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주도 비계 삼겹살 사건

덤프버전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
2. 경과
3. 언론 보도
4. 기타


1. 개요[편집]



한 소비자가 보배드림에 제주도의 유명 삼겹살집인 중문 돌담흑돼지에서 비계 삼겹살을 팔았다는 글을 올리면서 시작된 사건.


2. 경과[편집]


2024년 4월 29일, 보배드림에 열받아서 잠이 안옵니다..(제주도 가지마세요)아카이브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글에서는 '제주도 중문ㄷㄷ흑돼지'라고 상호 전체를 밝히지는 않았지만 초성이 일치하는 음식점이 '돌담흑돼지'가 유일해서 해당 음식점이 돌담흑돼지인것을 쉽게 유추할 수 있었다. 소비자 A씨는 2024년 4월 28일, 이 음식점에서 비계가 많은 삼겹살을 받고 직원에게 컴플레인을 했는데, 오히려 '이 정도면 고기가 많은 편이다'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재차 항의하자 직원은 고기를 잘라보더니 주방으로 갔다가 '고기에 문제없다'면서 다시 가져왔다고 한다. 결국 A씨는 147,000원을 계산하고 식당을 나온 것이 일의 전말이다.

4월 30일이 되자 언론보도가 쏟아졌다. 조선일보 기사에 따르면 음식점 사장은 '비곗덩어리 사진은 손님이 주문한 전체 삼겹살의 모습이 아니다. A씨는 삼겹살 3점 먹고 나왔다고 하지만, 그 앞에 살 있는 부분들은 다 드셨다. 그리고 뒤에 남은 지방 쪽을 안 드시고 가신 것이다. 흑돼지는 보통 삼겹살 보다 지방이 많은 편이다. 끝으로 갈수록 기름이 좀 원래 많다. 전체 삽겹살이 다 비계가 많으면 누가 사먹겠느냐.'라고 했기 때문이다.

같은 날 MBC 보도에서도 해당 음식점의 입장은 같았다. '제공된 고기 대부분은 살코기가 풍부했다. 뼈에 붙어 있던 고기 끝부분에 비계가 많은 부위가 일부 포함됐던 것이고, 손님도 고기 상태를 사전에 확인했다. 이후 손님의 항의를 받았지만 이미 고기를 불판 위에 올린 상태여서 바꿀 수도 없었다. 대신 서비스 메뉴를 2개 제공했다.'라고 주장했다.


JTBC 사건반장에서는 해당 음식점의 전 직원이 비계 삼겹살 포함, 음식점의 전반적인 위생 상태에 대해 폭로한 내용이 보도되었다. 전 직원 B씨는 "잡내가 아니라 썩은 내 나는 고기를 손님들에게 내놓고, 외국인 손님은 말도 못하니까 그냥 줬다"고 말했다. 자기가 색깔이 이상한 고기를 보고서 고기 색깔이 이상하다고 했더니, 이런 고기를 빨리 써야 된다면서 잘라서 손님에게 줬다는 것이다. 바쁘면 미리 초벌한 고기를 쌓아놓고, 손님에게 보여준 신선한 고기는 다시 집어넣는다고도 했다. B씨가 일할 때 비계가 많다는 컴플레인이 걸린 적이 있다면서, 본인도 똑같이 얘기했다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B씨는 해당 음식점이 직원들을 동원해 리뷰를 작성한 증거도 보냈다고 한다. 다만 음식점 측에서는 악의적인 거짓 제보라면서 해당 직원은 일도 안 하고, 급여에 불만이 있어 나간 직원이라고 주장했다.

해당 음식점의 사장이 결국 4월 30일 보배드림에 안녕하세요, 현재 이슈가 된 중문 돌담흑돼지 사장입니다.아카이브라면서 사과문을 올렸다. 사건 당시 방문했던 A씨 일행에게 보상하겠으며, 1개월 동안 모든 손님들에게 오겹살 200g을 추가로 제공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사과문에 대한 반응은 싸늘하다. A씨는 사장의 사과문 댓글에서 '보상 몇 푼 받겠다고 양심을 팔고 싶지 않다. 비계살 대응 지침이 존재하는 것도 알게 됐다. 사장이 언론플레이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논란이 계속되자 5월 2일,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위생 관련 부서에서 해당 문제의 지도 감독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고 내부적으로 점검하고 있다. 이런 문제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홍보를 강화하는 등 방안을 강구 중이다."라고 말했다. 그리고 "다만 사업체 운영과 관련해 행정이 과도하게 접근하기 어려운 측면도 있고 식문화 자체에 차이가 있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3. 언론 보도[편집]




4. 기타[편집]


  • 농림축산식품부삼겹살 품질관리 매뉴얼을 보면, 소포장 삼겹살의 경우 일반 삼겹살은 1㎝ 이하, 오겹살은 1.5㎝ 이하 지방만 남기고 나머지 지방은 제거하라고 권장했다. 해당 매뉴얼은 정상 삼겹살과 지방 제거가 필요한 삼겹살, 과도한 지방 제거로 상품성이 저하된 삼겹살을 사진으로 비교하며 지방이 과도한 부위는 폐기를 검토하라고 권고했다. ‘삼겹살 품질관리 매뉴얼’은 2023년 대형마트에서 삼겹살 데이에 판매한 삼겹살에 비계가 많아 논란이 되자 내놓았던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02 19:24:25에 나무위키 제주도 비계 삼겹살 사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