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얼 윌버 서덜랜드

덤프버전 :

1971년 노벨생리학·의학상 수상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수상자 전체 목록 보기
1970년

1971년

1972년
버나드 카츠
울프 폰 오일러
줄리어스 액설로드[1]
얼 윌버 서덜랜드
제럴드 모리스 에덜먼
로드니 로버트 포터[2]

Earl Wilbur Sutherland Jr
얼 윌버 서덜랜드


본명
얼 윌버 서덜랜드
출생
1915년 11월 19일, 미국 캔자스 버링게임
사망
1974년 3월 9일, 미국 플로리다
국적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분야
생리학

1. 개요
2. 생애
3. 연구



1. 개요[편집]


미국의 대학 교수이자 생리학자. 1971년 호르몬의 작용 기전을 밝힌 공로로 노벨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2. 생애[편집]


1915년 미국의 캔자스주에서 태어났다. 그는 다섯 살 때부터 낚시를 시작하였고 고등학교 때 까지는 스포츠를 좋아하는 학생이었다.

그러다가 1933년, 그는 캔자스주에 위치한 위시번 대학에 입학하고 1937년에 졸업하게 된다. 1940년, 1947년에 노벨생리학·의학상을 받을 칼 퍼디난드 코리의 조수로 들어가게 되고 1942년 워싱턴 대학교 의학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워싱턴 대학교 의과대학에서 1945년부터 1953년까지 다양한 교수직을 역임했으며 1971년 호르몬 작용의 기구에 관한 연구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받았다.

그 후에도 여러 논문을 발표하다가 1974년, 수술 합병증으로 사망하게 된다.


3. 연구[편집]


그는 에피네프린세포질 효소를 활성화하여 글리코젠분해를 촉진시킨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글리코젠이 들어가있는 시험관에 에피네프린을 아무리 넣어도 분해가 안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를 통해 그는 에피네프린은 글리코젠을 분해하는 효소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는다고 생각했고 곧 그 생각은 사실이 되었다. 세포 내에서는 에피네프린이 중간 단계를 일어나게 할 뿐, 직접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것은 세포막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후 그는 간세포에 에피네프린이 결합하면 cAMP의 농도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으며 그의 연구는 여러 질병들의 신호전달 경로를 파악하여 치료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다.



[1] 신경 말단에서 체액성 전달물질의 발견과 이것의 저장, 방출, 비활성 기전에 관한 연구[2] 항체의 화학적 구조 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