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2020-21 시즌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역대 정규 시즌
2019-20 시즌2020-21 시즌2021-22 시즌

1. 시즌 전
2. 선수단
3. 정규리그
4. 플레이오프
4.1. 4강 플레이오프
4.2. 챔피언 결정전
4.2.1. 3월 7일 vs KB: 승리
4.2.2. 3월 9일 vs KB: 승리
4.2.3. 3월 11일 @ KB: 패배
4.2.4. 3월 13일 @ KB: 패배
4.2.5. 3월 15일 vs KB: 승리
5. 시즌 상대전적
5.1. 팀별 상대전적
5.2. 라운드별 상대전적
5.3. 구장별 상대전적


1. 시즌 전[편집]


  • 이번 시즌부터 주말 및 공휴일 경기를 오후 5시에서 오후 6시로 변경하여 치른다.[1]

  • 이번 시즌의 정규리그 또한 지난 시즌과 마찬가지로 총 6라운드 30경기로 치러진다.


2. 선수단[편집]


2020-21 시즌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선수단
감독 임근배
코치 김도완, 전병준, 이미선
가드 1.박하나 2.최서연 4.윤예빈 6.신이슬 7.이민지 8.이주연 35.김한별
포워드 3.안주연 9.박혜미 10.김한비 12.김나연 13.김단비 17.김보미
센터 15.이수정 25.배혜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틀: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선수단 문서의 r7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틀: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선수단 문서의 r7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 정규리그[편집]



3.1. 1라운드[편집]



3.1.1. 10월 11일 vs BNK: 승리[편집]


10월 11일 일요일 18:00, 용인실내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2134271597
파일:부산 BNK 썸 엠블럼(다크모드).svg BNK3017202087

기존의 팀 내 주전이었던 윤예빈, 배혜윤, 김한별[2] 등과 지난 시즌 종료 이후 팀에 새로 합류한 이적생 김단비의 조화로운 플레이가 인상적이었다.

또한 지난 시즌 부상으로 인해 경기를 제대로 뛰지 못했던 박하나의 정규리그 복귀전이기도 하다.

경기 기록
2점 슛29/61(47.54%)
3점 슛10/32(31.25%)
자유투9/17(52.94%)
어시스트23
리바운드52
스틸11
블록슛2


3.1.2. 10월 16일 @ 하나원큐: 패배[편집]


10월 16일 금요일 19:00, 부천실내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부천 하나원큐 로고.svg 하나원큐2424211382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1716162069

양인영김단비의 이적[3] 이후 두 팀 간의 첫 맞대결이다.

이 날 경기에서는 시즌 첫 경기에서의 유기적인 플레이가 하나도 나오지 않으면서 허무하게 패배하고 말았다. 그 와중에 윤예빈커리어하이 득점을 기록하고 김한별두 경기 연속으로 더블더블을 기록했으나, 결국 팀이 패배하면서 빛이 바래고 말았다.

그리고 19일 하나원큐BNK가 부천에서 맞붙었는데, 여기서 BNK가 이기면서[4] 삼성생명과의 뫼비우스의 띠가 만들어졌다(…).

경기 기록
2점 슛27/67(40.30%)
3점 슛3/14(21.43%)
자유투6/9(66.67%)
어시스트19
리바운드36
스틸8
블록슛2


3.1.3. 10월 21일 vs 우리은행: 패배[편집]


10월 21일 수요일 19:00, 용인실내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1714112264
파일:아산 우리은행 위비 로고.svg 우리은행1220222579

삼성생명의 입장에서는 경기 전반적으로 굉장히 뻑뻑한 경기였다. 득점도 제대로 터지지 않고 파울만 쌓이면서 처참하게 패배한 경기.

한편 지난 2020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지명된 이명관이 경기에서 데뷔하였다. 최종 기록은 기사에서 보듯 3분 33초 동안 2득점 1리바운드 1어시스트.

경기 기록
2점 슛23/41(56.10%)
3점 슛5/26(19.23%)
자유투3/6(50.00%)
어시스트18
리바운드32
스틸5
블록슛0


3.1.4. 10월 23일 @ 신한은행: 승리[편집]


10월 23일 금요일 19:00, 인천도원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엠블럼(다크모드).svg 신한은행2313181165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2720251890

이 날 경기는 바로 전 경기와 다르게 내용이 굉장히 잘 풀렸으며[5], 심지어 3쿼터 중후반부터 일찌감치 가비지 타임을 만들어낼 정도였다.

한편 지난 2020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해외동포 선수로서 지명된 최서연이 경기에서 데뷔하였다. 비록 뛴 시간이 29초로 극히 짧았지만, 본인에게는 짜릿한 경험이었다고.

경기 기록
2점 슛28/58(48.28%)
3점 슛6/24(25.00%)
자유투16/25(64.00%)
어시스트21
리바운드55
스틸6
블록슛1


3.1.5. 10월 26일 vs KB: 패배[편집]


10월 26일 월요일 19:00, 용인실내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1314202370
파일:청주 KB 스타즈 로고(2011~2021).svg KB1823171674

이 날에는, 경기 시작 전에 전날 사망한 삼성그룹 이건희 회장의 추모식을 거행한 뒤 경기를 시작하였다. 또한 이 회장에 대한 추모의 의미로 선수들과 코칭스태프는 검은색 리본을 유니폼, 양복 등에 부착하고 경기에 임한다.

