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북 현대 모터스/2011년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전북 현대 모터스



파일:attachment/uploadfile/klcs2011.jpgKC 순위경기 득점 실점득실 차승점
1 / 6220042+26

파일:/image/022/2011/02/22/20110222001914_0.jpg정규 순위경기 득점 실점득실 차승점
1 / 153018936732+3563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1성)로고.svg
전북 현대 모터스 2011 시즌
구단주정의선
단장이철근
감독최강희 (~2011/12/21)[1]
수석 코치이흥실
주장조성환
시즌 결과
파일:attachment/uploadfile/klcs2011.jpg1위(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2위)
(2전 2승 0무 0패 4득점 2실점)
파일:/image/022/2011/02/22/20110222001914_0.jpg1위(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2위)
(30전 18승 9무 3패 67득점 32실점)
파일:AFC 챔피언스 리그 로고(2008~2020).svg준우승
(12전 9승 1무 2패 33득점 12실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ush_%26_Cash_Cup_2011.png8강
(1전 0승 0무 1패 1득점 4실점)
파일:FA컵(대한민국) 심볼.svg16강
(2전 1승 0무 1패 3득점 3실점)
합산 성적47전 30승 10무 7패 108득점 53실점
최다 득점이동국 (25골)
최다 도움이동국 (15도움)

1. 프롤로그 : Green Shouting! 2011
2. 2011 시즌 선수단
2.1. 임대 선수 명단
3. 매니지먼트 팀
4. 이적 시장
4.1. 겨울 이적시장
4.1.1. IN
4.1.2. OUT
4.2. 여름 이적시장
4.2.1. IN
4.2.2. OUT
6.1. 조별리그
6.1.1. 1차전, 03월 02일 vs. 산둥 루넝 (홈, 1:0 승)
6.1.2. 2차전, 03월 12일 vs. 아레마 말랑 (원정, 0:4 승)
6.1.3. 3차전, 04월 05일 vs. 세레소 오사카 (원정, 1:0 패)
6.1.4. 4차전, 04월 20일 vs. 세레소 오사카 (홈, 1:0 승)
6.1.5. 5차전, 05월 03일 vs. 산둥 루넝 (원정, 1:2 승)
6.1.6. 6차전, 05월 10일 vs. 아레마 말랑 (홈, 6:0 승)
6.2. 16강
6.2.1. 단판, 05월 24일 vs. 톈진 터다 (홈, 3:0 승)
6.3. 8강
6.3.1. 1차전, 09월 14일 vs. 세레소 오사카 (원정, 4:3 패)
6.3.2. 2차전, 09월 27일 vs. 세레소 오사카 (홈, 1:6 승)
6.4. 준결승
6.4.1. 1차전, 10월 19일 vs. 알이티하드 (원정, 2:3 승)
6.4.2. 2차전, 10월 26일 vs. 알이티하드 (홈, 1:2 패)
6.5. 결승
6.5.1. 단판, 11월 05일 vs. 알사드 (홈, 2:2 / 2:4 PSO패)
8.1. 8강, 06월 29일 vs. 울산 (홈, 4:1 패)
9.1. 16강, 06월 15일 vs. 부산 (홈, 1:2 패)
10. 시즌 평가
10.1. 주요 기록
10.2. 수상 내역
10.3. 시즌 총평
11. 여담



1. 프롤로그 : Green Shouting! 2011[편집]


파일:0000038229_c.jpg
2011년 전북 현대는 K리그를 정복했다. 시즌 초부터 마지막까지 단 한 번도 흔들림 없이 아시아 챔피언스리그와 K리그 두 대회 동시 결승에 진출했다. 둘 다 결승에 오르기란 결코 쉽지 않다. 더블 스쿼드, 선택과 집중, 운도 따라줘야 하는데 ACL에서는 단지 ‘운’이 없어 준우승에 머물렀지만 리그에서 정상에 오르며 ‘전북 천하’를 이룩했다.

닥공(닥치고 공격)’을 앞세운 전북은 2011년 리그 역대 최다 득점 기록을 경신했다. 챔피언결정전 1, 2차전을 포함해 리그 32경기에서 71득점(평균 2.187)의 골을 넣어 K리그 신기록을 달성했다. 역대 최다 무패 기록인 성남 일화(2006년 10월 22일~2007년 8월 11일)의 22경기 타이를 이뤘다. 수비도 32실점밖에 내주지 않으며 전남, 울산(29실점)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완벽한 공수 하모니를 이루며 K리그 통산 두 번째 별을 품었다.

