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페이스/무기(스나이퍼)

덤프버전 : r20180326 (♥ 0)





1. 개요[편집]


워페이스의 스나이퍼 병과의 무기 목록. 현재 게임에는 업데이트 되었으나 이 항목에 추가되지 않은 무기는 추가바람. 북미판 명칭은 각 항목에 후술. 북미판에서 재판매중인 무기나 능력치가 조정된 무기는 북미판 기준으로 설명.
괄호 안 명칭은 국내판 무기 명칭이면서 실제 모델이 된 무기 명칭입니다. 괄호가 없으면 북미판 명칭입니다.

머리 500%몸 100%팔 100%다리 100%
머리 500%몸 100%팔 80%다리 80%
워페이스 저격소총의 데미지 배율은 이 표를 참고. 위는 볼트액션이고 아래는 반자동이다. 예외인 총기는 따로 기재한다.
또다른 이미지 출처[1]

2. 기본 총기[편집]



2.1. SVK (DRAGUNOV SR)[편집]


SVK
파일:SVK.png
성능
공격력 - 140
사거리 - 60
연사력 - 250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60
장탄수 - 12/48
가격
기본 총기


기본 총기. 스펙도 뭣도 그냥 기본무기다. 그래도 워페이스를 갓 시작할 때엔 상대적으로 나쁘지 않은 성능이고, 헤드샷 맞추면 한방인건 똑같아서 워페이스를 처음 시작할때 다른 스나이퍼 안사고 이것만 쓰는 경제적인 선택을 할 수도 있다. 정신건강에는 좋지 않지만

한국 워페이스 초반엔 모든 무기가 그랬듯이 모든 부착물을 붙일수 있었지만 쿠데타 패치 이후로 다 뺏기고 표준형 소음기 하나만 끼울수 있었다. 지금은 해외 서버로 넘어오며 부착물이 갱신되었다.

3. 벤더 무기[편집]



3.1. 일반 벤더[편집]



3.1.1. AC7 SNR (XM8 SHARPSHOOTER)[편집]


AC7 SNR
파일:AC7SNR.png
성능
공격력 - 150
사거리 - 60
연사력 - 270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59
장탄수 - 16/48
가격
내구제 - 2,730$


한국 워페이스 시절에는 연사력이 400이었으나[2] 반자동 무기 연사력 하향평준화 이후로는 그냥 초반에 쓰고 나중에는 기본무기보다 존재감이 사라지는 무기가 되었다. 지금도 반자동 스나이퍼중엔 가장 빠른 연사력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먼 거리의 적일수록 연사시 반동의 영향을 심하게 받는다는 점도 생각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연사보다 반동 컨트롤에 집중해야 할 필요도 있다. 장탄수 상향까지 받았지만 사용자가 드물게 보이는 편.

파일:XM8_Sharpshooter_Winter_Camo.png
특수임무 Cold Peak를 클리어하면 랜덤으로 윈터카모 버전 무기를 지급하며, 이것은 AC7 SNR의 윈터카모 버전이다. 스펙은 순서대로 210, 60, 270, 104, 59, 16/48로, 데미지가 60 상승했다. 부착물은 전부 붙일수 있다.

표준형 소음기가 부착물 목록에 빠진적이 있었으나, 다시 고쳐졌다.

3.1.2. ZX84 SNR (H&K SL8)[편집]


ZX84 SNR
파일:ZX84SNR.png
성능
공격력 - 200
사거리 - 65
연사력 - 230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58
장탄수 - 16/48
가격
내구제 - 2,730$


G36 소총의 민수용 모델. 옛날에는 데미지 180에 어정쩡한 연사력으로 아무도 사용하지 않았으나 데미지가 200으로 상향된 지금은 협동모드에서 돌격병과 근접병 상대로 몸샷 한방을 띄울수 있다는 이점이 있어 가끔 얼굴을 비춘다. 한페 당시의 XM8 샤프슈터와 입지가 역전된 셈. 역시 장탄수 상향을 받았다.

파일:H&K_SL8_Anti-Cyborg_Render.png
과거 Cyber Horde를 클리어하면 무작위로 할로윈 무기를 지급했으며, 이것은 ZX84 SNR의 할로윈 버전이다. 스펙은 순서대로 200, 65, 230, 104, 60, 20/180이고, 부착물은 특수 저격총 양각대 빼고 전부 붙일수 있다. 이 총기는 일부 사이보그 병사들에게 3배의 데미지를 줄 수 있다는게 특징이다. 하지만 Cyber Horde 보상이 개편된 지금은 한정판매 외엔 얻을 방법이 없다.

표준형 소음기가 부착물 목록에 빠진적이 있었으나, 다시 고쳐졌다.

3.2. 고급 벤더[편집]



3.2.1. CCR SPR (ACR SPR)[편집]


CCR SPR
파일:ACR_SPR.png
성능
공격력 - 190
사거리 - 60
연사력 - 210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55
장탄수 - 20/40
가격
내구제 - 4,390$


준수한 공격력과 20발의 장탄수, 적절한 연사력과 반동의 하모니를 이루는 가성비 우수한 스나이퍼다. 협동 공방에 가면 초보들이 들고있는걸 볼수 있지만, 반자동 스나이퍼가 사양세인 대전에선 보이지 않는다.

3.2.2. AY 550 (SIG 550)[편집]


AY 550
파일:AY550.png
성능
공격력 - 170
사거리 - 65
연사력 - 245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55
장탄수 - 20/40
가격
내구제 - 4,875$


역시 장탄수 20에 적은 반동으로 총기 풀이 적었던 한국 워페이스 시절엔 볼트액션에 알파인이 있다면 반자동에는 이 총이 있다 할 정도로 국민스나였으나 지금은 위의 CCR SPR보다 덜쓰인다. 당시엔 AC7 SNR괴 마찬가지로 우수한 연사력이 있었지만 모든 총기가 전체적으로 연사력 하향을 먹은 지금 연사력 어드밴티지가 그다지 눈에 띄지 않기 때문. 만약 당신이 협동에서 자연스럽게 헤드샷을 따는 경지까지 오른다면그리고 수리비를 아끼려고 한다면 유희용으로 사용해 볼만하다.

3.2.3. Otto OT 3000 (Walther WA 2000)[편집]


Otto OT 3000
파일:Walther_WA_2000_Render.png
성능
공격력 - 250
사거리 - 70
연사력 - 115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55
장탄수 - 6/24
가격
내구제 - 4,390$


벤더무기 반자동 스나이퍼 치고는 높은 데미지를 보유하고 있다. 때문에 협동에서 왠만한 AI는 몸샷 한방에 골로간다. 다만 장탄수와 연사력이 반자동 스나이퍼 치고는 심각하게 낮은 수치라서 사용자가 협동서 헤드를 맞출 실력이 부족하거나 즐겜 몸샷플레이를 일관할것이 아니면 비추천이다.

그렇다고 이 스나이퍼가 대전에서 쓸만한것도 아닌게, 확실히 데미지가 높은 편이고 가끔 최고티어 방탄복을 상대로도 몸샷 1방을 내는 모습을 보이나 딱 거기까지. 말 그대로 가끔이라 어지간해서는 2방이며, 연사력이 폐급이기 때문에 차라리 2발을 속사해서 제압할 수 있는 일반벤더의 SL8이 더 고평가되는 지경. 즉 몸샷 시 쏘는 사람도 맞는 사람도 기도해야한다(...) 당연히 소음기를 부착하면 99%반샷이 나기에 닥치고 소염기를 달아야 하며 거기다 같은 반자동 고데미지 계열인 워박스 총기 RSASS의 등장으로 지금은 완전히 관짝신세다. 결론은 그냥 다른 거 써라.

한국 워페이스 쿠데타 이후에 출시된 총기로 당시엔 희귀벤더였다. 그러나 이후 상기된 단점 때문에 고급 벤더로 강등되었다.

여담으로, 실제 WA2000은 양각대 고정점이 총열덮개 쪽에 위치하는데, 워페이스에서는 여타 저격 소총과 마찬가지로 고정점이 총열 아래에 위치한다. 아무래도 레일과 양각대 통합, 최적화 때문인듯.

3.3. 희귀 벤더[편집]



3.3.1. Everest (ALPINE)[편집]


Everest
파일:Everest.png
성능
공격력 - 320
사거리 - 70
연사력 - 39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45
장탄수 - 5/20
가격
내구제 - 7,800$


국내에선 AVA로 알려진 TPG-1이다. 아바 유저 입장에선 반갑겠지만, 얻기는 그리 쉽지 않다.

