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펩의 오아시스 파수꾼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아펩(원신)

파일:원신 로고.svg 보스
[ 펼치기 · 접기 ]

「영역 토벌」
##
[[드발린|
파일:원신-아이콘-드발린.png
풍마룡 · 드발린
]][[안드리우스|
파일:원신-아이콘-안드리우스.png

안드리우스
]][[타르탈리아/보스전|
파일:원신-아이콘-타르탈리아_P3.png

타르탈리아
]][[야타용왕|
파일:원신-아이콘-야타용왕.png

야타용왕
]][[시뇨라/보스전|
파일:원신-아이콘-시뇨라.png

사그라든
화염의 마녀
]][[마가츠 미타케 나루카미노 미코토|
파일:원신-아이콘-마가츠 미타케 나루카미노 미코토.png

마가츠 미타케
나루카미노 미코토
]][[칠엽 적조의 비밀주|
파일:원신-아이콘-칠엽 적조의 비밀주.png

칠엽 적조의
비밀주
]][[아펩의 오아시스 파수꾼|
파일:원신-아이콘-아펩의 오아시스 파수꾼.png

아펩의
오아시스 파수꾼
]][[별을 삼킨 고래|
파일:원신-아이콘-별을 삼킨 고래.png

별을 삼킨 고래
]]
||
적 우두머리
##
[[원신/적/토벌 보스#무상의 뇌전|
파일:원신-아이콘-무상의 뇌전.png
무상의 뇌전
]][[원신/적/토벌 보스#무상의 바람|
파일:원신-아이콘-무상의 바람.png

