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노스 파샤

덤프버전 : (♥ 0)

파일:Seal_of_the_Ottoman_Grand_Vizier_Flag.png
오스만 제국 대재상
[ 펼치기 · 접기 ]

알라엣딘 파샤니자뮛딘 아흐메트 파샤하즈 파샤시나뉫딘 파키흐 유수프 파샤찬다를르 카라 할릴 하이렛딘 파샤
찬다를르 알리 파샤오스만즈클르 이맘자데 할릴 파샤바예지트 파샤찬다를르 이브라힘 파샤코자 메흐메트 니자뮛딘 파샤
찬다를르 할릴 파샤자노스 파샤벨리 마흐무트 파샤룸 메흐메트 파샤이스학 파샤
벨리 마흐무트 파샤게디크 아흐메트 파샤호자 시난 파샤카나마를르 메흐메트 파샤이스학 파샤
코자 다부트 파샤헤르세클리 아흐메트 파샤찬다를르 이브라힘 파샤메시흐 파샤하듬 알리 파샤
헤르세클리 아흐메트 파샤하듬 알리 파샤헤르세클리 아흐메트 파샤코자 무스타파 파샤헤르세클리 아흐메트 파샤
두카키놀루 아흐메트 파샤하듬 시난 파샤헤르세클리 아흐메트 파샤하듬 시난 파샤유누스 파샤
피리 메흐메트 파샤이브라힘 파샤아야스 메흐메트 파샤뤼트피 파샤하듬 쉴레이만 파샤
다마트 뤼스템 파샤카라 아흐메트 파샤다마트 뤼스템 파샤세미즈 알리 파샤소콜루 메흐메트 파샤
솀시 아흐메트 파샤랄라 무스타파 파샤코자 시난 파샤카니젤리 시야부쉬 파샤외즈데미롤루 오스만 파샤
하딤 메시흐 메흐메트 파샤카니젤리 시야부쉬 파샤코자 시난 파샤세르다르 페르하트 파샤카니젤리 시야부쉬 파샤
코자 시난 파샤세르다르 페르하트 파샤코자 시난 파샤테켈리 랄라 메흐메트 파샤코자 시난 파샤
다마트 이브라힘 파샤유수프 시난 파샤다마트 이브라힘 파샤하듬 하산 파샤제라흐 메흐메트 파샤
다마트 이브라힘 파샤예미슈치 하산 파샤말코치 야부즈 알리 파샤소콜루자데 랄라 메흐메트 파샤보슈나크 데르비쉬 메흐메트 파샤
쿠유주 무라트 파샤나수흐 파샤외퀴즈 메흐메트 파샤다마트 할릴 파샤외퀴즈 메흐메트 파샤
이스탄쾨일뤼 첼레비 알리 파샤오흐릴리 휘세인 파샤딜라베르 파샤오흐릴리 휘세인 파샤카라 다부트 파샤
메레 휘세인 파샤레프켈리 무스타파 파샤귀르쥐 하딤 메흐메트 파샤메레 휘세인 파샤케만케쉬 카라 알리 파샤
체르케스 메흐메트 알리 파샤하프즈 아흐메트 파샤다마트 할릴 파샤휘스레브 파샤하프즈 아흐메트 파샤
토팔 레세프 파샤타바느나스 메흐메트 파샤바이람 파샤타야르 메흐메트 파샤케만케쉬 카라 무스타파 파샤
술탄자데 메흐메트 파샤네베시늘리 살리흐 파샤카라 무사 파샤헤자르파레 아흐메트 파샤소푸 메흐메트 파샤
카라 무라트 파샤멜레크 아흐메트 파샤시야부쉬 파샤귀르쥐 메흐메트 파샤타르훈주 아흐메트 파샤
브클르 코자 데르비쉬 메흐메트 파샤이브쉬르 무스타파 파샤카라 무라트 파샤에르메니 쉴레이만 파샤델리 휘세인 파샤
주르나젠 무스타파 파샤시야부쉬 파샤보이누야랄르 메흐메트 파샤쾨르륄뤼 메흐메트 파샤쾨르륄뤼 파즐 아흐메트 파샤
메르지폰루 카라 무스타파 파샤바이부르틀루 카라 이브라힘 파샤사르 쉴레이만 파샤쾨르륄뤼 다마드 아바자 시야부쉬 파샤니샨즈 이스말리 파샤
테키르달리 베크리 무스타파 파샤쾨르륄뤼 파즐 무스타파 파샤바하드르자데 아라바즈 알리 파샤메르지폰루 찰륵 하즈 알리 파샤보조클루 무스타파 파샤
쉬르멜리 알리 파샤엘마스 에흐메트 파샤쾨르륄뤼 암자자데 하즈 휘세인 파샤달타반 무스타파 파샤라미 메흐메트 파샤
카바노즈 아흐메트 파샤다마트 하산 파샤칼라일르코즈 하즈 아흐메트 파샤발타즈 메흐메트 파샤다마트 초를루루 알리 파샤
쾨프륄뤼자데 다마트 누만 파샤발타즈 메흐메트 파샤귀르쥐 아 유수프 파샤실라흐다르 쉴레이만 파샤호자 이브라힘 파샤
실라흐다르 다마트 알리 파샤하즈 할릴 파샤니샨즈 메흐메트 파샤네브셰히를리 다마트 이브라힘 파샤실라흐다르 다마트 메흐메트 파샤
카바쿨라크 이브라힘 파샤토팔 오스만 파샤헤키몰루 알리 파샤귀르쥐 이스말리 파샤실라흐다르 다마트 디메토칼르 메흐메트 파샤
