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에딘 제코

덤프버전 :

||
3 아카이딘 · 4 아지즈 · 6 지쿠 · 7 카디올루 · 8 얀다시 · 9 제코 (C)
10 타디치 (VC) · 11 켄트 · 14 페리스 · 15 · 17 카흐베지 · 18 린콘 · 20 윈데르
21 오새이새뮤얼 · 22 나이르 · 23 바추아이 · 27 크레스포 · 30 상가레 · 33 쿠루칼르프 · 35 프레드
40 리바코비치 · 50 베캉 · 53 시만스키 · 70 에리바야트 · 77 카파칵 · 80 윅세키 · 99 모르
감독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이스마일 카르탈
* 이 표는 간략화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 수정해주세요.

에딘 제코의 역임 직책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
에미르 스파히치
(2008~2014)
에딘 제코
(2014~)
현직

AS 로마 주장
알레산드로 플로렌치
(2019~2020)
에딘 제코
(2020~2021)
로렌초 펠레그리니
(2021~)

페네르바흐체 SK 주장
알타이 바이은드르
(2022~2023)
에딘 제코
(2023~ )
현직

||
[ 펼치기 · 접기 ]

#555,#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height=80><width=25%> [[아나스타시오스 바카세타스|{{{-2 아나스타시오스}}}[br]바카세타스]][br][[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파일: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35]]]][br]
[[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fff '''그리스'''}}}]]
||<width=25%> [[버질 반 다이크|{{{-2 버질}}}[br]반 다이크]][br][[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fff '''네덜란드'''}}}]]
||<width=25%> [[마르틴 외데고르|{{{-2 마르틴}}}[br]외데고르]][br][[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fff '''노르웨이'''}}}]]
||<width=25%> [[시몬 키예르|{{{-2 시몬}}}[br]키예르]][br][[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fff '''덴마크'''}}}]]
|| || [[일카이 귄도안|{{{-2 일카이}}}[br]귄도안]][br][[독일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fff '''독일'''}}}]]
|| [[안토니스 체르노모디스|{{{-2 안토니스}}}[br]체르노모디스]][br][[라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Latvia_national_team_logo.png|height=50]]]][br]
[[라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라트비아'''}}}]]
|| [[달레르 쿠쟈예프|{{{-2 달레르}}}[br]쿠쟈예프]][br][[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러시아'''}}}]]
|| [[니콜라에 스탄치우|{{{-2 니콜라에}}}[br]스탄치우]][br][[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2046a1,#5d84df '''루마니아'''}}}]]
|| || [[로랑 얀스|{{{-2 로랑}}}[br]얀스]][br][[룩셈부르크 축구 국가대표팀|[[파일:Luxembourg FLF.png|height=50]]]][br]
[[룩셈부르크 축구 국가대표팀|{{{#fff '''룩셈부르크'''}}}]]
|| [[피오도르 체르니크|{{{-2 피오도르}}}[br]체르니크]] [br][[리투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리투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리투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리투아니아'''}}}]]
|| [[니콜라스 하슬러|{{{-2 니콜라스}}}[br]하슬러]][br][[리히텐슈타인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리히텐슈타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리히텐슈타인 축구 국가대표팀|{{{#fff '''리히텐슈타인'''}}}]]
|| [[스테판 요베티치|{{{-2 스테판}}}[br]요베티치]][br][[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fff '''몬테네그로'''}}}]]
|| || [[아르투르 이오니처|{{{-2 아르투르}}}[br]이오니처]][br][[몰도바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몰도바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height=50]]]][br]
[[몰도바 축구 국가대표팀|{{{#fff '''몰도바'''}}}]]
|| [[스티브 보그|{{{-2 스티브}}}[br]보그]][br][[몰타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몰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몰타 축구 국가대표팀|{{{#fff '''몰타'''}}}]]
|| [[케빈 더 브라위너|{{{-2 케빈}}}[br]더 브라위너]][br][[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fff '''벨기에'''}}}]]
|| [[예브게니 야블론스키|{{{-2 예브게니}}}[br]야블론스키]][br][[벨라루스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벨라루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벨라루스 축구 국가대표팀|{{{#fff '''벨라루스'''}}}]]
|| || [[에딘 제코|{{{-2 에딘}}}[br]제코]][br][[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축구 국가대표팀|{{{#f5d600,#ffe009 '''보스니아'''}}}]]
