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원호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1959년 이후
초대
박규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대
황석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대
이기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4대
김지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5대
박재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6대
박대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대
박병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대
박경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대
우상권 / 손명섭
강준영 / 이병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0대
안종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1대
한창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2대
함흥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3대
박병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4대
유광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5대
장운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6대
이우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7대
오완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8대
유현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대
유판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대
김찬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1대
박종환
(박종환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2대
김삼락
(김삼락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3대
정병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4대
오근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5대
김삼락
(김삼락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6대
안세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7대
남대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8대
박상인
(박상인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9대
원흥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0대
박이천
(박이천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1대
박창선
(박창선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2대
조영증
(조영증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3대
박성화
(박성화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4대
조동현
(조동현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5대
홍명보
(홍명보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6대
이광종
(이광종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7대
김상호
(김상호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8대
안익수
(안익수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9대
신태용
(신태용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40대
정정용
(정정용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41대
김정수
(김정수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42대
김은중
(김은중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43대
이창현
(임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44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45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제43대 감독
이창원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창원 / 제43대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창현 (수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현연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희훈 (골키퍼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권준현 (피지컬 코치)
계약 기간2024년 5월 20일 ~
(현역)
연봉미상
전술 스타일
성적2025 AFC U-20 아시안컵 (?위)
1. 개요
2. 선임 과정
3. 코칭스태프 명단
4. 활동
4.1. 2024년
5. 전적



1. 개요[편집]


2024년 5월 20일에 선임된 이창원의 U-20 대표팀 감독 재임 기간을 다룬다.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이기 때문에 2005년생 선수들을 주축으로 하여 2025 AFC U-20 아시안컵에 출전할 예정이며, 해당 대회에서 준결승에 진출(대회 4위 이내)하면 2025 FIFA U-20 월드컵 칠레 본선[1]에 진출하게 된다.


2. 선임 과정[편집]


김은중호가 끝나고 2023년까지는 이창현 감독 대행 체제가 유지되다가 2024년부터 본격적으로 선임 과정에 들어갔다. 초기에는 A 대표팀에서 굵직한 선수 경력을 지닌 설기현 혹은 차두리가 유력하다는 설이 지배했다.

그런데 2024년 초 A 대표팀 감독의 경질 사태 이후 마이클 뮐러 전력강화위원장이 사임하고 정해성이 전력강화위원장이 부임하며 감독 선임 건은 새로운 국면으로 들어갔다. 바로 정해성 신임 위원장은 이름값을 배재하고 유소년 레벨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낸 감독 위주로 선임하겠다는 방향성을 잡으며 설기현과 차두리 선임은 모두 없던 일이 된 채 새로운 후보를 물색하게 됐다.

이후 서형욱의 유튜브 '뽈리TV'에 따르면 이창원을 포함해 강철, 변성환, 박성배가 최종 후보에 올라 협회와 면접을 진행했다고 밝혀졌다.

네 명의 후보 커리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이창원 후보는 이미 아마 레벨에서 과르디 창원라는 별명과 함께 포철고-대구예대-동명대 등 고교, 대학 무대를 평정하다 시피했다.
  • 강철 후보는 전남 U-15팀인 광양제철중, 그리고 최근까지 지휘한 화성 FC 감독 커리어가 있지만 지도자 커리어를 주로 황선홍 감독 아래서 수석코치로 보냈다.
  • 변성환 후보는 2018년부터 협회 전임지도자로서 U-14부터 U-17세 팀까지 함께 하며 현재 세대인 05년생 선수들에 대한 정보가 가장 많은 감독이다. 하지만 작년 2023 FIFA U-17 월드컵에서의 아쉬운 성과가 흠이다.
  • 박성배 후보는 지난해 숭실대에서 괜찮은 성적을 거두긴 했지만 감독 경력이 역시 짧다.
여담으로 김도훈 감독 역시 최종 후보로 고려됐으나 본인이 PPT를 활용한 발표에 부담을 느껴 최종 고사했다고 한다. 또한 이관우 청주대 감독 역시 후보로 고려됐으나 최종 명단에 포함되진 않았다고 한다.

결국 이미 아마 레벨에서 가장 유의미한 커리어를 쌓았던 이창원이 최종 감독으로 선임됐다. 다만, 이 발표가 김도훈의 대표팀 임시 감독 기사와 맞물려 발표되며 다소 뭍혔다.


3. 코칭스태프 명단[편집]


감독수석 코치코치골키퍼 코치피지컬 코치
파일:U-20 김은중호 이창현.jpg
이창원이창현최현연황희훈권준현

  • 이창현 코치는 전임 김은중호 코치 그리고 직후 임시 감독을 거쳐 이창원호에서도 U-20 대표팀에 잔류하는 유일한 인물이 됐다.

직책이름국적생년월일
감독이창원(축구)
Lee Chang-W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5년 7월 10일 (48세)
수석코치이창현
Lee Chang-Hy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5년 12월 18일 (38세)
코치최현연
Kim Tae-M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4년 4월 16일 (40세)
GK코치황희훈
Hwang Hee-H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9년 9월 20일 (44세)
피지컬코치권준현
Kwon Jun-Hy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age()]세)
2024-06-27 14:36:53 기준

4. 활동[편집]



4.1. 2024년[편집]


2024년 6월 중국 웨이난에서 열리는 4개국 친선대회에서 이창원호 1기가 출범한다.


5. 전적[편집]


일시 (한국 시각)장소상대팀경기 결과스코어득점자구분

  • ?전 ?승 ?무 ?패 ?득점 ?실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24 20:15:09에 나무위키 이창원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4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