파일:0000038230_c.jpg



2. 2011 시즌 선수단[편집]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1성)로고.svg
전북 현대 모터스 2011시즌 선수단
[ 펼치기 · 접기 ]

번호포지션이름국적생년월일신체조건
3DF심우연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5년 4월 3일196cm / 83kg
4DF김상식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6년 12월 17일184cm / 72kg
5MF손승준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2년 5월 16일186cm / 77kg
6MF진경선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0년 4월 10일178cm / 72kg
8MF에닝요파일:브라질 국기.svg1981년 5월 16일177cm / 73kg
9FW정성훈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9년 7월 4일190cm / 84kg
10MF루이스파일:브라질 국기.svg1981년 7월 2일178cm / 70kg
11MF이승현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5년 7월 25일176cm / 69kg
13MF정훈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5년 8월 31일175cm / 70kg
15FW김동찬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6년 4월 19일168cm / 70kg
16DF조성환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2년 4월 9일183cm / 77kg
17MF임유환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3년 12월 2일184cm / 79kg
18MF황보원파일:중국 국기.svg1987년 7월 13일177cm / 65kg
19FW로브렉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1979년 9월 11일182cm / 74kg
20FW이동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9년 4월 29일187cm / 83kg
21GK김민식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5년 10월 29일187cm / 83kg
22MF김형범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4년 1월 1일174cm / 69kg
23MF하성민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7년 6월 13일184cm / 78kg
25DF최철순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7년 2월 8일175cm / 68kg
26MF서정진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9년 9월 6일175cm / 65kg
27MF김지웅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9년 1월 14일176cm / 72kg
28MF박정훈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8년 6월 28일180cm / 73kg
29DF이광현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1년 7월 18일183cm / 82kg
30DF전광환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2년 7월 29일173cm / 65kg
31GK홍정남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8년 5월 21일186cm / 79kg
32DF김재환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8년 5월 27일184cm / 76kg
33MF박원재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4년 5월 28일175cm / 69kg
34DF김민학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8년 10월 4일172cm / 71kg
35DF오종철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8년 8월 21일179cm / 75kg
36DF김승록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1년 7월 13일177cm / 74kg
37DF임동준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7년 7월 13일177cm / 70kg
38DF김경민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2년 8월 18일180cm / 80kg
39MF강경원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2년 4월 20일176cm / 70kg
41GK이범수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0년 12월 10일190cm / 84kg
염동균
강승조

※ 주의 이 틀은 기기 환경에 따라 볼 때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2.1. 임대 선수 명단[편집]


전북 현대 모터스 2011 시즌 임대 선수 명단
이름포지션국적임대 이적 팀비고
권순태GK파일:대한민국 국기.svg상주 상무 피닉스군경팀 입단


3. 매니지먼트 팀[편집]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1성)로고.svg
전북 현대 모터스 2011시즌 매니지먼트 팀
[ 펼치기 · 접기 ]

전북 현대 모터스 2011시즌 매니지먼트 팀
감독최강희
수석 코치이흥실
코치신홍기
골키퍼 코치최인영
피지컬 코치파비우 레푼지스


4. 이적 시장[편집]



4.1. 겨울 이적시장[편집]



4.1.1. IN[편집]


전북 현대 모터스 2011 시즌 겨울 이적시장 영입 선수 명단
이름포지션전 소속팀방식
하성민MF부산 아이파크임대복귀
정성훈FW부산 아이파크트레이드
이승현MF부산 아이파크트레이드[2]
김동찬FW경남 FC현금 트레이드
염동균[제명]GK전남 드래곤즈이적
황보원MF베이징 궈안이적
박정훈MF고려대학교드래프트(1순위)
김재환DF전주대학교드래프트(2순위)
오종철DF한양대학교드래프트(4순위)
김승록DF경기영상과학고드래프트(5순위)
임동준DF단국대학교드래프트(번외)
김경민DF문일고등학교드래프트(번외)
김학진DF광운대학교드래프트(번외)
강경원MF광명공고드래프트(번외)