|| [[에니스 바르디|{{{-2 에니스}}}[br]바르디]][br][[북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북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북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북마케도니아'''}}}]]
|| [[조니 에반스|{{{-2 조니}}}[br]에반스]][br][[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fff '''북아일랜드'''}}}]]
|| [[키릴 데스포도프|{{{-2 키릴}}}[br]데스포도프]][br][[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불가리아'''}}}]]
|| || [[알도 시몬치니|{{{-2 알도}}}[br]시몬치니]][br][[산마리노 축구 국가대표팀|[[파일:San Marino FSGC 2021.png|height=50]]]][br]
[[산마리노 축구 국가대표팀|{{{#fff '''산마리노'''}}}]]
|| [[두샨 타디치|{{{-2 두샨}}}[br]타디치]][br][[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세르비아'''}}}]]
|| [[그라니트 자카|{{{-2 그라니트}}}[br]자카]] [br][[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40]]]][br]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fff '''스위스'''}}}]]
|| [[빅토르 린델뢰프|{{{-2 빅토르}}}[br]린델뢰프]][br][[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364a76,#889cc9 '''스웨덴'''}}}]]
|| || [[앤디 로버트슨|{{{-2 앤디}}}[br]로버트슨]][br][[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fff '''스코틀랜드'''}}}]]
|| [[알바로 모라타|{{{-2 알바로}}}[br]모라타]][br][[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height=50]]]][br]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ffec4b '''스페인'''}}}]]
|| [[밀란 슈크리니아르|{{{-2 밀란}}}[br]슈크리니아르]][br][[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슬로바키아'''}}}]]
|| [[얀 오블락|{{{-2 얀}}}[br]오블락]][br][[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슬로베니아'''}}}]]
|| || [[요한 베르그 그뷔드뮌손|{{{-2 요한 베르그}}}[br]그뷔드뮌손]][br][[아이슬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파일:4080_iceland_-primary-2020.png|height=50]]]][br]
[[아이슬란드 축구 국가대표팀|{{{#fff '''아이슬란드'''}}}]]
|| [[셰머스 콜먼|{{{-2 셰머스}}}[br]콜먼]][br][[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fff '''아일랜드'''}}}]]
|| [[바라트닷 하로얀|{{{-2 바라트닷}}}[br]하로얀]][br][[아르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아르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아르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아르메니아'''}}}]]
|| [[에민 마흐무도프|{{{-2 에민}}}[br]마흐무도프]][br][[아제르바이잔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아제르바이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아제르바이잔 축구 국가대표팀|{{{#fff '''아제르바이잔'''}}}]]
|| || [[마르크 발레스|{{{-2 마르크}}}[br]발레스]][br][[안도라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안도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안도라 축구 국가대표팀|{{{#fedf00,#ffe000 '''안도라'''}}}]]
|| [[에트리트 베리샤|{{{-2 에트리트}}}[br]베리샤]][br][[알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알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알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알바니아'''}}}]]
|| [[콘스탄틴 바실리예브|{{{-2 콘스탄틴}}}[br]바실리예브]][br][[에스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에스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에스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에스토니아'''}}}]]
|| [[데이비드 알라바|{{{-2 데이비드}}}[br]알라바]][br][[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오스트리아'''}}}]]
|| || [[안드리 야르몰렌코|{{{-2 안드리}}}[br]야르몰렌코]][br][[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18489d,#6192e7 '''우크라이나'''}}}]]
|| [[아론 램지|{{{-2 아론}}}[br]램지]][br][[웨일스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웨일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웨일스 축구 국가대표팀|{{{#fff '''웨일스'''}}}]]
|| [[엘리 다사|{{{-2 엘리}}}[br]다사]][br][[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fff '''이스라엘'''}}}]]
|| [[치로 임모빌레|{{{-2 치로}}}[br]임모빌레]][br][[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height=50]]]][br]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이탈리아'''}}}]]
