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마성 드라큘라 Harmony of Despair

최근 편집일시 : (♥ 0)





1. 개요
2. 추가 캐릭터
3. 상세
4. 국내 정발
5. 챕터 일람
5.1. 기본
5.2. DLC
6. 이식판
7. 등장인물 및 캐스팅 일람
7.1. 스테이지 보스
7.2. DLC 추가 캐릭터
7.3. 듀얼 크래쉬


1. 개요[편집]


홈페이지

PS3Xbox 360으로 발매된 악마성 시리즈 외전.

악마성 시리즈에서 주인공으로 나오는 쿠르스 소마, 알루카드, 샤노아, 조나단 모리스, 샬럿 올린 중 캐릭터 한 명을 조작해 악마성깽판놓는 게임.

소식을 들은 팬들은 입을 모아 이제 백작꿈도 희망도 없다고 하는 듯. 아들에게 죽는 것도 모자라 이젠 자기 자신에게도 두들겨 맞는 백작


2. 추가 캐릭터[편집]


메트로배니아 계통의 악마성 시리즈 주연들이 한꺼번에 출연해 준 덕에 팬덤에서의 별명은 악마성 올스타즈라 불린다.[1]

벨몬드 일족이 안 나온다고 실망하는 팬들도 있었으나, 2010년 10월 경 DLC 형태로 마리아 라넷드율리우스 벨몬드가 추가된다는 정보가 누출되었다. 그러다가 요코 베르난데스[2]와 함께 11월 22일 각각 240 포인트로 발매.[3]

9월 29일 추가된 맵팩의 경우 6개의 스테이지인 본편이 1200포인트인데 달랑 맵 하나가 400포인트인지라 말이 많은 경우였다. 허나 그 후의 DLC 가격들이 가격인지라...

추가된 율리우스는 공격속도와 공격범위가 조나단에 비해 우월하므로[4] 조나단 유저들이 조나단을 버리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5] 또한 샤노아의 마그네스 사용 지역에서 선조인 레온 벨몬드나 SFC판 시몬 벨몬드처럼 채찍으로 매달릴 수 있고, 채찍을 이용한 전방위 공격 및 방어를 할 수도 있다.

이후 결국 리히터 벨몬드까지 출전. 11월 29일자로 마리아와 동시 발매되었다. 가격은 각각 240포인트. 이로서 모든 항목을 구매하면 2880포인트로 XBLA중 순위권의 가격을 형성하였다.[6]

2011년 1월 8&9챕터가 발매되었다. 가격은 각각 320포인트로 모든 항목구매시 3520포인트로 상승 더구나 1월말과 2월중에 초대 악마성맵과 월풍마전 맵이 각각 240포인트로 시몬 벨몬드월풍마가 각각 160포인트로 이 모든게 4320포인트로 XBLA에서는 그야말로 손가락안에 드는 가격이 되어 버렸다. 헌데 도전과제 추가는 없다.

2010년 12월 패치 후, 해외에서 일부 데이터가 유출되었으며, 8비트 시몬 벨몬드와 8비트[7] 악마성 스테이지[8]가 DLC로 2011년 1월 26일에 추가되었다. 그리고 2월에 추가 예정인 DLC는 타 작품[9]월풍마전 스테이지와 최종보스 용골귀가 출연한다. 덤으로 DLC 캐릭터는 월풍마.

그러던 중 2011년 2월 3일부 코나미 공지#에서 월풍마전(챕터 11)이 마지막 DLC라는 정보가 공개되었으며, 더 이상의 추가 컨텐츠는 없다.


3. 상세[편집]


악마성 시리즈 최초로 6인 멀티 협력 플레이가 가능하며 멀티플레이 중 플레이어가 사망하면 내구력이 약한 스켈레톤으로 부활하고 사망 장소에 비석이 형성되는데, 다른 플레이어가 성수 아이템을 사용해서 소생[10]시킬 수 있다. 해골상태에서 죽을시 남은 시간이 3분 깎인다.

그리고 협력 플레이 때는 상자를 열었을 때, 비슷한 아이템이 모든 팀원에게 분배되어 아이템 독점 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각 원작에서의 캐릭터 성능보다 심히 하향된 상태에서 시작하므로 노가다가 진리.

리뷰결과 망작이란 평가도 나오고 있는데, 유로게이머를 제외하고는 평균 8점대의 리뷰점수를 받았다. 유로게이머는 4점을 주었는데 이유는 솔로잉하는데 어렵다는 이유였다. 현재에 와서는 리뷰는 까이는 중이다. 리뷰중 멀티를 안하고 리뷰를 한것...

