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알렉산드르 푸츠코

덤프버전 :



파일: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로고.svg
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2023-24시즌 스쿼드
1 라티쇼노크 · 2 지로프 · 3 말랴로프 · 4 가사마 · 5 오시포프 · 6 쿠지민 · 7 페르난데스 · 8 두디예프 · 9 구지나
10 카자예프 (C) · 13 소토 · 16 코랴킨 · 17 비스트로비치 · 18 엔리케스 · 19 프랴힌 · 20 갈로얀 · 21 오스토이치
22 무사예프 · 23 푸츠코 · 26 라드마노바츠 · 35 자나예프 · 59 아바네샨 · 66 라메이라 · 67 보리스코 · 89 라자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르게이 이그나셰비치 파일:러시아 국기.svg 드미트리 미치코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레오니트 트카첸코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아르툠 볼로이치크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본래 스쿼드에서 타 팀으로 임대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파일:AleksandrPutsko23-24.png
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No. 23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비치 푸츠코
(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уцко)
생년월일1993년 2월 24일 (31세)
국적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출신지러시아 브랸스크주 우네차
신체 조건190cm, 89kg
포지션센터백
주발오른발
유소년 클럽FC 디나모 브랸스크 (?~2007)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2007~2013)
소속 클럽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2013~2017)
FC 우파 (2017~2020)
FC SKA 하바롭스크 (2017~2018, 임대)
FC 아흐마트 그로즈니 (2020~2022)
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2023~)
국가 대표러시아 U-17 (2010) 5경기
러시아 U-18 (2010~2011) 8경기 2골
러시아 U-19 (2012) 4경기
러시아 U-20 (2013) 2경기


1. 개요[편집]


러시아의 축구선수.


2. 클럽 경력[편집]



2.1. 유년기[편집]


브랸스크 주 우네차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세미프로 농구 선수였다고 한다. 어머니는 주유소 직원이었다고 한다. 형도 원래는 축구선수였으나 꿈을 접고 모스크바의 대학에 들어가 석유가스 설립 회사에 들어갔다고 한다.

우네차의 지역 축구팀에서 뛰다가 디나모 브랸스크로 이적하였다. 처음에는 공격수로 뛰었으나 이후에 수비형 미드필더로 포지션을 변경하였다. 2007년에 유소년 축구 대회에서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의 스카우터들의 눈에 띄여 테스트를 받아 순조롭게 통과하였다. 아카데미에서는 센터백과 레프트백으로 뛰었다.

2.2.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편집]


2010년부터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의 유스 팀에서 뛰기 시작했고, 2013-14시즌부터는 스파르타크 2군 소속으로 러시아 3부리그와 2부리그를 뛰었다. 우나이 에메리 감독이 부임한 뒤 1군 선수들과 훈련을 하기 시작했고, 2012년 9월 26일 살류트 벨고로드와의 러시아 컵 경기에서 1군 데뷔전을 치렀고, 팀은 2대1로 승리하였다.

2016년 4월 23일에는 모르도비야 사란스크를 상대로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데뷔전을 치렀고, 이 시즌에는 1군에서 2경기를 뛰었다. 2016년 여름에 톰 톰스크로부터 임대 제안이 왔으나,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구단이 거절하였다. 16-17시즌에도 훈련은 1군이랑 했으나, 주로 2군 경기에서 뛰었다.


2.3. FC 우파[편집]


2017년 1월 우파에서 훈련을 했고, 2월 20일 공식적으로 이적에 성공하였다. 3월 1일에 안지와의 러시아 컵 8강전에서 우파 소속으로 데뷔전을 치른다.

이후 2018-19시즌과 2019-20시즌에 36경기 1도움을 기록하며 주전 센터백으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2.3.1. FC SKA 하바롭스크 (임대)[편집]


2017년 7월 SKA 하바롭스크로 임대를 가게 되었다. 개막전부터 선발에 나서며 주전 센터백으로 활약하였고, 리그 총 20경기를 뛰었으나 팀은 한 시즌 동안 2승만을 거둔채 꼴찌로 강등당한다.


2.4. FC 아흐마트 그로즈니[편집]


2020년 8월 6일, 아흐마트 그로즈니로 이적하였다. 주전과 벤치를 번갈아가며 뛰었고 총 17경기를 뛰었다.


2.5. 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편집]


2022-23시즌을 앞두고 자유계약으로 발티카로 이적했다.


3. 같이 보기[편집]


파일: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로고.svg
]
[ 펼치기 · 접기 ]
번호포지션국적한글 성명로마자 성명키릴문자 성명비고
1GK파일:러시아 국기.svg예브게니 라티쇼노크Yevgeniy LatyshonokЕвгений Латышонок
2DF파일:러시아 국기.svg알렉산드르 지로프Aleksandr ZhirovАлександр Жиров
3DF파일:러시아 국기.svg키릴 말랴로프Kiril MalyarovКирилл Маляров
4DF파일:프랑스 국기.svg나탕 가사마Nathan GassamaНатан Гассама
5MF파일:러시아 국기.svg알렉산드르 오시포프Aleksandr OsipovАлександр Осипов
6MF파일:러시아 국기.svg막심 쿠지민Maksim KuzminМаксим Кузьмин
7DF파일:볼리비아 국기.svg로베르토 페르난데스Roberto FernándezРоберто Фернандес[1]
8DF파일:러시아 국기.svg아슬란 두디예프Aslan DudiyevАслан Дудиев
9FW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게데온 구지나Gedeon GuzinaГедеон Гузина
10MF파일:러시아 국기.svg얀 카자예프Yan KazayevЯн Казаев주장
13DF파일:칠레 국기.svg기예르모 소토Guillermo SotoГильермо Сото
16GK파일:러시아 국기.svg알렉산드르 코랴킨Aleksandr KoryakinАлександр Корякин
17MF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크리스티얀 비스트로비치Kristijan BistrovicКристиян Бистрович[2]
18ST파일:칠레 국기.svg앙헬로 엔리케스Angelo HenriquezАнхело Энрикес
19FW파일:러시아 국기.svg세르게이 프랴힌Sergey PryakhinСергей Пряхин
20MF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아르투르 갈로얀Artur GaloyanАртур Галоян
21DF파일:세르비아 국기.svg이반 오스토이치Ivan OstojicИван Остойич
22ST파일:러시아 국기.svg타메를란 무사예프Tamerlan MusayevТамерлан Мусаев
23DF파일:러시아 국기.svg알렉산드르 푸츠코Aleksandr PutskoАлександр Пуцко
26DF파일:세르비아 국기.svg니콜라 라드마노바츠Nikola RadmanovacНикола Радмановац
35GK파일:러시아 국기.svg소슬란 자나예프Soslan DzhanayevСослан Джанаев
59MF파일:러시아 국기.svg티그란 아바네샨Tigran AvanesyanТигран Аванесян
66MF파일:포르투갈 국기.svg주앙 라메이라João LameiraЖуан Ламейра
67GK파일:러시아 국기.svg막심 보리스코Maksim BoriskoМаксим Бориско
89MF파일:러시아 국기.svg블라디슬라프 라자레프Vladislav LazarevВладислав Лазарев
구단 정보
감독: 세르게이 이그나셰비치 / 홈 구장: 칼리닌그라드 스타디움
출처: 트랜스퍼마르크트,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7월 1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02:16:49에 나무위키 알렉산드르 푸츠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