|| || [[해리 케인|{{{-2 해리}}}[br]케인]][br][[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e31e31,#e11c2e '''잉글랜드'''}}}]]
|| [[구람 카시아|{{{-2 구람}}}[br]카시아]][br][[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조지아'''}}}]]
|| [[로이 치폴리나|{{{-2 로이}}}[br]치폴리나]][br][[지브롤터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지브롤터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지브롤터 축구 국가대표팀|{{{#fff '''지브롤터'''}}}]]
|| [[토마시 소우체크|{{{-2 토마시}}}[br]소우체크]][br][[체코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체코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height=50]]]][br]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fff '''체코'''}}}]]
|| || [[아슈하트 타기베르겐|{{{-2 아슈하트}}}[br]타기베르겐]][br][[카자흐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카자흐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카자흐스탄 축구 국가대표팀|{{{#214b89,#76a0de '''카자흐스탄'''}}}]]
|| [[아미르 라흐마니|{{{-2 아미르}}}[br]라흐마니]][br][[코소보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코소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코소보 축구 국가대표팀|{{{#fff '''코소보'''}}}]]
|| [[루카 모드리치|{{{-2 루카}}}[br]모드리치]][br][[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크로아티아'''}}}]]
|| [[코스타키스 아르티마타스|{{{-2 코스타키스}}}[br]아르티마타스]][br][[키프로스 축구 국가대표팀|[[파일:Cyprus CFA.png|height=50]]]][br]
[[키프로스 축구 국가대표팀|{{{#fff '''키프로스'''}}}]]
|| || [[하칸 찰하놀루|{{{-2 하칸}}}[br]찰하놀루]][br][[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파일: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fff '''튀르키예'''}}}]]
|| [[할루르 한손|{{{-2 할루르}}}[br]한손]][br][[페로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페로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페로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fff '''페로 제도'''}}}]]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2 크리스티아누}}}[br]호날두]][br][[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파일: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d3c084 '''포르투갈'''}}}]]
||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2 로베르트}}}[br]레반도프스키]][br][[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파일:폴란드 국장.svg|height=50]]]][br]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fff '''폴란드'''}}}]]
|| || [[킬리안 음바페|{{{-2 킬리안}}}[br]음바페]][br][[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파일: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원정).svg|height=50]]]][br]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fff '''프랑스'''}}}]]
|| [[루카시 흐라데츠키|{{{-2 루카시}}}[br]흐라데츠키]][br][[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파일: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fff '''핀란드'''}}}]]
|| [[도미니크 소보슬러이|{{{-2 도미니크}}}[br]소보슬러이]][br][[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파일: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fff '''헝가리'''}}}]]
|| || ||<-4><colbgcolor=#f7f7f7,#191919> [[틀: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주장|[[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아시아]] | [[틀:아프리카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주장|[[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아프리카]][br][[틀: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주장|[[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북중미카리브]] | [[틀:남미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주장|[[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남미]][br][[틀:유럽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주장|[[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유럽]] || ||<-4> [[틀:세계 축구 주요 리그 및 대표팀 주장|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주장]] ||



