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투 목록/중국사

덤프버전 :

본 항목은 중국의 역대 전투 목록에 대해 다룬다.


1. 고대 중국[편집]



1.1. 서주[편집]


발생 연도명칭개요
기원전 1046년(추정)목야 전투(牧野之戰)무왕, 주왕을 정벌


1.2. 춘추시대[편집]


발생 연도명칭개요
기원전 707년수갈 전투정장공주환왕의 연합군[1]을 격파[2]
기원전 745년 - 기원전 679년곡옥대진곡옥의 방계가 진(晉)나라를 차지
기원전 645년한원 전투진혜공(晉惠公)이 약속을 지키지 않자 진목공(秦穆公)이 진(晉)을 정벌하여 혜공을 생포
기원전 638년홍수 전투초성왕송양공을 상대로 대승. 송양지인 고사의 배경
기원전 632년성복 전투진문공, 초나라의 북진을 저지[3].
기원전 627년효산 전투진(晉)나라의 선진, 맹명시·백을병·서걸술의 진(秦)군을 섬멸[4]
기원전 597년필 전투초장왕, 진(晉)나라를 격파
기원전 589년안 전투[5]진(晉), 노(魯), 위(衛), 조(曹) 연합군이 제(齊)를 정벌
기원전 575년언릉 전투초나라가 진나라에게 패배. 초나라 패권의 종말
기원전 584년 - 기원전 519년오(吳)-초(楚)
강회(江淮) 쟁탈전
10여 차례 전투 끝에 오나라가 초나라의 소(巢), 서(徐), 주래(州來)를 점령
기원전 506년백거 전투손무, 오자서가 이끄는 오(吳), 채(蔡), 당(唐) 연합군이 영윤 낭와, 심윤술이 이끄는 초(楚)군을 격파하고 초나라의 수도 점령
기원전 496년취리 전투합려, 월왕 구천과 싸우다 입은 부상으로 사망
기원전 494년회계산 전투취리 전투의 보복. 오왕 부차가 구천을 포로로 잡음
기원전 484년애릉 전투오왕 부차가 노나라와 연합하여 제나라를 격파. 전국시대 섬멸전의 시초
기원전 482년홍상 전투월왕 구천이 북쪽으로 진출하던 오나라의 배후를 공격
기원전 478년입택 전투고소 근처에서 월군이 오군을 상대로 대승
기원전 475년 - 기원전 473년고소성 포위전오나라의 멸망
기원전 455년 - 기원전 453년진양 전투지(知)씨의 멸망과 삼가분진. 춘추시대와 전국시대의 분수령


1.3. 전국시대[편집]