무상의 바람
]][[원신/적/토벌 보스#얼음 나무|
파일:원신-아이콘-얼음 나무.png

얼음 나무
]][[원신/적/토벌 보스#무상의 바위|
파일:원신_UI_MonsterIcon_Effigy_Rock.png

무상의 바위
]][[로데이아|
파일:원신-아이콘-로데이아.png

물의 정령
]][[원신/적/토벌 보스#폭염 나무|
파일:원신-아이콘-폭염 나무.png

폭염 나무
]][[원신/적/토벌 보스#고대 바위 용 도마뱀|
파일:원신-아이콘-고대 바위 용 도마뱀.png

고대 바위
용 도마뱀
]][[원신/적/토벌 보스#무상의 얼음|
파일:원신-아이콘-무상의 얼음.png

무상의 얼음
]][[원신/적/토벌 보스#꼭두각시 검귀|
파일:원신-아이콘-꼭두각시 검귀.png

꼭두각시 검귀
]][[원신/적/토벌 보스#무상의 불|
파일:원신-아이콘-무상의 불.png

무상의 불
]][[원신/적/토벌 보스#영구 장치 진영|
파일:원신-아이콘-영구 장치 진영.png

영구 장치 진영
]][[원신/적/토벌 보스#무상의 물|
파일:원신-아이콘-무상의 물.png

무상의 물
]][[원신/적/토벌 보스#뇌음의 권현|
파일:원신-아이콘-뇌음의 권현.png

뇌음의 권현
]][[원신/적/토벌 보스#황금 늑대왕|
파일:원신-아이콘-황금 늑대왕.png

황금 늑대왕
]][[원신/적/토벌 보스#심해 용 도마뱀 무리|
파일:원신-아이콘-심해 용 도마뱀 무리.png

심해 용 도마뱀 무리
]][[원신/적/토벌 보스#유적의 뱀|
파일:원신-아이콘-유적의 뱀.png

유적의 뱀
]][[원신/적/토벌 보스#번개 나무|
파일:원신-아이콘-번개 나무.png

번개 나무
]][[원신/적/토벌 보스#공포의 취령 버섯|
파일:원신-아이콘-공포의 취령버섯.png

공포의
취령 버섯
]][[원신/적/토벌 보스#영겁의 드레이크|
파일:원신-아이콘-영겁의 드레이크.png

영겁의 드레이크
]][[원신/적/토벌 보스#반영구 제어 매트릭스|
파일:원신-아이콘-반영구 제어 매트릭스.png

반영구 제어
매트릭스
]][[원신/적/토벌 보스#무상의 풀|
파일:원신-아이콘-무상의 풀.png

무상의 풀
]][[원신/적/토벌 보스#바람 침식 모래 벌레|
파일:원신-아이콘-바람 침식 모래 벌레.png

바람 침식 모래 벌레
]][[원신/적/토벌 보스#죄 깊은 침례자|
파일:원신-아이콘-죄 깊은 침례자.png

죄 깊은 침례자
]][[원신/적/토벌 보스#「얼음 바람 모음곡」|
파일:원신-아이콘-얼음 바람 모음곡.png

「얼음 바람 모음곡」
]][[원신/적/토벌 보스#용암철갑 제왕|
파일:원신-아이콘-불타는 철갑 제왕.png

용암철갑 제왕
]][[원신/적/토벌 보스#실험성 역장 발생 장치|
파일:원신-아이콘-실험성 역장 발생 장치.png

실험성 역장 발생 장치
]][[원신/적/토벌 보스#천년 묵은 진주 기린|
파일:원신-아이콘-천년 묵은 진주 기린.png

천년 묵은 진주 기린
]][[원신/적/토벌 보스#물의 환인간|
파일:원신-아이콘-물의 환인간.png

물의 환인간
]] ||





아펩의 오아시스 파수꾼
Guardian of Apep's Oasis
حارس واحة أب
파일:보스_오아시스파수꾼.webp
프로필
본명아펩의 오아시스 파수꾼
이명긴 「종말」을 걸쳐 진화한 생명
종족원소 생명체
원소ta-hash-start=w-b39c6e3d69c076e3db61d027ae537895
소속ta-hash-start=w-db62908f413e7e9345690daa19f0d376[[파일:원신_수메르_아이콘.png
수메르
언어별 표기파일:미국 국기.svg Guardian of Apep's Oasis
파일:중국 국기.svg 阿佩普(Āpèipǔ的绿洲守望者(de Lǜzhōu Shǒuwàngzhě
파일:일본 국기.svg アペプのオアシス守護者(しゅごしゃ

1. 개요
2. 추억: 「그들」도 본디 완벽했나니
2.1. 공략
2.2. 패턴
2.2.1. 종막 오아시스의 파수꾼
2.2.2. 소생 단계
2.2.2.1. 증식 생명체
2.2.2.1.1. 기본 증식 생명체
2.2.2.1.2. 둥지의 증식 생명체
2.2.2.1.3. 양육의 증식 생명체
2.2.2.1.4. 포식성 증식 생명체
2.2.2.1.5. 파괴의 증식 생명체
2.2.2.1.6. 수호의 증식 생명체
2.2.3. 기원 오아시스의 파수꾼
2.3. 보상
3. 관련 업적
4. 여담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1 한때 아펩은 자손들과 함께 풀의 바다와 거대한 거목 그리고 끝없이 펼쳐진 넝쿨 속에서 물 만난 고기처럼 헤엄쳤다. 초목이 시들어 먼지가 되고 모래처럼 작은 생명들이 그들의 땅에서 취약한 도시국가를 세우기 전까지 말이다. 한때 아펩은 자손들과 함께 사막을 휘저었고 성벽은 나뭇잎처럼 떨어졌다. 모래바다의 왕과 고향을 잃은 왕이 서로 화해하고서야, 햇빛 아래 모래 언덕은 인간과 신의 것이 되었고, 용의 오아시스는 용의 마음속에 남게 되었다. 한때 아펩은 자식들과 함께 진화의 지식을 공유했다. 흐르는 물은 부패하지 않지만 나무는 언젠가 반드시 쓰러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막의 왕과의 약속을 이행하고 궁극의 지혜를 얻자 그의 눈앞에는 최후의 풍경밖에 보이지 않았다, 끝없는 종말 말이다. 한때 아펩은 홀로 최후의 풍경에 빠졌다. 모든 인간, 신, 용, 들짐승, 새, 물고기와 모든 기억, 지혜, 말 그리고 증오는 색 없는 가루가 되었고 마지막 달빛은 밝은 불의 비가 되어 황야에 내렸다. …
한때 아펩은 고향 잃은 왕의 행궁이 아닌 모래바다 아래를 자신의 무덤으로 여겼다. 그러나 「지혜」의 독은 곧 그를 무수히 많은 달이 지나간 세월의 증오와 분노에서 해방시킬 것이다. 그는 색 없는 최후의 경치에 염증을 느꼈고 마침내 젊은 신과 금색의 여행자를 통해 떠올렸기 때문이다, 비록 자신이 지배하던 푸른 땅은 도금된 황야가 되었고 자신의 자손은 생존을 위해 뒤틀려졌으나, 여전히 마음속 한구석에 오아시스의 경치를 품고 있었다는 것을 말이다}}}

3.6 버전 「성대한 지혜의 축제」에 추가된 수메르 지역의 주간보스.

아펩의 몸속 오아시스를 지키는 파수꾼.