유저들이 지적하는 단점으로는

1. 월하식 탐색 시스템에 익숙한 유저의 입장에서는 동일한 스테이지만 계속하게 되니 흥미 상실.
2. 상점에서 강력무기를 구하는 캐릭터는 소마와 알루카드뿐이고, 나머지 캐릭터는 모두 몬스터 및 보스 노가다로 무기(혹은 글리프)를 구해야 한다.
3. 캐릭터 성능은 원판보다 다소 하향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일부 보스나 스테이지 자체의 난이도가 높다.
4. 피의 윤회와 월하 이후의 고질적인 도트 재탕.
5. 월하 이후부터 비중이 떨어졌다지만 기본적으로 벨몬드 일족이 나오지 않았다![11] 아예 기본 표지 자체가 벨몬드 가와의 혈연이 없는 알루카드, 소마, 샤노아다.[12]

등이 언급되고 있다.

특히 스테이지별 보스의 패턴이나 스테이지 구성의 난이도는 체감상 이전 악마성 시리즈보다 월등히 높다. 노가다로 인벤토리 구성 끝나면 고생 끝이지만

허나 8월 XBLA 매출 3위를 달성하며 첫 달 판매량이 15만건에 이르게 되었다. 또한 유저들 사이에서의 평은 노가다 게임으로 변질되었지만 기본적 재미는 충실하다라는 평도 많은편이며 두 달 정도 루리웹 라이브 아케이드 게시판은 전용게시판 수준이 되었다. 정작 악마성 게시판에 관련글을 올리면 라이브 아케이드 게시판을 추천할 정도로! 게다가 2010년 TOP 10 XBLA 매출안에 들어갔다. 8월 발매 게임인데...2010년 총매출 다운로드 건수는 30만건으로 스테디셀러 급.

전체적으로 게임이 소마가 최강이고 패치 후도 최강이라 해외 포럼에서도 불만이 있는 편. 알루카드는 야스츠나의 패치 후 약화되었지만 발만웨 시리즈 덕분에 강캐에 드는 편이고, 샬롯은 패치전 힐셔틀에서 패치후 힐셔틀로 쓰던 사람들은 불만을 말하지만 애초에 무한힐이 비정상급이었던지라 밸런스상 약화되었다 보면 될듯하고, 샤노아는 그야말로 원작에서 극너프 된 상태지만 조나단 때문에 그런 면이 묻힌 경우고, 조나단은 그야말로 잉여이고, 율리우스와 리히터는 채찍계의 희망, 요코와 마리아는 패치후 마법계 최강을 서로노리는 위치이지만 추가 DLC들에서 추가점이 없다. 시몬의 경우는 앞서 말한 채찍계열을 전부 묻어버리고 레트로 서브웨폰덕에 마법계열도 묻어버리는 존재감을 과시 원조의 강력함을 보였다. 2월 2일 추가된 월풍마의 경우는 좀 미묘하다. 원작의 파동검 검기를 들고 나왔으나 검기의 데미지는 낮은편이며 풀업시 공격력도 채찍계에 비하면 약하다. 다행히 공격속도는 시몬과 비슷하거나 조금더 빠른수준이다. 서브웨폰은 3가지로 수리검과 力자 날리기, 폭탄이며 강하다 할수 없는 수준이다. 결정적으로 제대로 된 데미지를 뽑을수 있는 검격의 리치가 짧아서 쉽게 사용하기는 어려운 편이다. 이단점프시 뱅글도는 모션에 공격판정이 순간 있다. 데미지는 검기와 동일하다. 돌아보면 패치나 추가 DLC로 밸런스 변경이 일어나도 소마는 너프 관련이 없을정도로 최강을 고수중. 오히려 전용 소울과 무기의 +1 추가로 더욱 강해졌다. 이런 존 시나 같은 녀석 해외에서도 소마 유저는 욕 먹는 중이었으나 10챕터 버그 발견 후 도로 귀족이 되어버렸다. 그야말로 아이템 파밍 앞에 장사 없음을 보여주는 현상!

물론 단점들을 열거해도 사용자는 꾸준히 있다. 게임성 자체가 기본 이상은 되는지라 어지간한 2d 액션 게임들이 명함 내밀기 힘들 정도는 된다. 음악은 대부분 호평이지만 허나 환상적무곡은 크로니클 버전. 유저들이 바라던 명곡들이 포함되지 않은 뮤직팩 또한 비난 받았다.

전체적으로 멀티플레이에 중점을 둔 작품이지만, 2024년 시점에서는 워낙 나온 지 오래된 게임이라 유저가 없어서 통신 멀티 플레이를 기대하기는 매우 어렵다.

4. 국내 정발[편집]


국내에서는 2010년 7월 23일, XBOX360판이 12세 이용가로 게임물등급위원회의 국내 심의가 통과되어서 일본과 함께 8월 4일, 1200포인트로 발매되었다.