무신자데 압둘라 파샤옌 메흐메트 파샤하즈 이바자데 메흐메트 파샤니샨즈 셰흘라 하즈 아흐메트 파샤헤키몰루 알리 파샤
세이드 하산 파샤티르야키 하즈 메흐메트 파샤세이드 압둘라 파샤디비트다르 메흐메트 에민 파샤초를루루 쾨세 바히르 무스타파 파샤
헤키몰루 알리 파샤나일리 압둘라 파샤실라흐다르 브클르 알리 파샤이르미세키자데 메흐메트 사이드 파샤초를루루 쾨세 바히르 무스타파 파샤
코자 메흐메트 라그프 파샤테브키 함자 하미트 파샤초를루루 쾨세 바히르 무스타파 파샤무신자데 메흐메트 파샤실라흐다르 마히르 함자 파샤
얄르크츠자데 메흐메트 에민 파샤몰도반즈 알리 파샤이바자데 할릴 파샤실라흐다르 메흐메트 파샤무신자데 메흐메트 파샤
이제트 메흐메트 파샤얄르크츠자데 데르비쉬 메흐메트 파샤다렌델리 제베지자데 메흐메트 파샤칼라파트 메흐메트 파샤실라흐다르 카라베지르 세이드 메흐메트 파샤
이제트 메흐메트 파샤옌 세이드 메흐메트 파샤할릴 하미트 파샤하지네다르 샤신 알리 파샤코자 유수프 파샤
케튀다 하산 파샤제자이를리 가지 하산 파샤루스추클루 첼레비자데 셰리프 하산 파샤코자 유수프 파샤다마트 멜레크 메흐메트 파샤
사프란볼루루 이제트 메흐메트 파샤쾨르 유수프 지야위딘 파샤보스탄즈바쉬 하프즈 이스말리 파샤이브라힘 힐니 파샤첼레비 무스타파 파샤
알렘다르 무스타파 파샤차부슈바쉬 메미쉬 파샤차르하즈 알리 파샤쾨르 유수프 지야위딘 파샤라즈 아지즈 아흐메트 파샤
후르쉬트 아흐메트 파샤메흐메트 에민 라우프 파샤부르두를루 데르비쉬 메흐메트 파샤이스파르탈르 세이드 알리 파샤벤데를리 알리 파샤
하즈 살리흐 파샤델리 압둘라 파샤실라흐다르 알리 파샤메흐메트 사이드 갈리프 파샤벤데를리 메흐메트 셀림 스르 파샤
토팔 이제트 메흐메트 파샤레시트 메흐메트 파샤메흐메트 에민 라우프 파샤코자 휘스레브 메흐메트 파샤메흐메트 에민 라우프 파샤
토팔 이제트 메흐메트 파샤메흐메트 에민 라우프 파샤코자 무스타파 레쉬드 파샤이브라힘 사림 파샤코자 무스타파 레쉬드 파샤
메흐메트 에민 라우프 파샤코자 무스타파 레쉬드 파샤메흐메트 에민 알리 파샤다마트 메흐메트 알리 파샤무스타파 나일리 파샤
크브르슬르 메흐메트 에민 파샤코자 무스타파 레쉬드 파샤메흐메트 에민 알리 파샤코자 무스타파 레쉬드 파샤무스타파 나일리 파샤
코자 무스타파 레쉬드 파샤메흐메트 에민 알리 파샤크브르슬르 메흐메트 에민 파샤뮈테르짐 메흐메트 뤼쉬디 파샤크브르슬르 메흐메트 에민 파샤
메흐메트 에민 알리 파샤케체지자데 푸아트 파샤유수프 카밀 파샤케체지자데 푸아트 파샤뮈테르짐 메흐메트 뤼쉬디 파샤
메흐메트 에민 알리 파샤마흐무트 네딤 파샤미타트 파샤뮈테르짐 메흐메트 뤼쉬디 파샤아흐메트 에사트 파샤
쉬르바니자데 메흐메트 뤼쉬디 파샤휘세인 아브니 파샤아흐메트 에사트 파샤마흐무트 네딤 파샤뮈테르짐 메흐메트 뤼쉬디 파샤
미타트 파샤이브라힘 에드헴 파샤아흐메트 함디 파샤에흐메트 베피크 파샤메흐메트 사드크 파샤
찬다를르 알리 파샤오스만즈클르 이맘자데 할릴 파샤바예지트 파샤찬다를르 이브라힘 파샤코자 메흐메트 니자뮛딘 파샤
뮈테르짐 메흐메트 뤼쉬디 파샤메흐메트 에사트 사프베트 파샤투누슬루 하이레딘 파샤아흐메트 아리피 파샤메흐메트 사이트 파샤
제나니자데 메흐메트 카드리 파샤메흐메트 사이트 파샤압둘라흐만 누레딘 파샤메흐메트 사이트 파샤아흐메트 베피크 파샤
메흐메트 사이트 파샤카밀 파샤아흐메트 케바트 파샤메흐메트 사이트 파샤카밀 파샤
할릴 리파트 파샤메흐메트 사이트 파샤아블로냘르 메흐메트 페리트 파샤메흐메트 사이트 파샤카밀 파샤
휘세인 힐미 파샤아흐미트 테브피크 파샤휘세인 힐미 파샤이브라힘 하크 파샤메흐메트 사이트 파샤
아흐메트 무흐타르 파샤카밀 파샤마흐무트 셰브케트 파샤사이트 할림 파샤탈라트 파샤
아흐메트 이제트 파샤아흐메트 테브피크 파샤다마트 페리트 파샤알리 르자 파샤살리흐 훌루시 파샤
다마트 페리트 파샤아흐메트 테브피크 파샤
튀르키예 총리 · 튀르키예 부통령




