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이전 보유 기종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아시아나항공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아시아나항공/보유 기종


사건사고를 당한 기체는 빨간색으로, 에어부산으로 넘겨진 기체는 파란색으로, 에어서울로 넘겨진 기체는 민트색으로 처리한다. 도입 순서대로 기체를 분류한다.




1. 에어버스[편집]



1.1. A320 패밀리[편집]


파일:HL7588.jpg
AIRBUS A321-131, HL7588[S]

파일:HL7703.jpg
AIRBUS A321-131, HL7703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1697918.jpg
AIRBUS A320-232, HL7762

테일넘버기종시리얼넘버제작일자말소일자비고/기체근황
HL7588[1]A321-1317711998년 1월 9일2006년 4월 27일[S][OHY]
HL7589A321-131[2]8551998년 10월 22일2006년 5월 3일[BGYR]
HL7590A321-23110601999년 7월 12일2006년 3월 31일[OPA]
HL754912932000년 8월 2일2006년 8월 31일[SAL]
HL7594A321-13113562000년 11월 2일2020년 8월 25일[Avolon]
HL770315112001년 5월 10일2021년 9월 13일[MAF][마지막][SGYR]
HL7711[3]A321-23116362001년 11월 27일2013년 11월 2일[SKY]
HL7712[4]16702002년 1월 24일2009년 5월 9일 (1차 리스)
2014년 3월 31일 (2차 리스)
[ZAC]
HL771317342002년 4월 25일2014년 7월 12일[ABL]
HL772220412003년 8월 22일2015년 10월 3일[ABL]
HL772320452003년 10월 13일2013년 4월 1일[ABL]
HL772921102004년 1월 8일2015년 11월 16일[ABL]
HL7730[특도]22262004년 4월 20일2016년 4월 19일[ABL]
HL773122742004년 6월 1일2016년 12월 5일[ABL]
HL773522902004년 8월 30일2016년 4월 1일[ABL]
HL7737[5]A320-23223972005년 3월 23일2021년 8월 20일[BMZJ]
HL773824592005년 5월 27일2021년 6월 28일[SMZJ][GAS]
HL774428082006년 5월 30일2014년 11월 7일[*ABL ]
HL774528402006년 6월 29일2014년 12월 30일[*ABL ]
HL775329432006년 10월 19일2012년 11월 1일[*ABL ]
HL7761A321-23112272000년 5월 9일2012년 3월[SAPG]
HL7762A320-23232442007년 8월 30일2015년 4월 14일[파괴]
HL7763A321-23132972007년 10월 30일2017년 6월 1일[*ABL ]
HL77678021998년 3월 20일2016년 12월 28일[RDW]
HL7769A320-23234372008년 2월 22일2020년 3월 27일[VAB]
HL777334962008년 4월 30일2020년 8월 27일[BDGX][네임텍]
HL777636412008년 9월 23일2021년 4월 5일[BLG]
HL778838732009년 4월 3일2022년 4월 29일[ALC][6]
HL7789A321-23141122009년 11월 20일2018년 11월 24일[ASV]
HL779041422009년 12월 16일2017년 7월 9일[ASV]
HL8236A321-13111742000년 2월 22일2020년 2월 5일[ACG][SGYR]
HL8255A321-23150352012년 2월 2일2016년 6월 16일[ASV]
HL825751732012년 6월 23일2023년 10월 27일[ABL]
HL826653502012년 10월 16일2017년 10월 28일[SGYR][TCC]
HL826753822012년 12월 3일2021년 4월 7일[ALC][7]
HL828057672013년 9월 2일2016년 9월 17일[BOC]
HL828157742013년 9월 18일2016년 10월 4일[BOC]

초창기 도입했던 보잉 737의 포지션을 완전히 대체했다. 국내선과 저중수요 국제선 등을 전부 커버한다.

초기분은 (A321-131) 퇴역당시 기령 20년차였다. 보잉 747만큼 수가 적은 것도 아니고, 2019년부터 A321neo를 인도받음과 동시에 2021년에 전량 퇴역하였다. 사실 상기 기체들도 (A320, A321-200) 말이 퇴역이지, 16대 제외하고는 전부 아시아나항공의 자회사인 에어부산에어서울로 옮겨갔다.