그런데 모기업의 침울한 분위기를 반영하듯 전반전에는 내내 KB에게 끌려다니기만 했다. 그래도 3쿼터 이후에는 나름대로 전반전에 벌어진 점수차를 만회하기 위한 노력을 보였으나, 김한별박지수 등 상대 선수들과 몸싸움을 하는 도중 무릎에 충격을 받아 클러치 타임에 제대로 뛰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6] 이로 인해 결국 역전을 위한 동력을 잃고 패배하였다.

한편, 남매 구단인 삼성 썬더스 또한 현대모비스홈경기를 치렀다. 이 경기에서도 삼성이 패배하였다.

경기 기록
2점 슛25/47(53.19%)
3점 슛5/28(17.86%)
자유투5/8(62.50%)
어시스트17
리바운드38
스틸8
블록슛1


3.2. 2라운드[편집]



3.2.1. 10월 29일 @ KB: 패배[편집]


10월 29일 목요일 19:00, 청주실내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청주 KB 스타즈 로고(2011~2021).svg KB1716241774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1426171572

경기 기록
2점 슛18/45(40.00%)
3점 슛9/27(33.33%)
자유투9/11(81.81%)
어시스트19
리바운드34
스틸15
블록슛3

바로 전 경기인 26일 경기에 맞붙었던 팀들끼리의 리턴 매치로서, 경기장만 바뀌어서 경기를 한다.

이 날 경기에서는 두 팀이 엎치락뒤치락 하는 난전 끝에[7] 4쿼터 막판에 동점까지 만들어놓았으나, 결국 삼성생명이 마지막 2점을 KB에게 내주게 되어 같은 팀에게 2연패를 내어주고 말았다.


3.2.2. 11월 23일 @ BNK: 승리[편집]


11월 23일 월요일 19:00, BNK센터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부산 BNK 썸 엠블럼(다크모드).svg BNK189242273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1622162882

약 1달간의 휴식기가 끝나고 오랜만에 치르는 경기이다.

경기가 시작하자마자 2점슛을 연속으로 얻어맞으며 좋지 못한 모습을 보였으나, 이내 점수차를 좁혔다. 그리고 2쿼터에 역전하면서 잡은 리드를 경기 끝까지 놓아주지 않았다.

한편 이번 2021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지명된 조수아가 이 경기에서 데뷔하였다.[8] 경기 막판에 투입되자마자 턴오버 하나를 기록하였다.

경기 기록
2점 슛30/54(55.56%)
3점 슛4/21(19.05%)
자유투10/12(83.33%)
어시스트22
리바운드48
스틸7
블록슛5


3.2.3. 11월 26일 vs 하나원큐: 승리[편집]


11월 26일 목요일 19:00, 용인실내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1821221677
파일:부천 하나원큐 로고.svg 하나원큐2210232075

비록 2쿼터에서 역전한 이후 3, 4쿼터에 하나원큐에게 많이 쫓기기는 했지만, 이 경기에서도 승리하며 시즌 첫 2연승 및 5할 승률을 기록하였다.

경기 기록
2점 슛24/39(61.54%)
3점 슛6/30(20.00%)
자유투11/20(55.00%)
어시스트13
리바운드40
스틸9
블록슛3


3.2.4. 11월 30일 @ 우리은행: 패배[편집]


11월 30일 월요일 19:00, 아산이순신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아산 우리은행 위비 로고.svg 우리은행1219151561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1612131657

뭐 하나 제대로 되는 게 없는 경기였다. 필드 골이나 자유투도 제대로 안 들어가고, 전반적인 경기 진행 자체가 굉장히 뻑뻑했다. 더군다나 상대팀주전 선수들 중 3명을 40분 내내 굴리는 등 체력적으로 우위에 있었음에도 경기다운 경기를 보여주지 못했다.

결국 시즌 첫 연승이 이 경기에서 끊어지고 말았다.

경기 기록
2점 슛21/52(40.38%)
3점 슛3/19(15.79%)
자유투6/11(54.55%)
어시스트16
리바운드30
스틸11
블록슛1


3.2.5. 12월 3일 vs 신한은행: 승리[편집]


12월 3일 목요일 19:00, 용인실내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2117192178
파일: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엠블럼(다크모드).svg 신한은행191691963

지난 경기의 패배를 거울 삼아 신한은행을 무난하게 이긴 경기였다. 특히 윤예빈, 박하나 등이 자유투를 모두 성공하며 팀의 승리에 보탬이 되었다.

또한 임근배 감독은 4쿼터 말미에 사실상 경기의 승패가 결정되자 주전 선수들을 모두 불러들인 뒤 김나연, 신이슬, 이명관 등 벤치 멤버들을 출전시켜 12인 엔트리를 모두 사용하였다.