그러나 DLC가 챕터 7, 10, 11만 출시되고 챕터 8과 9는 국내에 출시되지 않아 반쪽짜리 정발이 되었고 PS3판은 정발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캐릭터 DLC와 뮤직팩은 전부 정발되었고 챕터 10과 11도 출시되었는데 어째서 중간의 챕터 8과 9만 빠졌는지는 불명. 둘 다 월하의 야상곡 스테이지라는 것 때문에 월하 관련으로 무언가 문제가 발생한 건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


5. 챕터 일람[편집]



5.1. 기본[편집]


  • 챕터 1 - Caught in the Cradle of Decay / 시륜에 갇힌 망해(屍輪に囚われし骸)

기반이 된 맵은 창월의 십자가의 흑의 예배당과 죄인의 탑.
보스는 게고스. 보스룸에 들어가기 전부터 심심하면 랜덤으로 화면 바깥에서 대각선을 향해 일직선 빔을 발사한다. 다만 발사하기 전에 가느다란 빛줄기가 보이기 때문에 그걸 보고 피하면 된다.
원작과 달리 발목의 사슬은 여러 번 공격을 해야 부서지며 몸통 박치기가 패턴으로 추가되었다. 전작의 미묘한 공격 판정도 그대로 유지. 여담으로 서바이벌 모드 하드에 찬조출연하여 수많은 채찍계 유저들의 숙련도 노가다의 희생양이 되었다.
숨겨진 아이템은 좌측 중앙부에 위치한 아래쪽 종으로 슬라이딩해 들어간 후 종 안에서 점프하면 트윈비와 파로디우스에 등장한 종이 나온다.

  • 챕터 2 - Lord of Unseen Strings / 괴뢰의 왕(傀儡の王)
기반이 된 맵은 챕터 1과 마찬가지로 창월의 십자가의 지도에 없는 마을과 광란의 화원, 요마영빈관.
보스는 퍼펫 마스터(성우: 야나다 키요유키). 체력이 낮아지면 맵 전체를 돌아다니면서 아이언 메이든에 인형을 넣는 패턴을 계속 사용한다. 하드 난이도에서는 받는 대미지를 고정시키는 올드타입 아머나 조나단의 가드 / 마리아의 현무를 제외하면 아이언 메이든에 갇힐 경우 무조건 즉사한다. 서로 부활시켜 줄 수 있는 팀플이라면 모를까 솔플에서는 퍼펫 마스터를 놓쳐버리는 순간 거진 게임오버가 확정이므로 빠르게 화력을 쏟아부어야 한다.
숨겨진 아이템은 보스방 아래의 피아노 건반에서 Bloody Tears의 도입부인 파→시♭→솔→파→미♭→파→시♭→솔 순으로 밟으면 바로 위에 왕관이 나온다.

  • 챕터 3 - The End of Chaos / 혼돈의 끝(混沌の終わり)
기반이 된 맵은 창월의 십자가의 마지막 맵 심연. 다만 타일셋은 빼앗긴 각인의 스켈레톤 동굴이다.
보스는 당연히 창월의 십자가의 최종보스였던 메나스. 메나스는 필드까지 부숴가며 점프 등의 공격을 사용하는 데다가, 원작의 타격 포인트 세 곳을 제외하면 무조건 대미지를 1만 받는다. 팀플이라면 일부가 맵 중간의 오함마를 잡아야 편하다.
몸집이 커서 웬만한 스킬이 다단히트하는 데다가 대미지를 입힌 횟수에 비례해 숙련도 경험치가 올라가는 본작의 성장 방식 때문에 솔플용 숙련도 노가다의 희생물로 전락했다. 어느 정도냐면 IGN 공략에서 잉여인 조나단으로도 간단히 혼자 잡을 수 있다고 비웃음당할 정도. 그래도 원작인 창월에서는 최종보스였건만…
숨겨진 아이템은 메나스가 깨어나며 블럭들을 제거한 후 맵 꼭대기에서 떨어지며 맵 중앙의 배경이 왜곡되는 중심부를 점프차기로 지나가면 모아이가 나온다.

  • 챕터 4 - Esquisse of Violence / 폭행의 에퀴스(暴虐のエスキース)
기반이 된 맵은 갤러리 오브 라비린스의 연무의 거리와 우매한 자들의 나라(불타버린 낙원), 주인의 거성.
이 스테이지부터 프랑켄과 듀라한이 중형 졸개로 출현한다. 둘 모두 갤러리 오브 라비린스 기반의 스프라이트와 패턴이지만 듀라한의 경우 머리 부분만 대미지를 받으며 이따금 사용하는 혼령 사출 공격에 맞으면 저주에 걸린다. 초상화로 공간 이동을 하는 기믹이 맵 곳곳에 있으며 몇몇 초상화는 스위치를 조작하면 도착하는 위치가 바뀌므로 잘못 돌리면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보스는 브로넬. 원작의 패턴을 그대로 사용한다.
여담으로 소마의 경우 1분 내 스테이지 토벌 완료가 가능하다. 소마 개객기 숨겨진 아이템은 보스방 위쪽 길에서 오른쪽으로 가면 세로로 된 길에서 중간쯤 오른쪽 빈 곳으로 들어가면 고에몽 가면이 나온다.

