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커먼웰스 게임

덤프버전 :

언어권별 경기 대회
포르투갈어영어프랑스어
루소포니아 경기 대회커먼웰스 게임프랑코포니 경기 대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30px-Commonwealth_Games_Federation_seal.svg.png
영연방경기연맹 로고
1. 개요
2. 역사
3. 종목
4. 기타
5. 역사
5.1. 개최 국가
5.2. 대회 규모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Commonwealth Games

4년마다 개최되는 영연방 소속 국가들 간의 종합 스포츠 대회이다. 주최는 커먼웰스 게임 연맹(커먼웰스 스포츠)이 하고 있다.


2. 역사[편집]


대영 제국 경기 대회(British Empire Games)라 명명된 창립 대회는 1930년에 개최되었다. 이후 1954년 대영제국 및 연방 경기 대회(British Empire and Commonwealth Games)로 개명되었다가 1970년의 영연방 경기 대회(British Commonwealth Games)를 거쳐 1978년부터는 연방 경기 대회(Commonwealth Games)로 명칭이 변경된 이래 지금까지 이 명칭이 사용되고 있다.


3. 종목[편집]


올림픽을 비롯한 다른 운동 경기와 같이, 영연방 경기대회는 참가국인 영연방 국가에서 주로 행해지는 경기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7인제 럭비, 육상, 수영(경영, 다이빙,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론볼, 넷볼(여성)은 필수 종목이다. 기타 경기 종목으로는 배드민턴, 농구, 권투, 사이클, 체조, 필드 하키, 사격, 스쿼시, 탁구, 트라이애슬론, 역도 등이 있다. 2022년 버밍엄 대회부터는 e스포츠종목으로 포함시켰다.

4. 기타[편집]


1930년 초대 대회부터 호주, 캐나다, 잉글랜드, 뉴질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6개국은 지금까지 개근하여 참여하고 있으며, 호주가 13회, 잉글랜드가 7회, 캐나다가 1회의 종합 우승을 하였다. 아시아에서는 말레이시아가 1998년에 첫 개최국으로서 그때까지 참가팀 수, 선수단 수, 종목 수 및 TV 시청자 등 역대 최대 규모로 대회를 진행했다.

총 53개의 회원국에서 약 70여개의 대표팀이 참가하고 있다. 이는 영국을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로 나누고, 또한 기타 다수의 영국령인 영토를 포함한 수치이다. 대회 참가 인원은 약 4,500명 정도다.

같은 도시에서 연이어 개최하긴 하지만 올림픽·패럴림픽아시안 게임·장애인 아시안 게임이 장애인 대회가 공식적으로 별도의 대회고 위원회부터 별개인 것과 달리 커먼웰스 게임은 장애인 종목을 1962년부터 1974년까지만 별개의 대회로 치뤘고 이후 장애인 종목 경기 자체를 행하지 않다가 2002년 대회부터 장애인 종목 경기도 정식으로 추가하여 하나의 대회에서 실시한다.

한편, 동계 대회는 1958년부터 1966년까지 세 차례, 그것도 전혀 엉뚱한 스위스 생모리츠에서 치러진 것을 끝으로 실시하지 않는다. 2010년 인도 굴마르그[1]에서 4차 대회를 개최하려고 했으나 취소되었고 부활할 기미는 없어 보인다.

올림픽과 달리 인종이나 성차별 등 각종 사회 불평등에 대해 자기 의견 표출이 가능하다. # 다만 특정 국가나 단체, 개인을 향한 공격적인 언행은 여전히 금지된다.

시간계측 종목에서 세계신기록 양산은 매우 드물다. 육상 종목의 경우 1974년 남자트랙 1,500m에서 탄자니아 선수가, 수영 종목은 2022년 여자 자유형 4x200m에서 호주 팀이 세계기록을 세운 게 역대 육상과 수영 부문에서 지금껏 전부이다.

God Save the King이 참가국 내 여러 나라에서 공식 국가인 만큼, 커먼웰스 게임에서는 중립성을 위해 이 국가를 대체하여 다른 비공식 국가들이 불린다.
참가국국가
잉글랜드Jerusalem
스코틀랜드Flower of Scotland
웨일스Hen Wlad Fy Nhadau
북아일랜드Londonderry Air
앵귈라God Bless Anguilla
버뮤다Hail to Bermuda
영국령 버진아일랜드Oh, Beautiful Virgin Islands
케이맨 제도Beloved Isle Cayman
포클랜드 제도Song of the Falklands
지브롤터Gibraltar Anthem
건지 섬Sarnia Cherie
저지 섬Island Home
몬트세랫Motherland
니우에Ko e Iki he Lagi
노포크 섬Come Ye Blessed
세인트헬레나My Saint Helena Island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This Land of Ours
번외 : 뉴질랜드God Defend New Zealand [2]
번외 : 맨 섬O Land of Our Birth [3]


5. 역사[편집]



5.1. 개최 국가[편집]