A320-200의 퇴역이 진행중에 있으며, 현재 1대만 남아있는 상황이다.


2. 보잉[편집]



2.1. 보잉 737[편집]


파일:HL7251.jpg
BOEING 737-4Y0, HL7251
아시아나항공의 첫 항공기



테일넘버기종시리얼넘버제작일자등록일자말소일자기체 현황
HL7251[8]B737-4Y023869/16391988년 11월 15일1988년 12월 5일2003년 12월 15일[BHLP]
HL7252737-4Y023976/16511988년 12월 6일1988년 12월 21일1996년 5월 23일[SBSL]
HL7253737-4Y023977/16551988년 12월 13일1989년 1월 5일2004년 2월 17일[STD]
HL7254737-4Y023978/16591988년 12월 22일1989년 1월 12일2004년 2월 26일[STD]
HL7255737-4Y023980/16671988년 12월1989년 1월 28일1997년 3월 15일[FAA]
HL7256737-4Y024314/16801989년 2월 13일1989년 2월 28일1997년 3월 26일[SVTE]
HL7257737-4Y024469/17491989년 7월 10일1989년 7월 25일2004년 7월 8일[스크랩]
HL7258737-4Y024493/17511989년 7월 14일1989년 7월 28일2004년 7월 16일[9]
HL7259737-4Y024494/17571989년 7월 26일1989년 8월 9일2004년 4월 7일[BVCV]
HL7260737-4Y024520/18031989년 12월 21일1990년 1월 16일2005년 1월 26일[PAKS]
HL7261737-53A24786/18981990년 7월 17일1990년 8월 2일1997년 9월 18일[스크랩]
HL7262737-53A24787/19001990년 7월 20일1990년 8월 7일1997년 9월 22일[스크랩]
HL7227[10]737-48E25764/23141992년 6월 12일1992년 7월 2일2004년 7월 6일[AiN]
HL7228737-48E25765/23351992년 7월 16일1992년 7월 24일2004년 7월 6일[URA]
HL7229737-5L924805/18781990년 6월 14일1992년 11월 27일1993년 7월 26일[파괴]
HL7230737-5L924778/18161990년 2월 21일1993년 1월 15일1998년 1월 14일[STD]
HL7231737-48E25766/25431993년 10월 15일1994년 1월 10일1998년 3월 1일[STLL]
HL7232737-58E25767/26141994년 5월 10일1994년 5월 25일2008년 11월 28일[BQLA]
HL7235737-4Q826308/26651994년 10월 18일1994년 10월 31일2003년 11월 23일[STD]
HL7233737-58E25768/27241995년 5월 6일1995년 5월 19일2008년 10월 6일[BGYR]
HL7250737-58E25769/27371995년 6월 29일1995년 7월 6일2008년 10월[BTUS]
HL7508737-48E25772/27911996년 4월 26일1996년 5월 8일2010년 2월 25일[STD]
HL7509737-48E28198/28061996년 7월 12일1996년 7월 23일2006년 8월 17일[AZC]
HL7510737-48E25771/28161996년 9월 9일1996년 9월 20일2009년 3월 27일[11]
HL7511737-48E27630/28481997년 1월 18일1997년 1월 31일2013년 2월 5일[PVA]
HL7512737-48E27632/28571997년 2월 12일1997년 2월 25일2006년 6월 21일[LASC]
HL7513737-48E25776/28601997년 2월 20일1997년 3월 17일2013년 2월[GCA]
HL7517737-48E25774/29091997년 7월 15일1997년 7월 25일2009년 4월 21일
HL7518737-48E28053/29541997년 10월 29일1997년 11월 18일2006년 11월 16일
N826AL[12][13]737-282A23051/10021983년 12월 9일1998년 7월 19일1998년 11월 10일
HL7591737-4Q826291/25131993년 7월 27일1999년 8월 14일2005년 9월 1일
HL7592737-4Q826320/25631993년 12월 14일2000년 1월 17일2010년 3월 15일
HL7527[14]737-4Q826299/26021994년 4월 6일2000년 4월 22일2010년 4월 21일
HL7593737-43Q28492/28371996년 12월 6일2000년 5월 4일2005년 5월 9일