경기 기록
2점 슛17/41(41.46%)
3점 슛7/18(38.89%)
자유투23/26(88.46%)
어시스트18
리바운드38
스틸5
블록슛1


3.3. 3라운드[편집]



3.3.1. 12월 6일 @ 하나원큐: 승리[편집]


12월 6일 일요일 18:00, 부천실내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부천 하나원큐 로고.svg 하나원큐1414151356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1318171967

배혜윤, 김한별이 더블더블을 기록하며 시즌 2번째 2연승을 기록하였다. 김한별이 4쿼터 도중 5반칙 퇴장을 당했으나, 이로 인해 팀의 수비 등이 어수선해지지는 않았다.

또한 윤예빈이 거의 풀타임을 뛰며 더블더블에 준하는 기록[9]을 했으며, 박하나 또한 WKBL 역사상 28번째로 개인 통산 3000점을 기록하였다.

경기 기록
2점 슛20/44(45.45%)
3점 슛6/19(31.58%)
자유투9/16(56.25%)
어시스트21
리바운드43
스틸7
블록슛4


3.3.2. 12월 12일 vs KB: 패배[편집]


12월 12일 토요일 18:00, 용인실내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연장종합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11172322477
파일:청주 KB 스타즈 로고(2011~2021).svg KB9193213982

1쿼터에는 두 팀 다 전반적으로 본인들만의 흐름을 찾지 못했으며, 2쿼터에서야 삼성생명이 박하나의 3점슛을 시작으로 비로소 공격의 물꼬가 터졌다. 이로써 한때 점수가 더블스코어까지 벌어졌지만, 잠시 휴식을 취하던 박지수가 경기에 다시 투입되자 벌어졌던 점수차가 다시 줄어들며 2쿼터는 동점으로 끝났다.

3쿼터 이후에는 박지수, 김한별이 각 팀의 중심이 되어 치열한 접전을 벌였다. 결국 4쿼터 종료 직전 강아정이 동점 골밑슛을 집어넣으면서 2020-21 시즌 첫 연장전에 돌입했다.

그러나 연장전에서는 그 동안 누적되었던 파울 갯수, 터지지 않는 외곽포 및 자유투 등으로 인해 결국 KB에게 승리를 내주고 말았다.

경기 기록
2점 슛16/39(41.03%)
3점 슛13/25(52.00%)
자유투6/11(54.55%)
어시스트20
리바운드32
스틸9
블록슛0


3.3.3. 12월 14일 vs 우리은행: 패배[편집]


12월 14일 월요일 19:00, 용인실내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1616201870
파일:아산 우리은행 위비 로고.svg 우리은행1920161671

4쿼터 막판 11초 박지현자유투 2개를 모두 놓치는 대환장 파티를 벌이며 대역전승의 기회가 왔는데, 그 기회 두 번 모두 똑같이 놓치는 대환장 파티를 시전하며 패했다.

경기 기록
2점 슛21/48(43.75%)
3점 슛6/19(31.58%)
자유투10/13(76.92%)
어시스트18
리바운드29
스틸10
블록슛4


3.3.4. 12월 18일 @ 신한은행: 승리[편집]


12월 18일 금요일 19:00, 인천도원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엠블럼(다크모드).svg 신한은행1920211878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2125181781

경기 종료 1분 전까지도 팽팽한 접전을 펼치다가, 배혜윤, 김한별 등을 막다 지친 신한은행 선수들이 마지막 1분을 남기고 녹초가 되면서 결정적인 리바운드 등을 모두 놓치는 바람에 패배하였다. 이로써 삼성생명은 시즌 2번째 연패를 탈출하게 되었다.

경기 기록
2점 슛20/43(46.51%)
3점 슛9/25(36.00%)
자유투14/20(70.00%)
어시스트21
리바운드34
스틸6
블록슛2


3.3.5. 12월 20일 vs BNK: 승리[편집]


12월 20일 일요일 18:00, 용인실내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1916242786
파일:부산 BNK 썸 엠블럼(다크모드).svg BNK2520181780

전반 내내 어려운 경기를 펼쳤다. 후반에도 3쿼터에는 점수차가 한때 17점차까지 벌어졌을 정도. 하지만 이후 팀의 수비가 되살아나기 시작하면서 역전승을 이루어내며 BNK의 연패 기록을 연장시켰다.

경기 기록
2점 슛29/50(58.00%)
3점 슛4/13(30.77%)
자유투16/22(72.73%)
어시스트18
리바운드34
스틸3
블록슛4


3.4. 4라운드[편집]



3.4.1. 12월 24일 vs 신한은행: 패배[편집]


12월 24일 목요일 19:00, 용인실내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511142353
파일: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엠블럼(다크모드).svg 신한은행2017151567

1쿼터부터 20:5로 철저하게 털린 경기. 이길래야 이길 수 없는 경기였다.