에딘 제코의 수상 이력
에딘 제코의 기타 정보
[ 펼치기 · 접기 ]
#000,#ddd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rowbgcolor=#17203F><rowcolor=#fff><width=10%> '''순서''' ||<width=40%> '''선수 이름''' ||<width=10%> '''출전 횟수''' ||<width=20%> '''첫 경기''' ||<width=20%> '''마지막 경기''' || || 1 || [[에딘 제코]] || '''133회''' || 2007.6.2 || 2023.10.16 || || 2 || [[미랄렘 퍄니치]] || '''114회''' || 2008.8.20 || 2023.10.16 ||



파일:edindzeko2324.png
페네르바흐체 SK No. 9
C
에딘 제코
Edin Džeko
출생1986년 3월 17일 (38세)
유고슬라비아SFR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SR 사라예보
국적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신체 193cm / 체중 84kg
포지션스트라이커
주발오른발 (양발)
소속유스젤레즈니차르 사라예보 (1996~2003)
선수젤레즈니차르 사라예보 (2003~2005)
FK 테플리체 (2005~2007)
FK 우스티나트라벰 (2005 / 임대)
VfL 볼프스부르크 (2007~2011)
맨체스터 시티 FC (2011~2016)
AS 로마 (2015~2016 / 임대)
AS 로마 (2016~2021)
인테르나치오날레 (2021~2023)
페네르바흐체 SK (2023~)
종교 이슬람[1]
국가대표131경기 65골[2][3] (보스니아 / 2007~ )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정보 더 보기

1. 개요
2. 선수 경력
3. 플레이 스타일
4. 기록
4.1. 대회 기록
4.2. 개인 수상
5. 여담
6.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적의 페네르바흐체 SK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스트라이커.

분데스리가, 세리에 A, UEFA 유로파 리그에서 모두 득점왕을 차지한 스트라이커이다.


2. 선수 경력[편집]



2.1. 클럽 경력[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에딘 제코/클럽 경력#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국가대표 경력[편집]


파일:Edin Dzeko Bosnia national.jpg
제코는 2007년 6월 2일, 터키와의 UEFA 유로 2008 예선에서 국가대표 데뷔전을 치렀으며, 그 경기에서 데뷔골을 넣었다.

2010 남아공 월드컵 유럽 지역예선에서 10경기에 출전하여 9골 3도움을 폭격하는 맹활약으로 보스니아를 스페인에 이은 E조 2위에 올려놓으며 월드컵 플레이오프행을 이끌어냈다. 하지만 플레이오프에서 만난 포르투갈에게 석패하면서 월드컵 본선 진출은 좌절되었다.

UEFA 유로 2012 예선에서도 10경기에 출전하여 4골 1도움을 기록, 보스니아 총득점의 1/3 가량을 책임지며 프랑스에 이은 D조 2위를 차지하는 데 일조했다. 하지만 지난번 월드컵 플레이오프에 이어 다시 한 번 플레이오프에서 만난 포르투갈에게 2:6으로 대패하면서 유로 본선 진출도 좌절되었다.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유럽 지역예선에서는 10경기에 출전하여 무려 10골 6도움을 폭격하는 기염을 토하며 보스니아를 G조 1위에 올려놓으며 당당히 월드컵 본선 직행 티켓을 거머쥐었다.[4]

2014 브라질 월드컵에서 조별 리그 3경기에 전부 선발로 출전하였지만 나이지리아전에서 오프사이드 오심으로 골이 취소되고 결국 0-1로 패하며 2연패로 조별 리그 탈락을 확정지었다. 3차전 이란전에서는 선제골을 기록, 3-1 승리를 이끌며 조국에 월드컵 첫승을 선물했다.

2014 브라질 월드컵이 끝난 후 보스니아의 주장으로 임명되었다.

UEFA 유로 2016 예선 7경기에서 7골을 넣어 벨기에웨일스에 이어 조 3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시켰으나 이번에도 아일랜드에게 1, 2차전 합산 스코어 1:3으로 패하며 유로 본선 진출권을 따내지 못했다.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유럽 지역예선에서 9경기에 출전하여 5골 2도움을 기록했지만 보스니아는 H조 3위를 차지하면서 월드컵 본선 진출 티켓은 물 건너가게 되었다.

2018-19 시즌 UEFA 네이션스 리그에서 4경기에 출전하여 3골 1도움을 기록하며 보스니아의 조 1위와 A리그 승격을 이끌었다.

