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영월군/정치

덤프버전 :

||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영월군 CI.svg 강원도 영월군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홍천군·횡성군·영월군·평창군영월군 전역 + 홍천군, 횡성군, 평창군 전역
도의원/군의원영월군1/영월군가영월읍(일부)[1], 상동읍, 산솔면, 김삿갓면
영월군2/영월군나영월읍(일부)[2], 북면, 남면, 한반도면, 주천면, 무릉도원면


2. 개요[편집]


농촌답게 보수적인 동네지만, 탄핵 역풍을 타고 노무현대한민국 대통령의 측근 중 하나인 이광재당선되기도 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강원도지사에도 당선되는 기염을 토했다. 당시 이광재에 대한 지역민들의 믿음과 지지는 절대적이었다.

물론 이는 과거의 이야기이며, 박근혜 대통령 탄핵에도 불구하고 제19대 대통령 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영월읍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보수정당자유한국당이 여전히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지방선거 당시 진보성향의 군민들도 당을 제외하고 접근했을 땐 최명서 후보를 지지하는 측면이 강했다. 또한 전 군수였던 박선규 군수[3]가 젊은층/노년층 구분하지 않고 군민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았던 것도 영향을 주었다. 군의회에 국민의당 소속도 있었으나, 탈당을 했는지 영월군의회 사이트에는 무소속으로 나온다.

선거구는 상술했듯이 인구가 적은 관계로 다른 시·군과 통합해서 구성했는데, 강원특별자치도 자체가 인구가 줄어들고 있는만큼 여러 번 선거구 명칭이 바뀌기도 했다. 도의회와 군의회는 같은 선거구이며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영월읍을 나누어 구성했는데, 나눈 모양이 게리맨더링을 연상하게 한다.[4]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영월군 CI.svg 영월군 국회의원 선거 결과
영월군·평창군
13대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심명보3선
14대
ta-hash-start=w-68cb655c87b956b0747be1733dde84fa[[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4선[5]
1993김기수초선
15대
ta-hash-start=w-999600eb275cc7196161261972daa59b[[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재선
16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김용학초선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17대
ta-hash-start=w-f17adbe191290e36a54c0f517a86697c[[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이광재초선
18대
ta-hash-start=w-8642785813491d703d517ddd00944054[[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재선[6]
2010
ta-hash-start=w-256ef8e0860690057a70e2417a638f15[[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최종원초선
19대
ta-hash-start=w-3f8355f13c48aff3d7d3dcffaa23b093[[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염동열초선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
20대
ta-hash-start=w-6af8cbc980df656d8574530389a7e7a6[[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염동열재선





3.1. 지선[편집]


8회 지선 영월군 개표 결과
강원도지사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이광재김진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182
(45.63%)
12,129
(54.36%)
- 1,947
(▼8.72)
22,806
(66.35%)
영월읍[A]51.10%48.89%△2.2062.68
상동읍37.12%62.87%▼25.7564.11
산솔면[7]36.89%63.10%▼26.2063.66
김삿갓면[B]37.05%62.94%▼25.8863.72
북면39.20%60.79%▼21.5961.89
남면40.65%59.34%▼18.6967.67
한반도면[C]37.53%62.46%▼24.9361.90
주천면38.09%61.90%▼23.8166.27
무릉도원면[D]34.28%65.71%▼31.4262.90
후보이광재김진태격차
거소투표42.50%57.50%▼15.00
관외사전투표51.78%48.21%△3.56
국회의원
선거구
이광재김진태격차투표율
홍천·횡성·
영월·평창
[8]
44.95%55.04%▼10.0962.20
후보이광재김진태격차투표율
읍 지역[9]51.10%48.89%△2.2062.68
면 지역[10]37.80%62.19%▼24.3864.23

영월군수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무소속격차투표율
후보김기석최명서박선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749
(21.29%)
11,950
(53.57%)
5,605
(25.13%)
+ 6,345
(△28.44)
22,805
(66.34%)
영월읍[A]22.04%49.93%28.02%△21.9162.69
상동읍15.70%59.92%24.36%△35.5564.11
산솔면[11]16.51%55.43%28.04%△27.3963.66
김삿갓면[B]20.19%60.70%19.09%△40.5063.72
북면11.76%67.60%20.63%△46.9661.89
남면18.02%61.26%20.70%△40.5667.62
한반도면[C]19.04%52.24%28.70%△23.5361.94
주천면21.26%56.80%21.92%△34.8766.27
무릉도원면[D]18.63%63.67%17.69%△45.0362.90
후보김기석최명서박선규격차
거소투표12.50%43.75%43.75%=동률
관외사전투표29.43%48.43%22.13%△18.99


3.2. 대선[편집]