  • 챕터 5 - Song of the Unslakable Blade / 갈망의 칼날이 새기는 선율(渇望の刃が刻む旋律)
기반이 된 맵은 빼앗긴 각인의 악마성 무기고와 기계탑.
악마성 시리즈 전통의 시계탑. 시작하고 1분이 지나면 사신이 주기적으로 접근해 소형 낫을 연발로 발사하는 패턴을 사용한다. 일단 몸통에 피격판정은 존재하지 않으며 약 500 정도 되는 대미지를 입히면 보스방으로 돌아간다. 맵 초반부에 여신상[13]의 스위치를 조작하면 빛의 위치를 바꿀 수 있는데 둘을 교차시키면 교차점에 있는 몬스터들에게 500대의 성속성 대미지를 입히는 빛이 발생한다.
숨겨진 아이템은 우측 최상단 세로길에서 아래로 한번 내려간 뒤 오른쪽 구석 벽에서 위로 살짝 눌러주면 위에서 글라디우스 시리즈의 빅바이퍼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날아간다.

  • 챕터 6 - Come, Sweet Hour of Death / 달콤한 죽음의 때가 왔도다(甘き死の刻は来たれり)

기반이 된 맵은 빼앗긴 각인의 입구와 악마성 장서고, 최상층.
악마성 최상층이라는 컨셉답게 초반부는 듀라한 및 데몬, 후반부에는 파이널 가드가 대기하고 있으며[14] 보스인 드라큘라(성우: 와카모토 노리오) 본인의 패턴이 다양하다.
1, 2형태는 피의 윤회와 똑같지만, 패턴이 다채로워져 모습만 같지 전혀 다른 놈이 되었으며, 3형태가 되면 월하 때의 드라큘라로 변신한다.
3형태에서는 데모닉 메기도도 사용하며, 특히 솔플 때 3형태의 패턴인 마인드 컨트롤[15]에 걸리면 즉사 확정[16], 팀플 때에도 잘못하면 팀킬이 발생한다.[17]
각종 아이템 파밍으로 인해 취급이 좋지 않다가 DLC 보스들이 더욱 강하게 나와서 더욱 입지가 나빠졌다. 게다가 추가될 10챕터는 초대 악마성 버전의 백작인데 엄청 파워업한지라 월하 버전 그저 지못미. 숨겨진 아이템은 보스방 직전 맛있는 고기가 나오는 벽의 위로 올라가서 위로 누르면 맵 우측에서 좌측으로 코나미맨이 날아간다.


5.2. DLC[편집]


  • 챕터 7 - Beauty, Desire, Situation Dire / 미모와 욕망과 절망과(美貌と欲望と絶望と)
기반이 된 맵은 갤러리 오브 라비린스의 열사의 무덤으로 보스는 당연히 이슈타르.
챕터 5보다 조금 더 조밀한 트랩 배치가 있는 구간이 있으며, 매우 멀리 떨어져 있는 스위치를 눌러야 보스룸으로 가는 길을 열 수 있다. 협력으로 열수있는 지름길도 존재. 마그네스 글리프를 쓸 수 있는 샤노아와 채찍 매달리기가 가능한 율리우스 정도가 아니면 초반부 피라미드 외곽 부분 이동이 매우 까다롭다.
이슈타르는 타격, 성속성 제외 모든 속성에 강한 내성을 가지고 있어 발만웨 신공이 잘 먹히지 않는다. 해당 두 속성만 약점이므로 채찍 계열 캐릭터들이 조금 더 유리한 편.
12월 패치로 밸런스 종결자 마이저 링 드랍이 언락 되었다. 효과는 100만 골드 당 공격력 1 증가, 최대 10 증가. 이로 인해 아이템 파밍 인기는 더욱 증가. 백작님 지못미(2) 추가 가격은 400ms 포인트. 숨겨진 아이템은 피라미드 꼭대기 중앙에서 이단 점프를 하면 나온다.

  • 챕터 8 - The One Who is Many / 다수가 하나인 것(多くにして、一つなるもの)
악마성 드라큘라 X 월하의 야상곡의 지하 동굴 및 카타콤 구역. 피라미드에 비해 필드가 더 넓으며, 싱글 시 지름길이 없어서 보스 대면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스테이지. 멀티 시에는 각 스위치로 흩어지면 시간절약이 가능하다. 당연히 월하 당시의 몬스터가 3종 추가되었다.
보스는 레기온. 효월의 원무곡, 갤러리 오브 라비린스, 3D 악마성인 어둠의 저주에서도 등장했지만, 모습과 패턴은 월하 그대로에 움직임이 없다. 게다가 레기온 핵의 촉수는 공격판정이 없어 그야말로 메두사헤드 소마 유저에겐... 고정된 샌드백
최초로 샤노아용 추가 글리프가 추가되었다. 아이템 파밍은 채찍계열을 제외하고 인기가 없는 편이고 1주일 후 윙부츠를 잡템으로 만들어버린 9챕터가 추가되었다. 지못미 추가 가격은 320ms포인트 여담으로 한국계정과 대만계정에 추가가 안 되어 있다. 국내계정유저들 지못미. 숨겨진 아이템은 시작지점에서 우측 끝으로 간 뒤에 앉으면 바로 왼쪽에 고양이상이 나온다.