워페이스에서 볼트액션을 입문할때 체이탁 다음으로 접하기 쉬운 볼트액션으로, 그리 좋은 스펙은 아니지만 나쁘지도 않다는게 특징이다. 데미지가 320으로 볼트액션 총기들중엔 많이 낮은 수치의 데미지를 가지고 있지만 작정하고 표준형 소음기를 붙이지 않는 이상 반샷나는걸 보기 힘들다.

장탄수도 적고 연사력도 낮아 고수들이 쓰는걸 보기 힘들 정도로 성능이 안좋지만, 초심자가 볼트액션을 연습할때 이 총기만큼 좋은 것도 없다. 한발한발에 항상 집중해서 쏘다보면 언젠가 볼트액션 장인이 되어 있을 것이다.

3.3.2. Karkom SNR Navy Blue (Tavor STAR-21 Navy Blue)[편집]


Karkom SNR Navy Blue
파일:Tavor_STAR-21_Navy_Blue_Render.png
성능
공격력 - 180
사거리 - 70
연사력 - 260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55
장탄수 - 20/40
가격
내구제 - 7,800$


한국 워페이스 당시 쿠데타 패치와 함께 출시된 총기. 그때 당시 원본인 Karkorm SNR(Tavor STAR-21)이 삭제되어 대체재 정도로 넣어준 듯하다. 색깔놀이 자동으로 발사되던 원본과 달리 반자동식이다.

이 총기의 장점중 하나는 바로 안정된 반동을 가지고 있다는것. 사격시 반동이 11시방향으로 일정하게 튀고, 에임이 회복되는시간이 짧다. 이것이 적절한 데미지&높은 연사력에 시너지를 받아 협동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소염기 소음기 뭘 달아도 좋으나, 되도록 헤드샷을 맞추는것이 좋다.

참고로 현재 원본은 협동 대전 안가리고 사기소리 듣는 워페이스 개사기총 원탑이다. 아래 Karkom SNR (Tavor STAR-21) 참고.

3.3.3. BNP SNR-1 (AMP DSR-1)[편집]


BNP SNR-1
파일:BNP-SNR1.png
성능
공격력 - 345
사거리 - 65
연사력 - 38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35
장탄수 - 5/30
가격
내구제 - 7,800$


한국 워페이스 서비스 종료 후에 출시된 저격소총. 같은 희귀벤더 볼트액션인 에버레스트와 비교하면 더 높은 데미지를 가지고 있다. 줌 속도가 꽤 빠르다는 특징이 있지만 연사력은 모든 볼트액션중 최악이라 대치 상황중에 빗맞추는 순간 생존 확률은 엄청나게 떨어진다. 거기다 반동이 12시 상반동이면서 자비없이 위로 쭉 올라가는 반동이라 격발 후 상황판단도 힘들다. 그나마 기본으로 달려있는 양각대의 성능이 좋아 엎드리면 반동이 매우 줄어들긴 한다.

여담으로 이 총기는 불펍식 저격소총이다. 방아쇠 앞에 있는건 예비탄창이다.

3.4. 전설 벤더[편집]



3.4.1. Warface International WT308 (AT308)[편집]


WT308
파일:AT308_Render.png
성능
공격력 - 350
사거리 - 80
연사력 - 40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53
장탄수 - 10/50
가격
내구제 - 9,000$


메딕 무기인 PEG H.G.C. Custom 다음으로 추가된 전설 벤더 무기. 전설 벤더로는 두번째다. 역시 PEG H.G.C. Custom 처럼 우수한 성능을 지니고 있다. 같은 형제인 TWM X308 (AX308)과 비슷하게 WT308 (AT308)도 높은 데미지와 사거리를 가지고 있어 기존 308의 느낌을 잘 살렸다.

전용 조준경은 Razor HD Gen II 으로, 4배 줌, 줌 인/아웃 시간 14% 감소 의 효과가 붙어있다. WT308의 줌 인/아웃 속도는 둘다 0.15초로 동일하며, 전용 조준경을 부착시 0.129초로 줄어들어 매우 빠른 줌 속도를 보여준다. 하지만 이래도 벤더무기라서 TWM X308이나 스카웃보다는 줌 보정속도가 더 느리다. 그나마 밀러와 비슷한 수준.

참고로 인게임에선 전용 스코프의 배율이 4.7배라고 표기되어 있으나 구라스펙이다. 실제론 4.5배는 커녕 4배와 동일한 줌을 보여준다. 단순 실수인지 의도된 건지는 불명. 하지만 이 덕분에 중장거리 저격은 5배줌을, 단거리 순간저격은 전용 스코프를 다는 것으로 적응이 가능하다.

최신 무기인 만큼 특이사항이 있는데 볼트액션 스나이퍼중 유일하게 격발후 볼트를 당기는 모션이 두개다. 그러나 이 때문에 안그래도 낮은 연사력이 더욱 눈에 띄게 된다.

2월 19일 패치로 연사력이 38에서 40으로 상향되었다.

3.4.2. Gepard GM6 Lynx[편집]


Gepard GM6 Lynx
파일:Gepard_GM6_Lynx.png
성능
공격력 - 350
사거리 - 60
연사력 - 150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40
장탄수 - 5/25
가격
내구제 - 9,000$


총기 출시 예고
러시아 서버의 사용 영상

예전부터 포럼에서 이미지가 유출되었던 총기로, UTC 시간으로 2018년 2월 6일에 출시 예고가 나온 대물 저격소총. 벤더무기로 출시가 된다고 하니 스펙을 보나 출시되는 시간대를 보나 전설 벤더로 취급될것임이 확실해졌다.

기존의 BT50, Krazy Horse와 같은 데미지 350 반자동 저격소총으로, 각각의 무기에서 BT50의 장탄수와 크레이지 홀스의 연사력만을 챙겨왔다. 반대로 챙겨왔다면 벤더 무기가 아니라 한정판매로 팔려도 할 말이 없다 반동은 첫 1~2발까지는 매우 작지만, 여기서 한발만 더 발사하면 워페이스 역사상 최악의 반동을 볼 수 있다. 3발째부턴 조준점이 목표지점을 크게 벗어나는데다, 반동 방향마저 랜덤이다. 때문에 이 총을 사용할땐 무조건 1~2발 만에 상대를 잡아내야 한다. 3발부터는 반동때문에 맞추는 것이 불가능하니 3발이나 쏴도 적을 잡아내지 못했을땐 운명을 받아들이도록.

파일:Gepard_GM6_Lynx_Scope.png
스펙만 보면 BT50의 하위호환이 될테지만, 전용 조준경이 달린다. 옵션은 4.6배 줌, 줌 인/아웃 시간 10% 감소가 달려있다.

최신총기다 보니 장전모션이 두개다. 문제는 장전모션 둘 다 화면을 상당히 가린다.

전설 벤더 무기가 출시되면서 그에 따라 필요한 벤더 포인트도 엄청나게 상승했는데, 만약 링스가 출시된다면 계산에 따라 필요 벤더 포인트는 105만 포인트로 추정되었으나... 다행히(?) 1,000,050 포인트(일백 오십)로 밝혀졌다. 이곳에서 "VP Required"를 참고할 것. 솔직히 별 차이 없다

2월 19일 북미 서버에 추가되었다.

4. 상점 무기[편집]


2017년 4월 25일 패치로 구입방식이 2시간, 7일, 30일로 바뀌었다.

4.1. R16 SPR Custom (M16 SPR CUSTOM)[편집]


R16 SPR Custom
파일:R16-SPR.png
성능
공격력 - 160
사거리 - 65
연사력 - 250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59
장탄수 - 12/48
가격
내구제 - 2,340$


R4A1의 지정사수 버전. 성능은 딱 기본무기인 SVK의 상향판이다. 가격, 수리비가 모두 낮은 편이라 부담없이 영구제를 구매할수 있지만 일반벤더 스나이퍼를 언락해 사용하는것이 더욱 경제적이다. 일반벤더 스나이퍼들의 장탄수가 16발이 된 걸 생각하면 더더욱.