경기 기록
2점 슛15/39(38.46%)
3점 슛6/16(37.50%)
자유투5/8(62.50%)
어시스트15
리바운드21
스틸11
블록슛1


3.4.2. 12월 26일 @ 우리은행: 패배[편집]


12월 26일 토요일 18:00, 아산이순신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아산 우리은행 위비 로고.svg 우리은행1718131563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717131552

윤예빈은 2득점에 그친데다 3쿼터 파울아웃, 김한별은 제대로 뛰지 못한것도 모자라, 1쿼터는 24일 경기의 복붙 수준으로 따라갈 만 하면 김정은에 3점 허용. 이날 김정은에게만 20득점을 허용하며 자멸한 경기.

이로써 이번 시즌에는 우리은행에게만 4연패를 기록했다.

경기 기록
2점 슛17/38(44.74%)
3점 슛2/22(9.09%)
자유투12/17(70.59%)
어시스트13
리바운드41
스틸8
블록슛1


3.4.3. 12월 31일 @ BNK: 승리[편집]


12월 31일 목요일 19:00, BNK센터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부산 BNK 썸 엠블럼(다크모드).svg BNK1513202169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2015272981

이날 경기에서는 BNK를 상대로 무난하게 연패를 끊었다. 특히 이 경기에서는 이명관이 14득점(3점슛 3개 포함) 3리바운드를 기록하며 큰 활약을 보였다.

이로써 우리은행과는 반대로 BNK 상대로는 이번 시즌에만 4연승을 기록하고 있다.

경기 기록
2점 슛25/52(48.08%)
3점 슛5/19(26.32%)
자유투16/17(94.12%)
어시스트11
리바운드35
스틸7
블록슛3


3.4.4. 1월 4일 vs 하나원큐: 승리[편집]


1월 4일 월요일 19:00, 용인실내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1611162164
파일:부천 하나원큐 로고.svg 하나원큐418141349

지난 경기에 이어 김한별무릎 부상으로 결장했음에도, 1쿼터에는 하나원큐를 무난히 압살했다. 경기 시작 후 상대팀 하나원큐무려 8분 이상 첫 득점을 기록하지 못하면서[10] 16:4로 1쿼터를 끝냈으나, 2쿼터 이후에는 공격에서 난조를 보이면서 한때 동점까지 허용했을 정도.

하지만 배혜윤[11], 김단비[12] 등의 활약으로 올스타 브레이크 전 마지막 경기를 승리로 장식했다. 반면 상대팀이었던 하나원큐는 이 경기를 패하면서 6연패를 기록했다.

경기 기록
2점 슛18/48(37.50%)
3점 슛6/29(20.69%)
자유투10/13(76.92%)
어시스트15
리바운드48
스틸6
블록슛7


3.4.5. 1월 17일 @ KB: 패배[편집]


1월 17일 일요일 18:00, 청주실내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청주 KB 스타즈 로고(2011~2021).svg KB1919142072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1310281667

브레이크 기간 후 첫 경기에서는 박지수의 KB에게 패하고 말았다. 이 날 박지수는 38분 5초동안 코트에 나와 뛰면서 WKBL 역대 최다 연속 더블더블[13], 역대 최연소 블록 슛 300개 달성 등 2가지 기록을 남겼다. 또한 이 경기를 패함으로써 삼성생명은 KB 상대로 10연패 및 청주 원정 7연패라는 불명예를 기록하고 말았다.

경기 기록
2점 슛19/37(51.35%)
3점 슛8/24(33.33%)
자유투5/6(83.33%)
어시스트20
리바운드31
스틸6
블록슛1


3.5. 5라운드[편집]



3.5.1. 1월 22일 @ BNK: 승리[편집]


1월 22일 금요일 19:00, BNK센터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부산 BNK 썸 엠블럼(다크모드).svg BNK141118952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1215121857

BNK와의 2020-21 시즌 마지막 원정 경기를 승리로 장식하였다. 이번 시즌 BNK를 상대로 5전 전승을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배혜윤이 18득점-15리바운드 등 더블더블을 기록하는 활약을 보였다.

경기 기록
2점 슛19/42(45.24%)
3점 슛5/22(22.73%)
자유투4/4(100.00%)
어시스트13
리바운드44
스틸1
블록슛1


3.5.2. 1월 25일 vs 하나원큐: 패배[편집]


1월 25일 월요일 19:00, 용인실내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연장종합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15201927788
파일:부천 하나원큐 로고.svg 하나원큐222419161091

최근 9연패를 하고 있던 하나원큐의 연패 사슬을 끊어주는 승리를 헌납하고 말았다. 특히 삼성생명의 거듭된 실책, 파울 등으로 하나원큐에게 자유투 기회를 28개씩이나 내어준 것이 컸다.

경기 기록
2점 슛25/50(50.00%)
3점 슛10/28(35.71%)
자유투8/11(72.73%)
어시스트23
리바운드37
스틸5
블록슛1


3.5.3. 1월 28일 @ 우리은행: 승리[편집]


1월 28일 목요일 19:00, 아산이순신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아산 우리은행 위비 로고.svg 우리은행197111855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249171464

삼성생명이 이 경기를 승리함으로써, 상대팀 우리은행은 7년만에 1시즌에 전 구단 상대 패배를 기록하였다. 또한 삼성생명의 이번 시즌 마지막 아산 원정을 승리로 장식하였다.