UEFA 유로 2020 예선에서는 예전과 같은 기량을 보여주지 못하며 8경기에 출전하여 3골 1도움을 기록하는 데 그쳤고 보스니아도 플레이오프에서 북아일랜드와 승부차기까지 가는 혈투 끝에 4:5로 석패하면서 유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2020-21 시즌 UEFA 네이션스 리그에서도 부진하며 4경기에 출전하여 1골을 넣는 데 그쳤고 보스니아도 조 최하위로 시즌을 마쳤다.

2021년 9월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서 프랑스를 상대로 멋진 왼발 중거리 골을 터뜨려 자신의 A매치 60번째 골을 기록하였다. 이로써 59골의 다비드 비야를 제치고 유럽 A매치 최다득점 8위에 위치하게 되었다.


3. 플레이 스타일[편집]



큰 키를 가진 타겟맨답게 화려한 기술과 돌파를 보여주지는 않지만, 빼어난 위치선정 능력으로 수비수들이 걷어내지 못할 위치를 잘 잡으며, 특히 오프사이드 트랩을 깨는 라인브레이킹은 제코의 시그니처다. 자신의 큰 키를 이용한 헤딩 능력 역시 뛰어나 측면에서 냅다 크로스를 올리면 제코가 좋은 위치선정과 헤딩으로 득점을 만들어낸다. 헤더뿐만 아니라 슈팅 능력도 두말 할 것도 없다. 골문 앞에서 상당히 침착해서 골을 결정시키는 순도가 상당히 좋은 편. 슈팅을 파워풀하게 때리기보다는 빈틈을 찾아 정교하게 때린다. 플레이 영상을 보면 골키퍼, 수비수의 위치를 다 파악하고 칩샷으로 살짝 넘기거나 다리 사이로 넣는다. 파워풀한 슈팅도 물론 가능해서 박스 바깥에서도 중거리 슈팅을 시도한다. 게다가 이 모든 슈팅을 양발로 무리없이 소화한다. 또한 매 시즌마다 어느 정도 해 주는 어시스트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페널티 지역 안에서의 연계 능력도 갖추고 있다.

다만, 큰 키를 갖고 있는 선수 특성 상 스피드가 빠르다고 보기에는 힘들며, 부족한 것은 아니지만 타 공격수들보다는 평범한 온더볼 능력을 보여준다. 또한 전통적인 타겟맨 롤에서 좋은 활약을 보일 만큼 다른 동료들이 부진할 때면 함께 부진하는 경향이 있다.[5]

요약하자면 타겟맨으로서도 훌륭하고, 다른 타겟맨들이 가지지 못한 장점 역시 가지고 있어 30대 중후반에 접어든 지금도 한 방을 기대할 수 있는 선수고, 전성기 때는 그야말로 폭발적인 활약을 할 수 있는 선수였다. 볼프스부르크, 로마 등 빅리그에서 중상위권 팀들에서는 그야말로 주인공이었고, 맨체스터 시티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등의 빅클럽에서도 주전으로 뛸 수 있는 기량을 보여주는 등 한 시대를 풍미한 공격수였다고 할 수 있다.


4. 기록[편집]



4.1. 대회 기록[편집]






4.2. 개인 수상[편집]




5. 여담[편집]