  • 챕터 9 - Lord of Flies / 파리의 왕(蝿の王)
악마성 드라큘라 X 월하의 야상곡의 성 입구와 연금연구실 구역. 보스는 악마성 드라큘라 X 월하의 야상곡의 파리의 왕 벨제브브.
스테이지는 보스방까지 가는 루트가 나뉘어져 있다. 추가 몬스터 3종이 있으며 보스인 벨제부브의 소울은 창월의 아바돈처럼 파리를 소환한다. 보스는 8챕터 레기온처럼 천장에 매달려 움직임이 없다.(2) 허나 파리를 소환하므로 레기온보다 난이도는 높다. 그래봤자 샌드백mkⅡ
추가된 아이템 중 밸런스 브레이커급인 소닉부츠가 추가되었다. 준수한 성능에 윙부츠보다 빨라져서 백작의 선호도는 점점 줄어가고 있다. 백작님 지못미(3) 또한 요코와 마리아용 현자의돌이 추가 되었는데 효과는 샬롯의 힐의 무한 아이템화가 되었다. 사용시 50마나 사용 마법도 돌려막는 돈나미 추가 가격은 320포인트로 역시(?) 한국계정은 추가가 안되었다. 여담으로 대만은 8챕터는 건너뛰고 9챕터는 발매되었다. 숨겨진 아이템은 시작지점에서 성으로 들어가지 말고 외곽으로 올라가면 두번째 낫함정 발판에서 아래로 누르면 왼쪽위에 트윈비가 나온다.

  • 챕터 10 - Origins / 모든것의 시작(全ての始まり)

악마성 드라큘라 HD 버젼. 1월 26일 발매하였다. 기반이 된 맵은 당연히 패미컴 악마성 드라큘라 맵 전체로 숨겨진 아이템들을 재현[18]하려 했으며 해당 작품의 모든 보스들이 출현한다.
기본적으로 몬스터들의 체력과 공격력이 높은 데다가 대다수의 몬스터에게 발만웨 견제 의도로 참격 내성이 달려있고, 일부 몬스터들의 경직으로 인한 연타 불가능, 높은 함정 대미지[19] 등 전반적인 난이도가 높은 편이라 어렵다고 혀를 내두르는 유저들도 많지만 올드팬들은 반가워하고 있다.
보스인 레트로 백작은 1페이즈의 경우 3방향으로 파괴할 수 없는 헬파이어를 쏘고 점프로 뒤로 넘어가는 것을 견제하는 백대쉬를 사용하며, 2페이즈는 헬파이어를 풍차처럼 돌리면서 쏘고 거리가 조금 멀어졌다 싶으면 돌진한다. 패턴이 타이밍 싸움이 된지라 월하버전 백작은 그저 잡몹 급으로 비교되는 중.
드랍템은 중간보스인 레트로 크리쳐가 버서커 메일을 드랍하며 레트로 사신이 데스 로브를 준다.[20] 보스 드랍템은 채찍 계열 캐릭터용 레트로 서브웨폰과 샤노아용 무기인 켈베로스 왼쪽과 오른쪽 머리, 소마용 20 가지의 소울들과 클라우 솔라스 +1, 발만웨 +1이 추가되었다. 소마 개객기
원작버전 배경음악 9곡과 편곡된 2곡[21]이 포함되어 있고, 레트로 백작의 소울은 월하버전 백작 소울과 레트로 백작 소울중 랜덤으로 나온다. 함께 DLC로 공개된 시몬의 경우 슬라이딩, 백점프, 점프킥 등의 모션은 새로 찍었다.
풀린 지 3일 만에 일정 구간을 통째로 스킵할 수 있는 버그가 발견되어 클리어 타임이 3분대로 줄어들었다. 다만 퍼펫 마스터 소울을 사용하는 소마를 제외한 다른 캐릭터로는 버그를 쓰기 힘들어서 소마를 제외하고 극단적으로 클리어 타임을 단축시키기는 힘들다. 소마 레알 개객기
비쥬얼은 투박하지만 여지껏 발매된 챕터보다 구성이 알차며, 가격은 240ms 포인트. 숨겨진 아이템은 대부분 원작과 동일한 위치에서 돈과 왕관이 나온다. 왕관은 원작처럼 스테이지 1의 보스인 대형 박쥐를 잡은 후 스테이지 2 시작 지점에서 우측벽을 부수고 안으로 들어가면 나타난다.