1. 개요
2. 초기 생애와 콘스탄티노플 정복
3. 후기 생애
4. 기타



1. 개요[편집]


? ~ ?

Zağanos Paşa. 1453년부터 1456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재상을 지낸 인물이며, 왕자였던 시절부터 재위기간 초기에 이르기까지 메메드 2세의 최측근이자 조언자였다.


2. 초기 생애와 콘스탄티노플 정복[편집]


알바니아 출신으로, 일부 사료에는 귀족 출신이라고도 하고 또 다른 사료에는 알바니아가 아니라 세르비아나 그리스계라고도 하지만 분명하지 않다. 데브시르메 제도로 징집되어 예니체리가 되었고, 군단 내에서 승진을 계속하여 1444년에 무라드 2세가 퇴위하고 메메드 2세가 즉위했을 때 부재상에 임명되는 한편 무라드의 딸 가운데 하나인 파트마 술탄과 혼인하여 부마가 되었다.

1446년에 메메드 2세가 폐위당하고 무라드 2세가 즉위하자 메메드는 마니사의 총독으로 보내졌는데, 자아노스도 부재상 직에서 해임되어 메메드의 보좌역으로서 마니사로 함께 보내졌다. 이 때 자아노스는 메메드의 최측근 가운데 한 사람으로서, 스승을 뜻하는 라라(lala)라는 칭호를 받았다. 하지만 다른 사료에서는 겔리볼루 총독 겸 해군 총사령관을 지냈다고도 하고, 무라드에 의해 아예 파직되어 아나톨리아 반도 서부의 발르케시르라는 도시로 이주했다고도 한다.

1451년에 무라드 2세가 승하함에 따라 복위한 메메드 2세는 당시 재상이었던 찬다를르 할릴 파샤를 그대로 재상으로 삼았으나, 자아노스 파샤를 부재상으로 임명했다. 하지만 당시에 이미 메메드의 최측근이었던 자아노스는 자신의 지위에 만족하지 않아, 할릴 파샤와 불화를 자주 빚었다고 한다.

이어진 콘스탄티노플 함락에서 자아노스 파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는데, 먼저 공방전 1년 전인 1452년에 루멜리 히사르 건축을 찬다를르 할릴 파샤, 사르자 파샤와 함께 지휘, 감독했다. 이 요새는 공방전을 준비하는 작업 가운데 하나였으며, 메메드는 이 세 대신의 공적을 인정하여 요새의 가장 큰 탑 셋에 각 대신의 이름을 붙였다.

