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비전 송 콘테스트/1969년

덤프버전 : (♥ 1)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역대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런던 1968마드리드 1969암스테르담 1970

파일:ESC_1969_logo.png
개최정보
개최일자[1]1969년 3월 29일
개최지스페인국 마드리드
왕립극장
참가국16개국
진행라우리타 발렌수엘라
우승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스페인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프랑스 국기.svg프랑스

1. 개요
2. 대회 진행
2.1. 복귀국 및 불참국
3. 지휘자
4. 경연 결과
4.1. 파이널
4.2. 투표 결과
5. 결과 분석



1. 개요[편집]


14회를 맞는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스페인 참가자였던 마시엘(Massiel)이 1968년 대회에서 우승을 하면서 스페인이 개최권을 가져왔으며, 수도인 마드리드에서 개최되었다. 테아트로 레알(왕립극장)에서 진행되었고, 진행은 라우리타 발렌수엘라가 맡았다.


2. 대회 진행[편집]




1969년 3월 29일에 진행되었다. 스페인에서 개최하는 첫 대회였기 때문에 스페인 측에서 정말 공을 들여 준비했다. 대회 전 준비를 다룬 방송 영상자료가 남아있을 정도니 그 노력을 엿볼 수 있다. 무대디자인과 행사 연출은 살바도르 달리가 맡았다.


2.1. 복귀국 및 불참국[편집]


오스트리아가 이번 대회 불참을 선언하면서 16개국이 우승을 두고 경쟁을 하게되었다.


3. 지휘자[편집]


순서참가국지휘자
01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유고슬라비아밀롄코 프로하스카 (Miljenko Prohaska)
02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룩셈부르크아우구스토 알게로 (Augusto Algueró)
03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스페인
04파일:모나코 국기.svg모나코에르베 루아 (Hervé Roy)
05파일:아일랜드 국기.svg아일랜드노엘 킬러한 (Noel Kelehan)
06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탈리아에치오 레오니 (Ezio Leoni)
07파일:영국 국기.svg영국조니 해리스 (Johnny Harris)
08파일:네덜란드 국기.svg네덜란드프란스 더코크 (Frans de Kok)
09파일:스웨덴 국기.svg스웨덴라르스 사무엘손 (Lars Samuelson)
10파일:벨기에 국기.svg벨기에프란시스 베이 (Francis Bay)
11파일:스위스 국기.svg스위스헨리 메이어 (Henry Mayer)[2]
12파일:노르웨이 국기.svg노르웨이외이빈 베르흐 (Øivind Bergh)
13파일:독일 국기.svg독일한스 블룸 (Hans Blum)
14파일:프랑스 국기.svg프랑스프랑크 푸르셀 (Franck Pourcel)[3]
15파일:포르투갈 국기.svg포르투갈페레르 트린다드 (Ferrer Trindade)
16파일:핀란드 국기.svg핀란드오시 룬네 (Ossi Runne)


4. 경연 결과[편집]



4.1. 파이널[편집]


순서참가국가수노래언어순위점수공연 영상
01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유고슬라비아Ivan and 4MPozdrav svijetu (Поздрав свијету)세르보크로아트어135#
02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룩셈부르크RomualdCatherine프랑스어117#
03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스페인SaloméVivo cantando스페인어118#
04파일:모나코 국기.svg모나코Jean JacquesMaman, maman프랑스어611#
05파일:아일랜드 국기.svg아일랜드Muriel Day and the LindsaysThe Wages of Love영어710#
06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탈리아Iva ZanicchiDue grosse lacrime bianche이탈리아어135#
07파일:영국 국기.svg영국LuluBoom Bang-a-Bang영어118#
08파일:네덜란드 국기.svg네덜란드Lenny KuhrDe troubadour네덜란드어118#
09파일:스웨덴 국기.svg스웨덴Tommy KörbergJudy, min vän스웨덴어98#
10파일:벨기에 국기.svg벨기에Louis NeefsJennifer Jennings네덜란드어710#
11파일:스위스 국기.svg스위스PaolaBonjour, bonjour독일어513#
12파일:노르웨이 국기.svg노르웨이Kirsti SparboeOj, oj, oj, så glad jeg skal bli노르웨이어161#
13파일:독일 국기.svg독일Siw MalmkvistPrimaballerina독일어98#
14파일:프랑스 국기.svg프랑스Frida BoccaraUn jour, un enfant프랑스어118#
15파일:포르투갈 국기.svg포르투갈Simone de OliveiraDesfolhada portuguesa포르투갈어154#
16파일:핀란드 국기.svg핀란드Jarkko and LauraKuin silloin ennen핀란드어126#


4.2. 투표 결과[편집]


국가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파일:모나코 국기.svg파일:아일랜드 국기.svg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영국 국기.svg파일:네덜란드 국기.svg파일:스웨덴 국기.svg파일:벨기에 국기.svg파일:스위스 국기.svg파일:노르웨이 국기.svg파일:독일 국기.svg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포르투갈 국기.svg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113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13111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123131322
파일:모나코 국기.svg24221
파일:아일랜드 국기.svg11131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11111
파일:영국 국기.svg2431511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2131416
파일:스웨덴 국기.svg1313
파일:벨기에 국기.svg23122
파일:스위스 국기.svg2321122
파일:노르웨이 국기.svg1
파일:독일 국기.svg32111
파일:프랑스 국기.svg124421112
파일:포르투갈 국기.svg211
파일:핀란드 국기.svg111111


5. 결과 분석[편집]


당시는 동점자 규칙이 없었기 때문에 4개국가가 공동 우승을 차지하는 이례적인 상황이 나왔다. 이 일로 인해서 다음해 암스테르담에서 치러진 1970년 대회에 노르웨이, 스웨덴, 포르투갈, 핀란드가 불참하는 사태가 나왔다.

그 이후로 새로운 규정을 만들면서, 공동 우승은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20:27:33에 나무위키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1969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지 기준[2] 본명 하인츠 마이어 (Heinz Meier)[3] 별이 빛나는 밤에 시그널송을 편곡한 작곡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