2. 추억: 「그들」도 본디 완벽했나니[편집]


파일:원신 로고.svg 비경
{{{#!wiki style="margin:0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종류
성유물
##
[[원신/비경/반복 보상 비경#한 여름의 정원|
파일:원신-비경-한 여름의 정원.png
한 여름의 정원
]][[원신/비경/반복 보상 비경#각인의 골짜기|
파일:원신-비경-각인의 골짜기.png

각인의 골짜기
]][[원신/비경/반복 보상 비경#하늘을 찌르는 땅|
파일:원신-비경-하늘을 찌르는 땅.png

하늘을 찌르는 땅
]][[원신/비경/반복 보상 비경#무망 인구 밀궁|
파일:원신-비경-무망 인구 밀궁.png

무망 인구 밀궁
]][[원신/비경/반복 보상 비경#화지 산굴|
파일:원신-비경-화지 산굴.png

화지 산굴
]][[원신/비경/반복 보상 비경#빈다그니르의 정상|
파일:원신-비경-빈다그니르의 정상.png

빈다그니르의 정상
]][[원신/비경/반복 보상 비경#산등성이의 파수꾼|
파일:원신-비경-산등성이의 파수꾼.png

산등성이의 파수꾼
]][[원신/비경/반복 보상 비경#단풍의 정원|
파일:원신-비경-단풍의 정원.png

단풍의 정원
]][[원신/비경/반복 보상 비경#깊이 잠든 정원|
파일:원신-비경-깊이 잠든 정원.png

깊이 잠든 정원
]][[원신/비경/반복 보상 비경#암중 협곡|
파일:원신-비경-암중 협곡.png

암중 협곡
]][[원신/비경/반복 보상 비경#연각의 탑|
파일:원신-비경-연각의 탑.png

연각의 탑
]][[원신/비경/반복 보상 비경#적금색 폐허|
파일:원신-비경-적금색 폐허.png

적금색 폐허
]][[원신/비경/반복 보상 비경#쇳물 요새|
파일:원신-비경-쇳물 요새.png

쇳물 요새
]][[원신/비경/반복 보상 비경#죄업의 종말|
파일:원신-비경-죄업의 종말.png

죄업의 종말
]][[원신/비경/반복 보상 비경#폭포 옆의 도시|
파일:원신-비경-폭포 옆의 도시.png

폭포 옆의 도시
]] ||
무기
돌파
소재
##
[[원신/비경/반복 보상 비경#세실리아의 모밭|
파일:원신-비경-세실리아의 모밭.png
세실리아의 모밭
]][[원신/비경/반복 보상 비경#천둥 연산 밀궁|
파일:원신-비경-천둥 연산 밀궁.png

천둥 연산 밀궁
]][[원신/비경/반복 보상 비경#유사의 정원|
파일:원신-비경-유사의 정원.png

유사의 정원
]][[원신/비경/반복 보상 비경#유정의 탑|
파일:원신-비경-유정의 탑.png

유정의 탑
]][[원신/비경/반복 보상 비경#심해의 메아리|
파일:원신-비경-심해의 메아리.png

심해의 메아리
]] ||
특성
육성
소재
##
[[원신/비경/반복 보상 비경#잊혀진 협곡|
파일:원신-비경-잊혀진 협곡.png
잊혀진 협곡
]][[원신/비경/반복 보상 비경#태산부|
파일:원신-비경-태산부.png

태산부
]][[원신/비경/반복 보상 비경#보랏빛 정원|
파일:원신-비경-보랏빛 정원.png

보랏빛 정원
]][[원신/비경/반복 보상 비경#무지의 탑|
파일:원신-비경-무지의 탑.png

무지의 탑
]][[원신/비경/반복 보상 비경#창백한 옛 영광|
파일:원신-비경-창백한 옛 영광.png

창백한 옛 영광
]] ||
영역
토벌
##
[[드발린#추억: 폭풍같이 포효하는 드래곤|
파일:원신-비경-바람 드래곤의 폐허로.png
바람 드래곤의 폐허로
]][[타르탈리아/보스전#추억: 황금과 쓸쓸한 그림자|
파일:원신-비경-「황금옥」 진입.png