회기연도개최국개최지주경기장개회 선언자
11930캐나다해밀턴시빅 스타디움[4]윌링턴 자작
21934잉글랜드런던화이트 시티 스타디움-
31938호주시드니시드니 크리켓 그라운드웨이크허스트 경
-1942캐나다몬트리올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
-1946웨일스카디프
41950뉴질랜드오클랜드에덴 파크제1남작 프라이 베르크
51954캐나다밴쿠버엠파이어 스타디움제1대 튀니스의 알렉산더 백작
61958웨일스카디프카디프 암즈 파크필립 마운트배튼
71962호주퍼스페리 레이크 스타디움
81966자메이카킹스턴인디펜던스 파크
91970스코틀랜드에든버러메도우뱅크 스타디움
101974뉴질랜드크라이스트처치퀸 엘리자베스 2세 파크
111978캐나다에드먼턴커먼웰스 스타디움엘리자베스 2세
121982호주브리즈번퀸 엘리자베스 2세 주빌리 스포츠 센터[5]필립 마운트배튼
131986스코틀랜드에든버러메도우뱅크 스타디움엘리자베스 2세
141990뉴질랜드오클랜드마운트 스마트 스타디움에드워드 왕자
151994캐나다빅토리아센테니얼 스타디움엘리자베스 2세
161998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부킷 잘릴 국립경기장투앙쿠 자파르
172002잉글랜드맨체스터시티 오브 맨체스터 스타디움엘리자베스 2세
182006호주멜버른멜버른 크리켓 그라운드
192010인도델리자와할랄 네루 스타디움프라티바 파틸
202014스코틀랜드글래스고셀틱 파크[6]엘리자베스 2세
212018호주골드코스트카라라 스타디움찰스 왕세자
222022잉글랜드버밍엄[7]알렉산더 스타디움찰스 왕세자
232026
242030


5.2. 대회 규모[편집]


회기연도개최국참가팀수(선수단수)종목수종합 우승비고
11930캐나다11(400)6잉글랜드
21934잉글랜드16(500)6잉글랜드
31938호주15(464)7호주
-1942캐나다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
-1946웨일스
41950뉴질랜드12(590)9호주
51954캐나다24(662)9잉글랜드
61958웨일스36(1,122)9잉글랜드
71962호주35(863)9호주
81966자메이카34(1,050)9잉글랜드역대 중남미 유일한 대회
91970스코틀랜드42(1,383)9호주
101974뉴질랜드38(1,276)9호주
111978캐나다46(1,474)10캐나다
121982호주46(1,583)10호주
131986스코틀랜드26(1,662)10잉글랜드남아공 참가로 32개국 보이콧
141990뉴질랜드55(2,073)10호주
151994캐나다63(2,557)10호주
161998말레이시아70(3,633)15호주아시아 첫 개최
172002잉글랜드72(3,679)17호주
182006호주71(4,049)16호주
192010인도71(4,352)17호주역대 최대 개최비용 투입
202014스코틀랜드71(4,947)17잉글랜드남녀 동일 종목수 실시
212018호주71(4,426)19호주
222022잉글랜드72(5,054)20호주역대 최다 여성 및 장애선수 참가
초대 대회부터 2022년 대회까지 국가별 금-은-동메달 수를 합산한 종합 순위는 1위 호주(2,604개), 2위 잉글랜드(2,322개), 3위 캐나다(1,647개), 4위 뉴질랜드(706개), 5위 인도(564개), 6위 스코틀랜드(502개), 7위 남아공(416개), 8위 웨일스(334개)이다.[8]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11:53:40에 나무위키 커먼웰스 게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인도 북서부의 카슈미르에서 멀지 않은 해발 2천 6백m 고지대에 자리한 리조트 지역이다. '인도의 알프스'라고도 불리으며 인도 갑부들의 최상위 휴양지로 꼽히며, 인도 최고의 스키장이 있다. 세계에서 해발이 가장 높은 곤돌라와 골프장이 있기도 하다. 인도 최초의 동계 체전이 열렸다.[2] God Save the King과 뉴질랜드 내에서 같은 지위를 가지는 공동 국가이다. 이 곡이 뉴질랜드 상징으로 더 널리 쓰이기에 오히려 뉴질랜드 공동 국가로 God Save the King이 지정되어 있다는 게 생소할 수도 있을 듯하다.[3] God Save the King은 맨 섬에서는 왕실가로, 이 곡이 정식 국가이다. 위의 다른 모든 노래들은 일단 비공식 국가.[4] 지금은 아이버 윈 스타디움(Ivor Wynne Stadium)으로 불린다.[5] 현재는 퀸즐랜드 스포츠 앤드 애슬레틱스 센터(QSAC)[6] 개막식은 셀틱 파크에서 거행됐지만 육상 종목과 폐막식은 햄던 파크에서 치루어졌다.[7] 원래 남아프리카 공화국 3대 도시인 더반에서 열릴 예정였으나, 더반 지방정부의 재정적인 문제로 2017년 초 개최를 포기하여 동년 12월 잉글랜드 버밍엄으로 변경되었다.[8] 이 가운데 인구 비례에 의한 메달 취득 수는 인구 5.1백만 명에 불과한 뉴질랜드가 수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