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드리안 하우저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12284b><width=20%><colcolor=#ffffff>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ffc52f> 20 마일리 · 26 애쉬비 · 29 메길 · 31 파이암프스 · 38 윌리엄스 · 39 번스 · 43 스몰 · 45 우리베 · 46 B.윌슨 · 47 앤드류스 · 48 레이 · 50 부카우스카스 · 51 페랄타 · 54 비에이라 · 55 밀너 · 56 정크 · 59 페게로 · # 블레이락 · # 로스 · # 클라크 ||
|| 포수 || 24 콘트레라스 · # 쿠에로 · # 하스 ||
|| 내야수 || 2 투랑 · 6 밀러 · 12 존스 · 14 모나스테리오 · 27 아다메스 · # 카프라 · # ||
|| 외야수 || 5 미첼 · 10 프렐릭 · 11 추리오 · 16 퍼킨스 · 22 옐리치 · 28 위머 · # 롤러 · # 바우어스 ||
||<-2> 파일:미국 국기.svg 팻 머피 파일:미국 국기.svg 리키 윅스 공석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 훅 파일:캐나다 국기.svg 짐 헨더슨 파일:미국 국기.svg 코너 도슨 · 파일:미국 국기.svg 아지 티몬스 파일:미국 국기.svg 퀸틴 베리 · 파일:미국 국기.svg 제이슨 레인 파일:미국 국기.svg 찰리 그린 파일:미국 국기.svg 워커 맥킨벤 파일:미국 국기.svg 다니엘 데 몬데서트 · 파일:미국 국기.svg 애덤 와이젠버거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네스터 코레도르 ||
||<-2><bgcolor=#eeeeee,#191919>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내슈빌 사운즈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아드리안 하우저의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밀워키 브루어스 등번호 47번
롭 우튼
(2013~2015)
아드리안 하우저
(2015)
벤 로웬
(2016)
밀워키 브루어스 등번호 37번
앤서니 스와잭
(2017)
아드리안 하우저
(2018~)
현역

파일:브루어스하우저23.jpg
밀워키 브루어스 No.37
아드리안 하우저
Adrian Houser
본명아드리안 데이비드 하우저
Adrian David Houser
출생1993년 2월 2일 (31세)
오클라호마 주 탈레콰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학력로커스트 그로브 고등학교
신체191cm / 101kg
포지션선발 투수
투타우투우타
프로입단2011년 드래프트 2라운드 (전체 69번, HOU)
소속팀밀워키 브루어스 (2015~)
계약1yr / $3,600,000
연봉2023 / $3,600,000

1. 개요
2. 선수 경력
3. 피칭 스타일
4. 연도별 성적
5. 기타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밀워키 브루어스 소속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편집]



2.1. 밀워키 브루어스[편집]


파일:Brewers_Adrian_Houser.jpg

2015년 카를로스 고메즈의 대가로 조시 헤이더, 브렛 필립스와 함께 트레이드로 넘어왔다. 헤이더에 이어 하우저까지 팀의 핵심 자원으로 자리잡은 2021년 현 시점에선 결과적으로 브루어스의 완승이 되어버린 트레이드.

2021년 팀의 5선발로서 맡은 역할을 훌쩍 뛰어넘는 활약을 보여주었다.

2022 시즌 첫 경기에서 5이닝을 채우지 못하며 불안한 출발을 하였으나, 4월 마지막 2경기에서 퀼리티 스타트를 기록하며 안정화된 모습이다.

5월 21일, 연봉 조정에서 패해 팀이 제시한 242만 5천 달러의 연봉을 받게 되었다.

5월은 4월보다는 조금 오락가락하는 모습이다. 특히나 5월 마지막 등판인 28일 세인트루이스전에서 4이닝 5실점을 기록하며 5월 평균자책점 4.68로 4월 평균자책점 2.53보다 많이 오른 모습이다.

8월 24일 다저스전에서는 2⅓이닝 5실점으로 시원하게 멸망하며 패전 투수가 되었다.

11월 18일, 연봉 조정을 피해 360만 달러의 연봉에 합의했다.

2023 시즌에도 전체적으로 2022 시즌과 비슷한 성적을 기록했다.

3. 피칭 스타일[편집]


리그 전체에서 손꼽힐 만큼 높은 땅볼 유도율에서 알 수 있듯, 투구의 절반 이상을 평속 94마일의 싱커가 차지한다. 이외에도 포심이나 80마일 언저리의 커브, 80마일대 중반의 슬라이더와 후반의 체인지업을 고루 섞어 던진다.


4. 연도별 성적[편집]


파일:MLB 로고.svg 아드리안 하우저의 역대 MLB 기록
연도GWLSHLDIPERAHHRBBHBPSOWHIPERA+fWARbWAR
2015MIL2000020.00102001.500-0.00.1
20187000013⅔3.291307181.4631270.10.1
2019356701111⅓3.72101143751171.2401201.62.0
2020121600565.30638214441.500860.4-0.5
20212810600142⅓3.22118126491051.2791321.51.8
20222261000102⅔4.731038472691.461831.0-0.8
2023238500111⅓4.1212113341961.3921051.80.9
MLB 통산
(7시즌)
129313401539⅓4.0052055212224391.3571066.33.5

5. 기타[편집]




6. 관련 문서[편집]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15:22:07에 나무위키 아드리안 하우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