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 키리바시

덤프버전 : (♥ 0)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ce1126 89%, #fff 89%, #fff 91%, #003f87 91%, #003f87 93%, #fff 93%, #fff 95%, #003f87 95%, #003f87 97%, #fff 97%, #fff 99%, #003f87 99%)""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키리바시|[[파일:키리바시 국장.svg|height=40&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키리바시 관련 문서
Ribaberiki Kiribati
Republic of Kiribati
}}}}}}
<^|1><height=32><bgcolor=#fffff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파일:에어 키리바시 로고.svg
에어 키리바시
Air Kiribati
부호항공사 호출 부호 (KIRIBATI)
IATA (IK) ICAO (AKL) BCC (-)
항공권 식별 번호069
설립연도1995년
허브공항본리키 국제공항
보유 항공기 수4
취항지 수20
항공 동맹미가입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3. 취항지
4. 보유 기종



1. 개요[편집]


키리바시의 국책 항공사.

2. 역사[편집]


1994년 에어 툰가루가 문을 닫은뒤 에어 툰가루가 사용하던 브리튼-노먼 트라이슬랜더, CASA C-212를 인수해 운항을 시작했다. 1997년 트라이슬랜더를 대체하기 이해 중국산 하얼빈 Y-12을 인도받았다. 2002년 6월에는 에어 타히티로부터 ATR 72기를 리스했다. 2012년 DHC-6 2대를 구매하는 대가로 CASA C-212를 넘기기로 했으나 C-212기의 부식이 심해 미국으로 가지 못하면서 DHC-6 2대 중 1대만 인도되었다. 2017년에는 DHC-8-100을 도입했으며 2019년 연말에는 E2를 인도받았다.

3. 취항지[편집]


국내선
길버트 제도아바이앙 공항 아베 • 마마 공항 • 아라누카 공항 • 아로래 공항 • 베루 공항 • 부타리타리 공항 • 쿠리아 공항 • 마이아나 공항 • 마킨 공항 • 마라케이 공항 • 니쿠나우 공항 • 노누티 공항 • 오노토아 공항 • 타비테웨아 노스 공항 • 타비테웨아 사우스 공항 • 타마나 공항 • 본리키 국제공항[1]
라인 제도캐시디 국제공항 • 타부에란 공항 • 테라이나 비행장
국제선
투발루푸나푸티 국제공항

4. 보유 기종[편집]


제작사기종보유 대수비고
드 해빌랜드DHC-6-3001
드 해빌랜드 캐나다DHC-8-1001
하얼빈Y-121
엠브라에르E21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04:16:49에 나무위키 에어 키리바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허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