  • 챕터 11 - The Legend of Fuma / 월풍마전(月風魔伝)

마지막 챕터로 월풍마전 HD 버전. 원작의 횡스크롤 스테이지들을 적절히 조합해서 2월 2일 월풍마와 함께 발매하였다. 역시 10 챕터처럼 원작의 요소를 재현하려고 했으며, 보스들 역시 쟈키[22]를 제외한 모든 보스가 등장한다. 중간 보스 하나를 처치할 때마다 다른 중간 보스들의 패턴이 조금씩 강화되며 모든 중간 보스를 처치해야 최종보스 용골귀에 도전할 수 있다.
용골귀는 1페이즈와 2페이즈는 원작과 거의 동일한 패턴이며 추가된 점이라곤 2페이즈에서 던지는 단검에 맞으면 중독 상태에 걸린다는 정도이다. 3페이즈는 원작의 불 뿜기 패턴과 저주를 거는 펀치 공격 외에도 중간 보스들의 패턴을 추가로 사용하는 쪽으로 강화되었다. 3페이즈 한정으로 타격 판정이 오묘해 가드 판정이 잘 뜨는 편. 그러나 강화된 패턴이 무색하게도 참격에 내성이 없어 발만웨 소마 유저들에게 아이템을 뜯기는 신세로 전락했다. 10 챕터에서는 일반 몬스터들도 참격 내성이 붙어 있었는데...
추가된 아이템은 샤노아용 글리프 하나와 야스츠나+1, 무라마사+1, 후우마 방어구 세트, 비샤몽 망토와 에비스 망토가 추가되었다. 일반 몬스터인 헬몬트가 시몬 플레이트를 드랍한다.[23]
10 챕터에 비해서는 볼륨이 좀 적은 편이지만 기존 7, 8, 9챕터들보다 볼륨은 풍부하다. 가격은 240ms 포인트. 숨겨진 아이템은 보스방에 바로 위의 방 우측의 밟을 수 있는 나무 밑둥에서 2단 점프를 하면 방 중앙에 나온다.


6. 이식판[편집]


XBLA(XB360)판이 나오고 1년 이상이 지나 PSN(PS3)판이 2011년 9월(미국)/2012년 3월(일본)에 나왔다. XB360판과 마찬가지로 다운로드 판매 전용.

XB360판과 다른 주요한 점은:
  • 챕터 7과 율리우스, 요코가 기본으로 들어 있음.[24]
  • 사용자의 지역을 나타내던 국기가 표시되지 않게 되었다.
  • 아이템이 숨겨져 있는 벽의 그래픽이 몇 도트 빗나가 표시되어 알아보기 쉽게 되었다.
  • 음성 재생중에 다른 음성을 재생시켜도 앞의 음성이 중단되지 않고 동시재생된다.
  • 솔로 모드가 로컬 모드로 개칭되고, 동시 4인 플레이가 가능해졌…는데 다인 플레이 시에는 모든 플레이어 캐릭터가 화면에 들어오도록 화면이 확대축소되므로, 플레이어들 사이의 거리가 극단적으로 멀어지면…

등이 있다.


7. 등장인물 및 캐스팅 일람[편집]


캐릭터들은 성장 타입에 따라 '장비'와 '숙련도'로 구분한다.

'장비'로 기입된 캐릭터는 숙련도에 의한 성장 요소가 없는 대신 무기와 스킬을 드롭이나 상점 구매로 습득해서 강화해야 한다.

반대로 '숙련도'로 기입된 캐릭터는 샤노아를 제외하면 기본 무기를 변경할 수 없고 보유한 스킬들[25]의 숙련도를 높일수록 해당 스킬과 평타의 공격력이 성장한다.[26] 숙련도 자체는 샬롯[27]을 제외하고 적을 공격해 대미지를 입힐 때마다 상승하는 방식이며 레벨 5부터 다음 레벨까지 필요한 숙련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높아진다.

소울 자체의 레벨에만 의존하는 소마를 제외하면 스킬 자체 레벨은 물론이고 DLC 추가스킬을 제외한 모든 스킬의 레벨이 높을수록 평타를 포함한 전체적인 공격력이 올라가므로 잘 안 쓰이는 스킬들의 레벨도 올려두는 게 최종적으로 도움이 된다. 단 알루카드에 한해 보유 스킬 레벨에 따라 평타 공격력까지는 올라가지 않는다. DLC 캐릭터들은 전부 숙련도 성장형이므로 설명 생략.



7.1. 스테이지 보스[편집]




7.2. DLC 추가 캐릭터[편집]




7.3. 듀얼 크래쉬[편집]


멀티플레이시 아군에 겹쳐서 R트리거(플스판에선 R2)를 누르면 요청하고 요청받은 측에서 해당 버튼을 누르면 발동한다.

필요 MP는 양쪽 다 60으로 쌍방의 MP가 한쪽이라도 모잘라면 요청도 발동도 안된다. 기술 위력은 양쪽의 INT 합계에 의존하고 숙련도 등의 강화요소에는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MP대비 화력이 낮게 나올수도 있다. 다만 에길의 투구라던가 버서커 메일의 효과를 받을수 있고 양쪽 다 해당 장비라면 중복적용돼서 상황에 따라선 높은 데미지가 뜨며 하드라면 데미지가 2배가 된다(!!). 발동시엔 사우전드 엣지 이외엔 완전무적.

