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지성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유지성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bb2848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colbgcolor=#01164d><colcolor=#FFF><width=20%> '''투수''' || '''4 [[이승관|{{{#000000,#FFFFFF 이승관}}}]]^^#^^ · 7 [[김진욱(2002)|{{{#000000,#FFFFFF 김진욱}}}]] · 11 [[정윤환|{{{#000000,#FFFFFF 정윤환}}}]]^^#^^ · 15 [[김태현(야구선수)|{{{#000000,#FFFFFF 김태현}}}]] [br] 17 [[이수민(야구선수)|{{{#000000,#FFFFFF 이수민}}}]]^^#^^ · 18 [[오윤성(야구선수)|{{{#000000,#FFFFFF 오윤성}}}]] · 19 [[김재영(야구선수)|{{{#000000,#FFFFFF 김재영}}}]]^^#^^ · 20 {{{#000000,#FFFFFF 이가미}}} [br] 21 [[박윤철|{{{#000000,#FFFFFF 박윤철}}}]] · 24 [[이태규(야구선수)|{{{#000000,#FFFFFF 이태규}}}]] · 29 [[유지성|{{{#000000,#FFFFFF 유지성}}}]] · 31 {{{#000000,#FFFFFF 최정욱}}} [br] 39 [[최지민|{{{#000000,#FFFFFF 최지민}}}]] · 40 [[한선태|{{{#000000,#FFFFFF 한선태}}}]]^^#^^ · 41 [[이근혁|{{{#000000,#FFFFFF 이근혁}}}]] · 43 [[서준원|{{{#000000,#FFFFFF 서준원}}}]] [br] 44 [[양경모(야구선수)|{{{#000000,#FFFFFF 양경모}}}]] · 45 {{{#000000,#FFFFFF 백동운}}} · 54 [[오세훈(야구선수)|{{{#000000,#FFFFFF 오세훈}}}]] · 55 {{{#000000,#FFFFFF 김효준}}} [br] 62 [[하준수(야구선수)|{{{#000000,#FFFFFF 하준수}}}]]^^#^^ · 67 [[정이황|{{{#000000,#FFFFFF 정이황}}}]]^^#^^ · 99 [[김승현(1992)|{{{#000000,#FFFFFF 김승현}}}]]^^#^^ · # [[구대성|{{{#000000,#FFFFFF 구대성}}}]]''' || || '''포수''' || '''10 [[허관회|{{{#000000,#FFFFFF 허관회}}}]] · 22 [[김기연(야구선수)|{{{#000000,#FFFFFF 김기연}}}]] · 25 {{{#000000,#FFFFFF 곽지민}}} · 26 [[김시앙|{{{#000000,#FFFFFF 김시앙}}}]]^^#^^ [br] 32 [[조형우|{{{#000000,#FFFFFF 조형우}}}]] · 42 [[박상언|{{{#000000,#FFFFFF 박상언}}}]]^^#^^''' || || '''내야수''' || '''1 [[송찬의|{{{#000000,#FFFFFF 송찬의}}}]] · 2 [[신준우|{{{#000000,#FFFFFF 신준우}}}]] · 3 [[김민석(타자)|{{{#000000,#FFFFFF 김민석}}}]] [br] 5 [[김주성(야구선수)|{{{#000000,#FFFFFF 김주성}}}]] · 14 [[김규성|{{{#000000,#FFFFFF 김규성}}}]] · 23 [[서호철|{{{#000000,#FFFFFF 서호철}}}]] [br] 36 [[김서진(야구선수)|{{{#000000,#FFFFFF 김서진}}}]] · 52 [[김태연(야구)|{{{#000000,#FFFFFF 김태연}}}]] · 56 [[박정현(2001)|{{{#000000,#FFFFFF 박정현}}}]]^^#^^''' || || '''외야수''' || '''13 [[하재훈|{{{#000000,#FFFFFF 하재훈}}}]]^^#^^ [[틀:질롱 코리아 주장|
{{{#white '''C'''}}}
]] · 27 [[박찬혁|{{{#000000,#FFFFFF 박찬혁}}}]] · 28 [[이진영(1997)|{{{#000000,#FFFFFF 이진영}}}]] [br] 35 [[김석환|{{{#000000,#FFFFFF 김석환}}}]]^^#^^ · 38 [[유상빈|{{{#000000,#FFFFFF 유상빈}}}]]^^#^^ · 47 [[오장한|{{{#000000,#FFFFFF 오장한}}}]] · 50 [[이원석(1999)|{{{#000000,#FFFFFF 이원석}}}]]^^#^^ [br] 51 [[장진혁|{{{#000000,#FFFFFF 장진혁}}}]]^^#^^ [[틀:질롱 코리아 주장|
{{{#white '''C'''}}}
]] · 57 [[박주홍|{{{#000000,#FFFFFF 박주홍}}}]] · 97 [[권광민|{{{#000000,#FFFFFF 권광민}}}]]''' || || '''투타겸업''' || '''16 [[장재영(야구선수)|{{{#000000,#FFFFFF 장재영}}}]]^^#^^''' || ||<-2> '''
[[코치(스포츠)#s-2.1|{{{#FFFFFF {{{-2 감독}}}}}}]]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이병규(1974)|{{{#FFF {{{-2 이병규}}}}}}]] ·
[[코치(스포츠)|{{{#FFFFFF {{{-2 투수 코치}}}}}}]]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7]]]] [[손정욱|{{{#FFF {{{-2 손정욱}}}}}}]][br]
[[코치(스포츠)|{{{#FFFFFF {{{-2 야수 코치}}}}}}]]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7]]]] [[윤진호(야구)|{{{#FFF {{{-2 윤진호}}}}}}]] ·
[[코치(스포츠)|{{{#FFFFFF {{{-2 배터리 코치}}}}}}]]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7]]]] [[윤수강|{{{#FFF {{{-2 윤수강}}}}}}]]''' || ||<-2> {{{-2 ^^#^^ 중도 귀국 선수}}} ||