  • 해외축구 갤러리에서는 에딘 죄코라고 까이던 선수였다. 로마로 이적한 이후 점차 잊혀지다 로마의 기적때 선제골을 넣으며 건재함을 보여줬고, 이후에도 챔스에서 인테르 소속으로 뛰는 제코를 보고 '아직도 제코가 뛰고있다고?'같은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 해외에선 유난히 쉴드치는 자국 팬들이 많기로 유명하다. 어떤 클럽을 가든 어느 사이트에서도 제코와 관련된 내용이 나오면 잘하면 응원하고 못하면 쉴드치는 동유럽틱한 아이디의 사람들이 보이는데 이들은 다 보스니아인들이다. 이들은 웬만한 축구사이트나 팬사이트, 심지어 유튜브에서 제코에 관련된 동영상의 댓글창에도 출몰하고 실제로 이 팬들의 열기를 실증하는 것 중 하나는 골닷컴의 경기당 팬 MOM에 제코가 선정되는 일이 이상하게 많은 것.[6] 사실 볼프스부르크에선 이견이 없을 정도로 굉장히 잘 했기 때문에 이게 크게 부각되지 않았지만 맨시티에 와서 잘 할 땐 잘하지만 못할 땐 한없이 답답한 미묘한 모습을 보이자 눈에 띄기 시작했는데 비슷한 위상이나 활약의 다른 선수들은 이런 사생팬스러운 열광을 잘 안 받는것을 보면 제코가 특별히 자국민에게 인기가 많은 것이다. 이건 물론 유고 전쟁 때문에 보스니아 국민들이 유달리도 애국심이 강하고, 또 제코는 그 보스니아에서 분리독립 이후로 압도적으로 최고의 선수로 뽑히는 선수이며 국대에서의 활약도 연일 엄청나게 골을 쑤셔박는 수준인 것이 이유다. 그만큼 자국민에게 엄청난 사랑을 받는 선수라 보면 된다.

파일:external/ww1.sinaimg.cn/6b1fcd52gw1ehk77zgbpdj20c80i10ti.jpg
  • 꽤 잘생긴 편이기때문에 외국에선 여성팬이 많다.


  • 어렸을 적에 유고슬라비아 내전보스니아 내전의 참상을 두 눈으로 지켜보았다.[7][8]

  • 젠틀맨스러운 인상과는 달리 한 성깔이 있는 선수라서, 그 유명한 페페가 제코 앞에서는 고개도 못 들 정도다. 그리스와 경기에서는 1-0으로 이기고 있는 상황 공을 껴안고 시간을 끄려고 하는 걸 그리스 선수가 빼앗으려고 하자 그 선수의 바지를 벗겨버리는 기행을 저지르기도 했다.#

  • 위에 적힌 것처럼 그리스와의 A매치 경기에서 화난 나머지 상대 선수의 바지를 벗기고 옐로 카드를 먹어 경고 누적으로 퇴장당했다.# 또 시기는 다르지만 월드컵 예선에서 그리스와의 경기에서 팀 동료인 코스타스 마놀라스와 몸싸움이 있었지만 크게 번지지는 않았다.

  • 분데스리가의 최고 공격수라 여기저기서 이적 떡밥이 많이 튀어나왔다. 그라피테와 함께 약물을 빤 듯한 활약을 보여준 08/09 시즌 이후로는 정말 수많은 팀이 제코에게 추파를 던졌다. 특히 AC 밀란은 제코를 찍고 볼푸스부르크에게 수없이 들이댔다. 제코 본인부터가 밀란의 팬이기도 하고 타겟맨으로 영입한 클라스 얀 훈텔라르가 알고봤더니 [ [[콰밥만훈|훈]] ]이었기에. 하지만 이적이 이루어지지 않고 계속 매 시즌 이적기간마다 설레발과 루머만 양산하며 떡밥의 크기만 불어난 까닭은 볼푸스부르크 입장에서도 제코가 중심선수였기 때문이다. 볼프스부르크가 08/09 시즌 분데스리가 우승 팀이라고는 하지만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FC 바르셀로나처럼 선수층이 두꺼운 팀은 아니다. 때문에 제코를 팔기 위해서는 필히 거금을 받아야 했고 어설픈 가격에는 팔 수 없기에 많은 팀들이 볼프스부르크와 흥정을 벌이다 포기하고 물러났다. 덕분에 AC 밀란, 유베 팬들은 매 이적 시즌마다 '제코를 데려온대!'라는 루머에 설레발을 치다가 쓰라린 가슴을 움켜쥘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최종 승자는 위에도 나와 있듯이 맨체스터 시티 FC. 이적료는 525억 원이었다.