4.1.2. OUT[편집]


전북 현대 모터스 2011 시즌 겨울 이적시장 방출 선수 명단
이름포지션이적팀방식
권순태GK상주 상무 피닉스군경구단 임대
임상협FW부산 아이파크트레이드
이요한DF부산 아이파크트레이드
김승용FW감바 오사카이적(8억)
성종현DF선양 동진이적
펑샤오팅DF광저우 헝다이적
이광재FW연변 FC이적
이남수DF김해시청 축구단이적
주재덕GK대구 FC계약해지
김은후MF강원 FC계약만료
권순학FW목포시청 축구단계약만료
황민MF인천 코레일계약만료
양동철MF대전 한수원계약만료
김의섭MF[3]방출
김성재DF[4]방출
송재한FW정보 없음방출


4.2. 여름 이적시장[편집]



4.2.1. IN[편집]


전북 현대 모터스 2011 시즌 시즌중 / 여름 이적시장 영입 선수 명단
이름포지션전 소속팀방식
김영우MF경남 FC트레이드[5]


4.2.2. OUT[편집]


전북 현대 모터스 2011 시즌 시즌중 / 여름 이적시장 방출 선수 명단
이름포지션이적팀방식
강승조MF경남 FC트레이드
염동균[제명]GK제명[6]임의탈퇴


5. 유니폼[편집]


• 자세한 정보는 전북 현대 모터스/유니폼 참고.


6. 2011 AFC 챔피언스리그[편집]


2011시즌은 모든 대회 우승을 노리다 모두 놓쳤던 2010 시즌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 철저하게 정규리그와 ACL에만 집중하는 전략을 썼고 결국 두대회 모두 결승 진출 확정.
하지만 11월 5일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AFC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에서는 알 사드와 승부차기 까지 가는 접전끝에 2:2(PK 2:4)로 패배. 가뜩이나 비매너와 침대축구로 빈축을 사고 있던 알 사드에게 안방에서 우승컵을 내주고 말았다.


6.1. 조별리그[편집]


2011 AFC 챔피언스리그 G조
순위경기 수 득점 실점득실 차승점
1전북 현대 모터스6501142+1215
2세레소 오사카6402114+712
3산둥 루넝621398+17
4아레마 말랑6015222-201


6.1.1. 1차전, 03월 02일 vs. 산둥 루넝 (홈, 1:0 승)[편집]


전주월드컵경기장, 관중:3,826명
전북 : 박원재(59분)
산둥 : -
1:0 승


6.1.2. 2차전, 03월 12일 vs. 아레마 말랑 (원정, 0:4 승)[편집]


칸주루한 스타디움
아레마 : -
전북 : 김지웅(25분), 황보원(77분), 루이스(82분, 88분)
0:4 승


6.1.3. 3차전, 04월 05일 vs. 세레소 오사카 (원정, 1:0 패)[편집]


나가이 스타디움
세레소 : 이누이(53분)
전북 : -
1:0 패


6.1.4. 4차전, 04월 20일 vs. 세레소 오사카 (홈, 1:0 승)[편집]


전주월드컵경기장
전북 : 이동국(77분)
세레소 : -
1:0 승


6.1.5. 5차전, 05월 03일 vs. 산둥 루넝 (원정, 1:2 승)[편집]


지난 올림픽 스포츠 센터 경기장
산둥 : Zhou Haibin(40분)
전북 : 이동국(31분, 53분)
1:2 승


6.1.6. 6차전, 05월 10일 vs. 아레마 말랑 (홈, 6:0 승)[편집]


전주월드컵경기장
전북 : 로브렉(1분,45+2분, 60분), 김동찬(9분), 정성훈(27분), 강승조(77분)
아레마 : -
6:0 승


6.2. 16강[편집]



6.2.1. 단판, 05월 24일 vs. 톈진 터다 (홈, 3:0 승)[편집]




6.3. 8강[편집]



6.3.1. 1차전, 09월 14일 vs. 세레소 오사카 (원정, 4:3 패)[편집]




6.3.2. 2차전, 09월 27일 vs. 세레소 오사카 (홈, 1:6 승)[편집]




6.4. 준결승[편집]



6.4.1. 1차전, 10월 19일 vs. 알이티하드 (원정, 2:3 승)[편집]




6.4.2. 2차전, 10월 26일 vs. 알이티하드 (홈, 1:2 패)[편집]




6.5. 결승[편집]



6.5.1. 단판, 11월 05일 vs. 알사드 (홈, 2:2 / 2:4 PSO패)[편집]


19시, 전주월드컵경기장, 관중:41,805명, 주심:랍샨 이르마토프
전북 : 에닝요(17분), 이승현(90+2분)
알사드 : 심우연(30분, OG), 케이타(61분)
2:2 / 2:4 승부차기 패


