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유키노 비진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등장하는 캐릭터에 대한 내용은 유키노 비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문서
유키노 비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번 문단을
유키노 비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Yukino_Bijin.jpg
이름ユキノビジン
Yukino Bijin
출생1990년 3월 10일
죽음2016년 7월 22일 (26세)
성별암컷
털색밤색 (栗毛, 쿠리게)
아비사쿠라 유타카 오 (サクラユタカオー)
어미파티마 (フアテイマ)
외조부로열 스키 (Royal Ski)
생산자무라타 목장
마주아라이 유키카츠
조교사아베 토키오 (미즈사와)
→ 쿠보타 토시오 (미호)
성적10전 6승 (6-2-0-2)
4전 3승[지방]
6전 3승[중앙]
총상금1억 8460만 7000엔
주요 우승G3퀸 스테이크스(1993)
레이팅프리 핸디57 (1993)
상세 정보파일:netkeiba_logo.png | JBIS

1. 개요
2. 혈통
3. 생애
3.1. 번식마 생활
4. 기타
5. 경주 성적



1. 개요[편집]


일본의 경주마. 밤색의 마체에 하얀 리본 모양으로 갈기를 땋아 여성 팬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미소녀에 비유되기도 했다.


2. 혈통[편집]


1대2대3대
사쿠라 유타카 오
サクラユタカオー
1982
테스코 보이
Tesco Boy
1963
파일:영국 국기.svg
프린슬리 기프트
Princely Gift
선코트
Suncourt
안젤리카
アンジエリカ
1970
네버 비트
Never Beat
스타 하이니스
スターハイネス
파티마
フアテイマ
1983
로열 스키
Royal Ski
1974
파일:미국 국기.svg
라자 바바
Raja Baba
코즈 오니진스키
Coz o'Nijinsky
뷰티 원
ビユーテイワン
1975
대퍼 댄
Dapper Dan
미스 제인
ミスジエーン
* 나스룰라 4×5×5×5 15.625%

3. 생애[편집]


원래는 중앙 경마(JRA)에서 데뷔 예정이었으나, 원래 들어갈 예정이었던 쿠보타 토시오의 마방에 자리가 없고 마주가 3세(현 2세) 때에는 더트에서 뛸 것을 희망했기 때문에 쿠보타의 마방에 자리가 나면 이적한다는 조건으로 이와테 경마에서 데뷔했다.

중앙 이적후 첫 경주인 93년 크로커스 스테이크스를 가볍게 우승하고, 암말 클래식에 도전하게 되는데. 샤다이 팜의 로열 블러드 베가의 벽을 넘지 못하고, 오카상과 오크스를 둘 다 아쉬운 2착으로 놓치게 된다. 덕분에 지방에서 올라온 시골 처녀가 중앙의 혈통 좋은 귀한 아가씨와 팽팽하게 대결하는 구도로 묘사되면서[1]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2]

오카상과 오크스 모두 베가에게 패배하며 2착에 머무른 후, 10월의 G3 퀸 스테이크스에서는 인기 1위를 받고 우승하여 결코 실력이 없는 것이 아니라는 걸 증명해내고, 다음 경기인 엘리자베스 여왕배. 지금과 달리 암말 삼관의 마지막 경주가 슈카상이 아닌 엘리자베스 여왕배이던 시절, 베가는 암말 삼관을 머리에 얹기 위해, 유키노 비진은 과거 오구리 캡이 3전만에 결국 타마모 크로스를 꺾었듯이, 이번에야말로 베가를 넘어서겠다는 결의로 경주를 시작한다.

하지만 이 경주의 주인공은 따로 있었으니, 훗날 모래의 여왕으로 불리게 되는 호쿠토 베가가 1착, '베가는 베가지만 호쿠토 베가'라는 찰진 멘트로 유명한 이 경기에서 유키노 비진은 10착이라는 순위로 대패하고 만다. 유키노 비진의 중앙 6전 중 2착 밖으로 벗어났던 유일한 경주이자 전체 10전 중에서도 입상권에 못들어갔던 유일한 경주. 한달 뒤의 오픈전인 터쿼이즈 스테이크스에서는 다시 1번 인기를 받고 우승. 호쿠토 베가에게 복수도 성공하긴 했지만, G1에서 패배하고 OP에서 이긴걸 복수라고 하기에는 경기의 격이 너무나 달랐다. 그렇게 클래식 시즌을 마친 이듬해 원래는 경주를 계속할 예정이었지만 다리 상태가 좋지 않아 계속 복귀가 미뤄지고, 결국 그대로 은퇴후 95년부터 번식 암말 생활에 들어갔지만 두각을 나타낸 아이는 남기지 못했다. 그리고, 2009년까지 12마리의 아이를 낳은 후에는 번식도 은퇴하고 조용히 지내다 2016년 심부전으로 죽었다.