경기 기록
2점 슛16/44(36.36%)
3점 슛7/22(31.82%)
자유투11/21(52.38%)
어시스트19
리바운드38
스틸8
블록슛2


3.5.4. 1월 31일 vs 신한은행: 패배[편집]


1월 31일 일요일 18:00, 용인실내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1114141655
파일: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엠블럼(다크모드).svg 신한은행1911151863

상대 신한은행은 김단비, 한채진, 이경은, 김애나 등 여러 선수가 고른 활약을 보였으나, 삼성생명이 이를 저지하지 못하면서 분패하고 말았다. 신한은행의 3점 슛을 막지 못한 것과 턴오버를 많이 기록한 것이 주된 패인이었다.

경기 기록
2점 슛19/38(50.00%)
3점 슛4/20(20.00%)
자유투5/8(62.50%)
어시스트18
리바운드32
스틸5
블록슛4


3.5.5. 2월 3일 vs KB: 패배[편집]


2월 3일 수요일 19:00, 용인실내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107131949
파일:청주 KB 스타즈 로고(2011~2021).svg KB1422161466

이 경기가 열리기 전인 2월 1일 하나원큐우리은행에 패배함으로써 삼성생명의 플레이오프 진출이 확정되었다.

그러나 이 날 삼성생명은 천적인 KB를 상대로 이번에도 고전을 면치 못하며[14] KB 상대 연패를 11연패로 늘렸다. 박지수, 심성영, 김민정 등에게 각각 두 자릿수 득점을 내주며 철저하게 짓밟혔다.

경기 기록
2점 슛14/34(41.18%)
3점 슛5/23(21.74%)
자유투6/7(85.71%)
어시스트15
리바운드33
스틸5
블록슛4


3.6. 6라운드[편집]



3.6.1. 2월 6일 vs 우리은행: 패배[편집]


2월 6일 토요일 18:00, 용인실내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1615181059
파일:아산 우리은행 위비 로고.svg 우리은행1322161465

윤예빈의 더블더블[15]김소니아의 5반칙 퇴장에도 박혜진[16], 박지현, 최은실 등의 큰 활약으로 인해 무너진 경기.

경기 기록
2점 슛15/37(40.54%)
3점 슛4/19(21.05%)
자유투17/21(80.95%)
어시스트14
리바운드36
스틸7
블록슛2


3.6.2. 2월 8일 @ 하나원큐: 패배[편집]


2월 8일 월요일 19:00, 부천실내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부천 하나원큐 로고.svg 하나원큐2514242184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1414172267

상대팀 하나원큐의 강이슬, 양인영, 신지현 등 주전 선수 3명에게 더블더블을 허용하며[17] 처참하게 털렸다. 이로써 최근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한 팀답지 않게 4연패 및 (이미 플레이오프 탈락이 확정된) 하나원큐 상대 2연패를 찍게 되었다.

경기 기록
2점 슛19/46(41.30%)
3점 슛6/29(20.69%)
자유투11/15(73.33%)
어시스트12
리바운드36
스틸6
블록슛2


3.6.3. 2월 17일 @ 신한은행: 패배[편집]


2월 17일 수요일 19:00, 인천도원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엠블럼(다크모드).svg 신한은행1618162979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1713251065

2월 15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가 수도권 2단계, 비수도권 1.5단계로 내려갔지만 WKBL은 무관중 경기를 이어간다.

이 경기에서는 임근배 감독이 주전 선수들과 벤치 멤버들을 고루 기용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그 덕분에 선수들의 체력 배분이 어느 정도 잘 되었는지 3쿼터 종료 때까지는 신한은행보다 살짝 앞선 상태였으나 4쿼터의 승부처 싸움에서 3점 슛, 속공 등을 연속으로 내주며 결국 패배하였다.

경기 기록
2점 슛21/47(44.68%)
3점 슛4/24(16.67%)
자유투11/13(84.62%)
어시스트18
리바운드32
스틸9
블록슛1


3.6.4. 2월 19일 vs BNK: 승리[편집]


2월 19일 금요일 19:00, 용인실내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1815182172
파일:부산 BNK 썸 엠블럼(다크모드).svg BNK1415162267

이 경기에서는 전반전에 유독 불필요한 실책이 많이 나왔다. 무려 12개를 기록했는데, 이번 시즌 삼성생명전반 최다 실책 기록이라고 한다.

그래도 김보미의 역대급 활약[18]을 통해 연패를 끊음과 동시에 상대인 BNK를 8연패로 몰아넣었다. 이번 시즌 BNK 상대 전승은 덤.

경기 기록
2점 슛14/31(45.16%)
3점 슛12/33(36.36%)
자유투8/11(72.73%)
어시스트20
리바운드35
스틸9
블록슛0


3.6.5. 2월 24일 @ KB: 승리[편집]


2월 24일 수요일 19:00, 청주실내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청주 KB 스타즈 로고(2011~2021).svg KB1518161564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2618231986

2020-21 시즌 팀의 마지막 경기이자 정규리그 마지막 경기를 승리로 장식했다. 이 경기 이전까지 청주 KB를 상대로 정규리그 11연패를 하고 있었는데[19], 이 연패를 무려 740일만에 끊어낸 것이다.