「황금옥」 진입
]][[야타용왕#추억: 산악을 뒤흔드는 용|
파일:원신-비경-「복룡목」 아래.png

「복룡목」 아래
]][[시뇨라/보스전#추억: 홍련의 진검승부|
파일:원신-비경-나루카미섬·천수각.png

나루카미섬·천수각
]][[마가츠 미타케 나루카미노 미코토#추억: 영원의 수호자|
파일:원신-비경-몽상 낙토의 죽음.png

몽상 낙토의 죽음
]][[칠엽 적조의 비밀주#추억: 칠엽 중존의 유리단|
파일:원신-비경-조루리 공방.png

조루리 공방
]][[아펩의 오아시스 파수꾼#추억: 「그들」도 본디 완벽했나니|
파일:원신-비경-시초의 고향.png

시초의 고향
]][[별을 삼킨 고래#추억: 뭇별 사이의 거대 괴수|
파일:원신-비경-이세계의 잔영.png

이세계의 잔영
]] ||


}}}



시초의 고향
파일:원신-비경-시초의 고향.png
푸른 풀의 용은 한때 그의 백성들을 위해 꿈결과도 같은 삶의 청사진을 그렸었다. 그러나 푸른 대지가 모래로 뒤덮이고, 종말이 강림하자 꿈은 삶을 위한 연료가 되어야만 했다. 「갈림길」의 끝에서 자랑스러웠던 그들의 모습은 추하게 변해버렸으나, 이와는 대조적으로 그 땅에 나타난 티바트의 새로운 주인은 너무나도 아름답고 눈부셨다...

생명의 「본질」이 「오아시스의」심장을 다시 뛰게 함으로써 오랜 세월에 걸친 원소 생명체의 투쟁은 마침내 의미를 얻게 되었다.
아펩이 잠든 땅으로 돌아오자 그들과 보낸 짧은 시간이 그 전투의 기억을 다시금 되살아나게 했다.
비취와도 같았던 치유의 빛을 떠올리면 여정을 향한 발걸음을 다시 굳세게 내디딜 수 있을 것이다...
상세 정보
페이즈 1 [ 펼치기 · 접기 ]
파일:원신-아이콘-아펩의 오아시스 파수꾼.png
종막 오아시스 파수꾼
긴 「종말」을 걸쳐 진화한 생명
||
상세 정보
HP667,805[기준]
내성
파일:원신_물리_유색.svg 물리
10%
파일:원신_불원소_유색.svg
10%
파일:원신_물원소_유색.svg
10%
파일:원신_바람원소_유색.svg 바람
10%
파일:원신_번개원소_유색.svg 번개
10%
파일:원신_풀원소_유색.svg
70%
파일:원신_얼음원소_유색.svg 얼음
10%
파일:원신_바위원소_유색.svg 바위
10%
언어별 표기파일:미국 국기.svg Warden of the Last Oasis
파일:중국 국기.svg 终末(Zhōngmò绿洲的守望者(Lǜzhōu de Shǒuwàngzhě
파일:일본 국기.svg 終末(しゅうまつオアシスの守護者(しゅごしゃ
[기준] 「그들」도 본디 완벽했나니 IV 기준
페이즈 3 [ 펼치기 · 접기 ]
파일:원신-아이콘-아펩의 오아시스 파수꾼.png
기원 오아시스 파수꾼
「불씨」를 받아 소생한 생명
||
상세 정보
HP593,605[기준]
내성
파일:원신_물리_유색.svg 물리
10%
파일:원신_불원소_유색.svg
10%
파일:원신_물원소_유색.svg
10%
파일:원신_바람원소_유색.svg 바람
10%
파일:원신_번개원소_유색.svg 번개
10%
파일:원신_풀원소_유색.svg
70%
파일:원신_얼음원소_유색.svg 얼음
10%
파일:원신_바위원소_유색.svg 바위
10%
언어별 표기파일:미국 국기.svg Warden of Oasis Prime
파일:중국 국기.svg 起源(Qǐyuán绿洲的守望者( Lǜzhōu de Shǒuwàngzhě
파일:일본 국기.svg 起源(きげんオアシスの守護者(しゅごしゃ
[기준] 「그들」도 본디 완벽했나니 IV 기준
보스 해금 조건모험 등급 40레벨 이상, 나히다 전설 임무 '지혜의 주인의 장' 제2막 완료


2.1. 공략[편집]


지맥 이상
* 소생 단계에서는 전투목표가 「오아시스의 심장」을 수호한다. 이때 계속해서 생성되는 마물을 처치하면 소생 진행도가 증가하고, 「오아시스의 심장」이 공격받으면 진행도가 감소한다. 일부 마물 처치 시 원소 에너지가 회복된다

2.2. 패턴[편집]


아펩의 오아시스 파수꾼 보스전 BGM
God-Devouring Mania[1]

2.2.1. 종막 오아시스의 파수꾼[편집]


파일:아펩 1페이즈.png

  • 잠복 공격
땅으로 잠복한 다음 플레이어 위치 위로 튀어나와 정면을 향해 공격한다.

  • 땅에 손 꼽기
땅으로 손을 꼽고 4방향으로 다리가 튀어나와 내려찍어 공격한다.

  • 발광
중앙 부근으로 이동한 뒤 총 세 번 내리치며 내려칠 때마다 가시 바퀴들을 내뿜으며 이 공격은 회피가 불가능한 유도형 스킬이다.