모든 듀얼 크래쉬 조합 보러가기 영문판(…)
요청측↓ 발동측→소마알루카드조나단율리우스리히터샬롯샤노아요코마리아시몬월풍마
소마오라 블래스트데모닉 메기도블러디 크로스플레이게돈코큐토스톨 햄머오라 블래스트
알루카드데모닉 메기도오라 블래스트블러디 크로스플레이게돈코큐토스톨 햄머오라 블래스트
조나단블러디 크로스그랜드 크로스사우전드 엣지썬더 크로스오라 블래스트
유리우스블러디 크로스그랜드 크로스썬더 크로스오라 블래스트
리히터블러디 크로스그랜드 크로스썬더 크로스오라 블래스트
샬롯플레이게돈사우전드 엣지플레이게돈오라 블래스트
샤노아코큐토스오라 블래스트
요코톨 햄머오라 블래스트
마리아오라 블래스트플레이게돈코큐토스톨 햄머오라 블래스트
시몬오라 블래스트
월풍마오라 블래스트

  • 오라 블래스트
둘 사이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선으로 여러개의 레이저를 발사한다. 위력은 합체기중에서는 보통 혹은 그 아래지만 무속성이라 내성을 무시하고 데미지가 박히는데다 레이저 하나하나에 판정이 있어서 대형의 적에게 가까이서 쓰면 꽤 짭잘한 데미지를 뽑는다.
발동 캐릭터 조합은 소마/알루카드는 동일 캐릭터끼리, 마리아는 요코/샬롯/샤노아 제외한 모든 조합, 패밀리 도트 캐릭터 두명이 하나라도 들어가는 조합은 무조건.

  • 코큐토스
요청자가 발동자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무수한 얼음조각을 날린다. 히트수가 상당히 많지만 사정거리는 그리 길지 않다.
샤노아가 들어가는 조합(동일캐릭터 가능)에서 선더 크로스/오라 블래스트가 아닌 조합 전부. 웃긴건 이 기술은 샤노아가 아니라 샬롯의 마법이다(…).

  • 플레이게돈
발동자를 중심으로 일정거리까지의 바닥(벽도 탄다)을 타는 불을 발생시킨다. 사라만다 프로미넌스 스테이지 스러운 이펙트의 불이 나오며, 필드에 의존하기 때문에 사용할 곳을 잘 가려야 한다. 어느 시리즈에도 등장하지 않은 HD 오리지널 마법.
샬롯이 들어가는 조합(동일캐릭터 가능)에서 선더 크로스/오라 블래스트가 아닌 조합 전부.

  • 토르 해머
요청자가 발동자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거대한 전기 레이저를 발사한다. 히트수는 적지만 단타위력이 높고 사정거리가 장난아니게 길기에(벽에 닿을 때까지 나간다.) 긴 통로 스테이지에서 쓰면 적들을 싹쓸어갈 수 있다.
요코가 들어가는 조합(동일캐릭터 가능)에서 선더 크로스/오라 블래스트가 아닌 조합 전부. 참고로 마법계 크래쉬를 가진 여캐 3명끼리의 조합에서는 요청측의 것이 나간다.

  • 선더 크로스
둘 사이에 천천히 회전하는 전기 십자가가 발생. 특이하게 발동 요청을 한게 시몬 이외의 채찍 사용자고, 발동자가 샬롯/요코/샤노아일 경우 나간다. 반대의 경우랑 조나단+샬롯의 경우 불가.

  • 그랜드 크로스
FC 도트 캐릭터 두명을 제외한 채찍 사용자들끼리의 조합일 경우 사용가능. 요청자 중심으로 발동하며 동캐릭터라도 가능하다. 위쪽으로 길게 치솟는 판정 특성상 천장 너머의 적을 일방적으로 공격할 수 있다. 파이널 가드 같은걸 방에 들어가기 전에 치워버리고 싶다면 써주자.

  • 블러디 크로스
드라큘라 계열 두명(알루카드/소마)과 시몬 이외의 채찍 사용자들이 조합될 경우 사용 가능. 이쪽도 요청자 중심으로 발동하며 좌우범위가 그랜드 크로스보다 좁은 대신 속성이 참/암속성이며 히트수만큼 체력을 흡수한다. 이 합체기도 위로 판정이 길기에 그랜드 크로스처럼 천장 너머의 적을 암살할 수 있다(…).

  • 사우전드 엣지
조나단과 샬롯 조합 전용. 단타 히트수는 최하인 대신 히트수는 최다. 나가는 방향이 발동시 조나단이 샬롯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나가기 때문에 잘못쓰다간 허공에 삽질할 수 있고 무적시간이 없어서 도중에 맞다 끊긴다. 단 여기서 나가는 나이프공격은 나이프 숙련도 업의 대상이 된다(…).

