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윤수(정치인)

덤프버전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기 성남시 수정구)
선거구 개편
이대엽[1]
제14-16대
이윤수
제17대
김태년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환경노동위원장
제16대 전반기
유용태
제16대 전반기
이윤수
제16대 후반기
송훈석




[1] 13대 국회 경기 성남 갑 선거구 국회의원이다.

대한민국 제14-16대 국회의원
이윤수
李允洙 | Lee Yun-su
파일:Remini20211111125616967.jpg
출생1938년 9월 16일 (85세)
경기도 광주군 광주면 경안리[1]
본관전주 이씨
학력휘문고등학교 (졸업)
종교개신교
소속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의원 선수3
의원 대수14, 15, 16
경력제14, 15, 16대 국회의원
새천년민주당 최고위원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대한민국헌정회 사무총장 및 이사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소속 정당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2. 생애[편집]


1938년 경기도 광주군 광주면 경안리(현 광주시 경안동)에서 태어났다. 휘문고등학교를 졸업하였고 이후 4.19 혁명에 참여하였다. 박정희 정권 초기에 김대중의 비서, 경호원을 하며 정계에 입문하였고 민중당, 신민당에서 당료를 역임하였다.

아버지 이한종은 동향인 해공 신익희를 따라 독립운동을 했고, 해방 후에는 함께 고향인 경기도 광주로 와서 정치에 참여했다. 이한종은 민주당 광주 지역위원장을 맡아 가산을 팔아 해공을 뒷바라지 했고 이로 인해 가세가 많이 기울었다고 한다. #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기도 광주군-이천군 선거구로 신민당에 공천을 신청하였으나 유기준에 밀려 탈락하였다. 1972년 10월 유신이 선포되자 모처에 끌려가서 모진 고문을 당하였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민당을 탈당하여 민주통일당에 입당하였다. 그리고 민주통일당 후보로 경기도 광주군-이천군-여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차지철 후보와 신민당 오세응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0년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 사건 당시 신군부에 끌려가 심한 고문을 당했으며, 전두환 정권이 출범하자 정치규제를 당하였다가 1984년 해금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민주당 후보로 경기도 성남시-광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국국민당 이대엽 후보와 민주정의당 오세응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평화민주당 후보로 경기도 성남시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민주공화당 이대엽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자유당 이대엽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9년 새정치국민회의 원내부총무에 임명되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01년부터 2002년까지 노동부(현 고용노동부)장관으로 영전된 유용태의 뒤를 이어 대한민국 국회 환경노동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02년 후단협에 참여해서 정몽준 후보를 지원했다. 2003년 민주당 분당시에는 당에 잔류하였고,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는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열린우리당 김태년 후보에 패해 낙선하였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경기도 광주시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조억동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으로 성남시 수정구 선거구에 재출마하여 낙선하였다.[2]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새누리당에 입당하여 박근혜 후보를 지지하였다.

2022년 2월 24일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를 지지 선언을 한 대한민국 헌정회원 316명의 명단에 포함되었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73제9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4
파일:민주통일당.svg

7,719 (5.14%)낙선 (4위)[3]
1985제12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성남·광주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8,645 (6.83%)낙선 (5위)
1988제13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성남 갑
ta-hash-start=w-0fa99a0a6453b7f352fb0e7d6560d8c7[[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30,420 (26.63%)낙선 (2위)
1992제14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성남 수정

58,727 (48.56%)당선 (1위)초선 [4]
1996제15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1fb2629a2564999eeaa30bee87e546de[[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39,359 (37.13%)재선
2000제16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d9b344c68f983c6f45f6898c8b9a2ab8[[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7,602 (41.42%)3선
2004제17대 국회의원 선거10,666 (9.87%)낙선 (4위)
2006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기 광주시장
ta-hash-start=w-bfa2cc382822c1a2b110ac28ef1a6aca[[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8,446 (11.70%)낙선 (3위)
2008제18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성남 수정
무소속

1,898 (2.45%)낙선 (6위)

역대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이윤수 9대.jpg
파일:이윤수 12대.jpg
9대 총선 (경기 4[1])12대 총선 (경기 성남시·광주군)
파일:이윤수 13대.jpg
파일:이윤수 14대.jpg
13대 총선 (경기 성남시 갑)14대 총선 (경기 성남시 수정구)
파일:이윤수 15대.jpg
파일:이윤수 16대.jpg
15대 총선 (경기 성남시 수정구)16대 총선 (경기 성남시 수정구)
파일:이윤수 17대.jpg
파일:이윤수 3회지선.jpg
17대 총선 (경기 성남시 수정구)4회 지선 (경기 광주시장)
파일:이윤수 18대.jpg
18대 총선 (경기 성남시 수정구)

[1] 여주군, 광주군, 이천군

4.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1960 - 1961입당

무소속

1961 - 19635·16 군사정변으로 인한 정당 해산

파일:민주당(1963년) 흰색 로고타입.svg

1963 - 1965창당
정계 입문

ta-hash-start=w-a71378c0f8d76dbf90feeecd095d0ed9[[파일:민중당(1965년) 흰색 로고타입.svg
1965 - 1967합당[5]

ta-hash-start=w-7e70e439d09bb8f8b43068ec4c6c6e4c[[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67 - 1969합당[6]

무소속

1969자진 정당 해산

ta-hash-start=w-12524d9b3d14f17d77162784fabdad5b[[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69 - 1973정당 재등록

무소속

1973탈당

파일:민주통일당.svg

1973 - 1980입당

무소속

1980 - 1985정당 해산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5 - 1987창당
1987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1987창당
1987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1987 - 1991창당
1991당명 변경
1991 - 1995합당[7]
1995신당 창당을 위한 탈당
1995 - 2000창당
2000 - 2002합당[8]
2002탈당, 후보 단일화 협의회 참가
2002입당
2002탈당
2002 - 2005복당
2005 - 2007당명 변경
2007합당[9]
2007당명 변경
2007 - 2008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2008창당
2008 - 2012탈당[10]
2012 - 2017입당[11]
정계 은퇴
2017 - 2020당명 변경
2020합당[12]
2020 -당명 변경

김두섭이나 안동선 정도는 아니어도 거쳐왔던 당적 개수가 굉장히 많다. 무려 이인제김한길보다도 많은 수준.


5. 둘러보기[편집]







[1]광주시 경안동.[2] 당시 당선자였던 한나라당 신영수와 통합민주당 김태년의 표차는 129표차로 해당 선거 최소 표차였다.[3] 여주군, 광주군, 이천군[4] 1995. 8. 11 탈당, 9. 11 새정치국민회의 창당 합류[5] 민정당과 신설 합당[6] 신한당과 신설 합당[7] 민주당과 신설 합당[8]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9] 중도개혁통합신당과 신설 합당[10] 2010년 김문수 경기도지사 후보 지지 선언#[11] 박근혜 대통령 후보 지지 선언#[12]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