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예지트 파샤

덤프버전 : (♥ 0)

파일:Seal_of_the_Ottoman_Grand_Vizier_Flag.png
오스만 제국 대재상
[ 펼치기 · 접기 ]

알라엣딘 파샤니자뮛딘 아흐메트 파샤하즈 파샤시나뉫딘 파키흐 유수프 파샤찬다를르 카라 할릴 하이렛딘 파샤
찬다를르 알리 파샤오스만즈클르 이맘자데 할릴 파샤바예지트 파샤찬다를르 이브라힘 파샤코자 메흐메트 니자뮛딘 파샤
찬다를르 할릴 파샤자노스 파샤벨리 마흐무트 파샤룸 메흐메트 파샤이스학 파샤
벨리 마흐무트 파샤게디크 아흐메트 파샤호자 시난 파샤카나마를르 메흐메트 파샤이스학 파샤
코자 다부트 파샤헤르세클리 아흐메트 파샤찬다를르 이브라힘 파샤메시흐 파샤하듬 알리 파샤
헤르세클리 아흐메트 파샤하듬 알리 파샤헤르세클리 아흐메트 파샤코자 무스타파 파샤헤르세클리 아흐메트 파샤
두카키놀루 아흐메트 파샤하듬 시난 파샤헤르세클리 아흐메트 파샤하듬 시난 파샤유누스 파샤
피리 메흐메트 파샤이브라힘 파샤아야스 메흐메트 파샤뤼트피 파샤하듬 쉴레이만 파샤
다마트 뤼스템 파샤카라 아흐메트 파샤다마트 뤼스템 파샤세미즈 알리 파샤소콜루 메흐메트 파샤
솀시 아흐메트 파샤랄라 무스타파 파샤코자 시난 파샤카니젤리 시야부쉬 파샤외즈데미롤루 오스만 파샤
하딤 메시흐 메흐메트 파샤카니젤리 시야부쉬 파샤코자 시난 파샤세르다르 페르하트 파샤카니젤리 시야부쉬 파샤
코자 시난 파샤세르다르 페르하트 파샤코자 시난 파샤테켈리 랄라 메흐메트 파샤코자 시난 파샤
다마트 이브라힘 파샤유수프 시난 파샤다마트 이브라힘 파샤하듬 하산 파샤제라흐 메흐메트 파샤
다마트 이브라힘 파샤예미슈치 하산 파샤말코치 야부즈 알리 파샤소콜루자데 랄라 메흐메트 파샤보슈나크 데르비쉬 메흐메트 파샤
쿠유주 무라트 파샤나수흐 파샤외퀴즈 메흐메트 파샤다마트 할릴 파샤외퀴즈 메흐메트 파샤
이스탄쾨일뤼 첼레비 알리 파샤오흐릴리 휘세인 파샤딜라베르 파샤오흐릴리 휘세인 파샤카라 다부트 파샤
메레 휘세인 파샤레프켈리 무스타파 파샤귀르쥐 하딤 메흐메트 파샤메레 휘세인 파샤케만케쉬 카라 알리 파샤
체르케스 메흐메트 알리 파샤하프즈 아흐메트 파샤다마트 할릴 파샤휘스레브 파샤하프즈 아흐메트 파샤
토팔 레세프 파샤타바느나스 메흐메트 파샤바이람 파샤타야르 메흐메트 파샤케만케쉬 카라 무스타파 파샤
술탄자데 메흐메트 파샤네베시늘리 살리흐 파샤카라 무사 파샤헤자르파레 아흐메트 파샤소푸 메흐메트 파샤
카라 무라트 파샤멜레크 아흐메트 파샤시야부쉬 파샤귀르쥐 메흐메트 파샤타르훈주 아흐메트 파샤
브클르 코자 데르비쉬 메흐메트 파샤이브쉬르 무스타파 파샤카라 무라트 파샤에르메니 쉴레이만 파샤델리 휘세인 파샤
주르나젠 무스타파 파샤시야부쉬 파샤보이누야랄르 메흐메트 파샤쾨르륄뤼 메흐메트 파샤쾨르륄뤼 파즐 아흐메트 파샤
메르지폰루 카라 무스타파 파샤바이부르틀루 카라 이브라힘 파샤사르 쉴레이만 파샤쾨르륄뤼 다마드 아바자 시야부쉬 파샤니샨즈 이스말리 파샤
테키르달리 베크리 무스타파 파샤쾨르륄뤼 파즐 무스타파 파샤바하드르자데 아라바즈 알리 파샤메르지폰루 찰륵 하즈 알리 파샤보조클루 무스타파 파샤
쉬르멜리 알리 파샤엘마스 에흐메트 파샤쾨르륄뤼 암자자데 하즈 휘세인 파샤달타반 무스타파 파샤라미 메흐메트 파샤
카바노즈 아흐메트 파샤다마트 하산 파샤칼라일르코즈 하즈 아흐메트 파샤발타즈 메흐메트 파샤다마트 초를루루 알리 파샤
쾨프륄뤼자데 다마트 누만 파샤발타즈 메흐메트 파샤귀르쥐 아 유수프 파샤실라흐다르 쉴레이만 파샤호자 이브라힘 파샤
실라흐다르 다마트 알리 파샤하즈 할릴 파샤니샨즈 메흐메트 파샤네브셰히를리 다마트 이브라힘 파샤실라흐다르 다마트 메흐메트 파샤
카바쿨라크 이브라힘 파샤토팔 오스만 파샤헤키몰루 알리 파샤귀르쥐 이스말리 파샤실라흐다르 다마트 디메토칼르 메흐메트 파샤
