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6회 해성배 여자기성전

덤프버전 :

1. 개요
2. 예선
2.1. 아마선발전
2.2. 통합 예선
3. 본선
3.1. 24강~16강
3.2. 8강
3.3. 4강, 3/4위전
3.4. 결승
4. 대회 결과
5. 특별대국
6. 여담


1. 개요[편집]


2022년 개최하는 여자기성전. 이번 대회부터 한국제지의 모기업인 해성그룹이 직접 후원을 맡아서 '해성배 여자기성전'으로 대회명이 변경됐다. 해성그룹에서 직접 후원하게 되면서 대회 규모도 커졌다. 이번 대회부터 24강 토너먼트로 본선을 진행하며, 우승상금이 국내 여자기전 최고 우승상금인 5천만원으로 인상됐다. 준우승 상금도 2천만원으로 인상됐다.

2. 예선[편집]



2.1. 아마선발전[편집]


아마 선발전은 8월 15일 부터 2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아마선발전 조별 결승 경기는 방송 대국으로 진행됐다. 여기서 뽑힌 4명이 통합 예선에 참가한다. 아마 선발전 대진표

  • 아마선발전 결승 결과
대국일정대진결과
A조 결승2022년
8월 20일
이정은조은진백 8집반승
B조 결승정하음장진아흑 불계승
C조 결승2022년
8월 21일
김현아최민서흑 불계승
D조 결승이서영이나현흑 5집반승

2.2. 통합 예선[편집]


통합 예선은 9월 6일부터 7일까지 양 일간 진행하며, 이번에는 24강으로 확대된 만큼 20명의 본선 진출자를 가리게 된다. 예선 대진표(모바일웹)

  • 1~6조는 각 조에 두 명의 기사가 배치되었으므로 단판 승부로 해당 대국에서 승리한 선수가 바로 본선에 진출한다.(6조 대국이 사정상 10시에 먼저 치러졌고, 9조는 김신영-이영신 대국 사정상 하루 밀려 진행됐다.)
  • 7조~20조는 3명이 한 조로 한 명은 부전승으로 예선 결승에서 대기한다. ( '선수명A' = 아마 선발전 통과 선수)

[ 통합예선 1~6조 (펼치기 • 접기) ]

1조2조3조
고윤서김민서조혜연박태희박소율장혜령
4조5조6조
이유진김은선김미리김희수박지영권효진

[ 통합예선 7~20조 (펼치기 • 접기) ]

7조김효영이정은A
장은빈장은빈
8조도은교강다정
김은지김은지
9조김신영이민진
이영신김신영
10조이정원강지수
김경은김경은
11조최동은김혜민
이도현이도현
12조김윤영이지현
최민서A김윤영
13조이나경하호정
이영주이나경
14조김수진고미소
정하음A김수진
15조김민희송혜령
이슬주이슬주
16조차주혜권주리
정유진정유진
17조이서영A오정아
이단비이단비
18조김선빈김상인
조승아조승아
19조김다영김민정
유주현김다영
20조디아나허서현
이다혜이다혜

  • 중계대국
오로 : 9월 6일 "김윤영 - 최민서A"(12조. 결과는 280수 흑 4집반승), 9월 7일 "권주리 - 정유진"(16조. 결과는 308수 흑 6집반승)
한프바 : 9월 7일 "송혜령 - 이슬주"(15조)[1] 결과는 282수 백 불계승.

3. 본선[편집]



  • 본선 대진은 9월 7일 예선 종료와 함께 발표됐으며 전기 시드 3인(오유진, 최정, 박지연)과 와일드카드(김채영), 예선 통과자들 중 랭킹 상위 4인(김은지, 조승아, 조혜연, 김혜민)은 16강부터 시작한다.
  • 본선은 9월 26일 부터 매주 월요일과 화요일 저녁 7시에 진행한다.
  • 중계 : 바둑TV (캐스터 - 한해원 三단, 류승희 / 해설 - 송태곤 九단, 이현욱 九단)

제6회 해성배 여자기성전 본선 대진표
24강16강8강4강결승3번기
김신영이나경이나경오유진김윤영김은지
(2패)
준우승
(부전승)오유진
고윤서김윤영김윤영김윤영
(부전승)조혜연
김미리김수진김미리김은지김은지
(부전승)김은지
김다영허서현허서현허서현
(부전승)조승아
권효진오정아권효진김채영김채영최 정
(2승)
우승
(부전승)김채영
김경은정유진김경은김혜민
(부전승)김혜민
김은선박소율김은선김은선최 정
(부전승)박지연
장은빈송혜령송혜령최 정
(부전승)최 정


3.1. 24강~16강[편집]