  • 회전 공격
범위가 표시된 다음 회전하여 공격한다. 범위가 완전히 꽉 찼을때 피하면 공격을 피할 수 있다.

  • 꼬리 치기
플레이어가 뒤에 있을때 나오는 패턴. 회피가 힘든 편이므로 최대한 앞을 위주로 위치를 잡아야한다.

  • 콤보 공격
총 2~4단 공격을 하며 패턴이 약간 느릿느릿하므로 회피가 힘들 수 있기에 거리를 벌리는 방식이 추천된다.

  • 소생 단계 진입
종막 오아시스의 파수꾼의 Hp가 1퍼센트 미만이 되면 땅속으로 들어간 다음 오아시스의 심장이 활성화되며 2페이즈로 진입한다.

2.2.2. 소생 단계[편집]


2페이즈는 기존 주간 보스와는 다르게 오아시스의 심장이란 오브젝트의 HP를 모두 채워야하며 주변 마물들을 처치시 오아시스의 심장의 HP가 충전된다.


2.2.2.1. 증식 생명체[편집]

증식 생명체
Proliferating Organism
언어별 표기파일:미국 국기.svg Proliferating Organism
파일:중국 국기.svg 增殖生命体(Zēngzhí Shēngmìng-tǐ
파일:일본 국기.svg 増殖生命体(ぞうしょくせいめいたい

요약표
아이콘/이름HP내성
물리바람번개얼음바위
기본 증식 생명체
LV 90[기준]
59,36010%10%10%10%10%50%10%10%
수호의 증식 생명체
LV 90[기준]
118,721
파괴의 증식 생명체
LV 90[기준]
74,201
포식성 증식 생명체
LV 90[기준]
89,041
둥지의 증식 생명체
LV 90[기준]
89,041
양육의 증식 생명체
LV 90[기준]
118,721
양육의 증식 생명체
버프 중
LV 90[기준]
9910%9910%9910%9910%9910%9950%9910%9910%

오아시스 심장의 소생을 진행하려면 일정 수의 마물들을 처리해야 하는데 증식 생명체들이 달성도가 100%가 되기 전까지 계속해서 생성된다. 생명체들은 1순위로 심장을 공격하여 HP를 줄이며, 생명체들을 처리 시 심장이 회복한다. 시간을 오래 끌경우 경고메시지와 함께 파괴의 증식생명체가 나온다.


2.2.2.1.1. 기본 증식 생명체[편집]

기본 증식 생명체
파일:기본 증식 생명체.png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HP59,360
(Lv.90)[기준]
내성
파일:원신_물리_유색.svg 물리
10%
파일:원신_불원소_유색.svg
10%
파일:원신_물원소_유색.svg
10%
파일:원신_바람원소_유색.svg 바람
10%
파일:원신_번개원소_유색.svg 번개
10%
파일:원신_풀원소_유색.svg
50%
파일:원신_얼음원소_유색.svg 얼음
10%
파일:원신_바위원소_유색.svg 바위
10%
언어별 표기파일:미국 국기.svg Preliminary Proliferating Organism
파일:중국 국기.svg 基础增殖生命体(Jīchǔ Zēngzhí Shēngmìng-tǐ
파일:일본 국기.svg 基本(きほん増殖生命体(ぞうしょくせいめいたい
[기준] 「그들」도 본디 완벽했나니 IV 기준
가장 많은 숫자가 생성되는 기본적인 증식 생명체로 4마리가 동시에 나온다. 심장에 다가가 근접 공격을 하거나 원거리에서 포격해 풀 원소 피해를 주는 패턴을 가지고 있다.


2.2.2.1.2. 둥지의 증식 생명체[편집]

둥지의 증식 생명체
파일:둥지의 증식 생명체.png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HP89,041
(Lv.90)[기준]
내성
파일:원신_물리_유색.svg 물리
10%
파일:원신_불원소_유색.svg
10%
파일:원신_물원소_유색.svg
10%
파일:원신_바람원소_유색.svg 바람
10%
파일:원신_번개원소_유색.svg 번개
10%
파일:원신_풀원소_유색.svg
50%
파일:원신_얼음원소_유색.svg 얼음
10%
파일:원신_바위원소_유색.svg 바위
10%
언어별 표기파일:미국 국기.svg Perch Proliferating Organism
파일:중국 국기.svg 筑巢的增殖生命体(Zhùcháo de Zēngzhí Shēngmìng-tǐ
파일:일본 국기.svg 巣作(すづく増殖生命体(ぞうしょくせいめいたい
[기준] 「그들」도 본디 완벽했나니 IV 기준
플레이어를 주변으로 배리어를 생성하는데 세갈래로 생성하거나 플레이어 정면에 3개를 동시에 생성한다. 플레이어와 거리가 멀어질 경우 가까운 위치로 순간이동한다.


