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버스 리그

덤프버전 : (♥ 0)




SBS 예능 프로그램
유니버스 리그 (2024)
Universe League
파일:유니버스 리그 COMING SOON.jpg
방송사SBS TV
제작사SBS | F&F엔터테인먼트
방송 시간
방영 기간2024년 하반기 예정[1]
제작진
기획F&F엔터테인먼트
연출이환진, 김해교, 유화, 서윤미, 도유진, 엄하은, 김성령, 장수빈
조연출
작가이도연, 석연경, 오유미, 임소민, 김지현, 손지아, 최주애, 김영웅, 이시우, 손나영, 신희원
출연진진행미정[2]
유니콘
참가자
시그널송
데뷔 그룹
최종 1위
스폰서
국내 등급파일:12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2세 이상 시청가
공식 링크

1. 개요
2. 언론 보도 자료
3. 예고편
4. 참가자
5. 방영 목록
6. 투표 방법
7. 시청률
8. 활동
8.1. PR 영상
8.2. 파이널 무대 최종 결과
9. 여담



1. 개요[편집]


‘유니버스 티켓’의 새로운 세계관,
소년들의 〈유니버스 리그〉가 시작된다!
데뷔의 꿈을 이뤄줄
프리즘 컵을 차지하기 위한 드림 매치!
〈유니버스 리그〉

2024년, SBSF&F엔터테인먼트가 합작으로 제작하는 보이그룹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2023년 방영한 유니버스 티켓의 후속작이다.


2. 언론 보도 자료[편집]




3. 예고편[편집]




4. 참가자[편집]


2024년 4월 22일부터 신청을 받는다. 국적을 불문하고 2011년 이전 출생한 소년이면 지원이 가능하다.[3]


5. 방영 목록[편집]




6. 투표 방법[편집]




7. 시청률[편집]




8. 활동[편집]




8.1. PR 영상[편집]




8.2. 파이널 무대 최종 결과[편집]




9. 여담[편집]



  • 2023년에 방영된 보이즈플래닛, Nizi Project Season 2, NCT Universe : LASTART, 소년판타지, 팬픽, 피크타임 등 타사 서바이벌 프로그램에 앞서 참가했다가 탈락한 연습생들이 다시 출연할 가능성이 있으며, 방영 시기에 따라서는 동년 전반기에 먼저 방송하는 메이크 메이트 원 출신 참가자들도 나올 가능성이 있다.[4]

  • 2010년대 후반 이후로 남자 어린이, 청소년들이 점점 아이돌을 선망하고 있지 않으며 남자 연습생을 구하기가 이전보다 매우 힘든 상황이라는 업계인 증언이 연예부 언론 기사에서 지속적으로 다뤄지고 있다. 실제로 프로듀스 X 101 이후에 방송된 보이그룹 오디션들의 인재풀은 이전보다 대체로 좋지 못한 편이라는 시청자 의견이 많았고, 주관 방송사와 기획사인 SBS와 F&F의 인재 섭외 능력 역시 엠넷만큼 뛰어나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므로 참가자 모집에 상당한 난항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전작이나 소년판타지보다 더 힘들 가능성이 높다. 상황이 악화될 경우, 나이 문제, 군대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역 아이돌 출신, 2023년 이전 서바이벌 출신 재도전자들이 생각보다 많아질 수 있다.[5] 극단적으로는 지원자 부족으로 인한 방영 전면 무산 사태가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야 할 수도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5 12:55:58에 나무위키 유니버스 리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 보이즈플래닛처럼 진행자는 따로 두지 않을 확률이 매우 높다.[3] 2011년 출생까지 참가 가능했던 전작 유니버스 티켓보다는 나이 제한이 1살 높아졌다. 걸그룹과 달리 보이그룹은 멤버들의 변성기 문제가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SBS가 앞서 방송했던 보이그룹 오디션 LOUD: 라우드의 경우, 고키가 최종 데뷔조인 THE NEW SIX에 선발됐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변성기가 오지 않은 목 상태를 비롯한 미진한 성장세를 이유로 합의 하에 데뷔조에서 제외됐던 선례가 있으며, TV조선의 내일은 미스터트롯 시리즈에서도 변성기가 진행 중인 참가자들은 초반에 모두 탈락하였다.[4] 소년24, 프로듀스 101 시즌2, 프로듀스 X 101, 언더나인틴, 극한데뷔 야생돌, LOUD: 라우드, 청춘스타, I-LAND, &AUDITION-The Howling, G-EGG, PRODUCE 101 JAPAN 시리즈 (보이그룹 시즌인 시즌 1시즌 2 한정) 등 2023년보다 이전에 방송한 오디션들의 경우 참가자들의 나이 문제가 있다. 거기에 징병제 국가인 한국, 대만, 태국 출신 인재들의 경우 군대 문제까지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다.[5] 물론 보이즈플래닛 참가자 중 거의 심사위원 급 연차와 경력이 있는 참가자였고 실제로도 출연자 발표 당시 심사위원으로 나와야 할 사림이 참가자로 잘못 기재된 것이 아니냐는 말까지 있었던 후이가 실력과 스타성은 확실했음에도 너무 많은 나이로 인해 최종화에서 탈락한 사례처럼 시청자들 사이에서는 "연륜과 경험이 충분한 베테랑 참가자보다는, 아직 어리지만 성장 가능성이 있는 참가자에게 데뷔 기회를 먼저 주자"는 의견이 우세하다. 하지만 그조차도 불가능할 만큼 어린 유망주들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어쩔 수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