한때 국내선 단거리 플래그쉽이였으나 현재는 A320, A321에게 물려주었다

아시아나항공 극초창기에 굴리기 시작한 기재로, 주로 국내선, 단거리 국제선 등에서 굴렀다. 전량 보잉 737 클래식이다. 현재는 모두 퇴역했으며, 일부는 에어부산으로 송출되었다가 전부 퇴역했다.

아무래도 리스를 애용하는 아시아나항공이다 보니, 리스한 비행기가 참 많다. 중고 리스도 많고... 이 때문에 오래된 기재를 처분해도 대한항공과는 다르게 재정에 도움이 많이 안 된다는 게 함정. 그나마 아시아나항공이 직접 구매한 비행기는 1990년대 중반밖에 없다. 그런데 이 중에는 기체를 리스업체에 판 후 계약해서 계속 쓰는 뭔가 마법사 같은 운용도 보인다.

현재는 대체 기종인 A320을 절찬리에 쓰고 있고, 아시아나항공이 거의 에어버스빠로 전향했기 때문에 앞으로 보잉 737의 후속 바리에이션(보잉 737 NG/보잉 737 MAX)을 도입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유럽에서 엔진 결함으로 보잉 737이 착륙 중 추락하자 CFM56 엔진이 장착된 보잉 737들이 비행금지를 당해 당시 꼬꼬마 항공사였던 아시아나항공은 반강제로 영업정지를 당했다.(...)[15]


2.2. 보잉 747[편집]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1963066.jpg
BOEING 747-48EF, HL7604

테일넘버기종시리얼넘버제작일자등록일자말소일자기체현황
HL7414747-48EM(BDSF)25452/8921991년 12월 5일1992년 1월 7일2017년 5월 7일[WGA]
HL7416747-48E25778/9831993년 6월 9일1993년 6월 24일1998년 5월 29일[BTUP]
HL7418[16]747-48E25780/10351994년 6월 23일1994년 09월 22일2020년 4월 6일[BICN]
HL7422747-48EF28367/10961996년 12월 12일1996년 12월 18일2006년 12월 2일[GTL]
HL7424[17]747-48EM28551/11311997년 10월 7일--[AAI]
HL7426747-48EF27603/12101999년 4월 2일1999년 4월 14일2009년 4월 13일[ASA]
HL7604747-48EF29907/13702006년 2월 15일2006년 2월 22일2011년 7월 28일[파괴]
HL7618747-446(BDSF)263431992년 5월 1일2012년 8월 20일2022년 4월 9일[AAI]#
본격적으로 아시아나의 장거리 국제선을 뚫은 기종. 한때는 아시아나의 장거리 플래그쉽 모델이었으나 현재는 A380, A350으로 대체되었다.

여객기들 가운데 HL7420번대는 IMF 당시 출고를 기다리던 항공기들이 일부 있다. 당시가 IMF 때라 대한항공도 사정은 비슷해서, 당시 롤아웃된 대다수 항공기의 인수대금조차 지불하지 못하다가 1998년 12월 30일에 임차 형식으로 간신히 인수했다. 지금은 퇴역한 대한항공의 HL7402가 그 당시 묶였던 기체다. 대다수가 모하비 공항에 방치되어 있다가 출고되었다고 하며, 이 중 HL7424(747-48EM)는 BCC 및 한국식 HL 등록번호까지 부여받고 출고만을 기다리다 아시아나가 주문을 취소해서 에어 나미비아로 매각되었다. 해당 항공기는 이후 아부다비 왕실과 모로코 정부에 매각되었다가 현재는 또 두바이 왕실에 매각되고 2022년까지 운행했으며 에어 애틀랜타의 TF-AHM으로 넘어갔다

2016년 현재 기재 대부분의 퇴역 시기가 임박하였고, 일부는 당장 퇴역해야 할 기령인데도 아직까지 일선에서 뛰는 건 만성적인 기재 부족에서 기인한 마법사식 기재 운용과 포지션 대체 문제 등이 그 이유라 할 수 있겠다. 본래 이 기종들을 대체하기 위해 747-8F를 구매하려 하였으나 모종의 이유로 주문이 취소되었고, 해당 주문 취소분들은 현재 에어브리지카고가 구매하였다. 레지는 VQ-BFU, VQ-BFE.