2.2.2.1.3. 양육의 증식 생명체[편집]

양육의 증식 생명체
파일:양육의 증식 생명체.png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HP118,721
(Lv.90)[기준]
내성
파일:원신_물리_유색.svg 물리
10%[일반]
9910%[버프_중]
파일:원신_불원소_유색.svg
10%[일반]
9910%[버프_중]
파일:원신_물원소_유색.svg
10%[일반]
9910%[버프_중]
파일:원신_바람원소_유색.svg 바람
10%[일반]
9910%[버프_중]
파일:원신_번개원소_유색.svg 번개
10%[일반]
9910%[버프_중]
파일:원신_풀원소_유색.svg
50%[일반]
9950%[버프_중]
파일:원신_얼음원소_유색.svg 얼음
10%[일반]
9910%[버프_중]
파일:원신_바위원소_유색.svg 바위
10%[일반]
9910%[버프_중]
언어별 표기파일:미국 국기.svg Provender Proliferating Organism
파일:중국 국기.svg 养育的增殖生命体(Yǎngyù de Zēngzhí Shēngmìng-tǐ
파일:일본 국기.svg 飼育(しいく増殖生命体(ぞうしょくせいめいたい
[기준] 「그들」도 본디 완벽했나니 IV 기준[일반] A B C D E F G H [버프_중] A B C D E F G H
주변에 있는 최대 3마리의 기본 증식 생명체에게 버프를 준다. 버프 중일 때는 모든 내성이 9900% 증가해 아예 피해를 줄 수 없으니 버프를 받은 기본 증식 생명체부터 제거해주면 된다. 버프 받은 기본 증식 생명체가 제거될 경우 최대 체력의 40%만큼 체력을 잃는다.


2.2.2.1.4. 포식성 증식 생명체[편집]

포식성 증식 생명체
파일:포식성 증식 생명체.png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HP89,041
(Lv.90)[기준]
내성
파일:원신_물리_유색.svg 물리
10%
파일:원신_불원소_유색.svg
10%
파일:원신_물원소_유색.svg
10%
파일:원신_바람원소_유색.svg 바람
10%
파일:원신_번개원소_유색.svg 번개
10%
파일:원신_풀원소_유색.svg
50%
파일:원신_얼음원소_유색.svg 얼음
10%
파일:원신_바위원소_유색.svg 바위
10%
언어별 표기파일:미국 국기.svg Predatory Proliferating Organism
파일:중국 국기.svg 掠食性增殖生命体(Lüèshí-xìng Zēngzhí Shēngmìng-tǐ
파일:일본 국기.svg 捕食(ほしょく増殖生命体(ぞうしょくせいめいたい
[기준] 「그들」도 본디 완벽했나니 IV 기준
플레이어로 어그로가 끌리면 빠르게 다가가 물기 공격을 한다.


2.2.2.1.5. 파괴의 증식 생명체[편집]

파괴의 증식 생명체
파일:파괴의 증식 생명체.png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HP74,201
(Lv.90)[기준]
내성
파일:원신_물리_유색.svg 물리
10%
파일:원신_불원소_유색.svg
10%
파일:원신_물원소_유색.svg
10%
파일:원신_바람원소_유색.svg 바람
10%
파일:원신_번개원소_유색.svg 번개
10%
파일:원신_풀원소_유색.svg
50%
파일:원신_얼음원소_유색.svg 얼음
10%
파일:원신_바위원소_유색.svg 바위
10%
언어별 표기파일:미국 국기.svg Pernicious Proliferating Organism
파일:중국 국기.svg 破坏的增殖生命体(Pòhuài de Zēngzhí Shēngmìng-tǐ
파일:일본 국기.svg 破壊(はかい増殖生命体(ぞうしょくせいめいたい
[기준] 「그들」도 본디 완벽했나니 IV 기준
생성되자마자 맹독충처럼 심장을 향해 굴러가는데 시간이 지나면 폭발해 넓은 범위의 풀 원소 피해를 준다.


