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익준

덤프버전 : (♥ 0)

양익준의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링크에잇엔터테인먼트 로고.png

[ 펼치기 · 접기 ]

문수영양익준







양익준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역대 키네마 준보 베스트 텐
파일:키네마준보.png
남우조연상
제90회
(2017년)
제91회
(2018년)
제92회
(2019년)
타케하라 피스톨
(오랜 변명)
양익준
(아, 황야 전편 / 아, 황야 후편)
마츠자카 토리
(고독한 늑대의 피)


양익준
梁益準 | Yang Ik-June
파일:Yang_Ik-June_profile.png
출생1975년 10월 19일 (48세)
서울특별시 중구 중림동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한국영상대학교 (연예연기과 / 전문학사)
병역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
데뷔2002년 영화 '품행제로'
소속사링크에잇엔터테인먼트 (한국)
유마니테 (일본)
링크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생애
3. 출연 작품
3.1. 영화
3.2. 드라마
3.3. 예능
4. 수상



1. 개요[편집]


대한민국배우영화감독.


2. 생애[편집]


독립영화계에서 많이 활동하던 연기파 배우. 현재는 드라마와 상업영화에도 활발히 활동한다.[1] 원래 감독이 아니었지만 감독과 각본, 주연을 맡은 독립 영화 똥파리로 국내외로 일약 주목을 받게 되었다.[2] 똥파리는 특히 일본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양익준 본인은 똥파리를 기점으로 인기 드라마에서 주연을 다수 맡는 등 형편이 이전에 비하면 굉장히 많이 나아졌다.

2017년부터 SBS 불타는 청춘에 여러 회에 걸쳐서 출연하고 있다.

2020년부터 한국영상대학교 연기과 교수로 재임 중이다.

2021년 하반기 화제작인 넷플릭스 드라마 지옥에 주역 중 하나인 진경훈 역으로 출연하여 똥파리 이후로 오랜만에 다시금 국내외로 주목을 받게 되었다.

대표작이면서 감독 데뷔작인 ‘똥파리’를 찍던 당시와 비교해도 수염과 머리를 기른 것을 제외하곤 외모가 거의 달라지지 않았다.


3. 출연 작품[편집]



3.1. 영화[편집]


개봉 연도제목배역비고
2023년독전 2우 반장넷플릭스
2017년아, 황야[3]니키 켄지
(二木健二)
일본 영화
시인의 사랑시인
2016년춘몽익준
계춘할망충섭
2015년나의 절친 악당들음부키
2014년거인범태 부
2013년중학생 마루야마
사이비김민철
2012년주리남자배우
가족의 나라양 동지
2011년Departure
돼지의 왕정종석
2010년향기의 상실
집 나온 남자들황동민
2009년물 좀 주소공원 1
바다 쪽으로, 한 뼘 더카페 손님
2008년사랑은 단백질자취생 1
똥파리상훈감독 데뷔작
연인들남자
경축! 우리 사랑하숙생 1
2007년피크닉정민
내 생애 최악의 남자광고회사 아트
2006년바람이 분다기석
후회하지 않아공장 주임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환규
강적양진순
2005년노량진 토토로김영민
바라만 본다준호
낙원남자
청수야 철수야 뭐하니철수
인간적으로 정이 안 가는 인간용희
2004년파출부, 아니다택배기사
팡팡 퀴즈쇼 커플 예선전남자
아라한 장풍대작전방수공 2
2003년해피 에로 크리스마스똘마니 2
2002년품행제로세샘 2데뷔작


3.2. 드라마[편집]




3.3. 예능[편집]




4. 수상[편집]


수상 연도시상식부문작품
2005년제4회 미쟝센 단편 영화제연기부문 심사위원특별상인간적으로 정이 안가는 인간
제31회 서울독립영화제관객상바라만 본다
2009년제38회 로테르담 국제영화제VPRO 타이거상똥파리
제11회 프랑스 도빌 아시아 영화제국제비평가상
대상
프리부르 국제영화제익스체인지상
부에노스아이레스 국제독립영화제비공식부문 세계가톨릭미디어협회상
제7회 피렌체 한국영화제관객상
제10회 라스팔머스 국제영화제남우주연상
제22회 싱가포르 국제영화제연기상-아시아 장편
제8회 뉴욕 아시아 영화제신인감독상
제13회 판타지아 국제영화제슈발누아 경쟁 최우수작품상
슈발누아 경쟁 남우주연상
제44회 체코 카를로비 바리 국제영화제넷팩상
제17회 춘사대상영화제심사위원대상
제7회 태평양 영화제대상
제10회 도쿄필름엑스영화제대상
관객상
제10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감독상
제30회 청룡영화상신인남우상
제12회 디렉터스컷 어워즈독립영화감독상
씨네21 올해의 영화인올해의 신인남자배우
제18회 부일영화상신인감독상
제29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국제비평가연맹 한국본부상
제2회 KMDb 초이스 어워드남우주연상
제10회 라스팔마스 국제영화제남우주연상
2010년제1회 올해의 영화상발견상
제7회 맥스무비 최고의 영화상최고의 독립영화상
2011년제3회 일본 영화관대상2위
2012년제10회 광화문 국제단편영화제최우수 국내작품상시바타 와 나가오
2018년제12회 아시안 필름 어워즈남우조연상아, 황야

이 문서의 r1~2 버전에 한국어 위키백과의 저작권을 침해하는 내용이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내용이 포함된 버전으로 문서를 되돌리거나 링크하는 행위는 금지됩니다. 만일 되돌리거나 링크할 경우 저작권 침해로 간주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17:07:20에 나무위키 양익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독립영화계에서는 항상 주목받는 배우 겸 감독이었다. 다만 상업영화에서는 잠깐 나오는 단역들만 많이 맡는 무명 배우였다. 똥파리야 그런 역할이지만, 과거 독립영화 배우 시절 일반인 연기를 할때도 이미지나 연기톤이 살짝 어두운 느낌이 있었는데, 그래서인지 상업영화에서도 그런 어두운 쪽이나 악역이나 밑바닥 인생 역할을 많이 맡았다. 그러나 실제 성격은 굉장히 깔끔하고 정갈하다고 한다. 집 청소를 완벽히 하는 걸 좋아한다고.[2] 촬영 당시 제작비와 일정 등 여러가지의 압박으로 집구석에서 혼자 고민하다가 담배를 하루 4갑 피운 적이 있을 정도로 끔찍하게 힘들었다고 한다. 똥파리로 성공한 이후에 1년간 점점 머리가 이상한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고 하는데 결국 종합병원에 가서 정밀검사를 받았고, 뇌혈관 질환 판정을 받았다고 한다. 그리하여 약물치료를 일정기간 했었다고 한다. 그나마 다행히 심각한 정도까지는 아니어서 의사가 시키는대로 스케쥴도 줄이고 쉬면서 치료했더니 확실하게 상태가 나아졌다고 한다.[3] 스다 마사키와 같이 주연을 맡은 영화로 극중에서 재일교포 역으로 나왔다. 총 2편으로 되어있으며 가까운 일본사회의 문제를 일반인들의 삶을 통해서 잘 보여주었고 19금 영화이지만 야하거나 잔인하다고 보기에는 생각을 다시 한 번 하게 될 영화로 국내에서는 VOD로 다운로드해서 볼수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