2019년 9월 이전까지 747-400를 2대 운항했으나, HL7418이 퇴역하여 1대만 남았다. HL7428은 2024년 3월 25일 퇴역이 예정되어 있다.

2022년 5월 6일, HL7618이 기존의 도장을 지운채로 타이베이에서 인천으로 도착하여 송출을 앞두고 있다.#


2.3. 보잉 767[편집]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0718186.jpg
BOEING 767-38EER, HL7595[18]

파일:20220821_093737.png
BOEING 767-38E, HL7516[S]

테일넘버기종시리얼넘버제작일자등록일자말소일자기체 현황
HL7263767-38E24797/3281990년 8월 30일1990년 9월 27일2005년 5월 2일[스크랩]
HL7264767-38E24798/3311990년 9월 21일1990년 10월 5일2003년 9월 25일[*스크랩 ]
HL7247[19]767-38E25757/5231993년 11월 2일1994년 1월 31일2019년 11월 13일[BICN]
HL7200[20]767-328ER27212/5311994년 2월 7일2001년 5월 2일2006년 1월 27일[CJT]
HL7248767-38E25758/5821995년 6월 7일1995년 7월 12일2021년 1월 29일[BICN]
HL7266767-38EER25347/3991991년 10월 21일1991년 11월 7일1998년 12월 18일[ROU]
HL7267767-38EER25404/4111992년 1월 9일1992년 1월 24일1998년 9월 19일[ROU]
HL7268767-38EER25132/4171992년 2월 10일1992년 2월 24일1998년 5월 21일[GTL]
HL7269767-3Y0ER26206/4871993년 3월 26일1993년 5월 3일1998년 3월 5일[MZN]
HL7286767-3Y0ER26207/5031993년 6월 23일1993년 7월 21일1998년 3월 19일[DHL]
HL7249767-31BER26265/5701995년 3월 7일1995년 3월 17일2002년 4월 10일[MZN]
HL7505767-324ER27394/5721995년 3월 21일1995년 11월 10일1998년 4월 21일[DAL]
HL7595767-38EER30840/8292001년 2월 27일2001년 3월 23일2005년 1월 31일[CFG]
HL7514767-38E257631997년 04월 14일1997월 04월 22일2020년 10월 28일[ANA]
HL7506767-38E257601996년 12월 7일1996년 12월 19일2022년 10월 12일[ANA]
HL7515767-38E257621997년 4월 22일1997년 5월 23일2022년 11월 1일[ANA]
HL7516767-38E257591997년 7월 14일1997년 7월 17일2022년 11월 30일[S][ANA]

아시아나가 보잉 747을 도입하기 전까지 돈을 벌어오던 기재이다. 현재는 국내선만 투입중.

아시아나의 초기 성장시기에 대부분 리스로 들어온 기체들이다.[21][22] 위 리스트에서 IMF 사태가 있었던 1998년 기체들이 다량 빠져나간 이유가 아시아나의 파산에 대비해 타 항공사매각 리스업체가 발을 빼려 한 것이었다는 말이 있다.

노후화로 인해 A330, A350에 자리를 물려주고 2019년부터 순차적으로 퇴역이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2022년 현재는 마지막으로 남은 1대(HL7528)가 김포 - 제주 구간만을 고정적으로 다니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의 유일한 화물기인 HL7507은 조금 더 운용하다 퇴역할 것으로 보인다. 이 항공기가 퇴역하면 대한민국에서 B767을 운용하는 항공사는 더 이상 없고, 역사속으로 사라질 예정이다.