콘스탄티노플 공방전 도중에 자아노스 파샤는 포위를 풀고 퇴각해야 한다는 할릴 파샤의 주장에 맞서 공격을 계속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가장 대표적인 관료였으며, 공방전 도중에 신하국인 세르비아 공국의 광부들을 징집해서 성벽 아래로 굴을 파서 화약을 터뜨리는 공병 부대가 만들어졌을 때는 그 지휘를 맡기도 했다[1]. 또 공방전의 마지막 날에 오스만의 군기를 들고 성벽을 올라 도시를 함락하는 데 큰 공을 세운 것으로 알려진 울루바틀르 하산[2]이 자아노스가 지휘하는 부대 소속이었다고 한다.

공방전 이후 할릴 파샤가 비잔틴 제국과 내통한 혐의로 체포, 처형되자, 그 뒤를 이어 재상에 임명되었다.


3. 후기 생애[편집]


콘스탄티노플 정복 3년 뒤인 1456년, 메메드 2세는 오늘날에는 세르비아의 수도지만 당시에는 헝가리 남부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요새였던 베오그라드 공격에 친히 나섰다. 오스만 제국의 입장에서 베오그라드는 손에 넣을 수만 있다면 오스만 제국의 확장을 최전선에서 막아내고 있는 나라 가운데 하나인 헝가리의 당시 수도 부다로 바로 진격할 수 있을 정도로 중요한 곳이었지만, 헝가리의 섭정이었던 후녀디 야노시가 친히 이끄는 수비군에 막혀 퇴각해야 했다. 그리고 메메드는 베오그라드 정복에 실패한 책임을 당시 재상이었던 자아노스 파샤에게 물었으며, 그를 재상직에서 해임하고 발르케시르로 추방했다. 하지만 빈털터리로 쫓아내지는 않고 상당한 재산을 보장해 주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실제로 자아노스는 이후 발르케시르에 모스크와 무료 급식소, 마드라사, 목욕탕 등을 건설하는 등 도시를 크게 발전시켰다.

그 후 자아노스의 생애는 사료마다 조금씩 다르다. 그 가운데 하나에 따르면 1459년에 다시 콘스탄티노플로 돌아와 1463년에는 해군 총사령관에 임명되고, 1466년에는 그리스 지방의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또는 1461년에 트라페준타 제국을 정복하는 데 참가했다고도 하는데, 이후 1462년에 발르케시르에서 세상을 떠났다고도 하는 한편 1467년부터 1469년까지 트라브존 총독을 지냈다고도 한다.


4. 기타[편집]


메메드 2세 치세 전반기의 주요 인물 가운데 한 명인 동시에, 데브시르메 징집자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재상에까지 오른 인물이기도 하다. 데브시르메는 무라드 1세 때 예니체리를 징집하는 제도로서 처음으로 생기고 무라드 2세 때 이 제도로 예니체리 뿐 아니라 관료까지 징집하도록 하는 등 계속 발전했지만 재상을 내는 데에까지 이르지는 못했는데[3], 자아노스 파샤를 시작으로 투르크계가 재상직을 독점하다시피 하던 시대가 끝나고 데브시르메 징집자 출신들이 재상직에 다수 오르는 시대가 시작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02 10:11:47에 나무위키 자아노스 파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후 이 공병 부대는 라음즈 오자으(Lağımcı Ocağı)라는 이름으로 오스만 제국군 포병대 산하 부대로서 공식적으로 창설되며, 공성전을 벌일 때 대포를 쏘는 한편 굴을 파는 것은 기본적인 공성 전법으로 자리잡는다.[2] 평범한 시파히 병사였으나 공방전 마지막 날 군기를 들고 성벽을 올라 성루에 깃발을 꽂았으며, 화살 수십 대를 맞으면서도 동료 병사들 십수 명이 올라올 때까지 버텨냈다고 전해지는 인물이다. 오늘날에는 실존 인물로서보다 전설상의 인물처럼 다루어지는 면도 있으며, 현대 터키에서 만든 정복자 1453이라는 영화에서는 일개 병사가 아니라 메메드 2세의 최측근인 고위 인사처럼 묘사된다.[3] 비(非)투르크계로서 재상에 오른 최초의 사례는 메메드 1세의 최측근이었으며 무라드 2세 재위 초까지 재상을 지냈던 바예지드 파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