대국일정 (19시 개시)
흑번
백번
결과
24강1국2022년 9월 26일정유진김경은174수 백 불계승
2국2022년 9월 27일김수진김미리170수 백 불계승
3국2022년 10월 3일권효진오정아273수 흑 반집승
4국2022년 10월 4일장은빈송혜령264수 백 불계승
5국2022년 10월 10일박소율김은선252수 백 불계승
6국2022년 10월 11일허서현김다영175수 흑 불계승
7국2022년 10월 17일이나경김신영191수 흑 불계승
8국2022년 10월 18일고윤서김윤영154수 백 불계승
16강1국2022년 10월 24일박지연김은선186수 백 불계승
2국2022년 10월 25일김경은김혜민232수 백 불계승
3국2022년 10월 31일김윤영조혜연299수 흑 불계승
4국2022년 11월 1일허서현조승아209수 흑 불계승
5국2022년 11월 7일권효진김채영310수 백 5집반승
6국2022년 11월 8일김은지김미리147수 흑 불계승
7국2022년 11월 14일오유진이나경123수 흑 불계승
8국2022년 11월 15일최 정송혜령131수 훅 불계승

3.2. 8강[편집]


대국일정 (19시 개시)
흑번
백번
결과
1국2022년 11월 21일김혜민김채영250수 백 불계승
2국2022년 11월 22일오유진김윤영212수 백 불계승
3국2022년 11월 29일최 정김은선139수 흑 불계승
4국2022년 12월 5일김은지허서현223수 흑 불계승

3.3. 4강, 3/4위전[편집]


대국일정 (19시 개시)
흑번
백번
결과
4강 1국2022년 12월 6일김채영최 정164수 백 불계승
4강 2국2022년 12월 12일김윤영김은지202수 백 불계승
3/4위전2022년 12월 13일김채영김윤영125수 흑 불계승

  • 최정은 김채영을 상대로 초반부터 우위를 점해 완승을 거두며 여자기성전 5연속 결승 진출을 이뤄냈고, 김윤영과 김은지의 대국에서는 김은지가 우변에서 자신의 백 돌들을 타개해내며 우세 국면을 잡고 결승에 진출했다. 김은지는 여자기성전 첫 결승에 진출했다.
  • 3/4위전에서는 김채영이 125수만에 김윤영의 백 대마를 잡아내며 승리하여 차기 대회 시드를 확보했다. 여자기성전 첫 출전에 4강까지 올랐던 김윤영은 4위로 이번 대회를 마쳤다.

3.4. 결승[편집]


제6회 해성배 여자기성전 결승 3번기 | 최 정 2 : 0 김은지
대국일정 (19시 개시)
흑번
백번
결과
1국2022년 12월 19일최 정김은지183수 흑 불계승
2국2022년 12월 20일김은지최 정254수 백 불계승
3국2022년 12월 26일2:0으로 종료되어 해당사항 없음
우승최정 九단 (여자기성전 4번째 우승)

국내 여자기전 최고 상금 5천만원을 걸고 펼쳐지는 '제6회 해성배 여자기성전' 대망의 결승 3번기는 삼성화재배 준우승 이후 거침없는 모습을 보이며 2년 만의 '여자기성' 타이틀 탈환에 도전하는 최정 九단과 효림배, 난설헌배에 이어 2022년에만 세 번째 여자기전 우승과 첫 '여자기성' 타이틀에 도전하는 김은지 五단이 격돌하게 됐다. 두 기사는 이번이 첫 번기 승부이기도 하다.

1국은 최정의 하변 사활에서 노림수가 제대로 먹혀들며 완승을 거뒀다. 하변에서 최정이 입구자와 1선 젖히는 묘수가 통하며 바둑이 급격히 최정에게 넘어가기 시작했다.[2] 이후 집차는 한때는 20집이 넘어갔을 정도로 완벽한 우세국변을 잡은 최정은 결국 김은지에게 항복을 받아내 완승을 거뒀다. 종국시점 인공지능 집차이로는 흑 13집 우세였다.

2국에서는 김은지가 좌하와 좌변에서 우세국면을 크게 잡으며 앞설 기회를 잡았지만 실수를 하면서 기회를 놓치며 다시 최정이 우세를 잡았다. 이후 최정도 실수를 하며 김은지가 추격을 해오기도 했으나 최정의 우세한 흐름엔 변함이 없었다. 종국 시점 인공지능의 형세는 백의 약 2집반 우세였다. 결국 패색이 짙어진 김은지는 항복을 선언하며 종합 전적 2승 무패로 최정이 2년 만의 여자기성전 우승에 성공했고, 김은지에게는 상대전적 8승 무패로 더 벌려놓았다. 그리고 여자기성전 통산 네 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4. 대회 결과[편집]


순위선수
우승최 정 九단 (상금 5천만원)
준우승김은지 五단 (상금 2천만원)
3위김채영 七단 (상금 1천만원)

5. 특별대국[편집]