이 경기의 결과와는 상관 없이 삼성생명은 이번 시즌 정규리그 4위를 확정하였으며, 정규리그 우승을 차지한 우리은행과 플레이오프 4강을 치른다.

경기 기록
2점 슛23/51(45.10%)
3점 슛11/24(45.83%)
자유투7/12(58.33%)
어시스트19
리바운드39
스틸10
블록슛0


4. 플레이오프[편집]



4.1. 4강 플레이오프[편집]



4.1.1. 2월 27일 @ 우리은행: 패배[편집]


2월 27일 토요일 18:00, 아산이순신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아산 우리은행 위비 로고.svg 우리은행2410132774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1916191569

전반전에는 양 팀이 박빙 승부를 펼쳤다. 삼성생명은 상대적으로 불리한 파울 판정에도 김단비, 김보미, 김한별 등의 활약을 통해 치고 나갔으며 우리은행은 박혜진, 최은실 등이 이에 대응하며 균형을 맞췄다.

반면 후반전에서는 삼성생명이 먼저 치고 나가고 우리은행이 이를 쫓아가다가 결국 막판에 뒤집는 형국이었다. 결정적인 상황에서 박혜진에게 3점 슛자유투를 내주며 패배했다.

경기 기록
2점 슛17/41(41.46%)
3점 슛9/23(39.13%)
자유투8/10(80.00%)
어시스트17
리바운드33
스틸3
블록슛2


4.1.2. 3월 1일 vs 우리은행: 승리[편집]


3월 1일 월요일 14:25, 용인실내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2218181876
파일:아산 우리은행 위비 로고.svg 우리은행1619211672

KBS1에서 중계하는 관계로, 경기 시작 시간이 변경되었다. 캐스터는 김현태, 해설위원은 손대범, 하승진.

윤예빈[20], 김한별[21], 김보미[22] 등의 큰 활약[23]으로 2차전을 승리하여 승부를 원점으로 돌려놓았다.

경기 기록
2점 슛21/35(60.00%)
3점 슛7/23(30.43%)
자유투13/15(86.67%)
어시스트20
리바운드37
스틸4
블록슛8


4.1.3. 3월 3일 @ 우리은행: 승리[편집]


3월 3일 수요일 19:00, 아산이순신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아산 우리은행 위비 로고.svg 우리은행13916947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171892064

정규리그 4위를 기록했던 삼성생명이 정규리그 우승팀 우리은행을 꺾고 챔프전에 진출했다. 이는 WKBL 역사상 20년 만이자 역대 2번째 기록이라고 한다.

경기 내적으로는 임근배 감독의 큰 그림이 상대팀을 경기 내내 압도했던 경기였다. 경기가 어느 정도 진행된 뒤 위성우 감독은 경기를 뒤집지 못할 것이라는 걸 깨달았는지 주전 선수들을 모두 빼고 벤치 멤버들을 기용하였으며, 이에 임근배 감독 또한 벤치 멤버들을 경기에 내보냈다.


경기 기록
2점 슛21/48(43.75%)
3점 슛4/24(16.67%)
자유투10/12(83.33%)
어시스트15
리바운드39
스틸10
블록슛6


4.2. 챔피언 결정전[편집]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를 꺾고 올라온 청주 KB 스타즈와 경기한다. 어째서인지 삼성생명이 4위로 올라왔지만 1,2,5차전 홈 어드벤티지를 얻게 되었다.[24] 챔피언결정전은 관중을 받게 되었다. (용인 10%, 청주 30%)


4.2.1. 3월 7일 vs KB: 승리[편집]


3월 7일 일요일 13:40, 용인실내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1910262176
파일:청주 KB 스타즈 로고(2011~2021).svg KB1314192571

구단의 연고지인 용인에서 1차전이 열리는 만큼 삼성생명도 해볼만한 경기가 될 듯하다.

2018-19 시즌 당시 챔피언 결정전 상대였던 KB를 상대로 1차전부터 설욕에 성공하며 챔결에서의 긴 연패를 끊어냈다. 경기 내내 KB의 주전 센터 박지수를 압박하며 박지수의 체력을 일찌감치 뺀 뒤, 그로 인해 생긴 빈틈을 집요하게 파고들었다.

경기 기록
2점 슛24/42(57.14%)
3점 슛8/20(40.00%)
자유투4/5(80.00%)
어시스트17
리바운드28
스틸9
블록슛2


4.2.2. 3월 9일 vs KB: 승리[편집]


3월 9일 화요일 19:00, 용인실내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연장종합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171716241084
파일:청주 KB 스타즈 로고(2011~2021).svg KB15192812983

2차전에서도 1차전에서의 주요 전략이 주효했다. 이번에도 박지수를 일찌감치 지치게 만든 뒤 그 빈틈을 파고드는 전략을 사용했다.