무신자데 압둘라 파샤옌 메흐메트 파샤하즈 이바자데 메흐메트 파샤니샨즈 셰흘라 하즈 아흐메트 파샤헤키몰루 알리 파샤
세이드 하산 파샤티르야키 하즈 메흐메트 파샤세이드 압둘라 파샤디비트다르 메흐메트 에민 파샤초를루루 쾨세 바히르 무스타파 파샤
헤키몰루 알리 파샤나일리 압둘라 파샤실라흐다르 브클르 알리 파샤이르미세키자데 메흐메트 사이드 파샤초를루루 쾨세 바히르 무스타파 파샤
코자 메흐메트 라그프 파샤테브키 함자 하미트 파샤초를루루 쾨세 바히르 무스타파 파샤무신자데 메흐메트 파샤실라흐다르 마히르 함자 파샤
얄르크츠자데 메흐메트 에민 파샤몰도반즈 알리 파샤이바자데 할릴 파샤실라흐다르 메흐메트 파샤무신자데 메흐메트 파샤
이제트 메흐메트 파샤얄르크츠자데 데르비쉬 메흐메트 파샤다렌델리 제베지자데 메흐메트 파샤칼라파트 메흐메트 파샤실라흐다르 카라베지르 세이드 메흐메트 파샤
이제트 메흐메트 파샤옌 세이드 메흐메트 파샤할릴 하미트 파샤하지네다르 샤신 알리 파샤코자 유수프 파샤
케튀다 하산 파샤제자이를리 가지 하산 파샤루스추클루 첼레비자데 셰리프 하산 파샤코자 유수프 파샤다마트 멜레크 메흐메트 파샤
사프란볼루루 이제트 메흐메트 파샤쾨르 유수프 지야위딘 파샤보스탄즈바쉬 하프즈 이스말리 파샤이브라힘 힐니 파샤첼레비 무스타파 파샤
알렘다르 무스타파 파샤차부슈바쉬 메미쉬 파샤차르하즈 알리 파샤쾨르 유수프 지야위딘 파샤라즈 아지즈 아흐메트 파샤
후르쉬트 아흐메트 파샤메흐메트 에민 라우프 파샤부르두를루 데르비쉬 메흐메트 파샤이스파르탈르 세이드 알리 파샤벤데를리 알리 파샤
하즈 살리흐 파샤델리 압둘라 파샤실라흐다르 알리 파샤메흐메트 사이드 갈리프 파샤벤데를리 메흐메트 셀림 스르 파샤
토팔 이제트 메흐메트 파샤레시트 메흐메트 파샤메흐메트 에민 라우프 파샤코자 휘스레브 메흐메트 파샤메흐메트 에민 라우프 파샤
토팔 이제트 메흐메트 파샤메흐메트 에민 라우프 파샤코자 무스타파 레쉬드 파샤이브라힘 사림 파샤코자 무스타파 레쉬드 파샤
메흐메트 에민 라우프 파샤코자 무스타파 레쉬드 파샤메흐메트 에민 알리 파샤다마트 메흐메트 알리 파샤무스타파 나일리 파샤
크브르슬르 메흐메트 에민 파샤코자 무스타파 레쉬드 파샤메흐메트 에민 알리 파샤코자 무스타파 레쉬드 파샤무스타파 나일리 파샤
코자 무스타파 레쉬드 파샤메흐메트 에민 알리 파샤크브르슬르 메흐메트 에민 파샤뮈테르짐 메흐메트 뤼쉬디 파샤크브르슬르 메흐메트 에민 파샤
메흐메트 에민 알리 파샤케체지자데 푸아트 파샤유수프 카밀 파샤케체지자데 푸아트 파샤뮈테르짐 메흐메트 뤼쉬디 파샤
메흐메트 에민 알리 파샤마흐무트 네딤 파샤미타트 파샤뮈테르짐 메흐메트 뤼쉬디 파샤아흐메트 에사트 파샤
쉬르바니자데 메흐메트 뤼쉬디 파샤휘세인 아브니 파샤아흐메트 에사트 파샤마흐무트 네딤 파샤뮈테르짐 메흐메트 뤼쉬디 파샤
미타트 파샤이브라힘 에드헴 파샤아흐메트 함디 파샤에흐메트 베피크 파샤메흐메트 사드크 파샤
찬다를르 알리 파샤오스만즈클르 이맘자데 할릴 파샤바예지트 파샤찬다를르 이브라힘 파샤코자 메흐메트 니자뮛딘 파샤
뮈테르짐 메흐메트 뤼쉬디 파샤메흐메트 에사트 사프베트 파샤투누슬루 하이레딘 파샤아흐메트 아리피 파샤메흐메트 사이트 파샤
제나니자데 메흐메트 카드리 파샤메흐메트 사이트 파샤압둘라흐만 누레딘 파샤메흐메트 사이트 파샤아흐메트 베피크 파샤
메흐메트 사이트 파샤카밀 파샤아흐메트 케바트 파샤메흐메트 사이트 파샤카밀 파샤
할릴 리파트 파샤메흐메트 사이트 파샤아블로냘르 메흐메트 페리트 파샤메흐메트 사이트 파샤카밀 파샤
휘세인 힐미 파샤아흐미트 테브피크 파샤휘세인 힐미 파샤이브라힘 하크 파샤메흐메트 사이트 파샤
아흐메트 무흐타르 파샤카밀 파샤마흐무트 셰브케트 파샤사이트 할림 파샤탈라트 파샤
아흐메트 이제트 파샤아흐메트 테브피크 파샤다마트 페리트 파샤알리 르자 파샤살리흐 훌루시 파샤
다마트 페리트 파샤아흐메트 테브피크 파샤
튀르키예 총리 · 튀르키예 부통령





