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홍일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944년생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이홍일(1944) 문서
이홍일(1944)번 문단을
이홍일(1944)# 부분을
, 1950년생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이홍일(1958) 문서
이홍일(1958)번 문단을
#s-번 문단을
이홍일(1958)#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도정궁 5대 사손
이홍일 | 李弘逸
본관전주 이씨
이름홍일(弘逸)
사안(士安)
양부이정한
양모정부인[A] 파평 윤씨(坡平 尹氏)
정부인[A] 청송 심씨(靑松 沈氏)
생부이석한[1]
생모정부인[A] 경주 김씨(慶州 金氏)
부인정부인 기계 유씨(杞溪 兪氏)
자녀3남 3녀
생몰
기간
음력1640년 9월 18일 ~ 1718년 12월 6일
양력1640년 11월 1일 ~ 1719년 1월 25일
1. 개요
2. 생애
3. 사망
4. 가족 관계




1. 개요[편집]


조선왕족 출신 문신. 도정궁 제5대 사손이자 제6대 주인이다.


2. 생애[편집]


양력 1640년(인조 8년)[2] 11월 1일[3]응천부정 이돈의 차남 이석한과 부인 경주 김씨장남으로 태어났다. 14세에 사마 양시[4]에 급제한 직후 현종의 명으로 아들없이 죽은 큰아버지 도정궁 제4대 사손 이정한양아들이 되었다. 이후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으로 제수받아 덕흥대원군제사를 받들었다.

양아버지처럼 영위사(迎慰使)와 문안사(問安使) 등 청나라 사신을 맞이 및 전송하는 관리직을 맡았다. 1696년(숙종 22년) 6월에는 가선대부(嘉善大夫)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겸 오위도총부 부총관이 되었다.


3. 사망[편집]


양력 1719년 1월 25일[5]에 별세했다. 향년 79세. 묘소는 경기도 양주군 별내면 덕송리, 지금의 현 남양주시 별내동 덕릉마을 수락산 뒤편에 있다.


4. 가족 관계[편집]


  • 양부 : 이정한(李挺漢, 1601 ~ 1671)
  • 양모 : 정부인 파평 윤씨(貞夫人 坡平 尹氏) - 승지 윤청(承旨 尹暒)의 딸
  • 양모 : 정부인 청송 심씨(貞夫人 靑松 沈氏) - 선교랑 심욱(宣敎郞 沈勗)의 딸
  • 생부 : 이석한(李錫漢, 1614 ~1677)
  • 생모 : 정부인 경주 김씨(貞夫人 慶州 金氏, 1609 ~ 1649) - 호군 김광익(護軍 金光翼)의 딸

  • 부인 : 정부인 기계 유씨(貞夫人 杞溪 兪氏, 1643 ~ 1718) - 정랑 유삼(正郞 兪木+參)의 딸
    • 장남 : 이세정(李世禎, 1661 ~ 1721)
    • 차남 : 이세기(李世祺, 1662 ~ 1699) - 동생 이홍달(李弘達)에게 출계
    • 3남 : 이세상(李世祥, 1671 ~ 1719)
    • 며느리 : 정부인 안동 김씨(貞夫人 安東 金氏) - 목사 김성최(牧使 金盛宀+最)의 딸
      • 손자 : 이명욱(李明勖)
      • 손녀 : 심사천(沈師天)의 처
      • 손녀 : 조진겸(趙鎭謙)의 처
    • 장녀 : 맹만택(孟萬澤)에게 출가
    • 차녀 : 임술(任述)에게 출가
    • 3녀 : 조영세(趙榮世)에게 출가
[A] A B C 사후 추증.[1] 이홍일의 양부 이정한의 동생.[2] 인조는 이홍일의 할아버지 뻘로 이홍일은 현종과 같은 항렬이다.[3] 음력 9월 18일.[4] 司馬兩試. 생원시와 진사시를 합쳐 이르는 말.[5] 음력 무술년(숙종 44년) 12월 6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인원왕후 문서의 r6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인원왕후 문서의 r6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16:49:25에 나무위키 이홍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