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윤영선/국가대표 경력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윤영선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윤영선/클럽 경력
,
,
,
,
,






1. 개요[편집]


파일:윤영선독일전.jpg
축구 선수 윤영선국가대표 경력을 서술한 문서.


2.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편집]



2.1. 슈틸리케호[편집]


2015년 11월 2일 발표된 A매치 명단에 포함되면서 첫 태극마크를 달게 되었다. 11월 17일 월드컵 2차예선 라오스 원정에서 후반 40분 김기희와 교체 투입되며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2.2. 신태용호[편집]



2.2.1. 2017년[편집]


파일:2017 EAFF E-1 풋볼 챔피언십윤영선.jpg

2017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최종엔트리에 포함되었다. 2017년 12월 16일 EAFF E-1 챔피언십 한일전에서 장현수의 짝으로 출전하여 도쿄대첩 4:1 승리로 인상적인 활약을 선보였다.[1]


2.2.2. 2018년[편집]


파일:2018국대윤영선.jpg

2018년 1월 러시아 월드컵 대비 원정 전지 훈련 명단에 이름을 올렸고, 자메이카전에 출전하였다. 이후 3월 유럽 원정 평가전 명단에도 포함, 폴란드전에 교체 투입되어 불안한 수비진을 잘 조율했다.

신태용이 감독으로 선임된 이후 A매치 명단에 꾸준히 포함되고 있다. 신태용 감독의 페르소나라는 별명에 걸맞게 전술에 잘 녹아 들어 어려운 수비진 경쟁을 뚫고 종종 출전했다.


2.2.2.1. 2018년 FIFA 러시아 월드컵[편집]

{{{#!wiki style="margin: -10px -10px -5px; padding: 23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D313A 0%, #CD313A 30%, #CD313A 70%, #CD313A)" 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wiki style="margin-top: -12px; float: right"
[[대한축구협회|[[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 블랙.svg|align=right&height=75]]]]
{{{#!wiki style="margin:-5px -10px; float: center"{{{#!wiki style="margin:-5px -10px; float: center"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신태용호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 최종 명단)}}}}}}
1 김승규 · 2 이용 · 3 정승현 · 4 오반석 · 5 윤영선 · 6 박주호 · 7 손흥민 · 8 주세종 · 9 김신욱
10 이승우 · 11 황희찬 · 12 김민우 · 13 구자철 · 14 홍철 · 15 정우영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D313A; font-size: .8em"
3C}}} · 16 기성용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D313A; font-size: .8em"
C}}}
17 이재성 · 18 문선민 · 19 김영권 · 20 장현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D313A; font-size: .8em"
VC}}} · 21 김진현 · 22 고요한 · 23 조현우
{{{#0B090C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3F3F; font-size: 0.8em"
[[코치|{{{#ffffff {{{-2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신태용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3F3F; font-size: 0.8em"수석코치}}} 파일:스페인 국기.svg 토니 그란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3F3F; font-size: 0.8em"
{{{#ffffff {{{-2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전경준 ·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김남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차두리 ·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김해운 ·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비에르 미냐노 · 파일:스페인 국기.svg 가르시아 에르난데스}}}


6월 2일 러시아 월드컵 최종 23인 명단에 이름을 올리며 러시아행이 확정되었다. 장현수 연대 인맥론에 대한 가장 손쉬운 반박 사례로 윤영선을 유망주 시절부터 계속 기용해 온것이 바로 신태용 감독이다.

파일:윤영선독일전.jpg

스웨덴전과 멕시코전에는 미출전했고 기성용의 부상으로 인해 3선으로 전진배치된 장현수를 대신하여 김영권의 파트너로 독일전에 선발 출전하며 월드컵 본선 무대에 데뷔했는데, 독일 공격수 티모 베르너를 잘 막았으며 후반전 추가 시간 코너킥 혼전 상황에서 공 주변에 있던 토니 크로스에게 달려들어 김영권의 득점에 기여했다. 김영권, 손흥민, 조현우 등과 함께 카잔의 기적의 공신.

2.3. 벤투호[편집]


하지만 벤투호 체제가 들어선 이후로는 좀처럼 기회를 얻지 못하고 있다. 센터백 자리에 워낙 쟁쟁한 경쟁자들이 많기도 하고... 일단 벤투 부임 초기였던 9월 A매치에는 소집되었으나, 정작 그 경기에서 부상으로 뛰지 못한 이후로는 한 번도 소집되지 못하고 있다. 결국 벤투 감독 부임 후 단 한 번도 국가대표로 뛰지 못한 셈이다.

벤투의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프로젝트에 있어서 젊은 재능을(주로 96년생) 대표팀에 차출해 꾸준히 조직력을 키워 만 26세가 되는 전성기 나이에 FIFA 월드컵에서 빛을 발하게 하려는 전략과도 맞닿아 있기도 한데... 그보다 2019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윤영선 본인의 실력이 급락한 점이 더 커보인다.


3. 국가대표 출전 기록[편집]


분류경기도움
국제 친선 경기400
700
2023년 1월 16일 트랜스퍼마크트 기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6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6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13:05:25에 나무위키 윤영선/국가대표 경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윤영선은 본래의 커맨더 롤을 유지하면서 빌드업을 담당한 반면, 장현수가 이례적으로 이 경기에서 파이터 롤을 수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