1. 개요[편집]


? ~ 1421.07.

Bayezid Paşa. 아마시아 출신으로, 출신지의 이름을 따 아마시알르 바예지드 파샤(Amasyalı Beyazid Pasha)라고도 불린다.

1413년부터 1421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재상을 지낸 인물로, 임기는 메메드 1세의 치세와 거의 겹친다. 앙카라 전투 직후, 멸망 직전을 제외하면 최악의 위기에 몰렸던 오스만 제국을 다시 일으켜세우는 업적을 남긴 메메드 1세의 최측근으로서 제국의 재건에 크게 한 몫을 담당한 인물이다[1].


2. 내전기와 메메드 1세 시대[편집]


아마시아에서 아마시알르 야시 베이(Amasyalı Yahşi Bey)의 아들로 태어났다. 야시 베이는 본래 알바니아 출신이었으나 오스만 제국군 장교를 지내다가 아마시아로 은퇴했으며, 그에 따라 바예지드 파샤도 알바니아계였다. 초기 생애는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데브시르메 제도로 징집되어 왕궁에서 일했던 것으로 보이며, 바예지드 1세 시대에 중하급 장교였던 것으로 보인다. 또 당시 황자였던 메메드가 아마시아 총독으로 부임했을 때는 그의 최측근 측근 가운데 하나로서 제왕교육을 했다.

