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덤프버전 : (♥ 0)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United Nations Command
Military Armistice Commission
파일: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기.png파일:유엔군사령부 휘장.svg
유엔사 군사정전위 기[1]휘장
||
설립일1953년 7월 27일
수석대표[겸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육군 소장 이기성
소재지판문점 공동경비구역
상위기관유엔군사령부

1. 개요
2. 구성
2.1. 유엔측 수석대표
2.2. 공산측 수석대표
3.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유엔군사령부 휘하 군사정전위원회이다. 정전 협정의 체결과 함께 동시에 발족하였다.


2. 구성[편집]


구성은 정전협정에 다음과 명시되어 있다. 군사정전위원회는 10명의 고급장교로 구성하되 그 중의 5명은 국제연합군 총 사령관이 이를 임명하며 그 중의 5명은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과 중국인민지원군 사령관이 공동으로 이를 임명한다 위원 10명 중 에서 각방의 3명은 장급에 속하여야 하며 각방의 나머지 2명은 소장 준장 대령 혹은 그와 동급인 자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북한은 한국군 황원탁 소장이 유엔사 수석대표로 임명된 것에 항의하여 1991년부터 정전위를 보이콧하였으며 1994년 4월에 탈퇴를 선언했다. 이후 중국도 1994년 9월에 탈퇴하였다.

2.1. 유엔측 수석대표[편집]


  • Blackshea M. Bryan(1953.6.20~1953.10.20) 육군소장
  • Julius K. Lacey(1953.10.21~1954.4.30) 공군소장
  • Albert E. Jarrell(1954.5.1~1954.6.11) 해군소장
  • Thomas B. Brittain(1954.6.12~1954.11.3) 해군소장
  • Leslie D. Carter(1954.11.4~1955.5.3) 육군소장
파일:한미연합군사령부 부대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 범례

## 1번째 줄 - 1공
파일:major general_white.png

제56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px-US_Army_Major_General_Flag.svg.png
제임스 레코드
제57대

황원탁
제58대

이석복
제59대

파일:external/flagspot.net/kr%5Em3.gif
차기문
제60대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송영근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김용기
제20대

장용구
제21대

제22대

권태오
제23대

제24대

장경욱
제25대

전인범
제26대

서형석
제27대

장광현
제28대

조영진
제29대

신상범
제30대

김종문
제31대

강인순

※ 초대~현임: 소장(58대: 중장)





2.2. 공산측 수석대표[편집]



3. 같이 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02:11:41에 나무위키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제85호에 따라 유엔군사령부는 상징 깃발로서 유엔기를 사용한다.[겸직]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참모장이 겸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