2.4. 보잉 777[편집]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2695519.jpg
BOEING 777-28E/ER, HL7500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2297790.jpg
BOEING 777-28E/ER, HL7742

테일넘버기종시리얼넘버제작일자등록일자말소일자기체 형황
HL7596777-28E/ER28681/3962001년 1월 29일2001년 2월 14일2017년 11월 10일[UIA]
HL759728686/3592001년 8월 20일2001년 8월 30일2018년 1월 31일[UIA]
HL750028685/4002002년 4월 18일2002년 4월 29일2015년 9월 18일[GYR]
HL774229171/5532006년 2월 25일2006년 3월 7일2013년 7월 6일[파괴]
중장거리를 커버한다. 마법사식 운용의 주 희생양이지만 현재로서 딱히 대체할 비행기는 마땅찮고[23], 굴리는 비행기 중 그나마 비슷한 체급이 A330 정도밖에 없어서[24] 계속 구르고 있다. 사실 A330은 정확히 말하자면 보잉 767과 더 비슷한 체급이긴 하지만...

대체 계획은 없지만, 도입된 A350이 어느 정도 스케줄을 분담할 것으로 예상되기에 좀 여유가 생길 듯. 보유한 9기의 실내를 A350 사양에 준하게 개량하여 더 운영할 예정이었지만 일부 기재는 구형 좌석에 좌석수만 추가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현재 샌프란시스코, 런던 등 노선에 A350이 들어가는 것으로 보아, A350이 777도 대체할 것으로 보인다.[25]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06:15:31에 나무위키 아시아나항공/이전 보유 기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S] A B C D 스타얼라이언스 도장[1] 대한민국의 첫 에어버스 협동체 기체였다.[OHY] 오누르 항공 에서 운항 [2] 2006년 2월 A321-231로 개수[BGYR] A B 굿이어 공항에서 해체[OPA] 올림푸스 항공 에서 운항 [SAL] 스카이 앙코르 항공 [Avolon] Avolon Aerospace Leasing Limited[MAF] Macquarie AirFinance [마지막] 마지막으로 생산 된 A321-100[SGYR] A B C 굿이어공항에 보관중 [3] 굿 이어 공항에 보관중[SKY] 스카이 원 항공에서 운항중 [4] 이 비행기는 아시아나에 두 번 리스되었다.[ZAC] Zephyrus Aviation Capital [ABL] A B C D E F G H 에어부산 [특도] 스타얼라이언스 도장 적용[5] 대한민국 첫 A320 항공기였다. [BMZJ] 파이널 에어파크에서 해체 [SMZJ] 파이널 에어파크에서 보관중 [GAS] Genesis Aircraft Services[SAPG] Phillips Army Airfield 보관중 [파괴] A B C D 사고로 파괴됨 [RDW] 레드 윙스 항공[VAB] 비바 아에로버스[BDGX] MOD 세인트 아탄 에서 해체[네임텍] 해체후 네임택으로 판매[BLG] Bocomm Leasing [ALC] A B [6] OE-IBH[ASV] A B C 에어서울로 송출. 현재도 같은 등록번호 유지 중[ACG] N174AG[TCC] tokyo centry coperation[7] OE-ISO[BOC] A B Aviation[8] 대한민국의 첫 상업용 보잉 737 항공기였다.[BHLP] 자카르타에서 해체[SBSL] 유로 에어포트 에서 보관중[STD] A B C D E 보관중[FAA] Fly Armenia Airways 에서 운항[SVTE] 비엔티안 왓따이 국제공항 에서 보관[스크랩] A B C D 스크랩 처리 됨[9] National Nuclear Security Administration 에서 운항중[BVCV] 빅터빌에서 해체[PAKS] 앙카사 훈련 센터 에서 보존중[10] 해당 등록번호는 현재 한화솔루션에서 운용중인 보잉 737-700 BBJ에 부여되어있다.