20대 대선 영월군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758
(40.33%)
14,904
(55.87%)
- 4,146
(▼15.54)
26,925
(78.48%)
영월읍[A]43.94%52.51%▼8.5773.76
상동읍39.73%56.25%▼16.5277.62
산솔면[12]31.51%63.55%▼32.0477.44
김삿갓면[B]35.79%60.46%▼24.6779.17
북면35.46%59.84%▼24.3875.89
남면36.97%59.03%▼22.0681.44
한반도면[C]35.09%61.29%▼26.2078.06
주천면34.81%62.24%▼27.4477.82
무릉도원면[D]30.67%65.50%▼34.8379.53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40.74%50.00%▼9.26
관외사전투표44.87%50.76%▼5.89
재외투표66.23%28.57%△37.66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홍천·횡성·
영월·평창
[13]
39.10%56.97%▼17.8775.42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읍 지역[14]43.94%52.51%▼8.5773.76
면 지역[15]34.95%61.22%▼26.2878.44


3.3. 총선[편집]



3.3.1. 영월군·평창군[편집]



3.3.2.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편집]



3.3.3.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편집]



3.3.4. 홍천군·횡성군·영월군·평창군[편집]


21대 총선 영월군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홍천군·횡성군·영월군·평창군)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원경환유상범(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9,021
(38.75%)
13,205
(56.73%)
- 4,184
(▼17.98)
23,548
(67.06%)
[ 펼치기 · 접기 ]

영월읍[*A ]41.41%54.81%▼13.4162.55
상동읍33.28%62.70%▼29.4267.75
중동면29.54%66.55%▼37.0166.92
김삿갓면[*B ]38.84%55.87%▼17.0367.14
북면33.96%63.59%▼29.6365.70
남면33.00%59.07%▼26.0769.66
한반도면[*C ]32.30%61.84%▼29.5566.80
주천면33.30%62.51%▼29.2165.91
무릉도원면[*D ]29.34%64.13%▼34.7867.38
후보원경환유상범격차
거소·선상투표32.45%57.01%▼24.56
관외사전투표53.36%41.82%△11.54
재외투표93.33%6.66%△86.67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9,736
(43.56%)
5,893
(26.37%)
1,751
(7.83%)
1,062
(4.75%)
896
(4.00%)
+ 3,843
(△17.20)
23,545
(67.03%)
[ 펼치기 · 접기 ]

영월읍[*A ]41.31%28.33%8.10%5.19%4.84%△12.9862.54
상동읍49.36%24.13%5.67%3.62%3.78%△25.2467.65
중동면49.31%20.52%7.70%3.62%2.49%△28.8066.92
김삿갓면[*B ]44.00%24.82%8.00%4.92%3.28%△19.1867.20
북면46.01%24.46%7.79%4.64%2.57%△21.5565.65
남면43.97%24.37%6.57%3.94%3.53%△19.6069.75
한반도면[*C ]48.13%22.50%8.10%3.84%2.22%△25.6366.80
주천면51.14%22.00%6.33%2.85%3.00%△29.1465.91
무릉도원면[*D ]53.19%21.83%6.29%4.44%1.94%△31.3667.38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43.92%18.69%9.34%2.80%0.93%△25.23
관외사전투표32.78%33.05%9.98%6.82%5.63%▼0.27



[1] 영흥리, 하송리, 방절리, 문산리, 거운리, 삼옥리, 연하리[2] 흥월리, 팔괴리, 정양리, 덕포리[3] 자유한국당 소속으로, 3선을 역임했으며, 재선 때는 무투표 당선되었고, 3선 때도 66%라는 여유있는 득표율로 당선되었다.[4] 서쪽 5개 면과 같은 선거구를 이루는 흥월리, 팔괴리, 정양리, 덕포리는 오히려 동쪽 1읍 2면과 같은 생활권이다. 동쪽 지역과 같은 생활권인 영월읍 내 다른 지역도 자세히 보면, 방절리, 영흥리, 하송리 쪽이 서쪽 면 지역들로 이동이 가능한데다가 문산리, 거운리, 삼옥리, 연하리는 덕포리를 거쳐야만 나머지 영월읍 지역으로 갈 수 있다. 인구가 지속적으로 줄고 있는만큼 차라리 도의원 선거구를 1석으로 줄이고 군의회는 영월읍+동쪽 지역(4석)/서쪽 5면 지역(2석)으로 정리하면 깔끔할 것 같지만...[5] 94.5.24 별세[6] 10.4.28 의원직 사퇴(강원도지사선거 출마)[A] A B C 세경대학교가 있는 동네[7] =구 중동면[B] A B C =구 하동면[C] A B C =구 서면. 쌍용양회 영월공장이 있는 동네[D] A B C =구 수주면[8] 지역구 국회의원: 유상범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9] 영월읍[10] 상동읍, 산솔면, 김삿갓면, 북면, 남면, 한반도면, 주천면, 무릉도원면[11] =구 중동면[12] =구 중동면[13] 지역구 국회의원: 유상범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14] 영월읍[15] 상동읍, 산솔면, 김삿갓면, 북면, 남면, 한반도면, 주천면, 무릉도원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0:59:08에 나무위키 영월군/정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