발생 연도명칭개요
기원전 419년 - 기원전 408년위(魏)의 하서 공략위문후, 오기를 등용하여 진나라의 하서를 공략하고 서하군을 설치
기원전 405년 - 기원전 404년늠구 전투삼진 연합군이 제나라의 내란을 정리, 이후 삼진의 정식 제후 임명
기원전 389년음진 전투위의 서하군수 오기, 진의 대군을 소수의 군대로 대파, 위나라의 하서 장악
기원전 383년 - 기원전 381년극포 전투위(衛), 위(魏), 제(齊) vs 조(趙), 초(楚)
기원전 369년탁택 전투조·한 연합군의 위나라 계승 분쟁 간섭
기원전 364년석문산 전투진나라가 하서의 위군을 격파하고 6만명을 참수
기원전 362년회북 전투위군이 회수 북쪽에서 조·한 연합군을 격파하다.
기원전 354년계릉 전투손빈과 방연의 1차전. 방연의 패배
기원전 342년마릉 전투전기와 손빈이 이끄는 제나라군이 마릉에서 위나라 방연의 군대 대파
기원전 323년상구 전투진나라, 한, 위에게 길을 빌려 제나라를 공격하나 광장이 이끄는 제나라군에 대패하다.
기원전 318년1차 함곡관 전투한, 조, 위, 연, 제 연합군이 의거와 함께 진을 공격하나 함곡관에서 대패하고 8만 2천명이 참살
기원전 317년관택 전투삼진이 진나라에게 패하자 제나라가 삼진의 국경을 공격, 조, 위 연합군이 맞서싸우나 제나라에 패배
기원전 312년단양·남전 전투초나라와 진나라의 총력전.[6]
기원전 308년의양 전투진나라의 감무가 한나라의 의양(宜陽)을 점령, 한나라 병사 6만을 참수
기원전 301년수사 전투제, 위, 한 연합군이 수사(垂沙)에서 초나라를 격파[7]
기원전 298년 -
기원전 296년
2차 함곡관 전투제나라의 광장을 필두로 한 합종군이 함곡관 돌파, 진나라는 황하 동쪽 한·위의 영토를 반환
기원전 293년이궐 전투진나라의 백기, 낙양 남쪽 이수 협곡에서 한·위 연합군 24만을 참살
기원전 284년제서 전투악의가 이끄는 5국 합종군의 제나라 정벌
기원전 284 - 기원전 279년즉묵 전투제나라 전단의 화우지계
기원전 280년검중 전투
기원전 279 - 기원전 278년언영 전투진나라의 백기, 초나라의 수도 영(郢)을 점령
기원전 273년화양 전투진나라의 백기, 위·조 연합군 13만을 참살
기원전 270년알여 전투조나라의 조사, 알여에서 진나라의 호양을 격파
기원전 264년형성 전투백기, 한나라의 형성을 공격하여 다섯 개 성을 점령하고 5만명 참살
기원전 262년 - 기원전 260년장평대전진나라의 백기, 조나라를 대파하여 40만 조군 참살
기원전 259년 - 기원전 257년한단 포위전신릉군이 병부를 훔쳐 조나라를 구원
기원전 251년호대 전투조나라가 연나라의 침공을 방어하고 역으로 연나라의 수도 계를 포위
기원전 247년하외 전투신릉군이 합종군을 이끌고 몽오를 격파하고 함곡관 포위
기원전 241년3차 함곡관 전투춘신군 황헐이 이끄는 5국 합종군이 함곡관에서 해산
기원전 233년비 전투조나라의 이목, 환의가 이끄는 10만 진군을 섬멸
기원전 232년번오 전투조나라의 이목, 진나라의 왕전이 이끄는 30만 대군을 번오, 낭맹에서 격파
기원전 225년성보 전투초나라의 항연, 이신이 이끄는 진나라의 20만 대군을 격파
기원전 223년기 전투왕전이 이끄는 60만 대군이 초나라의 항연을 격파, 초나라의 멸망


1.4. 초한쟁패기[편집]


발생 연도명칭개요
기원전 207년거록대전항우가 조나라를 구원하여 왕리의 북방군을 격파
기원전 205년팽성대전팽성을 빼앗긴 항우의 역습
기원전 205년경색 전투유방의 구사일생
기원전 205년안읍 전투한신의 위나라 정벌
기원전 204년정형 전투한신의 조나라 정벌
기원전 204년형양 · 성고 전역유방의 탱킹
기원전 204년유수 전투한신이 제(齊)를 구원하러 온 초(楚)의 용저를 격파
기원전 203년고릉 전투
기원전 202년해하 전투항우의 죽음과 초한쟁패의 종결


1.5. 한나라[편집]