4.2. M217 (CheyTac M200)[편집]


M217
파일:M217.png
성능
공격력 - 340
사거리 - 70
연사력 - 44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45
장탄수 - 7/28
가격
2시간 - 850$
7일 - 12,000$
30일 - 25,000$


기본적으로 소염기와 양각대가 부착되어 있어 부착물 고민을 덜겪게되는 볼트액션 스나이퍼. 가격이 낮은 편이라 다른 상점제나 워박스 볼트액션 스나이퍼에 비하면 비교적 쉽게 구할수 있다. 특히 볼트액션이 있는 희귀벤더에 도달하지 못한 저레벨 플레이어라면 거의 유일하게 접근할 수 있는 볼트액션 스나이퍼. 소음기 부착이 불가한 페널티는 가성비에 비하면 그리 문제되지 않는다. 하지만 줌 속도와 장전속도가 매우 느린 편이니 5x 빠른 중거리 조준경과 장전속도를 증가시키는 장갑을 얻지 못했다면 사용에 애로사항이 꽃피니 참고할것.

파일:CheyTac_M200_Winter_Camo.png
특수임무 Cold Peak를 클리어하면 랜덤으로 윈터카모 버전 무기를 지급하며, 이것은 M217의 윈터카모 버전이다. 스펙은 순서대로 350, 70, 44, 104, 45, 7/28로 데미지가 10 증가한것 외엔 없다. 원본이 그렇듯 무난하게 사용할수 있지만 숨겨진 단점이 있는데, 윈터카모 빠른 조준경 5X에는 줌 인/아웃 시간 50% 증가 옵션이 붙어있어서 체이탁의 느린 줌속도를 보완할 방법이 없다.

11월 22일 패치로 발사후 볼트를 당기는 모션이 변경되었다. 그런데 효과음은 변경되지 않아 행동과 소리의 싱크가 안맞는중. 2월 19일자 패치로 모션이 약간 더 빨라져 소리와 싱크를 맞추었다.

4.3. Q-88 (QBU-88)[편집]


Q-88
파일:Q88.png
성능
공격력 / 230
사거리 / 50
연사력 / 250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60
장탄수 / 10
가격
2시간 - 400$
7일 - 5,000$
30일 - 12,000$


워페이스의 몇 안되는 불펍식 저격소총. 230의 준수한 데미지와 250의 평균적인 연사력으로 협동 대전 모두 밥값하는 총기이다. 가격또한 비싼편이 아니기에 조금 절약하면 바로 구매할수 있을정도. 특히 이 총기는 모든 상점제 총기들중 가장 빠른 줌 속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10발의 탄창은 반자동 스나이퍼들 중 WA2000과 함께 최하위권이다. [3] 만약 당신이 적 헤드만 따고나니는데 큰 문제없는 실력이라면 10발의 탄창은 적게 느껴질수 있다.

특이사항으로 이 총의 최소 데미지는 0이다. 이게 뭔소리냐면 워페이스의 모든 총기는 표기된 사거리 바깥의 적에게 가하는 데미지가 일정 단위로 떨어지는데, 이 총은 사거리 바깥인 51미터 부터 미터당 데미지가 2씩 떨어진다. 즉 165m 밖에 있는 적에겐 데미지를 아예 줄수 없다는 것. 하지만 워페이스 게임 특징상 이렇게까지 극단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적을 쏴야 하는 경우는 없으므로 그냥 재미있는 이야기로 알아둬도 된다.

4.4. Garota (VSS Vintorez)[편집]


Garota
파일:VSS_Vintorez_warface.png
성능
공격력 - 200
사거리 - 70
연사력 - 400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52
장탄수 - 10/40
가격
2시간 - 850$
7일 - 12,000$
30일 - 25,000$


워페이스의 완자동 저격소총. 그 첫번째.
Gayrota[4]

현재 워페이스의 4종류의 완자동 저격소총중 하나이며, 그중 가장 얻기 쉬운 총기이다.[5] 저격소총 주제에 연사력이 400에 마우스를 꾹 누르면 라이플처럼 자동으로 발사되기에 일개 초보라도 이 총기를 잡으면 대전에서 킬뎃 1.0이상은 가능하다. 그렇다고 데미지도 낮은편이 아니라, 그 사기성에 사람들이 더욱 엿먹는다.

장점이 수두룩하지만 유일한 단점은 바로 탄약. 한탄창이 10발인데 완자동 방식이라 탄약이 순식간에 바닥을 보인다. 적 하나를 잡는데 한탄창씩 소비한다면 탄약이 항상 발목을 잡을것이다. 옆에 라이플맨 하나를 전용 부사수로 달고 다니는것도 나쁘진 않을 것이다
비싼돈주고 내구제 사놓고 사람들이 놀려서 쪽팔려서 안쓴다

누구나 살수 있는 상점제와 그 사기적인 성능때문에 결국 상점에서 한번 삭제되고, 기존의 일정한 반동을 랜덤반동으로 바꾸고, 조준시간을 증가시키는등 하향후 상점에 다시 판매되고 있다. 데미지나 연사력같은 스펙은 변화가 없지만, 이 랜덤반동의 추가 때문에 저격소총임에도 2~3발만 연사해도 중장거리 저격이 거의 불가능해졌다.

특이하게도 다른 게임에선 브스스의 데미지를 상대적으로 낮다고 묘사하는 반면, 여기는 반자동 스나이퍼중엔 그리 낮지 않은 데미지를 가지고 있다. 실제로 브스스는 9×39 mm탄을 사용해 데미지가 낮다고 하기엔 무리가 있다. 허나 사거리는 왠만한 볼트액션 져격총과 비교해도 높은 수치라 장거리전에 취약하다는 특징을 구현하지는 않은듯 싶었으나...서술했던 랜덤반동 패치로 그 특징을 간접적으로(...) 구현했다.

4.5. R107 (Barrett M107)[편집]


R107
파일:R107.png
성능
공격력 / 310
사거리 / 70
연사력 / 90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55
장탄수 / 10
가격
2시간 - 400$
7일 - 5,000$
30일 - 12,000$


연사력이 90이어서 볼트액션일것 같지만 사실 반자동 스나이퍼이다.볼트액션인줄 알았어? 유감! 반자동입니다! 기본 소염기 및 양각대가 부착되어있어 M217과 마찬가지로 부착물 걱정은 덜하지만, 이 총기를 쓰는 사람이 있어야 걱정을 덜하던가 말던가(...)

확실히 310의 데미지는 몸샷으로 요단강 직행이지만, 연사력이 낮아 한번 실수하면 적을 놓칠 가능성이 높아지고, 설령 맞춰도 반샷이 나면 반자동이라 넉다운도 안된다. 그렇다고 뭔가 빠르면 좋겠지만, 교체도, 장전도 모두 느리다.이런 단점들 때문에 비주류 총기 취급 받지만 반자동이라 스코프에서 눈을 땔 일이 없어서 볼트액션 스나이퍼 보다는 캠핑질 하기에 좋다. 요약하자면 내가 쓰고 싶은 총기는 아니지만, 상대가 쓰면 빡치는 총기가 되겠다(...)

여담으로 아래의 R98B와 닮아서 출석보상 등지에서 나왔을때 R98B인줄 알고 좋아했다가 절망하는 사람들이 잊혀질만하면 보인다. 가장 쉬운 구별방법은 양각대의 유무.

4.6. R98B (Barrett M98B)[편집]


R98B
파일:R98B.png
성능
공격력 / 350
사거리 / 70
연사력 / 44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35
장탄수 / 10
머리 500%몸 100%팔 80%다리 80%
가격
2시간 - 850$
7일 - 12,000$
30일 - 25,000$


상점제 볼트액션 저격소총. 이 스나의 가장 큰 장점은 반동이 매우 적다는 것과 상점제 볼트액션 중엔 줌 속도가 가장 빠르다는 것. 서 있는 상태에서 쏴도 반동이 매우 적은 편이고, 특수 양각대를 끼고 엎드려서 쏘면 반동이란게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교체와 장전이 매우 느리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 총도 에땁밀러처럼 팔다리 데미지 계수가 0.8배라서 반샷이 많이 나온다.[6]

현재는 S60B3이 등장하고 퍼블리셔 이전으로 인해 누구나 어스 쉐이커 밀러를 가지게 되었으므로 사용자 수는 거의 없는 편.

