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게임3

덤프버전 : r20190312 (♥ 0)


파일:나무위키+하위문서.png   하위 문서: 인생게임3/진행 과정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
2. 컨텐츠 규칙
2.1. 목적과 보상
2.2. 소득을 얻기 위한 경로
2.3. 부동산
2.4. 농작물과 고기의 판매
2.5. 낚시, 과수원, 야생
2.6. 핫타임과 발주
2.7. 동상(銅像)과 체온
2.8. 주민과 일차의 밤
2.9. 기타
4. 최종 결과
5. 평가
6. 참고자료
7. 여담



1. 개요[편집]


파일:인생게임3 로고.jpg

인생게임3 예고편

양띵TV 역대 대규모 컨텐츠 진행 순서
2018년 여름2019년 초2019년 여름
공성전 시즌2인생게임3마크에이지 YD파산게임 시즌4 예정[1]
공성전 시즌2/진행 과정인생게임3/진행 과정마크에이지 YD/진행 과정진행 예정
양띵 우승진행 중진행 중진행 예정

참여양띵, 삼식, 서넹,
눈꽃, 콩콩, 다주, 루태
우승진행 예정
테스트 방송2018년 12월 28일
방송기간2019년 1월 4일 ~ 2019년 ??월 ??일
총 회차10일차 예정

2018년 겨울에 진행하는 양띵TV 대규모 컨텐츠. 그동안의 인생게임과는 달리 시골 겨울을 배경으로 진행하여 <겨울판 인생게임>으로도 불린다. 기존에는 양띵이 대부분의 아이디어와 기획을 제공했다면 이번 컨텐츠는 화려한팀에서 제작뿐만 아니라 기획 면에서 많은 기여를 했다고 한다. 12월 26일에 양띵 유튜브에 맵 영상이 공개되었고, 12월 28일에 트위치에서 테스트 방송이 진행됐다. 해를 넘겨 1월 4일, 성공적으로 1일차 방송이 진행됐으며 이후 매주 금요일 오후 10시 30분마다 진행된다.

특이하게도 진행하기 9개월이나 전인 양띵의 11주년 기념 토크쇼에서 미리 진행을 예고했었다. 또한 인생게임3 진행 기간 동안 늪지대와의 컨텐츠 컬래버레이션을 진행하여 마크에이지 YD도 동시 진행한다.[2] 대규모 컨텐츠를 동기간에 진행하는 것은 최근 들어 굉장히 드문 일이다.[3]

전체적으로는 인생게임2와 굉장히 유사하다. 시즌1처럼 경쟁식의 컨텐츠가 아니라 시즌2와 비슷하게 가끔씩 상황극을 섞은 롤플레잉식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골맵인 점이나 단순 채광, 목축, 사냥, 농사 등으로만 돈을 버는 게 아니라는 점이 여기에 기인한다. 여러모로 겨울이라는 시기와 어울리는 컨텐츠고, 오랜만에 대규모 컨텐츠를 통해 힐링을 해 갈 수도 있을 것 같다.


2. 컨텐츠 규칙[편집]


전작과의 차이점에는 밑줄이 들어갑니다.


2.1. 목적과 보상[편집]


  • 인생게임의 목적은 정해진 일차 동안 가장 많은 돈을 모으는 것이다.
  • 돈을 가장 많이 번 사람에게는 XXXX가 주어진다.


2.2. 소득을 얻기 위한 경로[편집]


  • 농사, 목축, 낚시, 야생 탐사, 채광, 과수 등으로 돈을 벌 수 있다.
  • 복권, 핫타임, 발주, 동상 등도 소득의 경로이다.


2.3. 부동산[편집]


  • 텃밭 있는 집, 유리온실, 그리고 목장이 있다.
  • 텃밭 있는 집에서는 밀과 보리만 키울 수 있다.
  • 유리온실에서는 밀과 보리를 제외한 작물을 키울 수 있다.
  • 목장에서는 스폰알을 정육점에서 구매하여 동물을 기를 수 있다.


2.4. 농작물과 고기의 판매[편집]


  • 재배한 농작물은 상자로 포장하여 판매하여야 한다. 상자는 조합하거나 살 수 있다.
  • 가축은 죽일 경우 일정 확률로 높은 등급의 고기가 나오며, 비싼 값에 팔 수 있다.(등급: 1등급, 2등급, 기본)


2.5. 낚시, 과수원, 야생[편집]


  • 낚시는 낚시터에서 가능하며, 물고기와 유물을 낚을 수 있다.
  • 낚시에 통발을 사용할 수 있으나 통발로는 유물을 낚을 수 없다.
  • 과수원과 야생은 이용권을 구입하여야 하며, 야생은 20분, 과수원은 2분간 이용할 수 있다.
  • 야생에서 돌아올 때는 들고 있는 모든 아이템이 사라진다.
  • 과수원에서는 오로지 식물의 열매만 채집 가능하다.
  • 과수원은 1일 3회로 입장이 제한된다.
  • 2일차 변경점: 1일 과수원 이용횟수가 2회로 줄어 들었다.