7. 현대오일뱅크 K리그 2011[편집]


정규리그 1위로 챔피언 결정전에 직행해서 충분한 휴식을 취하며, 챔피언 결정전을 잘 준비했다. 11월 30일에 열린 울산 현대 호랑이와의 챔피언 결정전 원정 1차전에서 에닝요의 두 골로 원정 승리를 가져갔고, 12월 4일 홈에서 열린 2차전에서 선제골을 먼저 내줬지만, 에닝요의 PK골과 루이스의 환상적인 골에 힘입어 2:1로 역전승, 챔피언결정전에서 내리 2승을 거두면서 통산 두 번째 K리그 우승에 성공했다.

파일:attachment/uploadfile/klcs2011.jpgKC 순위경기 득점 실점득실 차승점
1 / 6220042+26

파일:/image/022/2011/02/22/20110222001914_0.jpg정규 순위경기 득점 실점득실 차승점
1 / 153018936732+3563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자세한 내용에 대한 내용은 전북 현대 모터스/2011년/K리그 문서
전북 현대 모터스/2011년/K리그번 문단을
전북 현대 모터스/2011년/K리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러시앤캐시컵 2011[편집]


러시앤캐시컵 2011은 <러시앤캐시>로 유명한 대부업체 A&P파이낸셜과 손잡게 되면서 러시앤캐시컵 2011 라는 이름으로 열게 되었다. A&P 파이낸셜이 K리그 팬들의 우려와 같이 부당한 이익을 얻는 사채업을 하는 것은 아니다. 정부가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대부업을 하고 있다. 그렇지만 현실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사채업과 대부업은 같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A&P 파이낸셜의 K리그 타이틀 스폰서 참여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였다.
전북은 K리그 2010 3위 자격으로 조별예선을 치루지 않고 8강전에 직행했으나 울산에게 4:1로 패하면서 리그컵을 마감했다.


8.1. 8강, 06월 29일 vs. 울산 (홈, 4:1 패)[편집]


울산문수축구경기장, 심판:류희선
울산 : 김신욱(26분, 30분), 최재수(41분), 정대선(53분)
전북 : 박정훈(20분)
4:1 패, 준결승 진출 실패


9. 2011 하나은행 FA컵[편집]


2011 하나은행 FA컵은 준결승 대진 추첨 방식 변화가 생겼다. 축구팬의 제안으로 만들어진 새로운 방식 《원 스타 시스템》을 도입하게 되었는데 이 방식은 준결승 추첨 시 추첨된 번호(1번과 2번, 3번, ★)를 결승 진출 시에도 동일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결승 진출 팀 중 숫자가 낮은 팀의 홈 경기장에서 결승전이 열리게 된다. 그러나.. 8강 진출 실패


9.1. 16강, 06월 15일 vs. 부산 (홈, 1:2 패)[편집]


19시, 전주월드컵경기장, 관중:4,328명
전북 : 조성환(3분)
부산 : 한상운(55분, 64분)
1:2 패, 8강 진출 실패


10. 시즌 평가[편집]



10.1. 주요 기록[편집]


전북 현대 모터스 2011시즌 주요기록
최다 득점이동국 (25골)
최다 도움이동국 (15도움)
최다 공격 포인트이동국 (40P)
한 경기 최다 득점6골
한 경기 최다 실점4골
최다 점수차 승리6골차
최다 점수차 패배3골차
경기 당 평균 득점2.29골
경기 당 평균 실점1.13골
최다 관중41,805명 (vs. 알사드)
최소 관중1,273명 (vs. 부산)
평균 관중14,564명


10.2. 수상 내역[편집]


• AFC 챔피언스리그 : 페어플레이상
• K리그 시상식 : 베스트팀상
• AFC 챔피언스리그 최우수선수상 : 이동국
• AFC 챔피언스리그 득점왕 : 이동국
• K리그 감독상 : 최강희
• K리그 최우수선수상 : 이동국
• K리그 팬타스틱 플레이어상 : 이동국
• K리그 도움상 : 이동국
• K리그 베스트 11 수비수 : 최철순
• K리그 베스트 11 수비수 : 박원재
• K리그 베스트 11 수비수 : 조성환
• K리그 베스트 11 미드필더 : 에닝요
• K리그 베스트 11 공격수 : 이동국


10.3. 시즌 총평[편집]