4.7. B-5000 (Orsis T-5000)[편집]


B-5000
파일:B-5000 (Orsis T-5000).png
성능
공격력 / 350
사거리 / 45
연사력 / 46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42
장탄수 / 5
머리 500%몸 108%팔 102%다리 102%
가격
2시간 - 850$
7일 - 12,000$
30일 - 25,000$


블랙샤크 업데이트로 새로이 추가된 볼트액션 스나이퍼. 이전에 있던 볼트액션 스나이퍼의 특징을 조금씩 가져왔다. 상하 랜덤반동은 BNP SNR-1과, 사거리와 장탄수는 스카웃과 비슷하다. 줌 속도가 빠른편은 아니지만 줌 보정속도와 줌 아웃속도가 빨라 근~중거리 교전에 더욱 유리하다. 소음기를 부착하지 못한다는 단점만 제외하면 보급형 스카웃과 비슷한 느낌. 하지만 이전에 출시된 R98B와 S60B3이 이 총보다 훨씬 안정적으로 킬을 딸수 있어서 인기는 그다지 없다.

이 총은 꽤 특이사항이 많은 편인데, 하나는 몸샷 계수가 1.08배, 팔다리 데미지 계수가 1.02배라는것. 다른 볼트액션 총기의 팔다리 데미지 계수가 몸샷 계수와 똑같거나 낮은것에 비해 이 총은 오히려 팔다리에 더 높은 데미지를 입힌다. 때문에 이 총의 최대 유효 사거리인 45m 이내에선 적이 초탄 방어 조끼를 입지 않는 한 맞춘다면 무조건 적을 죽일수 있다. 두번째로 이 총은 소염기 미 부착시 최대 유효 사거리인 45m 에서부터 데미지 감소율이 m당 130이다! 단순히 이 계산만 맞춰본다면 46m부터 이 총의 데미지는 220(?)에 불과하다는것. 하지만 안심해라. 이 총의 세번째 특징은 최소 데미지가 285에 달한다는 것. 최강의 한방률을 자랑하는 TWM X308도 최소 데미지가 고작 75인데 비해, 이 총은 못해도 285의 데미지를 보장한다.[7][8] 46m 바깥에 있는 적이라도 상대가 보호 장갑이나 보호 군화를 신지 않았다면 그대로 발할라로 보내버릴수 있다.

이 총기는 상점제 무기치고는 매우 독특하다. 이미 서술했듯이 이 총보다 R98B와 S60B3이 훨씬 안정적이지만, 이 총은 그보다 훨씬 많은 변수를 가지고 있다. 필히 고수가 잡아야 할 스나이퍼가 되겠다.하지만 그래봤자 상점제다

5. 워박스 무기[편집]


워박스 스나이퍼는 다른 스나이퍼에 비해서 조준속도가 굉장히 빠르다 (고가형 워박스 스나이퍼 라이플들은 줌 안정화까지 대부분 0.1초대 이다.) 패치마다 판매하는 워박스의 종류가 달라지니 참고하자.

미국, 유럽 워페이스 퍼블리셔가 마이컴으로 이전된후 이제 워박스에도 기간제 무기가 나오게 되었다. 단 골드버전은 항상 내구제로 나온다.[9]

5.1. TWM (AWM)[편집]


TWM
파일:TWM.png
파일:TWM-gold.png
성능
공격력 / 300
사거리 / 70 (75)
연사력 / 42 (50)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51
장탄수 / 5 (6)
머리 500%몸 100%팔 80%다리 80%
가격
워박스(내구제) - 하나당 600$


한국 워페이스 당시 체이탁과 최강 볼트액션 총기 자리를 놓고 서로 멱살 잡고 싸웠던 총이다.[10] 체이탁은 조준경밖에 바꿀 수 없는 반면, 이 총은 총구, 조준장비, 총열 전부 부착물 장착이 가능하다.[11]

대규모 패치 이후, 데미지가 300으로 하향을 먹었다. 600$ 워박스치곤 좋은 성능이라 하향을 먹인듯, 때문에 이전보다 반샷이 빈번히 일어나 비주류 총기가 되었다.

사실 이 무기가 반샷이 많이 뜨는 이유는 데미지 때문이라기 보단 밀러와 동일하게 팔다리 부위 사격에 대해 0.8배의 데미지 계수를 가지는 특성 때문이다. 오직 세 정의 볼트액션만 이 특성을 지닌다. 그나마 밀러는 기본 데미지라도 높지, 이건 데미지도 낮아 국내 한정 수렵용 마취총, 마취땁 이라는 불명예스러운 별명마저 얻었다(...) 한페 당시 위상에 비하면 많이 안쓰러운 처지가 된 총기. 그래도 소염기 끼면 못써먹을 정도로 반샷이 나는 것도 아니니 애정을 가지고 써 보자.

다만 이벤트로 주는 겨울도색 버전은 조준경 교체 빼고는 좋은 편. 조준경 자체도 줌 속도가 빠른 편이다.

5.2. RK14 EBR (M14 EBR)[편집]


RK14 EBR
파일:RK14EBR.png
성능
공격력 - 225
사거리 - 70
연사력 - 250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55
장탄수 - 20/40
가격
워박스(내구제) - 하나당 60k


워박스로 판매중인 반자동[12] 스나이퍼. 과거 한국 워페이스에서 처음 출시돼었을땐 기본스나이퍼인 SVD와 똑같은 데미지를 가지고 있어서 정말 예능용 총기였다. 현재는 데미지 상향을 받아 협동 및 스페셜 오퍼레이션에서 유용한 총기가 되었으나...이것보다 더 좋은 총기가 출시되는 바람에 향수를 자극받는 일부 올드 유저&디자인과 발포음에 홀려 애정으로 사용하는 유저만 쓰는 마이너 총기가 되어버렸다.

참고로 이 총기는 모든 워페이스 총기를 통틀어 발포음이 크기로 손꼽히는 총기다. 소염기를 달고 연사하면 무슨 대포를 쏘는 소리(...)가 들린다.

10월 중순에 다시 상점에 출시되었다. 가격은 한박스 60k, 다섯박스 280k.

5.3. TWM X308 (AX308)[편집]


TWM X308
파일:AX308.png
파일:AX308-Gold.png
성능
공격력 - 350
사거리 - 80
연사력 - 49 (50)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45
장탄수 - 10/50 (12/60)
가격
워박스(내구제) - 하나당 60k


워박스에서 얻을 수 있는 스나이퍼로 일명 308이라 불린다. 기본적인 스펙은 다른 워박스 스나이퍼와 유사하다. 높은 데미지, 볼트액션 스나이퍼중엔 무난한 연사력, 넉넉한 탄창으로 협동 대전 어디든지 사용할수 있다.

특수부탁물은 조준경으로 배율은 4.5배. 효과는 줌 인 시간 30% 감소줌 아웃 시간 50% 증가가 붙어있다. 이 조준경 덕분에 TWM X308이 높은 평가를 받으며, 출시된지 오래된 308이 아직도 현역에 자리잡을수 있게한 원동력이다. 노말 308의 줌 인 속도는 130ms이며, 여기에 전용 조준경 효과를 받으면 90~95ms로 매우 빨라진다. 심지어 골드버전은 80ms가 56ms로 줄어들어 워페이스 모든 볼트액션중 최고의 줌 속도를 자랑한다.

다만 총구 부착물 목록에 소음기가 빠져있어서 캠핑을 하며 얍샵하게 플레이 하고픈 사람들은 위한 총기는 아니다. 물론 작정하고 캠핑을 하겠다면 불가능하진 않겠지만, 상대팀 입장에선 캠퍼가 쏠때마다 미니맵에 크고 아름다운 빨점이 튀어나와 캠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을 것이다(...)

R14 Krazy Horse 가 출시된 시기에 패치되어 크레딧 박스가 되었고, 이후로 나오는 워박스 무기들은 전부 크레딧으로 출시됐다.

7월 후순 즈음에 미국 서버에서 노말 버전의 이름이 Accuracy International AX308, 골드는 Gold AX308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워박스 이름은 그대로 TWM X308이어서 유저들을 혼란스럽게 했었다. 이후 다시 원상복구 되었다. 아마 스크립트 오류였는듯.

잠수함 패치로 줌 모션이 아주 미세하게 변경되었는데, 기존엔 줌을 할시 스코프가 10시→8시 방향으로 움직이며 줌이 되었지만, 지금은 바로 9시 방향으로 움직인다. 모션만 약간 바뀐거지 성능엔 아무 변화가 없으며, 워낙에 308의 줌속도가 빠른데다 실전에서 그걸 눈치채기는 불가능하니 별로 신경쓸 필요는 없다.