3.1. 번식마 생활[편집]



순서생년말 이름성별모색아버지마주조교사전적
11996년카네츠 리프
(カネツリーフ)
수컷밤색
(栗毛, 쿠리게)
노던 테이스트로렐 레이싱쿠보타 토시오 (미호)4전 0승
21997년유키노 퀘이사
(ユキノクエーサー)
수컷밤색
(栗毛, 쿠리게)
제너러스
(Generous)
아라이 유키카츠
→ 쿠리모토 야에
스즈키 초이치 (카미노야마)
→ 쿠도 에이이치 (아라오)
44전 3승[N]
31998년유키노 어택
(ユキノアタック)
수컷밤색
(栗毛, 쿠리게)
포티 나이너
(Forty Niner)
아라이 유키카츠 → [3]아베 토키오 (미즈사와)
→ 스즈키 초이치 (카미노야마) → [4]
41전 1승[N]
41999년유키노 참
(ユキノチャーム)
암컷갈색
(鹿毛, 카게)
피우수트스키아라이 유키카츠
→ 아라이 미야코
사이토 시코 (카미노야마)14전 1승[N]
(번식마)
2000년(불수태)댄싱 브레이브-
52001년유키노 아이테르
(ユキノアイテール)
수컷흑갈색
(青鹿毛, 아오카게)
오스
(Oath)
아라이 미야코타니하라 요시아키 (미호)
→ 치다 토모유키 (미즈사와)
6전 3승[5]
2002년(불수태)다이타쿠 헬리오스-
62003년로열 헤일로
(ロイヤルヘイロー)
수컷밤색
(青鹿毛, 아오카게)
블랙 턱시도
(ブラックタキシード)
토베 히로시타니하라 요시아키 (미호)(불출주)
72004년마루하치 돌란
(マルハチドーラン)
수컷흑갈색
(青鹿毛, 아오카게)
위닝 티켓우라베 케이타
→ 카네다 사카에
사사키 키요아키 (후나바시)
→ 이치자와 쇼이치 (우라와)
→ 야마코시 히카루 (우라와)
33전 2승[N]
82005년로렐 웬스
(ローレルウェンス)
수컷갈색
(鹿毛, 카게)
커맨더 인 치프
(Commander in Chief)
로렐 레이싱
→ 야마구치 미키
키쿠카와 마사타츠 (미호)
→ 사사키 요이치 (오이)
→ 요네타 히데요 (오이)
23전 0승[6]
92006년유키노 비진 2006수컷흑갈색
(青鹿毛, 아오카게)
맨해튼 카페-(불출주)
102007년후지노 보우건
(フジノボーガン)
수컷갈색
(鹿毛, 카게)
커맨더 인 치프
(Commander in Chief)
후지이 고조
→ 마츠오카 테루오
카와무라 요시히코 (릿토)
→ 이마즈 카츠유키 (나고야)
8전 0승[7]
112008년하루지온
(ハルジオン)
암컷밤색
(栗毛, 쿠리게)
팀버 컨트리
(Timber Country)
무라타 시게미하야시 카즈히로 (몬베츠)8전 0승[N]
(번식마)
122009년쿠앵 드 뤼
(コアンドル)
암컷흑갈색
(青鹿毛, 아오카게)
링컨하야시 카즈히로 (몬베츠)
→ 야기 마사요시 (카와사키)
19전 4승[N]
(번식마)
2010년(불수태)파슬리예프
(Fasliyev)
-



4. 기타[편집]


G1 미승리이면서도 봉제인형이 만들어지고 불티나게 팔린 인기마였다. 오구리 캡으로 인해 경마라는 스포츠에 스토리가 더해지면 얼마나 큰 파급 효과를 불러올 수 있는지를 학습한 기자들이 똑같이 지방에서 중앙으로 올라와 두각을 나타냈다는 공통점을 발견하고 잽싸게 써먹었던 케이스인데, 마침 라이벌이 될 베가의 존재도 있어서 큰 인기를 끌 수 있었던 것. 경주에 출전하는 날엔 유독 여성 팬들의 환성이 높았다고.