하지만 같은 전략에 2번 당하지 않겠다는 의지였는지, 막판에 2점 뒤지고 있는 상황에서 김보미강아정에게 파울을 범하며 자유투 2개를 내주어 KB가 경기를 연장까지 끌고 갔다. 하지만 김한별이 경기 종료 0.8초 전 박지수를 상대로 결승 2점슛을 꽂아넣으며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 비록 배혜윤, 김단비, 김보미가 5반칙 퇴장을 당하여 연장전에서는 제대로 뛰지 못하였지만, 김한별과 다른 식스맨들이 만들어낸 승리라는 점에서 더욱 값졌다 할 수 있다.

참고로, 5전 3선승제로 진행되는 챔피언 결정전에서 2승을 먼저 따낸 팀은 모두 우승컵을 들어올렸다고 한다.[25] 삼성생명이 이 100%의 확률을 또 한 번 실현시킬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경기 기록
2점 슛21/41(51.22%)
3점 슛8/22(26.26%)
자유투18/22(81.82%)
어시스트20
리바운드25
스틸10
블록슛2


4.2.3. 3월 11일 @ KB: 패배[편집]


3월 11일 목요일 19:00, 청주실내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청주 KB 스타즈 로고(2011~2021).svg KB2220192182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239172675

1쿼터에서는 비등비등하게 경기가 흘러갔으나, 2쿼터 들어서 고구마 농구로 점수차를 많이 까먹어버린데다 팀의 주포 김보미가 너무 일찍 파울아웃을 당하는 바람에 3쿼터까지 12점차로 밀리고 말았다. 4쿼터에서 겨우 점수차를 좁히기는 했지만, 너무 늦게 쫓아간 관계로 경기를 뒤집지 못하고 KB에게 1승을 헌납하고 말았다.

경기 기록
2점 슛22/50(44.00%)
3점 슛7/20(35.00%)
자유투10/11(90.91%)
어시스트19
리바운드34
스틸6
블록슛5


4.2.4. 3월 13일 @ KB: 패배[편집]


3월 13일 토요일 18:00, 청주실내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연장종합
파일:청주 KB 스타즈 로고(2011~2021).svg KB23182215785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19172121482

4차전도 피말리는 승부가 이어졌다. 전반에는 41:36으로 비등하게 갔었고, 3쿼터 들어서부터 삼성이 동점까지 따라붙기도 했다. 이후 다시 KB에게 점수차를 6점차까지 밀리기도 했으나, 4쿼터의 히어로는 단연 이명관이라고 할 수 있겠다. 특히 이명관은 클러치 타임 때마다 공격의 첨병 역할을 하면서 연장까지 끌고 간 1등 공신이었으나, 파울을 너무 아낀 나머지 연장전 들어서면서 파울작전으로 끊다 결국 파울아웃을 당하고 말았고 결국 KB에게 다시 승리를 내주면서 역스윕 위기에 몰리고 말았다.

경기 기록
2점 슛23/42(54.76%)
3점 슛8/26(30.77%)
자유투12/15(80.00%)
어시스트18
리바운드31
스틸9
블록슛5


4.2.5. 3월 15일 vs KB: 승리[편집]


3월 15일 월요일 19:00, 용인실내체육관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삼성생명1816182274
파일:청주 KB 스타즈 로고(2011~2021).svg KB1117151457

  • 경기 전 : 0%의 확률에 도전하다.
    • 청주 KB 스타즈 : 역스윕 우승에 도전[26][27]
    •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 4위팀 우승에 도전[28]
3, 4차전 패배를 앙갚음하듯 경기는 전반부터 삼성이 압도를 했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며, 김한별은 22득점 7리바운드를 거둠과 동시에 시리즈 MVP를 수상했으며, 팀은 15년만의 우승[* 2020-21 시즌 우승 직전의 챔피언결정전 우승이 무려 2006년 여름 시즌이다.]과 함께 역대 2번째로 대한민국의 남녀 모든 구기종목을 통틀어 4위팀 이하 팀, 더불어 역대 최저승률 우승 신기록 사례로 역사에 남게 되었다.[29][30]

경기 기록
2점 슛24/41(58.54%)
3점 슛8/19(42.11%)
자유투2/5(40.00%)
어시스트18
리바운드30
스틸6
블록슛2


5. 시즌 상대전적[편집]



5.1. 팀별 상대전적[편집]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의 2020-21 시즌 팀별 상대전적
상대팀승패승률승패마진비고
파일:부산 BNK 썸 엠블럼(다크모드).svg BNK6승 0패1.000+6
파일:부천 하나원큐 로고.svg 하나원큐3승 3패.5000
파일:아산 우리은행 위비 로고.svg 우리은행1승 5패.167-44강 플레이오프
2승 1패
파일: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엠블럼(다크모드).svg 신한은행3승 3패.5000
파일:청주 KB 스타즈 로고(2011~2021).svg KB1승 5패.167-4챔피언결정전
3승 2패
총합14승 16패.467-2정규시즌 4위