5.4. RBA SR58 SPR (DSA SA58 SPR)[편집]


RBA SR58 SPR
파일:DSA_SA58_SPR.png
성능
공격력 - 350
사거리 - 70
연사력 - 62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43
장탄수 - 20/40
가격
워박스(기간제, 내구제) - 하나당 2,700$


현재 워페이스 스나이퍼중 유일하게 적을 넉다운시키는 반자동 스나이퍼로, 말만 반자동이지 사실상 볼트액션 스나이퍼다. 때문에 운용도 볼트액션 스나이퍼처럼 다뤄야 한다. 반동이 매우 센 편이기 때문에 계속 줌인 상태로 쏘기보단 마치 볼트액션처럼 한번 쏘고 줌을 푼 다음 다시 줌을 하는것이 좋다.

다루는 사람에 따라서 한탄창 20발짜리 볼트액션 스나이퍼가 될수 있고, 그 때문에 대전에서 높은 데미지+넉넉한 탄창(+볼트액션) 조합이라는 이점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수 있다. 독특한 총이지만 평가는 좋은 편. 그러나 출신은 반자동 스나이퍼라 팔다리 데미지 배율이 0.8배다. 소염기를 끼워도 넉다운을 자주 보게 될것이다.

지페이스~마이컴으로 퍼블리셔가 바뀌는 동안에도 워박스 재출시가 안되고 있다. 때문에 워박스 가격이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

5.5. Miller AP6 (McMillan CS5)[편집]


Miller AP6
파일:McMillanCS5.png
성능
공격력 / 350
사거리 / 70
연사력 / 54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45
장탄수 / 10
머리 500%몸 100%팔 80%다리 80%
가격
워박스(내구제) - 하나당 2,700$


실총은 CS5로, 워박스로 판매되는 스나이퍼다. 원본이 전용 아음속탄을 사용하면 총기 격발음이 확연히 줄어들듯이, 워페이스 내에서도 소음기를 부착했다는 가정하에 매우 작은 격발음을 자랑한다.

밀러의 가장 큰 장점은 디메리트 없는 전용 소음기와 볼트액션 스나이퍼중엔 가장 높은 54의 연사력이다. 밀러는 이 두가지 장점으로 어떠한 플레이라도 원활하게 진행이 가능한데, 미니맵에 빨점이 찍히지 않는다는 점을 이용해 상대팀의 뒤쪽으로 돌아가 하나씩 쏴죽일수도 있고, 아니면 구석진 자리에 누워서 적이 오는것만 잡을수도 있다. 실제로 워페이스 내에 모든 볼트액션 스나이퍼중 가장 캠핑에 적합한 총이 밀러다.

그러나 밀러는 팔다리 데미지 배율이 80%로 적용되어 있는데, 이때문에 타 저격소총들 보다 더 반샷과 넉다운을 자주 보게 된다. 그래서 일부 유저들은 밀러의 소음효과와 연사력을 포기하고 한발에 확실하게 적을 잡을수 있는 X308과 스카웃을 선택한다. 밀러의 또다른 단점은 반동으로, 반동이 1~2시 사이 방향으로 세게 튀기 때문에 발사후 상황판단에 어려움을 준다.

특이사항으로 밀러가 출시되기 전엔 한탄창 20발로 출시될 예정이었으나, 후에 밸런스 문제로 10발로 바꿨다. 그러나 정작 모델은 20발짜리 탄창을 쓰고 있다.

파일:McMillanCS5-earth.png
Earth Shaker 버전이 있으며, 한박스당 60k로 판매된적 있다. 단 북미/유럽 서버 퍼블리셔가 마이컴으로 바뀔때 계정 전환 보상으로 풀려서 생각보다 자주 볼수 있다. 다만 이것 때문인지 노말 버전 밀러가 오랫동안 상점에 복귀하지 않고 있다.

5.6. Richmond S22 SAS (Remington R11 RSASS)[편집]


Richmond S22 SAS
파일:Richmond_S22SAS.png
파일:Richmond_S22SAS-gold.png
성능
공격력 / 275
사거리 / 80 (85)
연사력 / 190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55
장탄수 / 20 (23)
가격
워박스(내구제) - 하나당 60k


2016년 2월에 새로 추가된 워박스 무기다. 이름을 들어보면 샷건 같아 보이지만 보다시피 반자동 스나이퍼이다.[13] 초탄방어를 제외하면 웬만한 방어구는 1방이며 연사력까지 빠르니 다수의 적으로부터 대응이 빠르다. 대부분은 중거리에서 반샷을 줄일려고 소염기를 쓰지만 소음기 플레이도 나쁘지는 않다. 하지만 PVP에서는 반자동 스나이퍼 자체가 사양세라 이것만으로는 조금 어중간한 총이지만... [14]

PVE에서는 스나는 물론 모든병과의 무기들까지 쌈싸먹을정도의 사기템이다. 기본적으로 딸려있는 275라는 데미지는 스펙옵스와 로켓병까지 한방에 날려버릴정도로 강력하다. 더군다나 반자동이니 반샷나도 한발더쏘면 그만이다. 어스셰이커에서는 정말 환상의 능력을 발휘하는데 가장 골치덩어리인 터렛을 얼굴 드러내기 무섭게 녹여버릴수 있다. 때문에 메딕1명, 라이플맨 1명, 스나이퍼 3명으로 광속클리어가 가능하다.

한가지 조언을 하자면, 이 총의 사격반동은 11시~1시 방향으로 랜덤이다. 그러니 이 총을 얻었으면 연습장에서 반동에 대한 적응을 하는게 좋다. 총기 성능이 암만 좋아도 랜덤반동에 낚여 적을 맞추지도 못하면 그냥 장식품일 뿐이니까.

11월 후반에 크레딧박스로 재출시되었다. 때문에 한동안 이 총기를 들고 대전에 오는 사람이 간혹 보일수도 있다.

5.7. Sae Scout (Steyr Scout)[편집]


Sae Scout
파일:scout00.png
파일:scout-gold00.png
성능
공격력 - 350
사거리 - 35 (37)
연사력 - 50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48
장탄수 - 5/30 (6/36)
가격
워박스(내구제) - 하나당 60k

스나이퍼에 장착 가능한 부착물
총구레일조준경
저격총 소염기X일반 저격총 조준경 5.5X
중거리 저격총 조준경 4.5x
근거리 저격총 조준경 4x
빠른 중거리 저격총 조준경 5x
특수 부착물
Sae Scout Custom Silencer
Sae Scout Custom Bipod [Released]
Sae Scout Custom Bipod [Collapsed]

2016년 4월 새롭게 추가된 워박스 볼트액션 스나이퍼다. 스탯만 보면 장탄수도 5발로 동종의 스나보다 적고 사거리가 심하다 싶을 만큼 짧지만 어쨌든 70이라는 다른 스나이퍼들의 사거리를 활용할만큼 초장거리 저격은 잘 안나오는데다 이 총의 최소 데미지 자체가 매우 높기 때문에 그리 큰 단점은 안된다. 오히려 이 총은 반동이 매우 적어 격발수 시야확보가 유리하며 줌 인/아웃 시간이 각각 0.08초/0.11초로 매우 빠르기 때문에 빠른 5배 조준경만 달아주면 특수조준경을 부착한 TWM X308과 거의 동급의 줌 속도를 가진다.

무기 자체의 35라는 사거리는 큰 문제 될것이 없으나 특수 부착물로 존재하는 소음기에는 참 이상하게도 사거리 감소 능력치가 붙어있다. 소음기를 부착할경우 사거리가 운용에 제한을 주는 수준으로 낮아져 버리므로 소음기 플레이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소음기 자체의 데미지 감소 효과는 없는 것처럼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구라스펙이며 실제 소음기엔 소음 효과, 사거리를 20으로 감소, 데미지 18% 감소가 붙어있다.[15] 상술한 단점으로 가급적이면 소염기를 부착하는걸 권장한다.

또 하나의 특수부착물로 접이식 양각대가 있는데, 양각대를 펼칠 경우 엎드린 자세에서 반동 70% 감소, 최대 반동 80% 감소, 흔들림 99% 감소 효과를 볼수 있고, 접을 경우 무기 교체속도 30% 증가 효과를 볼수 있다. 취향대로 사용하자.

12월 초반에 크레딧 박스로 재출시 되었다.

5.8. SVK-AS (SVU-AS)[편집]


SVK-AS
파일:SVU-AS.png
파일:Gold SVU-AS.png
성능
공격력 / 140
사거리 / 70 (80)
연사력 / 400
조준사격정확도 / 102
일반사격정확도 / 55
장탄수 / 15 (20)
가격
워박스(내구제) - 하나당 60k

스나이퍼에 장착 가능한 부착물
총구레일조준경
XX일반 저격총 조준경 5.5X
중거리 저격총 조준경 4.5x
근거리 저격총 조준경 4x
빠른 중거리 저격총 조준경 5x
특수 부착물
SVK Bipod [Released]
SVK Bipod [Collapsed]

워페이스의 완자동 저격소총, 그 네번째.

