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태풍)

덤프버전 : (♥ 0)

1994년 태풍
[ 펼치기 · 접기 ]

오웬페이지러스*샤론*
바네사월트*유냐지크에이미
브렌던*케이틀린더그*엘리*
프레드*글래디스*해리아이비
키나조엘루크멜리사내트
오키드패트루스세스*테레사
윌다유리젤다엑슬
보비
← 1993년 태풍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1995년 태풍 →
※ 허리케인이 날짜변경선을 넘어오면서 태풍으로 편입된 것으로 허리케인때의 이름이 붙어있다.



1994년 제14호 태풍 엘리
위성사진파일:위성사진 첨부.png
진로도파일:태풍엘리.png
활동 기간1994년 8월 8일 15시 ~ 8월 16일 21시
영향 지역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 류큐 제도, 규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마라도, 남부 지방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장쑤성, 산둥성, 랴오닝성, 지린성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평안도, 함경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극동 연방관구[1]
태풍 등급1등급[JTWC]
10분 등급강한 태풍[JMA]
태풍 크기 대형(직경 1,150km)
최저 기압965hPa
최대 풍속1분 평균41m/s
10분 평균36m/s
1. 개요
3. 진로 경과 표


1. 개요[편집]


1994년 8월에 북서태평양에서 생성된, 1994년 제14호 태풍이다. 이 태풍은 서해를 지나 만주랴오둥 반도상륙하였고 이후 열대성 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최저기압은 965hPa, 최대 10분풍속은 36m/s였다. 서해상을 통과하긴 했지만 한반도는 살짝 영향을 주는 수준으로 비켜가면서 큰 피해 없이 약간의 만 뿌려, 바로 얼마 전 통과한 브랜던과 함께 1994년 여름을 강타한 역대급 폭염가뭄 해갈에 어느 정도 도움을 주었다. 그리고 간접적인 영향으로 1994년 발생한 태풍 중 가장 강력했던 제13호 태풍 더그후지와라 효과를 일으키면서 더그를 엘리약화시켜 효자태풍으로 만들어주고 제 갈길을 가는 경로로 이동했다.

이렇게 보면 딱히 문서가 만들어질 일은 없는 일개 태풍인 것 같지만...


2. 가자, 북극으로[편집]


파일:external/file2.nocutnews.co.kr/27164514093_60200060.jpg

이 태풍은 약화되긴 했지만 완전 소멸은 하지 않은 상태로 만주를 통과하고, 사할린을 지나 오호츠크해로 나왔다.[2] 이후로도 이 태풍은 캄차카 반도에 상륙한 후 추코트카 지방을 지나 태풍 중에서는 유일하게 극지방까지 진출한 녀석이다.북극곰이 생애 처음으로 보는 태풍(..)태풍의 발달에는 따뜻한 바다의 습기가 필수적인데, 내륙의 산지를 지나고 차가운 오호츠크해를 지나면서도 살아남은 불가사의한 태풍이다.

이후 관측장비 발달과 기준 변경 등에 따라 만주 상륙 후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된 것으로 수정되었다. 지린성 남부 바이산 시 인근부터 추코트카 통과까지는 태풍이 아닌 온대저기압으로 변질. 참고로 현재 기록된 최고위도 진출 '태풍'은 북위 55도까지 진출한[3] 1967년 11호 태풍 엘렌이다.


3. 진로 경과 표[편집]


발표 시각1분풍속10분풍속SSHSJMA
8월 5일 9시20kn-TD미발령
8월 5일 15시
8월 5일 21시
8월 6일 3시
8월 6일 9시25kn
8월 6일 15시TD
8월 6일 21시
8월 7일 3시
8월 7일 9시30kn
8월 7일 15시
8월 7일 21시
8월 8일 3시
8월 8일 9시35knTS
8월 8일 15시35kn
8월 8일 21시40kn40kn
8월 9일 3시45kn
8월 9일 9시50kn
8월 9일 15시45kn
8월 9일 21시55kn
8월 10일 3시50kn
8월 10일 9시60kn
8월 10일 15시
8월 10일 21시65knC1
8월 11일 3시
8월 11일 9시70kn55kn
8월 11일 15시
8월 11일 21시75kn
8월 12일 3시
8월 12일 9시
8월 12일 15시65kn
8월 12일 21시80kn70kn
8월 13일 3시
8월 13일 9시
8월 13일 15시
8월 13일 21시75kn
8월 14일 3시65kn
8월 14일 9시70kn
8월 14일 15시60kn
8월 14일 21시65kn55kn
8월 15일 3시50kn
8월 15일 9시
8월 15일 15시60knTS
8월 15일 21시
8월 16일 3시55kn
8월 16일 9시45kn45kn
8월 16일 15시35kn40kn
8월 16일 21시25kn-TD소멸
8월 17일 3시소멸 및 감시 종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0:18:30에 나무위키 엘리(태풍)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연해주, 사할린 섬, 캄차카 반도, 추코트카 자치구[JTWC] [JMA] [2] 오호츠크해의 평균 온도는 1.4℃이고 북위 45~60도에 걸쳐 있다.[3] 태풍으로서의 세력을 유지한 상태로 캄차카 반도 중부에 상륙하여 소멸. 이것도 이례적인 북상이다. 파일:태풍엘렌.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