5.2. 라운드별 상대전적[편집]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의 2020-21 시즌 라운드별 상대전적
라운드승패승률승패마진
1라운드2승 3패.400-1
2라운드3승 2패.600+1
3라운드3승 2패.600+1
4라운드2승 3패.400-1
5라운드2승 3패.400-1
6라운드2승 3패.400-1
총합14승 16패.467-2


5.3. 구장별 상대전적[편집]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의 2020-21 시즌 구장별 상대전적
홈/원정 구분구장승패승률비고
홈경기용인실내6승 9패.400
원정경기BNK센터3승 0패1.000원정 5연승
부천실내1승 2패.333
아산이순신1승 2패.333
인천도원2승 1패.667
청주실내1승 2패.333원정 7연패 후 1승

[1] 다만 BNK 썸의 주말 홈경기는 부산MBC 중계 사정으로 인해 예외적으로 오후 2시에 치른다.[2] 경기에 출전한 선수들 중 배혜윤김한별더블더블을 기록했다.[3] 양인영: FA 이적(삼성생명하나원큐)
김단비: 보상선수 이적(하나원큐삼성생명)
[4] 경기 후반에 하나원큐의 자멸성 플레이가 속출하였다. BNK도 경기 막판에 안혜지가 스틸한 공을 진안이 걷어차는(…) 개그를 보여주긴 했지만.[5] 주전 선수들 중 무려 3명 더블더블을 기록했으니 말 다 했다.[6] 임근배 감독이 교체선수를 내보내면서 김한별이 코트를 나오는데, 자력으로 걸어나오지 못해 구단 스태프의 부축을 받고 코트를 빠져나왔다. 그리고 이러한 안쓰러운 상황이 2번이나 나왔다.[7] 1쿼터에는 비슷한 점수를 내었고, 2쿼터에 삼성생명이 치고 나갔으나 3쿼터에 다시 동점이 되었다.[8] 최근에는 이렇듯 신인으로서 지명한 선수를 금방 실전에 투입하는 추세라고 한다.[9] 9득점 12리바운드 2어시스트.[10] 이훈재 감독이 1쿼터 초반부터 타임아웃을 불러놓고 선수들에게 화를 냈을 정도.[11] 40분 풀타임을 뛰면서 더블더블(19득점 12리바운드)을 기록했다.[12] 역시 40분 풀타임을 뛰면서 리바운드를 15개를 잡아주었다.[13] 기존 기록은 2005년도에 기록되었던 트라베사 겐트의 22경기 연속.[14] 위의 스코어보드에서도 보듯 전반 종료 당시 점수가 36-17이었다.[15] 14득점 14리바운드 3어시스트 2스틸 2블록슛[16] 17득점 15리바운드 2어시스트 2스틸[17] 강이슬 25득점 10리바운드 3어시스트, 양인영 23득점 11리바운드 4어시스트, 신지현 18득점 4리바운드 10어시스트[18] 29득점(3점슛 9개 포함) 6리바운드 2어시스트 2스틸[19] 챔피언 결정전을 포함한다면 14연패.[20] 26득점 11리바운드 2어시스트 1스틸 1블록[21] 22득점 9리바운드 6어시스트 2블록[22] 16득점 6리바운드 3어시스트 2스틸 1블록[23] 특히 윤예빈은 각주에서 보듯 더블더블을 기록했으며, 득점과 리바운드 모두 양 팀 통틀어 가장 많은 기록이었다.[24] 원래는 1위인 우리은행이 받아야 하지만 4위인 삼성생명이 우리은행을 이겼기 때문에 어드밴티지도 승계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모든 경기서 홈팀이 승리하자 어드밴티지 승계에 비판을 제기하는 여론도 있다.[25] 총 12회[26] 대한민국의 남녀 모든 구기종목을 통틀어도 역스윕 우승 기록은 한번도 없었다. 그나마 가까웠던 사례가 바로 2000 두산이다. [27] 그리고 이로부터 2년 뒤 한 여자배구단이 이 기록을 만들게 된다.[28] 4위팀 이하 팀의 우승 사례는 대한민국의 남녀 모든 구기종목을 통틀어 딱 한 번(2007 포항) 밖에 없다, 그나마 가까웠던 사례가 2013 두산이다.[29] 참고로 타 구기종목별 역대 최저승률 우승 팀은 야구: 2001 두산, .508, 남자배구 : 2011 삼성화재 .533 : 여자배구: 2008 GS칼텍스, .500, 남자농구: 2009 KCC, .574, 여담으로 여자농구 종전 기록은 2004 겨울리그 : 금호생명, .550. [30] 축구는 구기종목이지만 여기는 승률이 아닌 승점으로 순위가 갈리기에 제외한다. 다만 굳이 축구까지 고려한다면, 1986 포철5승 8무 7패(.250)란 흠좀무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만약 야구 승률 공식을 쓴다면 .417). 즉 4위 팀 이하 우승 기록과 최저승률 기록을 모두 포항이 가지고 있는 셈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0:21:02에 나무위키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2020-21 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