워페이스에 새로이 추가된 완자동 저격소총이며, 총기 디자인은 SVD의 불펍 버전인 SVU-AS이다.[16]단지 탄창위치만 바꿨을 뿐인데 신분이 상승한다. 역시 완자동 저격소총다운 우수한 연사력으로 승부하며, 기본 양각대까지 달려있어 양각대 피고 한 위치에 엎드려 연사하면 어떤 적이든지간에 바로 녹는다. 탄약수도 Garota보다 많은 편이라 탄약걱정도 적은편.

그러나 데미지는 140으로 처참한 수준이다. pvp 몸샷 3방은 기본이며, 상대가 초탄방어 방탄복을 입었거나 팔다리라도 맞추면 한명 잡는데 넉댓발씩이나 들어가기도 한다. 심지어 이 총의 조준사격 정확도는 102로, 이 수치는 모든 워페이스 스나이퍼중 이 총이 유일하다.[17] 무턱대고 줌 인후 연사만 하면 제멋대로 탄이 튀어서 의문사할 수도 있다는 뜻.

특수부착물은 Sae Scout과 동일하게 전용 양각대이며, 양각대를 펼칠경우 엎드린 자세에서 반동 55% 감소, 최대 반동 65% 감소, 흔들림 99% 감소 효과를 볼수 있고, 접을 경우 최소 흔들림 15% 감소[A], 최대 흔들림 5% 감소[A], 무기 교체속도 30% 증가 효과를 볼수 있다. 역시 취향에 맞게 사용하면 된다.

골드버전은 사거리와 탄약수가 증가했다. 사거리는 일반버전도 길어서 상관없지만 완전자동 스나이퍼의 탄약이 늘었다는건 엄청난 이점이다.

2017년 11월 다시 상점에서 판매된다.

참고로 총구에 붙어있는건 설정상 디메리트 없는 소음기지만, 워낙 총성이 크다보니 소음기의 메리트가 없다시피 하다. 사실상 총구에 아무것도 못붙이는 거라고 생각해도 무방하다.

5.9. R14 Krazy Horse (M14 Crazy Horse)[편집]


R14 Krazy Horse
파일:M14_Crazy_Horse.png
파일:M14_Crazy_Horse_Gold.png
성능
공격력 - 350
사거리 - 70 (75)
연사력 - 140 (145)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40
장탄수 - 10/50
가격
워박스(기간제, 내구제) - 하나당 60k


원본은 위의 R14 EBR과 같은 M14의 자식. 미국 워페이스 퍼블리셔가 마이컴으로 이전되고 새롭게 추가된 워박스 스나이퍼다. 반자동 스나이퍼인데 데미지가 350으로 스나이퍼중 최상위권이고, 사거리도 긴 편인데다 반자동이란 이점때문에 연사력도 높다. 이름 그대로 미친말이 뭔지 보여주는 총. 그나마 있는 단점이라면 줌 인/아웃 속도가 0.19초/0.2초로 스나이퍼중엔 느린편에 속하고 반동이 랜덤이니 메딕이나 엔지로 근거리에서 잡거나, 조준속도가 빠른 볼트액션 또는 완자동 스나이퍼로 상대해야 한다. 기존의 반자동은 BT50이외엔 이 총 앞엔 아무 의미가 없다.

이러한 사기성 때문인지, 출시된지 얼마 안되서 미국 서버의 상점에서 내려갔다. 덕분에 이 총의 물량이 적어져 대전에서 볼 일이 많이 줄어들었다.[18]

12월 초순과 2월 후반에 상점에 잠깐씩 출시되고 있는데, 워박스 이름에 S14 라고 오타냈다;;

5.10. Atheris GQ50 (Bushmaster BA50)[편집]


Atheris GQ50
파일:Bushmaster_BA50.png
파일:Bushmaster_BA50_Gold.png
성능
공격력 / 350
사거리 / 70
연사력 / 47 (48)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40
장탄수 / 10 (12)
머리 500%몸 108%팔 102%다리 102%
가격
워박스 (기간제, 내구제) - 하나당 60k


2017년 7월 13일 북미 서버에 새로 추가된 워박스 스나이퍼. 대충 보면 디자인은 M217 (CheyTac M200)과 매우 닮았고, 실제로 이 스나이퍼는 조준경만 교체할수 있다. 총기 성능은 B-5000 (Orisis T-5000)과 비슷한데, 팔다리 데미지 배율이 1.02배라 B-5000과 동일하게 초탄 방어 방탄조끼를 입지 않은 적이라면 어디를 맞추든 한방에 황천행 열차티켓을 끊어준다. 그리고 B-5000과는 달리 사거리도 길어 반샷이 날 일도 적다.

단점으로는 조준속도가 그리 빠르지 않다는 것과 재장전속도가 매우 느리다는것. 줌 인 속도는 0.13초로 밀러보다 아주 조금밖에 차이 안나지만, 스카웃과 308의 조준속도에 비교하면 매우 느리다. 재장전 속도는 일반장갑 기준으로 4.6초이며, 이는 M217과 거의 같은 수준이다.

우수한 성능의 워박스 스나이퍼임에도 불구하고 대전에선 잘 보이지 않는데, 전용 스코프의 X308, 전용 소음기와 가장 빠른 볼트스나 연사력의 밀러, 가벼움과 안정성을 동시에 잡은 스카웃과 달리 눈에 띄는 큰 특징이 없기 때문이다. 그냥 성능 좋고 무난한 볼트액션 스나이퍼로 취급되는 중. 출시 초기에 중국 유저들이 들고 있는 모습이 많이 보였었다

골드버전은 원본에서 연사력이 1, 장탄수가 2 상향되었다.

5.11. BT 50 (AS 50)[편집]


BT50
파일:AS502.png
파일:AS50_Gold.png
파일:Christmas_AS50.png
파일:NY_AS50.png
성능
공격력 / 350 {300}
사거리 / 70
연사력 / 215 (225)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45
장탄수 / 5 (6)
가격
워박스 (내구제) - 하나당 60k


카운터 스트라이크 등으로 널리 알려진 L96의 대물 저격용 변종이다. 국내 게임매체에선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에 등장한 게 고작. 하지만 안습한 인지도와는 다르게 모든 저격총 중 가장 강한 위력인 350의 데미지에 반자동이라는 메리트까지 주어지는 사기템. 연사력은 215로 반자동 중에선 느리지만, 어찌되었건 볼트액션보다는 훨씬 빠르다. 어차피 쏘면 한방이니 총만 믿고 나대기보단 느긋하게 한명씩 잘라가며 플레이하면 된다. 당황해서 난사하면 탄약 부족으로 오히려 불리하게 될것이다.

2017년 1월 러시아 서버에서, 9월 미국/유럽 서버에서 황금버전과 함께 워박스로 재출시 되었다. 총기 스펙에 소괄호로 쳐진 부분은 황금버전의 스펙이다.

워페이스 내에서 가장 강력한 반자동 스나이퍼이다 보니 여러가지 버전이 많은데, 위의 총기 이미지는 위에서부터 원본, 골드 버전, 크리스마스 버전, 근하신년[19] 버전이다. 총기 스펙에 중괄호로 쳐진 부분은 크리스마스 버전의 스펙인데, 이벤트로 뿌리는 총기이다보니 스펙을 하향시킨걸로 보인다. 근하신년 버전은 원본과 동일한 스펙을 가지고 있다.

5.12. M917-SR (Calico M951S)[편집]


M917-SR
파일:M951S.png
성능
공격력 - 155
사거리 - 70
연사력 - 450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55
장탄수 - 30/30
가격
워박스 (내구제) - 하나당 60k


워페이스의 완자동 저격소총, 그 세번째.이 총의 위력을 직접 감상해보자.