이번 대회도 2:2 페어바둑으로 특별 이벤트 대국이 열리며 이번엔 2023년 설 연휴를 맞아 설연휴 기간인 1월 23일과 대체공휴일인 1월 24일에 진행된다. 이번 특별대국은 승리팀에게 500만원이 지급된다.
제6회 해성배 여자기성전 2:2 페어 이벤트 대국
대국일정 (14시 개시)대진
7080 매치
(특별해설 : 최정)
2023년 1월 23일이영신 & 이지현박지은 & 조혜연
146수 백 불계승
아이둘맘 매치
(특별해설 : 박지은)
2023년 1월 24일김혜민 & 김수진권효진 & 김윤영
208수 백 불계승
  • 23일 대국은 7080 매치로 70년대생 여자기사인 이영신(1977년생), 이지현(女)(1979년생)과 80년대생 여자기사인 박지은(1983년생), 조혜연(1985년생)이 팀을 이뤄 대결을 펼쳤다. 바둑은 백을 잡은 박지은&조혜연 조가 이영신&이지현 조의 흑 대마를 잡으며 승리했다.
  • 24일 대국은 '아이둘맘' 매치로 프로 기사이자 두 아이 엄마이기도 한 기사들이 출전했다. 김혜민, 김수진이 '최강동안' 팀으로, 권효진[3], 김윤영[4]이 '글로벌맘' 팀으로 대국을 진행했다. 바둑은 우변에서 착각으로 바둑이 뒤집혀 '최강동안'팀이 '글로벌맘' 팀에게 대역전승을 거뒀다.

6. 여담[편집]


  • 이번 대회에서는 사전 인터뷰로 24명의 참가자들에게 밸런스게임을 진행했다.
24강 대국자들의 밸런스 게임
[ (펼치기 • 접기) ]

경기질문대국자의 선택
24강 1국
(정유진:김경은)
A. 성격이 착하지만 일 못하는 후배
B. 성격이 못됐지만 일 잘하는 후배
정유진 A / 김경은 B
A. 이창호의 끝내기
B. 이세돌의 중반
정유진 B / 김경은 A
A. 우승 1번 이후 1회전 본선 탈락
B. 꾸준히 3등
(여자 기성전 한정)
정유진 A / 김경은 A
24강 2국
(김수진:김미리)
A. 평생 해산물만 먹기
B. 평생 고기만 먹기
김수진 A / 김미리 A
A. 이창호의 끝내기
B. 이세돌의 중반
김수진 B / 김미리 B
A. 우승 1번 이후 1회전 본선 탈락
B. 꾸준히 3등
(여자 기성전 한정)
김수진 A / 김미리 A
24강 3국
(권효진:오정아)
A. 스마트폰 없이 살기
B. 친구 없이 살기
오정아 A / 권효진 B
A. 이창호의 끝내기
B. 이세돌의 중반
오정아 B / 권효진 B
24강 4국
(장은빈:송혜령)
A. 평생 전화 못 하기
B. 평생 카톡 못 하기
장은빈 A / 송혜령 B
A. 이창호의 끝내기
B. 이세돌의 중반
장은빈 A / 송혜령 B
A. 우승 1번 이후 1회전 본선 탈락
B. 꾸준히 3등
(여자 기성전 한정)
송혜령 A / 장은빈 B
24강 5국
(김은선:박소율)
A. 성격이 착하지만 일 못하는 후배
B. 성격이 못됐지만 일 잘하는 후배
김은선 B / 박소율 B
A. 이창호의 끝내기
B. 이세돌의 중반
박소율 B / 김은선 A
24강 6국
(허서현:김다영)
A. 이창호의 끝내기
B. 이세돌의 중반
허서현 B / 김다영 A
A. 우승 1번 이후 1회전 본선 탈락
B. 꾸준히 3등
(여자 기성전 한정)
허서현 A / 김다영 A
24강 7국
(김신영:이나경)
A. 성격이 착하지만 일 못하는 후배
B. 성격이 못됐지만 일 잘하는 후배
김신영 B / 이나경 A
A. 이창호의 끝내기
B. 이세돌의 중반
김신영 A / 이나경 B
24강 8국
(김윤영:고윤서)
A. 평생 전화 못 하기
B. 평생 카톡 못 하기
김윤영 A / 고윤서 B
A. 이창호의 끝내기
B. 이세돌의 중반
김윤영 A / 고윤서 B

16강 대국자들의 밸런스 게임
[ (펼치기 • 접기) ]

경기질문대국자의 선택
16강 1국
(김은선:박지연)
A. 이틀 굶기
B. 이틀 밤새우기
김은선 B / 박지연 A
A. 박정환의 밸런스
B. 신진서의 전투력
김은선 B / 박지연 B
16강 2국
(김혜민:김경은)
A. 평생 전화 못 하기
B. 평생 카톡 못 하기
김혜민 A / 김경은 A
A. 박정환의 밸런스
B. 신진서의 전투력
김혜민 A / 김경은 B
16강 3국
(김윤영:조혜연)
A. 이틀 굶기
B. 이틀 밤새우기
김윤영 A / 조혜연 A
A. 박정환의 밸런스
B. 신진서의 전투력
김윤영 B / 조혜연 B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7:55:49에 나무위키 제6회 해성배 여자기성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때 중계 도중 채팅상으로 KB리그 22-23시즌의 경기방식에 대한 설왕설래가 오갔다.[2] 인공지능도 보지 못한 수였다.[3] 대국 하루 전에 부친인 권갑용 九단의 별세로 부친상을 당해서 대국 출전 여부에 변수가 있었으나 딸의 대국을 보고 싶다는 아버지의 뜻에 따라 출전했다고 해설을 맡은 송태곤 九단이 언급했다..[4] 현재 둘째를 임신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