2.2.2.1.6. 수호의 증식 생명체[편집]

수호의 증식 생명체
파일:수호의 증식 생명체.png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HP118,721
(Lv.90)[기준]
내성
파일:원신_물리_유색.svg 물리
10%
파일:원신_불원소_유색.svg
10%
파일:원신_물원소_유색.svg
10%
파일:원신_바람원소_유색.svg 바람
10%
파일:원신_번개원소_유색.svg 번개
10%
파일:원신_풀원소_유색.svg
50%
파일:원신_얼음원소_유색.svg 얼음
10%
파일:원신_바위원소_유색.svg 바위
10%
언어별 표기파일:미국 국기.svg Protective Proliferating Organism
파일:중국 국기.svg 守护的增殖生命体(Shǒuhù de Jīchǔ Zēngzhí Zēngzhí Shēngmìng-tǐ
파일:일본 국기.svg 防衛(ぼうえい増殖生命体(ぞうしょくせいめいたい
[기준] 「그들」도 본디 완벽했나니 IV 기준
필드에 나오자마자 주변에 있는 기본 증식 생명체들에게 풀 원소 보호막을 생성한다. 보호막을 먼저 제거해야 수호의 증식 생명체를 제거할 수 있다.

2.2.3. 기원 오아시스의 파수꾼[편집]


파일:아펩 2페이즈.png

  • 이동 공격
땅으로 들어간 다음 플레이어의 위치로 튀어나와 공격한다.

  • 종말의 여파
오아시스의 파수꾼 주변에 풀 원소 장판이 생기며 이 장판이 맵 주변으로 점차 퍼지는 동안 보호막이 생기게 되는데, 이 보호막에 들어가지 않으면 바로 광역 공격으로 인해 즉사에 가까운 데미지[2]가 들어간다. 보호막에 들어가는 것이 어렵지는 않으나 어정쩡하게 일찍 나왔다가 죽을 수도 있으므로 광역 공격이 다 끝나고 보호막이 사라진 후 나가는 것이 추천된다. 여담으로 보호막 안에서 피해를 막는 동안 풀속성 부착은 지속적으로 이뤄지는지 베넷 장판을 깔면 베넷 불부착 + 풀부착으로 연소가 터져서 캐릭터가 용암 위를 걷는 것마냥 녹아버린다.[3] 또한, 알베도의 원소전투 스킬로 생성되는 태양꽃 장판은 플레이어를 위로 들어올리는데 그 높이가 보호막보다 높아서 마찬가지로 트롤의 여지가 있으니 주의.

  • 3연속 포격
플레이어에게 연속으로 포격을 날린다. 피하는 난이도는 어렵지 않은 편.

  • 꼬리 치기
플레이어에게 2연속으로 꼬리를 휘두르며 공격한다.

  • 가시 발사
대량의 가시를 생성한 후 플레이어에게 발사한다. 회피 난이도가 꽤 난해한 편.

2.3. 보상[편집]


드랍 아이템
특성 강화 소재
[[원신/육성 아이템#천지에서 자란 고사리|
천지에서 자란
고사리
]][[원신/육성 아이템#태초 오아시스의 첫 개화|
파일:원신-정사각-배경-태초 오아시스의 첫 개화.png

태초 오아시스의
첫 개화
]][[원신/육성 아이템#고대 숲의 응고된 찰나|
파일:원신-정사각-배경-고대 숲의 응고된 찰나.png

고대 숲의
응고된 찰나
]]
||
캐릭터 육성 소재
[[원신/육성 아이템#자라나는 비취|
파일:원신-정사각-배경-자라나는 비취.png
자라나는 비취
]] ||
3성 성유물
전투광
]][[원신/성유물#교관|
파일:genshinicon_성유물 세트-3성-교관.png

교관
]][[원신/성유물#유배자|
파일:genshinicon_성유물 세트-3성-유배자.png

유배자
]] ||
4성 성유물
[[원신/성유물#검투사의 피날레|
파일:genshinicon_성유물 세트-4성-검투사의 피날레.png
검투사의 피날레
]][[원신/성유물#대지를 유랑하는 악단|
파일:genshinicon_성유물 세트-4성-대지를 유랑하는 악단.png

대지를 유랑하는 악단
]][[원신/성유물#전투광|
파일:genshinicon_성유물 세트-4성-전투광.png

전투광
]][[원신/성유물#교관|
파일:genshinicon_성유물 세트-4성-교관.png

교관
]][[원신/성유물#유배자|
파일:genshinicon_성유물 세트-4성-유배자.png

유배자
]] ||
5성 성유물
[[원신/성유물#검투사의 피날레|
파일:genshinicon_성유물 세트-5성-검투사의 피날레.png
검투사의 피날레
]][[원신/성유물#대지를 유랑하는 악단|
파일:genshinicon_성유물 세트-5성-대지를 유랑하는 악단.png

대지를 유랑하는 악단
]] ||
원형
[[원신/재료#무기 원형|
파일:원신-정사각-배경-중앙 대륙의 한손검 원형.png
중앙 대륙의 한손검 원형
]][[원신/재료#무기 원형|
파일:원신-정사각-배경-중앙 대륙의 활 원형.png