모델은 캘리코 기관단총의 저격소총 버전. 구타보, 브스스와 동일한 완자동 스나이퍼다. 완자동 스나이퍼들 뿐만 아니라 모든 스나이퍼중 가장 높은 장탄수와 연사력을 가지고 있다. 심지어 밸런스 문제로 반동하향을 먹은 브스스(Garota)의 개반동과 달리 2~3발 쏘다보면 1시쪽에서 그대로 고정되는 반동 때문에 화망 구축에 매우 유리하다. 그래서 협동과 스옵 어디든지 유용하게 사용할수 있고, 대전에선 PTB나 캡쳐같은 라운드 매치보단 한번에 여러명이 돌아다니는 팀데스매치나 스톰에서 빛을 발한다.[20]

다만 줌 속도가 워박스 무기치곤 애매하게 느린 편이라 순간판단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대표적인 돌격스나인 308이나 밀러와 달리 캠핑을 하는게 좀더 유리하다. 물론 칼리코 스나도 마음만 먹으면 돌격해서 적 전체를 썰어버릴수 있지만 특유의 줌속도 때문에 내 실력과 관계없이 죽을 수도 있다. 이때 최악의 시나리오는 적 라이플맨이 내 시체에서 이 총을 주워가는 것. 라이플맨의 탄약통 때문에 완자동 스나의 고질적 문제인 살살 녹는 탄창이 해결되고, 이 총을 주운 라이플맨은 당연히 총을 지키기 위해(?) 캠핑을 하기 마련이다. 적팀 라이플맨 두세명이 칼리코 스나로 무장하는 상황을 보면 속이 뒤집히는건 시간문제다.

밸런스 붕괴를 방지하려는 건지 상점에 아주 짧은 기간동안만 팔리고 있다. 10월 초순엔 한번 팔렸고, 12월 31일까지 또한번 팔렸다.

5.13. S60B3 (M40A5)[편집]


S60B3
파일:S60E3 (M40A5).png
성능
공격력 - 350
사거리 - 80
연사력 - 47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40
장탄수 - 15/45
가격
워박스(기간제, 내구제) - 하나당 900$


2016년 8월 R34.1 업데이트로 추가된 볼트액션 스나이퍼. 적은 반동과 손에 착착 감기는 기분이 워박스 총기인 스카웃을 쓰는 느낌이다. 특이사항으로 저격총 소음기를 장착할 수 없다. 그래도 다행히 표준형 소음기는 장착 가능하며 데미지도 350이라 표준형 소음기 장착했다고 해서 반샷이 그리 심하지도 않다.[21] 소음기를 달지 않아도 격발음이 크지 않다는것은 덤. 거기다가 조준속도도 빨라서 근거리 교전도 비교적 쉬운 편이고, 탄창도 15발이라 PVP 라운드 매치 등에선 한 라운드 내내 장전을 안 해도 될 정도다.

예전부터 상점무기인 주제에 워박스 무기와 별 차이가 없다는 지적을 계속 받아왔고, 결국 상점제에서 실버 워박스 무기가 되었다. 가격은 한박스 900$, 다섯박스 4,200$. 기간제는 2시간~30일까지 다양하게 얻을수 있으며, 내구제 또한 얻을수 있다. 다만 내구제 얻을 확률이 0.07%로, 왠만한 골드무기에 당첨될 확률보다 낮다! 대충 30박스 정도 열어서 30일 이상 나오면 이득이니, 내구제 얻을려고 무리하지 않기를 권한다.

6. 크라운 무기[편집]



6.1. BT50 Elite Crown (AS50 Elite Crown)[편집]


BT50 Elite Crown
파일:BT50-CrownNew.png
성능
공격력 / 350
사거리 / 70
연사력 / 215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45
장탄수 / 6
가격
1일치 - 1000 Crown
7일치 - 4000 Crown


BT 50 (AS 50)의 Elite Crown 버전. 스펙상으로 원본과 다른점은 탄약수 밖에 없지만, 원본의 팔다리 데미지 배율이 0.8배인데 비해, Elite Crown 버전의 팔다리 데미지 비율은 1배다. 참고로 이전의 BT 50 Crown 은 이보다 정신나간 성능을 보여주었다.

현재 미국서버 상점에서 삭제된 상태이다. 공식적인 이유는 불명.

6.2. RK14 EBR Elite Crown (MK 14 EBR Elite Crown)[편집]


BT50 Elite Crown
파일:RK14EBR-Crown.png
성능
공격력 / 245
사거리 / 70
연사력 / 250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55
장탄수 / 22
가격
1일치 - 1000 Crown
7일치 - 4000 Crown


스팀판에서 추가된 크라운 무기. 반자동 스나이퍼다. 같은 크라운 무기인 BT50 Elite Crown보다는 인기가 없으나, BT 50 크라운이 삭제된 지금은 그나마 스옵에서 쓰이는 정도.

6.3. TWM X308 Crown (AX308 Crown)[편집]


TWM X308 Crown
파일:AX308_Crown.png
성능
공격력 - 350
사거리 - 80
연사력 - 50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45
장탄수 - 12/60
가격
크라운박스(기간제) - 하나당 200Crown


11월 22일 업데이트로 추가된 새로운 크라운 총기. 크라운 박스에서 랜덤 기간제로 얻을수 있다. 얻는 기간은 1시간/2시간/12시간/1일/7일/30일[22]

스펙은 골드버전과 동일하지만, 줌 보정속도는 노말버전 것이다. TWM X308 원본과 골드버전의 차이점은 연사력 1과 장탄수 2밖에 없었으니, 이 총은 크라운 총기들중 원본과 가장 차이가 없는 총중 하나가 되겠다.

7. 미판매 무기[편집]



7.1. Karkom SNR (Tavor STAR-21)[편집]


Karkom SNR
파일:Karkom-SNR.png
성능
공격력 - 190
사거리 - 65
연사력 - 450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55
장탄수 - 20/40
가격
?


워페이스의 완자동 저격소총, 그 두번째
현존 스나이퍼 라이플 Top 1.
워페이스 유저라면 악명을 모를리없는 행성파괴무기.

Tavor 소총의 지정 사수용 소총 버전. VSS 이후 또 자동사격이 되는 저격총이다. 별명은 타보스타 혹은 구타보.

한국 워페이스때 이 총기가 출시되었을땐 VSS(현 Garota)보다 밀린다는 평을 받았으나, 20발의 탄창과 그럼에도 밀리지 않는 데미지로 당시는 물론이고 현재까지도 전설총기 취급을 받고있다. 줌 속도와 교체 속도가 애매하게 느린 편이지만 장전 속도는 2.89초로 빠른 편이라 칼리코 스나처럼 장전에 대한 부담감이 덜하다. 그나마 지금은 상점, 워박스 모두 출시되지 않고 있지만 한국 워페이스 시절엔 이게 희귀 벤더에 당당히 서식중이였고, 당연히 희귀 벤더를 언락할 정도로 오래한 유저만 사용했었으며, 그 이유로 지금보다 더욱 악명이 높았었다.

한페때는 총기 특유의 성능 때문에 협동에 나오는 스펙옵스는 이 총을 사용한다는 소문이 꽤 돌곤 했다. 그도 그럴것이 블랙우드 스나이퍼와 동일한 장거리에서 보다 높은 데미지를 주는데 돌격소총을 쓰리라고 상상하긴 힘들기 때문(...). 실제로 스펙옵스에게 죽어보면 스펙옵스의 총은 돌격소총 Karkorm(Tavor TAR-21)임을 알 수 있고, 기타 특수임무에서도 스펙옵스의 총은 돌격소총이지 절대 저격소총은 아니다.

지페이스 시절엔 옥션에 4~5백 달러는 기본으로 넘길 정도로 비쌌지만 물품은 있어서 그나마 보였지만 옥션이 닫힌 지금은 사용자를 만날일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어쩌다 사용자를 만나면 어떻게든 죽여서 총을 뺏어 써보는것도 나쁘진 않다.


7.2. BT50 Crown (AS50 Crown (Old) )[편집]


BT50 Crown
파일:AS50_Crown_(Old).png
성능
공격력 / 350
사거리 / 70
연사력 / 215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70
장탄수 / 7
가격
미판매


한국 워페이스때의 AS50 크라운 버전이며, 지금의 엘리트 크라운 버전과 비교하면 제대로 정신나간 스펙을 보여준다. 역시 팔다리 데미지 비율이`1배인데다, 일반사격 정확도가 70에 달해 샷건처럼 슬라이딩 노줌샷 플레이를 즐겨도 될 정도.


8. 이벤트성 무기[편집]



8.1. MM1891/30 (Mosin Model 1891/30)[편집]


MM1891/30
파일:Mosina.png
성능
공격력 - 285
사거리 - 70
연사력 - 170
조준사격정확도 - 104
일반사격정확도 - 40
장탄수 - 1/49
머리 500%몸 100%팔 80%다리 80%
가격
이벤트

스나이퍼에 장착 가능한 부착물
총구레일조준경
XXX
특수 부착물
BraMit Silencer
ZF4 Scope

이벤트로 AR-80, Johnson 1957, MP 717과 같이 뿌려진 2차대전 볼트액션 소총. 한국에서도 외국에서도 유명한 그 모신나강 소총 맞다.