소마와 알루카드 조합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19:59:03에 나무위키 악마성 드라큘라 Harmony of Despair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물론 모든 주연캐릭터들 전반이 다 나온게 아니라서 올스타즈라 불리긴 약간 부족한 감이 있다. 시몬과 월풍마를 제외한 NDS 악마성 3부작의 주연들(특전용 서브캐릭터들 포함)만이 출연해 사실상 NDS 악마성 올스타즈에 더 가깝다.[2] 전용 일러스트가 새로 그려졌다![3] 이전에도 DLC가 있었다. 9월 29일 갤러리 오브 라비린스 버전 피라미드 지도 1개 400포인트, 각각 2주씩 BGM 팩 1, BGM 팩 2 각각 160포인트 추가가 전부였다.[4] 리치는 조금 길지만 동작이 좀 다르고 공격시 앞, 뒤, 위에 공격판정이 생긴다. 바로 앞의 손끝에는 판정이 없어서 근접시에는 돌아보고 공격하는게 안전하다.[5] 그나마 조나단은 체술이 있어서 아주 잉여가 되진 않았지만, 후에 체술 최강인 리히터가 등장하면서... 지못미 조나단.[6] 그런데 현재 나온 DLC 캐릭터들은 모두 추가 마법이나 원작에서 사용하던 기술 중 일부가 없어서 유저들에게 혹평을 받고 있다. 특히 요코와 리히터 헌데 12월 패치이후 상향 평준화가 이루어 졌다 소마빼고! 소마 개객기 해봐 IGA[7] 첫 작품인 악마성 드라큘라가 모티브. 록맨 우려먹기도 아니고... 이 게임의 모토가 우려먹기이니...[8] 백작도 그 당시 모습으로 나왔지만, 난이도 파워업[9] 코나미 게임의 경우는 타 시리즈 간의 콜라보레이션 이 등장함.[10] 소생시키지 않으면 비석이 있는 자리에서만 부활한다.[11] DLC로 사지 않으면 아예 본가 벨몬드 가문을 볼 수 없다. 메트로베니아의 인기작 주인공만 모아두다 보니 일어나버린 사태. 흔히 간과하고 있는 것이 메트로베니아에서 본가 벨몬드가 주인공인건 백야의 협주곡의 쥬스트 벨몬드 단 한명뿐 이다. 알다시피 백야는 완성도가 처참해서 캐릭터들이 네타거리로서의 인기만 높다.[12] 하지만 DLC로 공개된 벨몬드 일족은 하나같이 성장시 강력한 위력을 보여주고 있다.(물론 조나단은 제외) 만렙 찍기가 피곤해서 그렇지만... SFC판 시몬의 재림인 율리우스는 조나단이 묻힐 정도로 강력하며, 리히터도 체술이 최강인 덕분에 뎀딜용으로 괜찮은 편이고, 특히 시몬의 경우는 작아서 피격 판정도 작은 주제에 공격력은 율리우스와 동일 공속은 패치전 야스츠나로 광속... 허나 소마 앞에선 그저...[13] 빼앗긴 각인의 세이브 포인트.[14] 파이널 가드는 방에서 대기중인 상태이기 때문에 천장을 관통하면서 공격할 수 있는 수단이 있다면 바로 아래에서 일방적으로 때릴 수 있긴 하다(…).[15] 갤러리 오브 라비린스의 보스인 이슈타르와 비슷하게 하트 모양의 투사체를 원형으로 날리며 남성 캐릭터는 대미지를 입고 여성 캐릭터는 조종당한다. 단, 여성 캐릭터가 없을 경우 사용하지 않는다.[16] 운이 나쁘면 곧바로 데모닉 메기도 콤보가 들어간다![17] 관련 도전과제도 있다.[18] 2회차에서 등장하는 아이템들은 제외.[19] 원작의 즉사 지형인 물에 빠지면 약 32의 대미지를 받고 스테이지 2의 스파이크는 80 정도의 대미지를 받는다. 피격 판정이 작은 마리아, 시몬, 월풍마는 여유가 있는 편이지만 어설프게 점프하면 얻어맞는 건 똑같다.[20] 원래 이 두 아이템은 5성 레어 아이템에 드랍율도 낮은 아이템이다.[21] 뱀파이어 킬러와 Nothing to Lose.[22] 邪鬼. 통행 아이템인 귀면부를 얻기 위해 싸워야 하는 중간보스.[23] 기존시리즈에서 死門(발음상 시몬) 혹은 simon wrath로 나왔던 채찍 든 해골이며 시몬 플레이트는 6 챕터 백작이 드랍하는 5성 레어 아이템이다. 적과사전 설명에는 '시몬 벨몬드가 영락한 모습' 정도로 되어 있지만 알다시피 시몬 본인은 멀쩡히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참전했다.[24] 본체와 DLC를 전부 다 사면 (일본 기준) 3440엔.[25] 상점 구매 및 DLC 맵에서 얻을 수 있는 스킬 제외. 이 때문에 스킬이 세 개밖에 안 되는 요코와 월풍마는 성장속도가 제일 빠른 반면, 육성 필수 스킬 갯수가 12개인 조나단은 제일 성장속도가 느리다.[26] 시몬과 월풍마의 경우 해당되는 스킬들의 평균 레벨에 비례해 평타 공격의 형태 또한 변화한다. 시몬은 원작의 채찍 3단 업그레이드를 따라가며 월풍마는 검기의 갯수가 늘어난다.[27] 퍼스널 스킬로 해당되는 적의 공격을 방어할 때 일정확률로 1레벨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