  • 모국어는 보스니아어이지만, 영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체코어를 구사할 줄 안다.[9]

  • 세르히오 아구에로가 본인이 맨시티에 입단한 2011년부터 같이 뛴 맨시티 공격수 중에서 최고의 파트너로 에딘 제코를 뽑았다. 피치 위에서 두 선수간 서로에 대한 이해도와 호흡이 좋았다고. 참고로 제코는 당시 맨시티 감독 페예그리니가 강력하게 추진한 영입인 윌프리드 보니한테 밀려 반강제로 맨시티를 떠났다. 이에 대해 아직도 페예그리니에게 감정이 좋지 않은듯. 보니가 맨시티에서 어땠는지 생각해보면 너무나 타당하다.

  • 로마 공식 홈페이지에서 트위터를 통해 팬들을 대상으로 한 투표에서 마놀라스(29%지지율)와 콜라로프, 데로시(각각 8%)를 누르고 45%의 지지율로 2018 최고의 선수로 선정되었다.

  • 2020년 5대리그 빅찬스 미스 1위에 이름을 올렸다. #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이적 후 전반기에는 왕년의 보스니아 폭격기의 모습을 재현하며 맹활약 하였으나, 시즌이 진행될수록 앞선 칭찬이 무색하게 보스니아산 고무동력기, 틀코라고 까였다. 그래도 챔스 토너먼트같은 중요한 경기에서 한 방이 있는 선수.



5.1. WAGs[편집]


파일:제코 일가.jpg
  • 아내 암라 실라이지치는 1984년생 사라예보 출신의 모델 겸 배우로 엔리케 이글레시아스, 블레이크 쉘튼[10] 등 유명 가수들의 뮤직비디오에 출연하기도 했다. 16살에 프랑스 미인대회에서 우승한 것을 계기로 연예계에 데뷔해 이듬해에 세르비아의 사업가 블라디미르 비센티예비치와 결혼해서 6년 동안 첫 결혼생활을 했으며 2003년생 딸 소피야가 있다. [11]제코와는 2011년 처음 만나 2016년 결혼해 2016년에 딸[12], 2017년에 아들, 2020년과 2023년에 딸 하나씩 더 출산했다.


6. 같이 보기[편집]


파일:페네르바흐체 SK 로고.svg
페네르바흐체 SK 스쿼드
[ 펼치기 · 접기 ]

