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조(춘추시대)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전국칠웅에 대한 내용은 조(전국시대) 문서
조(전국시대)번 문단을
조(전국시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춘추시대 제후
[ 펼치기 · 접기 ]


||<|3><tablewidth=100%><tablebgcolor=#c00><bgcolor=#000> 진(秦) ||<-5><bgcolor=#000080> 진(晉) ||<bgcolor=#6a5acd> 연(燕) ||
||<|2><bgcolor=#da3f3a> 주(周) ||<|2><bgcolor=#f59700><color=#373a3c> 정(鄭) ||<bgcolor=#008080> 위(衛) ||<bgcolor=#db7093> 조(曹) ||<bgcolor=#9acd32><color=#373a3c> 노(魯) ||<|2><bgcolor=#bf2f7b> 제(齊) ||
||<bgcolor=#75a64a> 채(蔡) ||<bgcolor=#808080,#7f7f7f> 진(陳) ||<bgcolor=#0d98ba> 송(宋) ||
||<-5><|2><bgcolor=#008000> 초(楚) ||<-2><bgcolor=#ff0000> 오(吳) ||
||<-2><bgcolor=#8B0000> 월(越) ||
||<-7><#8B0000> 관련 틀: 춘추오패

삼황오제 · · · · 전국시대 · 진(秦) ·
삼국시대 · 사마진 · 오호십육국 · 남북조 · 남조 · ·
오대 · 십국 · · 서하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1. 개요
2. 역사
3. 역대 군주



1. 개요[편집]


(周)의 문왕(文王)의 6남 숙 진탁(叔振鐸)이 분봉받은 제후국으로 작위백작이다.

사기에는 조(曹)세가가 따로 없어, 세가(管蔡世家)에 부록으로 끼워 넣었다.


2. 역사[편집]


춘추전국시대 수많은 듣보잡 나라들 중 하나로 나름 기록이 약간은 전해진 것을 고려하면 중소규모의 국가였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16대 조공공 때 조공공이 진문공의 목욕하는 걸 훔쳐보고(...) 나중에 그걸로 진문공한테 호되게 당한 것 말고는 언급이 거의 없다시피한 나라다.

춘추시대 때에는 소국으로 제나라(齊)의 국력에 눌려 군사를 원조하기도 했다. 세력이 미약하여 다른 나라들과 강성함을 겨루지 못하였고, 임금 자리를 두고, 내분이 일어나 쇠약해졌다.

춘추시대 말기 기원전 487년, 마지막 임금 조백 양(陽)이 공손강(公孫彊)의 말을 좇아 송나라(宋)를 쳤다가 역관광당하고 되려 멸망당했다(...).


3. 역대 군주[편집]


조(曹) 국군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25%>
초대

조숙 진탁 ||
||<width=20%>
제2대

태백 ||<width=20%>
제3대

중군 ||<width=20%>
제4대

궁백 ||<width=20%>
제5대

효백 ||<width=20%>
제6대

이백 ||
||
제7대

유백 ||
제8대

대백 ||
제9대

혜백 ||
제10대

조백 석보 ||
제11대

목공 ||
||
제12대

환공 ||
제13대

장공 ||
제14대

희공 ||
제15대

소공 ||
제16대

공공 ||
||
제17대

문공 ||
제18대

선공 ||
제19대

성공(成) ||
제20대

무공 ||
제21대

평공 ||
||
제22대

도공 ||
제23대

성공(聲) ||
제24대

은공 ||
제25대

정공 ||
말대

조백 양 ||
||<-5><bgcolor=#ffffff,#191919> ||
||<-5><bgcolor=#db7093> 삼황오제 · · ·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
오대십국 · · 서하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대수시호성명재위 기간
1진탁(振鐸)기원전 1046년 ~ 기원전 1016년
2태백(太伯)비(脾)기원전 1015년 ~ 기원전 992년
3중군(仲君)평(平)기원전 991년 ~ 기원전 925년
4궁백(宮伯)후(侯)기원전 924년 ~ 기원전 885년
5효백(孝伯)운(雲)기원전 884년 ~ 기원전 865년
6이백(夷伯)희(喜)기원전 864년 ~ 기원전 835년
7유백(幽伯)강(彊)기원전 834년 ~ 기원전 826년
8대백(戴伯)소(蘇)기원전 825년 ~ 기원전 796년
9혜백(惠伯)치(雉)
시(兕)
기원전 795년 ~ 기원전 760년
10석보(石甫)[1]기원전 760년
11목공(穆公)무(武)기원전 759년 ~ 기원전 757년
12환공(桓公)종생(終生)기원전 756년 ~ 기원전 702년
13장공(莊公)역고(射姑)기원전 701년 ~ 기원전 671년
14희공(僖公)이(夷)
적(赤)
기원전 670년 ~ 기원전 662년
15소공(昭公)반(班)기원전 661년 ~ 기원전 653년
16공공(共公)양(襄)기원전 652년 ~ 기원전 618년
17문공(文公)수(壽)기원전 617년 ~ 기원전 595년
18선공(宣公)강(彊)기원전 594년 ~ 기원전 578년
19성공(成公)부추(負芻)기원전 577년 ~ 기원전 555년
20무공(武公)승(勝)기원전 554년 ~ 기원전 528년
21평공(平公)수(須)기원전 527년 ~ 기원전 524년
22도공(悼公)오(午)기원전 523년 ~ 기원전 515년
23성공(聲公)
양공(襄公)
야(野)기원전 514년 ~ 기원전 510년
24은공(隱公)통(通)기원전 509년 ~ 기원전 506년
25정공(靖公)노(露)기원전 505년 ~ 기원전 502년
26(陽)기원전 501년 ~ 기원전 487년
[1] 폐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17:22:30에 나무위키 조(춘추시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