1중전회 (1980년 10월 14일)
김정일1980년 10월 14일1997년 10월 8일?정치국 상무위원, 조직비서총비서로 추대
김중린1983년 12월 11일정치국 위원, 대남비서경질
김영남1983년 12월 11일정치국 위원, 국제부장정무원 부총리 겸 외교부장으로 동
김환1983년 6월 17일정치국 위원정무원 부총리로 조동
연형묵1986년 2월 8일정치국 위원정무원 제1부총리로 조동
윤기복1983년 6월 17일정치국 후보위원평양시 인민위원장으로 조동
홍시학?중앙위원회 위원정무원 부총리로 조동
황장엽1997년 2월 12일중앙위원회 위원, 주체사상연구소장탈북
박수동?중앙위원회 위원해임


2. 7기[편집]


※7기 중앙위원회에서는 정무국 부위원장 직책 사용. 정원은 9인으로 보이며 조직, 선전, 과학교육, 국제, 간부, 경제(2인), 대남, 군수공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1. 명단[편집]


성명임기시작임기종료직책비고
7기 1중전회 (2016년 5월 9일)
최룡해2016년 5월 9일2019년 4월 10일?정치국 상무위원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으로 조동
김기남2017년 10월 7일?정치국 위원, 선전선동부장은퇴
최태복2017년 10월 7일?정치국 위원, 최고인민회의 의장은퇴
리수용2019년 12월 31일정치국 위원, 국제부장은퇴?
김평해2019년 12월 31일정치국 위원, 간부부장은퇴?
오수용2019년 12월 31일?정치국 위원, 계획재정부장제2경제위원장으로 조동?
곽범기2017년 10월 7일?정치국 위원은퇴?
김영철2021년 1월 10일?정치국 위원, 통일전선부장탈락
리만건2017년 10월 7일?정치국 위원, 군수공업부장해임
7기 2중전회 (2017년 10월 7일)
박광호2017년 10월 7일2019년 12월 31일정치국 위원, 선전선동부장해임?
박태성2020년 8월 13일정치국 위원경질
태종수2019년 12월 31일정치국 위원, 군수공업부장은퇴
박태덕2020년 2월 27일정치국 후보위원[1], 농업부장?숙청
안정수2019년 12월 31일정치국 위원, 경공업부장은퇴
최휘2021년 1월 10일정치국 위원, 근로단체부장탈락
7기 4중전회 (2019년 4월 10일)
박봉주2019년 4월 10일2021년 1월 10일정치국 상무위원, 국무위 부위원장은퇴
리만건2020년 2월 27일정치국 위원, 조직지도부장숙청
7기 5중전회 (2019년 12월 31일)
리일환2019년 12월 31일2021년 1월 10일정치국 위원, 선전선동부장재선
김형준2021년 1월 10일정치국 후보위원, 국제부장은퇴
리병철2021년 1월 10일정치국 위원[2], 군수공업부장재선
김덕훈2020년 8월 13일정치국 위원, 경제부장내각총리로 조동
7기 16차 정치국 회의 (2020년 8월 13일)
김재룡2020년 8월 13일2021년 1월 10일정치국 위원, 조직지도부장탈락
박태덕정치국 위원, 농업부장?탈락

2.2. 분야별 변동[편집]


조직: 최룡해(2017.10) → 리만건(2019.4) → 김재룡(2020.8).
선전선동: 김기남(2016.5) → 박광호(2017.10) → 리일환(2019.12).
근로단체: 최룡해(2016.5) → 최휘(2017.10)
과학교육: 최태복(2016.5) → 박태성(2017.10)
간부: 김평해(2016.5) → 7기 5중전회에서 직함 폐지?
국제: 리수용(2016.5) → 김형준(2019.12) → 8차 당대회에서 직함 폐지.
대남: 김영철(2016.5) → 8차 당대회에서 직함 폐지.
군수공업: 리만건(2016.5) → 태종수(2017.10) → 리병철(2019.12).
계획경제: 오수용(2016.5) → 김덕훈(2019.12) →
농업: 곽범기(2016.5) → 박태덕(2017.10) → 8차 당대회에서 직함 폐지
경공업: 안정수(2017.10) → 7기 5중전회에서 직함 폐지?

3. 8기[편집]


※8기 중앙위원회에서 비서국 비서로 회귀. 정원은 7인으로 조직, 선전, 군사, 공안, 근로단체, 경제, 과학교육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3.1. 명단[편집]


성명임기시작임기종료직책비고
8기 1중전회 (2021년 1월 10일)
조용원2021년 1월 10일재임 중정치국 상무위원, 조직비서
8기 5중전회에서 조직지도부장 겸임
박태성2021년 2월?정치국 위원, 선전선동부장숙청
리병철2021년 6월 29일정치국 상무위원, 군수공업부장숙청
정상학2022년 6월 8일정치국 위원, 당중앙검사위원장은퇴?
리일환재임 중정치국 위원, 근로단체부장
김두일2021년 2월 6일정치국 위원, 경제부장숙청
최상건2021년 6월 29일정치국 위원, 과학교육부장숙청
8기 2중전회 (2021년 2월 6일)
오수용2021년 2월 6일2022년 6월 8일정치국 위원, 경제부장은퇴
8기 2차 정치국 확대회의 (2021년 6월 29일)
태형철2021년 6월 29일2022년 6월 8일정치국 위원, 과학교육부장은퇴
8기 3차 정치국 확대회의 (2021년 9월 2일)
박정천2021년 9월 2일2022년 12월 28일정치국 상무위원, 중군위 부위원장경질?
8기 5중전회 (2022년 6월 8일)
김재룡2022년 6월 8일재임 중정치국 위원, 당중앙검사위원장
전현철2023년 6월 18일정치국 위원, 경제부장경질
박태성재임 중정치국 위원
8기 6중전회 (2022년 12월 28일)
리영길2022년 12월 28일재임 중정치국 위원, 중군위 부위원장
8기 8중전회 (2023년 6월 18일)
오수용2023년 6월 18일재임 중정치국 위원, 경제부장

3.2. 분야별 변동[편집]


조직: 조용원(2021.1).
군사: 리병철(2021.1) → 박정천(2021.9) → 리병철(군수공업), 박정천(군정)(2022.4) → 리병철(군수공업), 리영길(군정)(2022.12) → 리병철?(2023.8)
선전선동: 박태성(2021.1) → 리일환(2021.2?)
과학교육: 최상건(2021.1) → 태형철(2021.6) → 박태성(2022.6)
공안: 정상학(2021.1) → 김재룡(2022.6)
근로단체: 리일환(2021.1) → 선전선동과 통합?[3]
경제: 김두일(2021.1) → 오수용(2021.2) → 전현철(2022.6) → 오수용(2023.6).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2:09:46에 나무위키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비서국/역대 구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9년 4월, 정치국 위원으로 승진.[2] 2020년 8월, 정치국 상무위원 승진.[3] 조선로동당 선전선동부가 기본적으로 각 근로단체에 영향력을 끼치지 않을 수 없는 구조이기에 업무분장성이 크지 않아 합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