유지성의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KIA 타이거즈 등번호 4번
이진영
(2019.8.14.~2019)
유지성
(2020)
강경학
(2021.7.3.~2021)
질롱 코리아 등번호 29번
결번유지성
(2022-23)
팀 해체
KIA 타이거즈 등번호 4번
한승택
(2022)
유지성
(2023~)
현역

KIA 타이거즈 No.4
유지성
Yoo Ji-sung
출생2000년 11월 15일 (23세)
서울특별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서울수유초 - 자양중 - 북일고[1]
신체189cm, 90kg
포지션투수
투타좌투좌타
프로입단2020년 2차 4라운드 (전체 36번, KIA)
소속팀KIA 타이거즈 (2020~)

질롱 코리아 (2022/23)
병역현역 (2020~2022)
연봉3,000만원 (11.1%↑, 2023년)

1. 개요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2.2.1. 2023 시즌
3. 피칭 스타일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KIA 타이거즈 소속 좌완 투수.


2. 선수 경력[편집]



2.1. 아마추어 시절[편집]


원래 서울에서 학교를 다녔지만 2017년부터 충남에 있는 북일고등학교로 전학을 갔다. 이 과정에서 1년을 유급했다. 그리고 2019년 고교야구 주말리그 전반기에서 대전/충청권 우수투수상을 수상했고, 이를 바탕으로 차기 좌완 투수를 육성해야 하는 KIA 타이거즈의 지명을 받았다.


2.2. KIA 타이거즈[편집]


2020 시즌은 2군에서 출발했으며, 1군 등판 없이 퓨처스에서 22경기 20이닝 11K ERA 5.85를 기록했다.

시즌이 끝나고 구단 유튜브를 통해 12월 입대한다는 소식을 알렸고, 2020년 12월 15일 군보류 공시되었다.


2.2.1. 2023 시즌[편집]


2022년 12월부터 질롱 코리아2022-23시즌에 중도 합류하며 실전감각을 쌓을 수 있게 됐다.

경기내내 좋지 않은 모습을 보이다가 마지막 경기에서 선발로 나와 5이닝 무실점 5K를 기록하면서 다음 시즌을 기약했다.

마무리캠프에서 07번을 달고 훈련하는 사진이 찍히긴 했지만, 2월 1일 발표한 번호에 따르면 4번을 다시 찾은 것으로 확인됐다.


3. 피칭 스타일[편집]


훌륭한 신체 조건과 야구에 대한 열정으로 최대 단점인 구속을 개선해 나가고 있다. 130대 후반에서 140대 초중반에서 머무른다. 평소 야구에 대한 열정과 노력으로 무궁한 성장이 기대된다.[2] 프로에서는 확실히 보완해야 할 것이다.

구속이 매우 느린 것은 투구 시 하체가 무너져버리는 아쉬운 투구폼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반대로 생각해보자면, 하체의 움직임을 교정할 시 구속 상승의 여지가 있다는 뜻인데, KIA도 그런 가능성을 보고 지명한 듯. 만약 하체 고정 시에도 구속이 늘지 않는다고 해도 자신만의 무기가 있다면 유희관처럼 성공하는 선수가 될 수 있다.[3]

프로와서는 최고구속 140km까지 찍었지만 평속은 여전히 130 중반대로 느린 편이다. 하지만 구속이 어느 정도 상승했다는 점에서 기대를 받고 있다.

질롱 코리아에 입단했을 땐 구속이 올라서 지금은 최고구속 143km를 찍었고 아직 구속이 오르는 중이다.

2023년 4월 30일 퓨쳐스리그 경기에서 최고 146km를 찍었다. 뛰어난 피지컬을 이용해 파워풀하게 던지는 모습을 보여주며 기대치를 끌어올리고 있다.


4. 여담[편집]


  • 바로 다음 라운드에서 KIA의 지명을 받은 김양수와는 북일고등학교 동기로, 프로에서도 함께 KIA의 지명을 받으며 졸업 이후에도 인연을 이어가고 있다. 다만 유지성이 유급함에 따라 나이는 1살 차이가 난다.

  • 제대한 후 머리 스타일을 변경했는데 박새로이를 닮아 별명이 박새로이가 됐다.


5.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06:36:40에 나무위키 유지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충암고에서 전학.[2] 약 134~6km/h.[3] 실제로 유희관의 직구는 무려 130km/h 정도밖에 안되며 최고속도 또한 136km/h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