페네르바흐체 SK 2023-24 시즌 스쿼드
번호포지션국적한글 성명로마자 성명비고
3DF파일:튀르키예 국기.svg사메트 아카이딘Samet Akaydin
4DF파일:튀르키예 국기.svg세르다르 아지즈Serdar Aziz
6DF파일:가나 국기.svg알렉산더 지쿠Alexander Djiku
7FW파일:튀르키예 국기.svg페르디 카디올루Ferdi Kadioglu
8MF파일:튀르키예 국기.svg메르트 하칸 얀다시Mert Hakan Yandaş
9FW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에딘 제코Edin Dzeko주장
10FW파일:세르비아 국기.svg두샨 타디치Dušan Tadić부주장
11FW파일:잉글랜드 국기.svg라이언 켄트Ryan Kent
14DF파일:브라질 국기.svg루앙 페리스Luan Peres
15FW파일:노르웨이 국기.svg조슈아 킹Joshua King
16DF파일:튀르키예 국기.svg메르트 뮐뒤르Mert Müldür
17MF파일:튀르키예 국기.svg이르판 잔 카흐베지Irfan Can Kahveci
18MF파일:브라질 국기.svg린콘Lincoln
19FW파일:튀르키예 국기.svg세르다르 두르순Serdar Dursun
20FW파일:튀르키예 국기.svg젠기즈 윈데르Cengiz Ünder
21MF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브라이트 오새이새뮤얼Bright Osayi-Samuel
22FW파일:튀르키예 국기.svg우무트 나이르Umut Nayir
23FW파일:벨기에 국기.svg미시 바추아이Michy Batshuayi
24DF파일:네덜란드 국기.svg제이든 오스터펠더Jayden Oosterwolde
25MF파일:튀르키예 국기.svg엠레 데미르Emre Demir
26MF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미하 자이츠Miha Jajc
27MF파일:포르투갈 국기.svg미구엘 크레스포Miguel Crespo
28MF파일:튀르키예 국기.svg바르투 엘마즈Bartuğ Elmaz
30DF파일:튀르키예 국기.svg나즘 상가레Nazım Sangaré
35MF파일:브라질 국기.svg프레드Fred
40GK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도미니크 리바코비치Dominic Livakovic
50DF파일:브라질 국기.svg호드리구 베캉Rodrigo Becão
53MF파일:폴란드 국기.svg세바스티안 시만스키Sebastian Szymański
70GK파일:튀르키예 국기.svg이르판 잔 에으리바야트İrfan Can Eğribayat
77MF파일:튀르키예 국기.svg부락 카파자크Burak Kapacak
80MF파일:튀르키예 국기.svg이스마엘 윅세키İsmail Yüksek
97GK파일:튀르키예 국기.svg푸르칸 오누르 아크위즈Furkan Onur Akyüz
99FW파일:튀르키예 국기.svg엠레 모르Emre Mor
구단 정보
회장: 에롤 빌레지크 / 감독: 조르제 제수스 / 홈 구장: 페네르바흐체 쉬크뤼 사라졸루 스타디움
출처: 페네르바흐체 SK 공식 홈페이지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8월 19일
[각주]




[1] 경기 직전 기도 중인 에딘 제코.
파일:external/4.bp.blogspot.com/Edin+Dzeko+Pray.gif
[2] 2023년 9월 12일 기준[3]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최다 출장, 최다 득점자.[4] 로빈 반 페르시(11골)에 이어 월드컵 유럽 지역예선 최다 득점 2위를 차지했다.[5] 대표적인 예시가 09-10시즌 초반 볼프스부르크 시절과 21-22시즌 후반 인테르 시절.[6] 심지어 맨시티시절 요베티치와 피터지는 주전경쟁을 할때 제코가 요베티치와 후반교체로 출전한적이 있었다. 요베티치는 그날 득점포와 좋은 경기력으로 mom급 활약했고 제코는 끝물에 투입되어 볼을 잡을 기회도 없었지만 골닷컴 팬선정 mom. 요베티치는 팬선정 worst.[7] 제코 역시 폭격을 당해 숨질 뻔한 적이 있다. 친구들과 함께 축구하러 나가려던 어느 날, 그는 불안함을 느낀 어머니에 의해 집에만 있게 되었다. 친구들과 놀 수 없다는 사실에 눈물 흘리던 제코에게 다음 날 날아온 것은 친구들과 축구를 즐기곤 했던 곳에 폭탄이 떨어져 친구들이 죽었다는 비보였다.[8] 내전으로 인해 유고슬라비아UEFA 유로 1992 참가권을 박탈당했으며, 테니스 선수 모니카 셀레스 등은 아예 미국으로 떠나 버렸다. 축구감독 바히드 할릴호지치 역시 보스니아 내전모스타르에서 피해를 입은 적이 있다. 내전 이후 보스니아1996년FIFA 가입을 승인받았다.[9] 출처는 영어 위키백과[10] 2011년 발매된 Honey Bee. 무려 이 뮤비의 주연으로 나온다.[11] 어머니의 이혼 전 어머니와 함께 교통사고를 당한 적이 있다. 현재는 독립한 듯하며, 어머니와 새아버지 나라의 어느 축구선수와 데이트를 즐기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12] 결혼 후 한 달만에 태어났다. 즉 혼전임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02:58:33에 나무위키 에딘 제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