1402년의 앙카라 전투에서 오스만군이 티무르군에게 대패하고 당시의 술탄이었던 바예지드 1세가 포로로 잡히는 사태가 벌어졌을 때, 바예지드는 당시 15세의 소년이었던 메메드를 구출하여 아마시아로 데려왔다. 이후 이어진 오스만 공위기에서는 메메드의 최측근으로서 바예지드의 아들 4형제 가운데 메메드가 최후의 승자가 되는 데 일등공신이 되었으며, 메메드가 메메드 1세로서 제국의 단독 통치자가 되자 재상에 임명되었다. 이것은 당연한 보상이라고도 할 수 있는 것이었으나, 이때까지의 제국 역사상 비(非)투르크계로서 재상에 오른 첫 번째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또한 재상에 루멜리아 대총독을 겸하게 되었는데, 루멜리아는 당시 기준으로는 오스만령 유럽 거의 대부분에 해당하는 넓은 지역이었다[2].

재상으로서의 행적 가운데 대표적인 것은 셰이크 베드렛딘의 난을 진압한 것으로, 이 반란은 비슷한 시기에 일어난 무스타파의 반란과 함께 어렵사리 재통합된 제국을 다시금 위기에 몰아넣을 수 있을 정도로 심각한 위협이었다.


3. 무라드 2세 시대[편집]


1421년 5월, 메메드 1세가 8년 조금 못 미치는 치세를 마치고 붕어했다. 이에 바예지드는 아직 제국이 안정되지 않았으므로 자신의 죽음을 비밀에 부칠 것이며 아마시아 총독으로 나가 있는 황자 무라드를 급히 불러 뒤를 잇게 하라는 메메드의 마지막 명령을 직접 집행했으며, 이 결과 메메드의 붕어는 40일 만에야 알려지고 황자 무라드가 무라드 2세로서 순조롭게 즉위할 수 있었다. 무라드 2세는 바예지드의 공에 보답하는 의미로 그를 재상 겸 루멜리아 대총독직에 유임시켰다.

하지만 아직 제국이 안정되지 않았다는 메메드 1세의 걱정은, 무라드 2세가 즉위한 지 불과 두 달 만에 무스타파 첼레비의 난이 일어나는 것으로 현실이 되고 말았다. 메메드 1세의 동생이었던 그는 앞서 메메드 1세 시대에도 반란을 일으켰다가 비잔틴 제국으로 망명하여 감금되어 있었는데, 술탄이 바뀌었다는 소식을 접한 비잔틴은 무스타파가 반란을 일으키도록 사주하여 이득을 보려 했던 것이다.

반란을 진압할 책임은 루멜리아 대총독. 즉 바예지드 파샤에게 돌아왔고 바예지드는 이에 군을 이끌고 반란을 진압하려 했으나, 에디르네 인근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패하여 전사하고 말았다.


4. 기타[편집]


최초의 데브시르메 징집자 출신 재상이라는 점에서 돋보이는 인물이다. 다만 두 번째 데브시르메 출신은 메메드 2세 시대의 자아노스 파샤로, 이 인물이 재상이 되려면 바예지드 파샤가 전사한 때로부터 30여년을 기다려야 했다.

오늘날 아마시아에는 바예지드 파샤가 지은 모스크와 무료 급식소, 마드라사 등이 남아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28 15:19:21에 나무위키 바예지트 파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따라서 본 항목은 메메드 1세 항목과 같이 보는 것을 추천한다.[2] 뿐만 아니라, 이 시절까지 오스만 제국은 비록 지도상의 영토는 넓었지만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한 비잔틴 제국의 영토가 가운데 끼어 있어 사실상 국토가 둘로 나뉘어 있는 상황이었다. 이 때문에 수도도 한 곳으로 정하지 못하고 아나톨리아 반도의 부르사와 루멜리아의 에디르네 두 군데에 두어야 했으며, 이것이 훗날 메메드 2세가 콘스탄티노플을 정복하기로 결심하는 원인 가운데 하나가 된다.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이때까지의 술탄들은 자신은 부르사에 머무르고 루멜리아 대총독이나 재상 등에게 루멜리아의 사실상의 통치자를 맡겼는데, 메메드 1세는 술탄의 거처를 부르사에서 에디르네로 옮겼다. 그런데도 루멜리아 대총독직을 재상에게 주었다는 것은, 바예지드 파샤가 메메드의 깊은 총애를 받았음을 방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