유키노 비진의 중앙시절 구무원은 유키노 비진의 팬인 여성과 유키노 비진의 생일에 결혼했고 둘 사이에서 딸이 태어나자 이름을 유키노라고 지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전까진 그렇게까지 유명한 이야기는 아니었으나, 우마무스메에 해당 말의 실장이 공고되면서 해당 에피소드가 트위터를 통해서 화제가 되자 장본인이 나타나서 이 에피소드가 사실이라고 밝혔다. (#)


5. 경주 성적[편집]



경주일경마장
경기명
등급
트랙
배당인기착순기수1착마
(2착마)
1992년 (3세, 현 2세, 이와테)
8.10모리오카서러브레드계 3세 신마더트 850m-11착오노데라 마사히코(미타카 패서)
8.31모리오카서러브레드계 3세 1더트 1420m-11착스가와라 이사오(토호쿠 그래스)
9.14모리오카비기너즈 컵중상더트 1100m-11착(사카모토 루키)
10.10미즈사와남부코마(南部駒)상중상더트 1600m-25착코바야시 토시히코에비스 사쿠라
1993년 (4세, 현 3세, JRA)
2.27나카야마크로커스 스테이크스OP잔디 1600m34.391착야스다 토미오(비코 알파)
4.11한신오카상GI잔디 1600m15.652착베가
5.23도쿄우준 빈마 (오크스)GI잔디 2400m8.832착베가
10.3나카야마퀸 스테이크스GIII잔디 2000m2.411착(호쿠토 베가)
11.14교토엘리자베스 여왕배GI잔디 2400m4.0310착오카베 유키오호쿠토 베가
12.7나카야마터쿼이즈 스테이크스OP잔디 1800m1.911착(알파 큐트)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퀸 스테이크스
(GIII)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1953
체리오
1954
코마노 하나
1955
블레싱
1956
아카츠키
1957
미스 세이하
1958
미스 마루사
1959
미스 히가시 오
1960
치도리
1961
에조 코잔
1962
류 제트
1963
미스 토요페트
1964
플라워 우드
1965
키쿠노 스즈란
1966
키요 시게루
1967
메지로 아사히
1968
하드 웨이
1969
메이지 아스터
1970
하버 게임
1971
포피 온워드
1972
타카이 호마
1973
히다 코가네
1974
토코 엘자
1975
안젤모
1976
닛쇼 다이아
1977
프리티 아카츠키
1978
밴 패서
1979
하자마 퍼스트
1980
타케노 해피
1981
슈퍼 패스트
1982
빅토리아 크라운
1983
스위트 블래스트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I 지정 후
1984
해피 오루톤
1985
아사쿠사 스케일
1986
로열 실키
1987
스트롱 레이디
1988
프리 토크
1989
메지로 몬테레이
1990
위너즈 골드
1991
이나즈마 크로스
1992
신코 러블리
1993
유키노 비진
1994
히시 아마존
1995
사쿠라 캔들
1996
레인보우 퀸
1997
프로모션
1998
에어 데자뷰
1999
에어 자이온
2000
투 더 빅토리
2001
야마카츠 스즈란
2002
미츠와 탑 레이디
2003 · 2004
오스미 하루카
2005
레 클레 도르
2006
데어링 하트
2007
아사히 라이징
2008
야마닌 메르베이외
국제 G3 지정 후
2009
피에나 비너스
2010
애프리콧 피즈
2011
아벤투라
2012 · 2013
아임 유어스
2014
콰트르 피유
2015
메이쇼 수잔나
2016
마코토 브리자르
2017
아에롤리트
2018
디어드러
2019
미키 참
2020
레드 아네모스
2021 · 2022
테르체토
2023
두라



[지방] [중앙] [1] 하지만 상기했듯 사정상 지방에서 데뷔했을 뿐이지, 혈통 면에서 보면 이쪽도 만만치 않다. 당장 부마가 그 유명한 사쿠라 유타카 오.[2] 다만 베가는 혈통과는 달리 다리는 밖으로 심하게 휘고 얼굴도 늘어진 유성이 한쪽 콧구멍을 덮은 보기 흉한 모양에 이마에 칙칙한 점이 여럿 있는 등 영 투박하게 생겨서 외모로만 치면 유키노 비진 쪽이 훨씬 아가씨다웠다는 후문.[N] A B C D E F 전 경기 지방[3] 오노 유리코 → 치바 오사무 → 후지모토 후지코[4] 호소카와 타다요시 (고치) → 요네자와 히로시 (카미노야마) → 스도 노부유키 (카미노야마)[5] 지방 5전 3승[6] 지방 7전 0승[7] 지방 5전 0승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05:39:42에 나무위키 유키노 비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