중앙 대륙의 활 원형
]][[원신/재료#무기 원형|
파일:원신-정사각-배경-중앙 대륙의 양손검 원형.png

중앙 대륙의 양손검 원형
]][[원신/재료#무기 원형|
파일:원신-정사각-배경-중앙 대륙의 법구 원형.png

중앙 대륙의 법구 원형
]][[원신/재료#무기 원형|
파일:원신-정사각-배경-중앙 대륙의 장병기 원형.png

중앙 대륙의 장병기 원형
]] ||
기타
[[원신/기타 아이템#모라|
파일:원신-정사각-배경-모라.png
모라
]][[원신/기타 아이템#이상한 꿈의 용매|
파일:원신-정사각-배경-이상한 꿈의 용매.png

이상한 꿈의 용매
]] ||


3. 관련 업적[편집]


관련 업적
업적 이름설명
파일:원신-업적-도전자 · 제7집.webp
도전자·제7집
종말은 오지 않았다아펩의 오아시스 파수꾼 도전에서 종말의 여파 공격에 맞지 않고 처치하기

4. 여담[편집]







5. 둘러보기[편집]


파일:원신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0:30:04에 나무위키 아펩의 오아시스 파수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의역하면 신을 삼킨 광기.[기준] A B C D E F G [2] 90레벨 기준 약 5만 정도. 다만 굉장히 많은 데미지가 들어가는 것이지 무조건 죽는 즉사기는 아니기 때문에 체력을 극한으로 올려놨다면 보호막에 들어가지 않고도 살 수 있다. 대표적인 예시가 닐루로, 종결 체력인 74,444를 찍은 상태에서 풀피로 맞으면 체력을 약 2만 남짓 남기고 생존 가능하다.[3] 이 특징을 이용해 다인 모드에서 원소 마스터리에 올인한 세팅의 베넷이 장판을 깔아 무지막지한 연소딜으로 함께 폭사하는 트롤러들이 있다.[4] 1분 35초 근처에서 나오는 이 멜로디는 이전까지는 각국마다 한 개 이상의 필드 전투곡에서 사용된 라이트모티프로, 이를 처음 들을 수 있는 몬드 전투곡 Photon of Fluctuation에서 따와 Photon of Fluctuation leitmotif로 불리기도 한다.[5] 2.1 버전에서 출시된 주간보스 시뇨라와 체력이 비슷하다.[6] 안드리우스는 잔혼만 남았을지언정 마신은 마신이고, 드발린은 몬드의 주신 바르바토스의 권속이다. 야타용왕은 오아시스 파수꾼 따위가 아니라 아펩 본체와 비교해야 할 존재에 라이덴 쇼군의 모든 것을 담았다는 마가츠 미타케 나루카미노 미코토 역시 말할 것도 없다. 타르탈리아시뇨라는 강력한 집단인 우인단의 집행관으로 마주했을 당시 여행자의 전투 수준을 보면 결코 만만하지 않은 상대이고 바로 직전 보스인 칠엽 적조의 비밀주도 번개의 신의 프로토타입이자 또 다른 우인단 집행관인 스카라무슈와 지식, 강력한 힘이 하나로 합쳐진 존재이므로 신과 다름없는 존재이다.[7] 주간 보스 중 유일하게 대사도 없을 정도로 격이 낮다. 드발린은 전투 중에는 대사가 없지만 스토리에서는 잘만 말하며, 마찬가지로 대사가 없는 별을 삼킨 고래도 울음소리만큼은 존재한다. 반면 나히다 전설 퀘스트에서 나오는 대사들은 원소 생명체들이나 아펩 본인이 하는 것이며 파수꾼 자체의 대사는 없다.[8] 어느 정도는 의도한게, 해당 보스가 출시된 3.6 PV에서 아펩이 말하는 부분을 보면 전부 이 파수꾼이 나오고 있으며 아펩 본체의 모습은 철저하게 감췄다.[9] 드발린, 야타용왕[10] 안드리우스[11] 타르탈리아, 시뇨라[12] 마가츠 미타케 나루카미노 미코토, 칠엽 적조의 비밀주[13] 아마도 모티브는 대지의 악마과 같이 할루키게니아가 아닐까 싶다.[14] 오아시스 파수꾼의 이명부터가 긴 「종말(금단의 지식」을 걸쳐 진화한 생명인 만큼 가능성이 있다. '마모'되면서 용의 형상을 잃고 두꺼비 같다고 놀림받는 지금의 모습이 되어버리고 리월, 모락스와 함께 했던 기억을 잃고 폭주해버린 야타용왕과 유사한 케이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