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두산통일전망대

덤프버전 : (♥ 0)

오두산통일전망대


1. 개요
2. 위치
3. 시설
4. 풍경
5. 역대 대통령 휘호
6. 기타



1. 개요[편집]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에 위치한 통일전망대. 도로명주소로는 탄현면 필승로 369, 지번주소로는 탄현면 성동리 659이며 1992년 9월 8일에 개장하였다.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통일전망대와 더불어 대중에게 매우 잘 알려진 통일전망대다.


2. 위치[편집]


한강임진강이 만나는 합류지점에 위치하며, 자유로를 따라 서울에서 올라가다 보면 좌측에 보인다. 자유로에서 바로 들어갈 수는 없고, 성동IC 등을 통해서 필승로에 합류해서 고가도로로 진입할 수 있다. 2023년 8월 기준 자가용을 통하여 통일전망대에 직접 들어올 수 있다. 그 외 통일동산-오두산전망대 사이(필승로)에 위치한[1] 주차장에 주차한 후 힐링산책로(약 20분 소요)를 이용하거나 셔틀버스(주말 13:00 이후 운행)를 이용할 수 있다. 통일동산공영주차장 주차요금은 소형 2000원, 중형 3000원, 대형 5000원이다. 대중교통으로는 900번이 운행되며, 주차장을 기종점으로 삼고 있다. 기종점은 아니나 033번이 있고, 배차간격이 긴데 033번은 방향을 확인해야 한다. 셔틀버스 주차장 입구에서 승차할 수 있으며, 하차는 셔틀버스 주차장 뒤, 900번이 주차된 곳에서 하차를 한다. 셔틀버스 운행의 경우 주말 13시 이후서부터 운행한다. 셔틀버스가 없을경우 도보진입로인 힐링산책로를 이용 가능하다.(10:00~17:00) 도보진입로 폐쇄 이후엔 갓길도 없고 가드레일엔 철조망이 둘러져있는 차도를 걸어서 산에서 내려가야 한다.

홍대입구-통일전망대선 철도 계획이 있으나 지지부진하다.


3. 시설[편집]


3~4층은 전망대이며 [2] 1~2층은 전시실이다.
2023년 8월 기준 성인 요금은 3000원, 학생 및 군경 요금은 1600원이다. 지역 주민 할인 등 기타 사항은 사이트 참고.

4. 풍경[편집]


파일:림한리.jpg

북한 개성시 판문구역 림한리(대한민국 이북 5도 행정구역상 경기도 개풍군 임한면 정곶리) 선전마을[3] 일대를 볼 수 있다. 이곳이 바로 서울에서 가장 가까운 북한 땅으로, 직선거리 상 서울시계까지 약 24km, 서울시청까지 약 38km에 불과하다. 주택들과 김일성사적탑, 탈곡장, 소학교 등의 시설물과 경작지가 있으며, 군 초소도 보인다. 맑은 날에는 개성시 북부의 송악산도 보인다.

사진촬영의 경우 특별히 터치하지는 않는 편이다.[4]

이 마을은 오두산통일전망대에서 약 3km 정도 떨어져 있으며, 우측으로 고개를 돌리면 강폭이 불과 650m 가량까지 좁아지는 곳도 있다.[5][6]

한편 남한 쪽으로 바라보면 웬 거대한 한옥 구조물이 눈에 들어온다. 건물의 이름은 '고려통일대전'으로 고려시대 인물들의 위패를 모신 사당과 그 인물들과 연관된 문화재를 전시하는 전시관이다. 그 아래에 있는 경기장들은 축구 국가대표팀들의 훈련 시설인 파주 NFC이다.


5. 역대 대통령 휘호[편집]


역대 대통령들이 통일전망대에 들러 남긴 휘호가 전시되어 있다. 그러나 문재인 전 대통령의 휘호는 통일부에서 수차례 청와대에 요청했으나 끝내 받지 못하여 전시되지 않았다. #

대통령휘호날짜
이승만統一最先(통일최선)[7]
박정희國力培養 統一成就(국력배양 통일성취)1975년
전두환民族和合 民主統一(민족화합 민주통일)2012년 2월
노태우우리 後世(후세)는 統一(통일)의 기쁨 속에서 前進(전진)하기를 念願(염원)하며1992년 2월 2일
김영삼南北統一(남북통일)1992년 12월 18일
김대중安保(안보) 平和(평화) 交流(교류) 그리고 統一(통일)1997년 12월 18일
노무현평화를 다지는 길 번영으로 가는 길2007년 10월 2일
이명박相生共榮 平和統一(상생공영 평화통일)2011년 12월 21일
박근혜한반도 평화통일을 이루어 세계평화에 기여하길2016년
문재인없음
윤석열자유 평화 통일2023년 5월


6. 기타[편집]


가끔씩 뉴스 기자들이 보인다. 기자가 있으면 1시간 후 뉴스를 확인해보자. 장소가 장소인만큼 대부분 북한 정세 및 동향, 통일남북관계 관련 소식이다.

5세기 광개토대왕 시절 고구려백제가 한강유역 패권을 두고 대결했던 장소 중 하나인 관미성으로 비정되기도 한다.

이달의 소녀 가 2021년 통일교육주간 기념으로 여길 다녀왔다.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03:40:29에 나무위키 오두산통일전망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자동차극장이 있는 곳이다.[2] 4층은 카페를 겸하고있다. [3] 실제로 이곳에서 보이는 주민들은 이 마을에 살지 않고 외부에서 출퇴근한다. 보이는 건물들의 내부는 사람이 살 수 없을 정도로 낡고 더럽고 관리가 안 된 환경이라고 한다.[4] 물론 말하지 않아도 군사시설 촬영금지는 기본이다.[5] 월북 시도 사례 중에서 이 일대를 건너려는 경우도 있는데, 현실적으로 대한민국 육군이 99.99% 확률로 발견하여 경고 방송을 하게 되며, 이를 무시한다면 현장에서 사살한다. 제 정신이라면 이런 건 하는 척도 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2013년 9월에 월북시도하다가 사살된 사람이 존재한다.[6] 노크 귀순 사건이나 북한이탈주민 강화도 경유 월북 사건같은 흑역사만 없었어도 100%로 표현해도 되었을 만한 부분이다. 물론 노크 귀순은 동부전선 쪽 사건이고 탈북 성범죄자 재월북은 대한민국 해병대 관할이긴 하지만, 뭐 어쨌든 그러한 틈새를 보이긴 보였으니까 그렇다.[7] 우남 이승만 박사 서집에 실린 휘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