[AiN] 에어노스에서 운용중[URA] UR Airlines에서 운용중[STLL] 탈린공항에 보관중[BQLA] Lasham공항에서 해체[BTUS] 투손에서 해체[AZC] 아줄 카고에서 운용중 [11] iAero Airways에서 운항중[PVA] 페루 항공에서 운용중[LASC] LAS cargo 에서 운용중[GCA] GCA항공에서 운용중[12] 알로하항공에서 리스[13] 거의 모두가 알고 있듯이 아시아나항공은 737-200을 도입한 적이 없다. 그 당시에는 737-200기는 퇴역 중인 기종이고, 그 당시 아시아나항공은 A320과 A321을 줄차게 도입하는 중이었다. 많은 항공 포털 사이트 등에 표시가 되어 있는데, 잠시 임차해서 쓰려고 계획했었고 항공 당국에 등록까지 했었으나 최종적으로는 도입하지 않기로 결정이 났다.[14] 스타얼라이언스 도장 적용기체[15] 여담으로 양대 국적사가 주문한 A321neo에 달리는 엔진 역시 서로 다르다. 아시아나항공CFM LEAP이고, 대한항공PW1100G를 선택했다. 참고로 LEAP 엔진은 보잉 737 MAX에도 달리는 엔진이다.[WGA] 웨스턴글로벌 항공에서 운항중 [BTUP] TUP에서 해체[16] 1999년 - 2007년 대한민국 대통령 전용기 임차기. 동시에 대한항공의 HL7402(747-4B5, 퇴역)도 같이 임차되어 번갈아 사용되었다.[BICN] A B C 인천공항에서 해체 [GTL] A B 아틀라스 에어에서 운항중 [17] 1997년 말 인도 예정이었으나 IMF 사태로 취소. 결국 1998년 2월 마라나로 옮겨졌고 1999년 9월 에어 나미비아로 매각 인도되었다. 현재는 두바이 왕실 소유 BBJ로 개조된 상태로 활동 중이였으나 2022년 1월 18일 일부로 에어 애틀랜타에서 운용중.[AAI] A B 에어 애틀랜타 아이슬란딕 항공에서 운용 [ASA] 아스트랄 에베이션에서 운항중[18] 현재 이 기체는 콘도르 항공 의 D-ABUS -에어버스- -에어부산도 아니다-로 절찬리에 운행하고 있다.[19] 2019년 1월 31일 제주발 김포행 노선을 끝으로 퇴역했고 동년 2월 9일 인천으로 이동했다. 관련 뉴스. [20] 이 번호는 현재 대한항공 A220-300으로 사용중이다.[CJT] 카고젯 항공에서 운항중 [ROU] A B 에어캐나다 루즈에서 운항중 [MZN] A B 아마존에어에서 운항중[DHL] DHL 에서 운항중[DAL] 델타항공에서 운항중[CFG] 콘도르 항공에서 운항중[ANA] A B C D ANA Trading Corporation으로 팔려나감[21] 지금도 아시아나는 직접 돈 주고 기재를 사는 일은 드물고, 리스 업체와의 계약을 통해 신기재를 들여오는 일이 다반사이다.[22] A380, A321neo, B747-400, B777, A350일부만 직접 구매했다.[UIA] A B UR-GOC 우크라이나 국제 항공에서 운항중[GYR] 굿이어공항에서 해체 [23] 그나마 지금 비슷한 노선을 분담 중인 보잉 747-400의 경우 기령이 대부분 20년을 넘었기 때문에 교체가 시급하다. 777을 1대1로 대체할 수 있는 포지션으로 A350이 몇 대 들어와있지만 현역으로 다니는 777들을 모조리 대차하기엔 아직 댓수가 모자라고, 취항지는 많아서 완전 대체는 어려울 수도 있긴 하다.[24] A330neo가 출시되면 모를까, 지금의 A330보잉 777에 상당히 뒤떨어지는 게 현실이다. 게다가 아시아나항공에는 항속거리가 짧은 300형밖에 없다. 그렇지만 A330neo 역시 효율성이 좋은 편은 아니라서 아시아나항공이 선택하지 않았다. 항속거리A330neo는 많이 나아지지 않은 데 비해, A350항속거리가 꽤 나온다. 엔진을 트렌트만 써서 그렇지...[25] 실제 에어버스도 777 견제용으로 A350을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