스탯이 전체적으로 좋지 않지만 언뜻보면 연사력이 170인걸 알수 있는데, 장탄수가 1이라 한발쏘고 장전을 해야되서 "연사"라는 개념이 없다. 실제 연사력은 32에 불과하지만, 장전속도를 증가시켜주는 장갑을 착용시 48까지 올릴수는 있다.

9. 대인용 지뢰[편집]


파일:360d-Mine.png
스나이퍼와 엔지니어에서 보조무장으로 장착할 수 있는 지뢰. 일단 대인용 지뢰인 만큼 흠좀무한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폭발 데미지가 무려 400이다![23] 이 수치는 폭발내성방어구의 방어력을 씹어먹는 수준. 다시말해 걸리면 무조건 죽는다.[24] 또한 엔지니어의 기본 크레모아는 약 90도의 인식범위를 가지고 있어 의외로 사각지대가 넓은데 반해 이놈은 인식범위가 360도라 사각지대 따윈 없다. 그냥 설치하기만 하면 알아서 죽여주는 지뢰. 대신 일반 크레모아에 비해 크기가 좀 커서 발각위험이 높은 것이 단점. 길에 대놓고 설치하면 적들이 다 터뜨리고 들어오니 최대한 숨겨서 설치해보자. 그리고 당연한 말이지만 지뢰탐지 헬멧과 폭발지연 군화에는 얄짤없이 무력화된다.

이 지뢰를 습득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론 워박스가 유일하며, 달러로 팔리는 실버 워박스나 크레딧으로 팔리는 골드 워박스를 돌려보면 아이템목록에 끼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파란색 연막탄과 같이 나올때는 잘 나오는 편. 가끔가다 7일차 출석체크 골드박스에서 요놈이 나와 유저들의 혈압을 올리기도 한다(...)

여담으로 이 지뢰는 AVA에서도 나온 아네모네 지뢰이다. 감염전에서 볼 수 있던 그것.

10. 기타 사항[편집]


스나이퍼는 다른 병과들보다 가장 손의 영향을 많이 받는 병과이지만, 모종의 상황을 제외하고는 협동에선 반자동을, 대전에선 볼트액션을 추천한다. 협동에서 몰려오는 AI적들을 상대하려면 연사력 느린 볼트보단 반자동이 좋고, 대전에서 적 하나를 빠르게 처치하기 위해선 볼트액션의 높은 데미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물론 볼트액션에겐 초탄방어 조끼라는 최악의 상대가 있지만 요즘은 그리 문제가 안된다. 이유는 밑에 서술.[25]

어째 사기총들이 타 병과 무기들의 항목보다 많은 느낌이지만 이건 밀리터리 FPS 게임의 저격소총 밸런스 특성상 어쩔 수가 없는 듯 하다.

게임 시작 전, 메딕과 엔지니어의 수에 따라 반자동과 볼트액션을 적절히 선택하는 게 좋다. 이 두 병과는 근거리 한정 병과인 댓가로 초탄방어 조끼가 있어서 스나이퍼탄 한발을 무조건 무효화 하기 때문.[26] 따라서 한페땐 라이플맨과 스나이퍼가 많으면 볼트액션을, 메딕과 엔지니어가 많으면 반자동 스나이퍼를 드는것이 정석이었으나, 현재 시점엔 대부분의 볼트액션 스나이퍼의 연사력이 상향 평준화 되어 사실상 이론에 불과하다. 연사력 40 이상의 볼트액션 스나이퍼[27] 의 경우 넉다운된 적이 권총으로 내 머리를 부수기 전에 한발 더 쏘기 충분하므로 마음 편하게 볼트액션을 들어도 좋다. 한가지 명심할 사항은, 볼트액션이 상향평준화 된만큼 권총도 상향평준화 되었음을 잊지 말 것. 잠깐이라도 방심하면 역관광은 순식간이다.

[1] 기존 워페이스 공식위키가 접속 불가능 상태가 되고 이후에 추가된 총기 이미지 출처[2] 이게 어느수준이냐하면 당시 악명높았던 VSS Vintorez와 똑같은 연사력이였다![3] 기본, 일반 벤더 저격소총들은 상향을 받아 한탄창 12발 이상이 되었다.[4] 사거리를 무시하고 그냥 난사하면 적이 알아서 죽는경우가 대다수라 대전방에서 이 총기를 들고다니는 유저를 이렇게 부르며 조롱하곤 한다. 현재는 반동이 개반동이 되어서 이런 멸칭은 상대적으로 줄어든 편.[5] 두개는 워박스 총기이고, 나머지 하나는 사용자를 만나는것조차 힘든 레어총이다.[6] 단 대부분의 유저가 이러한 사실을 모르고 위키에만 기록되어 있는걸로 보아 잠수함 패치를 한 것으로 추정된다.[7] 이 최소 데미지는 스카웃과 동일하다.[8] 단 TWM X308의 사거리는 이 총의 약 두배라서 그런건 신경 안써도 된다.[9] 이전엔 골드버전 총기는 수리할 필요 없는 "무제한" 총기였으나 마이컴으로 퍼블리셔가 바뀐후 수리를 해야하는 "내구제" 총기가 되었다.[10] 당시 알파인은 영 좋지 못한 취급을 받았다. 현재 이 총의 인식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면 될 듯.[11] 단 특수 양각대와 빠른 5배줌은 골드버전에만 허용된다. 부착물 목록에 괄호친 부착물은 골드버전만 부착 가능[12] 원본은 완자동사격도 가능하지만 여기선 반자동으로만 사격할수 있다.[13] 워페이스의 리치몬드사는 현실의 레밍턴, 베넬리 사에 대응하는데 레밍턴과 베넬리가 샷건으로 유명하지만 라이플도 곧잘 만든다.[14] 사실 반자동 저격총중에서 최상급의 성능을 자랑한다. PVP에서도 사기적인 성능을 내는지라 Auto noob이라는 소리는 들을 수 있다.[15] http://warface.wikia.com/wiki/Attachments[16] 레인보우 식스 시즈의 오퍼레이터인 글라즈가 쓰는 총기와 비슷하다(양각대의 유무). 다만 총기의 특징은 완전히 정반대인데, 글라즈의 OTS-03은 높은데미지의 저격탄을 한발씩 쏴서 적을 제압하고, 워페이스의 SVK-AS는 비교적 약한 탄환을 완전자동으로 갈겨 적을 제압한다.[17] 기본 스나이퍼인 SVK도 조준사격 정확도만은 104다.[A] A B 엎드린 자세에서 적용 안됨[18] 몇몇 올드비중엔 지갑을 털어 이 총을 얻은 사람도 있으나, TWM X308의 빠른 조준속도를 더욱 선호하는 쪽이 많아 308을 쓰기도 한다.[19] The NY AS50 is a weapon created to celebrate the Chinese New Year. [20] 특히 스톰 Highill 3번째 점령지에서 방어팀 스나이퍼가 이 총을 들고 있다면 공격팀 입장에선 진정한 우주방어가 무엇인지 직접 경험해 볼수 있다.[21] 표준형 소음기는 데미지 15%감소 스펙이므로 소음기 장착시 데미지가 297.5이다. 이 정도면 무리 없이 한방을 낼 수 있는 편.[22] 단 30일치를 얻을 확률은 0.1%로, 왠만한 워박스에서 골드무기 나올 확률과 동급이다(...).[23] 엔지니어에게 기본적으로 주어지는 크레모아의 데미지는 290이며, 폭발내성이 있는 방어구를 착용할 경우 실피로 살아나간다.[24] 크레모아를 밟더라도 실피, 반피나 남겨주는 라이플맨, 메딕, 엔지니어, 스나이퍼의 파이썬, 라이노, 코모도, 호크 방탄조끼도 이놈 앞에서는 짤없다.[25] 참고로 그 모종의 상황이란 특수임무 마라톤에선 제트팩 타고 날아오는 적들을 빨리 잡기 위해 볼트액션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그 외에는 반자동이 옳다.[26] 볼트액션 스나이퍼의 경우 넉다운은 그대로 적용된다.[27] 사실 에버레스트, BNP을 제외한 모든 볼트액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