발생 연도명칭개요
기원전 200년백등산 포위전유방의 대굴욕
기원전 154년오초7국의 난오(吳), 초(楚) 등 일곱 왕국이 반란을 일으키나 주아부에게 진압
기원전 154년하읍 전투
기원전 144년상군 전투
기원전 133년마읍 전투
기원전 127년하남 전투
기원전 124년막남 전투
기원전 121년하서 전투
기원전 119년막북 전투
기원전 109년왕검성 전투무제의 위만조선 정복
기원전 104년제1차 대완 원정한나라의 이광리가 대완으로 원정을 떠났으나 실패
기원전 102년제2차 대완 원정이광리, 다시 대완으로 원정을 떠나 페르가나를 점령
23년곤양 전투유수, 신나라의 대군을 격파
200년관도 전투원소의 침공을 방어해낸 조조
208년적벽 전투조조, 천하통일의 코앞에서 주유에게 격퇴

삼국시대 전투는 삼국지 항목의 관련 사건/전투 문단 참조.


2. 중세 중국[편집]



2.1. 서진·동진·오호십육국시대[편집]


발생 연도명칭개요
291년 - 306년팔왕의 난
311년영가의 난
354년노구 전투
358년산치 전투
359년동아 전투
361년야왕 전투
372년경구성 전투환온이 유희, 유막 형제의 반란 진압
383년비수대전부견의 천하통일을 위한 남정(南征)
395년참합피 전투북위(北魏) vs 후연(後燕)
416년 - 418년유유의 북벌


2.2. 남북조시대[편집]


발생 연도명칭개요
507년종리 전투
529년대통북벌
547년 - 552년후경의 난


2.3. 시대[편집]



2.3.1. 수당교체기[편집]


발생 연도명칭개요
616년태원전투
617년하간 전투
617년곽읍 전투
618년천수원 전투
619년백벽 전투
621년호뢰 전투
622년명수 전투
622년하박 전투


2.3.2. 당나라[편집]


발생 연도명칭개요
670년대비천 전투
696년이진충의 난
698년천문령 전투
733년마도산 전투
751년탈라스 전투
755년 - 763년안사의 난
859년구보의 난
868년방훈의 난
875년 - 884년황소의 난


2.4. 오대십국~원나라[편집]


발생 연도명칭개요
979년고량하 전투
1072년희하개변
1083년영락성 전투
1114년출하점 전투
1161년채석기 전투
1211년야호령 전투
1229년대창원 전투
1231년도회곡 전투
1232년삼봉산 전투
1258년 - 1259년악주 전투
1259년조어성 전투
1235년 - 1273년양양 공방전
1275년정가주 전투
1279년애산 전투


3. 근세 중국[편집]



3.1. 명나라[편집]


발생 연도명칭개요
1363년파양호 전투
1574년마닐라 전투
1619년사르후 전투
1626년영원성 전투
1641년송산 전투


3.2. 동녕 왕국청나라[편집]




4. 근현대 중국[편집]



4.1. 중화민국 임시정부[편집]


발생 연도명칭개요
1911년우창봉기
1911년신해혁명


4.2. 중화민국/북양정부[편집]





4.3. 중화민국/국민정부[편집]




4.4. 중화인민공화국[편집]


발생 연도명칭개요
1950년티베트 침공


4.4.1. 한국전쟁[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04:37:28에 나무위키 전투 목록/중국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주(周)·괵(虢)·채(蔡)·위(衛)·진(陳)으로 구성.[2] 주환왕의 어깨에 상처를 입혀 천자의 권위를 떨어뜨렸다.[3] 진 문공은 유리한 전황에서도 초나라 망명 시절 초 성왕과 한 약속을 지켜 삼사를 후퇴한 후, 추격해온 초나라 영윤 자옥의 군대를 이어진 회전에서 격파하였다.[4] 효산은 현재 링바오시 남쪽으로 진령산맥을 구성한다.[5] 미계 전투라고도 함.[6] 한중을 상실한 초군이 관중평야 남전까지 반격하나 결국 초나라가 진나라에게 대패, 한중에서 상용까지 이르는 방대한 영토를 상실한다.[7] 제의 광장, 위의 공손희, 한의 폭연이 이끄는 연합군이 초나라 군대를 대파하고 그 지휘관 당말을 전사시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