2.6. 핫타임과 발주[편집]


  • 핫타임은 밤에 이루어지며, 판매 물품과 핫타임 여부는 사전 공지된다.
  • 핫타임의 수출 품목은 가공품으로 제한된다.
  • 핫타임 시간에는 항구가 개방된다.
  • 발주는 역 앞의 NPC를 통해 가능하며, 리스트는 언제나 확인 가능하고, 수시로 추가된다.
  • 발주 품목은 선착순으로 간이역에 팔아야 하며, 더 비싼 값에 팔린다.


2.7. 동상(銅像)과 체온[편집]


  • 금, 은, 동의 동상을 집이 있는 경우 구매할 수 있다. 매 일차 일정 금액을 받을 수 있으며, 환불은 불가하나 총 자산에는 합산된다.
  • 체온이 존재하며, 일차마다 외부의 기온은 일기예보를 통해 알 수 있다. 바깥에서 장시간 있으면 체온이 떨어지고 찬물에 빠질 경우 급속도로 떨어진다.
  • 기온에 따라 체온이 떨어지는 정도가 다르다.
  • 보일러가 틀어진 집이나 보일러가 가동되는 유리온실, 그리고 찜질방에서 체온을 올릴 수 있다. 유리온실에서 보일러를 틀 경우 전기세가 차감될 수 있다.


2.8. 주민과 일차의 밤[편집]


  • 주민에게 특정 아이템으로 호감도를 올릴 수 있다. 주민에게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 밤에는 집으로 들어가야 하며, 집이 없을 경우 남의 건물 또한 가능하다. 집을 소유한 경우에는 자신의 집만 인정된다.
  • 일차가 종료될 때 집에 있지 않으면 소매치기를 당하여 아이템의 일부가 사라진다.


2.9. 기타[편집]


  • 채팅은 금지되며, 마을 우체국에서 편지를 보낼 수 있다.
  • 야생을 제외한 본인 소유의 땅이 아닌 곳에서는 제작대, 화로 설치가 불가하다.
  • 다른 주민의 물건이나 재산을 훔치는 것은 불법이며, 마을회관에 신고할 수 있다.
  • 인벤토리는 저장되지 않는다.


3. 진행 과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인생게임3/진행 과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최종 결과[편집]



5. 평가[편집]



6. 참고자료[편집]




7. 여담[편집]


  • 이번 대규모 컨텐츠인 인생게임3는 전작인 공성전 시즌2가 종료되기 전부터 일찍이 예고되어 상당히 많은 사람들의 눈길을 끈 컨텐츠이다. 동시에 2019년에는 파산게임 시즌4 및 대규모 컨텐츠로 각색된 지하세계2가 진행될 예정이라고 언급하였다.

  • 일부 개별 GUI가 있는 상점 NPC나 일반 NPC의 경우 왼쪽 하단에 NPC의 일러스트가 뜨는데, 이게 상당히 호평이다. 양띵TV 크루들도 테스트 때 보고서 감탄했을 정도. 현재 일러스트가 존재하는 NPC는 수위아저씨 NPC, 광물상점 NPC, 과일가게 NPC, 명이떡집 NPC, 약국의 강석아저씨 NPC, 어부 NPC 등이다. 과일가게 NPC 눈이 하트다 삼식이 무조건 호감도작 한댄다
결국 루태가 유물인 다이아몬드 반지로 결혼하였다
  • 이번 인생게임3 역시나 군 복무 중이라 불참하게 된 후추를 기억하는 요소가 들어가 있다. 공성전 시즌2에서는 모험가 NPC "스컬리"로 등장한 데 이어서 인생게임3 트레일러에도 시즌3의 단체복이 아닌 인생게임2의 단체복을 입고 애잔하게 등장하였다.

  • 예고편에서 공개된 이번 인생게임3의 마을 이름은 "동화마을"이다. 예고편에서 등장한 "동화역"의 역명 간판을 자세히 관찰하여 보면 깨알같은 세계관 연동을 눈치챌 수 있는데, 이전 역의 이름은 "우행역"으로 인생게임2의 엔딩때, 마을 이름인 "우행마을"에서 따와 등장했던 역명이다. 그리고 다음 역의 역명은 "우아역"인데, 단지 우행역과 라임을 맞추려는 의도인지, 차기작 인생게임4에 대한 예고인지는 불분명하다.우아마을...? 개인주의 야생일기 마지막 일차를 참고해보면 개인주의마을에서 동화마을로 이사온 듯싶다.
[1] 2019년에는 파산게임과 지하세계를 한다고 미리 예고했다.[2] 악어 쪽에서는 파산게임을 진행한다.[3] 2013년 시즌에는 거의 2~3달에 한 번 꼴로 대규모 컨텐츠를 출범시켰기에 동기간에 대규모 2개는 거뜬히 진행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