로테이션 멤버의 확보를 위해 더 움직였다. 2010 시즌 도중 최태욱이 팀을 떠나면서 생긴 공백과 루이스의 부진이 겹치면서 꼬인 것에 대한 각성인지 괜찮은 선수들의 영입을 위해 발빠르게 움직였다. 일단 부산에 임상협과 이요한을 내주고 정성훈과 이승현을 영입, 백업층을 한층 더 두텁게 했다. 주전 GK 권순태의 입대 공백은 전남의 주전 GK 염동균을 영입해 메웠으며 펑샤오팅을 25억에 팔아 남는 장사를 한 후 아시아 쿼터제를 이용해 중국의 미드필더 황보원을 영입했다. 그리고 경남에서 김동찬마저 영입, 적어도 공격진은 확실히 로테이션도 가능한 선수층을 확보했다.

전북으로서는 올시즌 선전에 염동균의 선방이 힘이 되어준 바가 큰데 주전 골키퍼가 이탈하여 전력에 큰 손실을 입게 되었다. 하지만 다행히도 2008년에 입단해 2011년 5월까지 겨우 9경기밖에 뛰지 못했던 백업 골키퍼 김민식이 주전으로 기용되며 이후 경기에서 경기당 평균 1실점의 괜찮은 성적으로 골문을 든든히 지키며 팀의 정규리그 1위 등극과 ACL 결승 진출에 힘을 보탰다.

2011시즌 전북은 그야말로 닥공(닥치고 공격)의 진수를 보여주었다. 정규리그 30경기에서 67골, 플레이오프 2경기에서 4골, 컵대회 1경기에서 1골, AFC 챔피언스 리그 12경기에서 33골, FA컵 2경기에서 3골로 도합 47경기에서 108골로 경기당 2.29골을 쏟아부었다.


11. 여담[편집]


• 2011년 6월 24일, 전남에 이적료 10억을 주고 영입한 주전 골키퍼 염동균이 작년 전남시절 승부조작 가담 관련건으로 자진신고했다. 최강희 감독과 전북 구단은 프로축구연맹에 신고하고 바로 다음날 상주 경기에 염동균을 제외하고 경기를 치렀다. 염동균은 검찰에 자진출두하여 조사를 받았고 이후 유죄를 선고받아 축구계에서 영구제명되었다.

• 2011년 9월 27일 AFC 챔피언스 리그 세레소 오사카와의 8강 2차전 경기에서 동일본 대지진을 축하합니다'라는 내용의 플래카드가 걸려 큰 파문이 일었다. 전북 구단은 일부 팬들의 불미스러운 행동으로 물의를 일으킨 점을 팬들에게 머리 숙여 사과했으며 플래카드를 걸었던 관중에게는 10년 동안 홈경기 입장을 금지시켰다. 기사
파일:external/keyframe.imnews.imbc.com/Large_1350765.jpg
그런데 MBC 스포츠 뉴스에선 어느 무개념 팬 몇 명이 건 걸개를서포터 차원에서 걸었다는 식으로 조작하여 왜곡보도했다.
한편, 이런 걸개는 언론을 통해 일본인들의 뇌리에 깊히 박혀 오래토록 혐한의 주요 떡밥이 되고 있다. 2016년 울산에서 규모 5.0의 지진에 대한 일본인들의 반응은 '괜찮습니까? 축하는 하지 않겠습니다.' 등의 2011년 당시 축하걸개를 암시하는 듯한 뼈 있는 댓글들이 이어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23:56:38에 나무위키 전북 현대 모터스/2011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감독직 수행, 2013 시즌 중 복귀[2] 이승현 + 정성훈 ↔ 임상협 + 이요한[제명] A B 2011 K리그 승부조작 사건[3] 2012년부터 챌린저스리그 춘천 시민축구단에서 활동하며 팀 내 핵심 전력으로 평가받았으나, 2012년 가을 포천 시민축구단과의 경기 도중 심각한 무릎 부상을 당했다고 하며 이후로는 근황이 불명확하다. 해당 부상으로 인해 선수 생활을 정리한 것으로 추정된다.[4] 이후 별다른 소속이 전해지지 않다가, 2014년 챌린저스리그 팀인 양주 시민축구단에 입단하며 오랜만에 근황을 알렸다.[5] 김영우 ↔ 강승조[6] 2011년 6월 26일, K리그 승부조작 사건 이후 자진신고 기간에 승부조작에 가담했음을 밝혔으며, 한국프로축구연맹으로부터 영구제명 처분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