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레나 힘키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로고.png
2024-25 시즌 구단별 홈구장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25%><rowbgcolor=#ffffff,#191919> 안지
아레나
[1]
파일:Dinamo_logo_PNG.png
||<width=25%> VTB
아레나

파일:FC 디나모 모스크바 로고.svg
||<width=25%> 로스토프
아레나

파일:FC 로스토프 로고.svg
||<width=25%> RZD
아레나

파일: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로고.svg
||
||<rowbgcolor=#ffffff,#191919> 아크 바르스
아레나

파일:FC 루빈 카잔 로고.svg
|| 옷크리티예 반크
아레나

파일: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로고.svg
|| 솔리다르노스티
사마라 아레나
[2]
파일:FC_Akron_logo_1_2023.png
|| 아흐마트
아레나

파일:FC 아흐마트 그로즈니 로고.svg
||
||<rowbgcolor=#ffffff,#191919> 가조비크
스타디움

파일:FC 오렌부르크 로고.svg
|| 가즈프롬
아레나

파일: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로고.svg
|| VEB
아레나

파일:PFC CSKA 모스크바 로고.svg
|| 크라스노다르
스타디움

파일:FC 크라스노다르 로고.svg
||
||<rowbgcolor=#ffffff,#191919> 솔리다르노스티
사마라 아레나

파일: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로고.svg
|| 니즈니 노브고로드
스타디움

파일:FC 파리 니즈니노브고로드 로고.svg
|| 중앙 무역 연합
스타디움

파일:FC 파켈 보로네시 로고.svg
|| 아레나
힘키

파일:FC 힘키 로고.svg
||
||<-4><rowbgcolor=#071130> *표시 - 인조잔디 구장 ||
||<-4><bgcolor=#000> 파일:1st_League_Logo_2022.png ||
||<-4><bgcolor=#f7f7f7,#222>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리가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프리미어리그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세리에 A파일:독일 국기.svg 분데스리가
파일:프랑스 국기.svg 리그 1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프리메이라 리가파일:러시아 국기.svg 프리미어리그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쉬페르리그
[1] 기존에 사용하던 트루트 스타디움의 수용 인원 부족으로 인해 사용.[2] 기존에 사용하던 크리스탈 스타디움의 수용 인원 부족으로 인해 사용.
||



파일:Screenshot_2020-08-21 Арена Химки - Google 검색.png파일:Arena Khimki.jpg
FC 힘키
Arena Khimki (Арена Химки)
위치러시아 모스크바 주 힘키
개장2008년 9월 20일
홈 구단FC 힘키
수용 인원18,636명
비용20억 루블
건축가미하일로 스투파르 (마리티모 그룹)
소유주모스크바 주 힘키


1. 개요
2. 역사
3. 특징


1. 개요[편집]


아레나 힘키는 FC 힘키의 홈구장이다.

2. 역사[편집]


2008년에 개장 이후, 2009년부터 2019년까지 디나모 모스크바가 자신들의 새로운 홈구장인 VEB 아레나가 지어지기 전까지 사용했었다. CSKA 모스크바도 루즈니키 스타디움을 떠나 이 구장을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이용했었다.

3. 특징[편집]


2005년 12월부터 공사를 시작해 2008년 9월에 공사가 완료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16:31:49에 나무위키 아레나 힘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