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대(말)

덤프버전 : (♥ 0)

이름신세대
SIN SE DAE
출생1991년 10월 26일
죽음2016년 1월 27일(25세)
마번0006940
성별거세마(수입이전 거세)
털색밤색
아비AVON VALLEY
어미MEROO STAR
성적78전 43승
총상금983,988,800원
주요 우승문화관광부장관배(1996,1998)
동아일보배(1997)
그랑프리(1998)
상세 정보파일:한국마사회 로고.svg | HORSEPIA
1. 개요
2. 혈통
3. 생애
3.1. 1995~1997년
3.2. 1998년~2003년
3.3. 이후
4. 경주 성적



1. 개요[편집]


한국의 경주마. 통산 43승으로 현재까지 한국 경마사의 공식적인 최다승 경주마이며 마사회 기록에 따르면 신세대가 43승, 새강자 33승, 대견 29승, 차돌 26승으로 승수를 많이 기록한 명단에 이름을 올렸고 도주마라는 수식어을 전래시킬 정도로 유명했던 경주마다.


2. 혈통[편집]


1대2대3대
Avon Valley
1969 파일:영국 국기.svg
Galivanter 1967
1967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Golden Cloud
Lycia
Polairia
1962 파일:영국 국기.svg
Polic
Queen's Rock
Meroo Star
1977 파일:호주 국기.svg
Starboard Buoy
196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Right Boy
Royal Strath
Persian Mary
1959 파일:호주 국기.svg
Wellmead
Persian Song


3. 생애[편집]


신세대는 1991년 10월 26일에 호주에서 태어났다. 3세 시절에도 외국에서 경주에 출전한 적이 없이 한국으로 건너왔다.

3.1. 1995~1997년[편집]


4세가 거의 다 되어간 1995년 4월 10일에 마명을 부여받고 5월 21일에 데뷔전을 치렀다. 4세인 나이로 상당히 데뷔를 늦게한 편.

데뷔전에서 6착로 좋지 않은 성적을 냈지만 두번째 경주에서 2착를 한후 세번째 경주에서 드디어 첫승을 거두었다. 43승으로 가는 첫번째 과정은 비교적 어렵게 달성했다.

그 후에는 좋은 성적을 내며 1군(그 당시는 C1)까지 쉽게 올라갔고 5세때인 1997년 10월 13일에 열린 문화관광부장관배 대상경주에서 우승을 하며 생애 첫번째 대상경주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12월 13일에 열린 그랑프리에선 아쉽게도 훌라밍고에게 우승을 넘겨주고 4착에 그치게 되었다.

이듬해 대상경주 J.R.A 트로피에 나갔지만 2착으로 마무리 하였다. 그렇지만 바로 다음 경주인 동아일보배에 출전해 1착으로 우승. 이후 97년도 그랑프리에 도전하지만 풀그림에게 우승을 내주며 5착으로 마무리 한다.

3.2. 1998년~2003년[편집]


여러 경기들과 대상경주 한국마사회장배와 ITC트로피 뛴 이후 참여한 문화관광부장관배에서 1착으로 마무리 한 이후 98년 12월 14일에 열린 그랑프리에서는 우승에 성공하며 98년도 당시 우리나라 최고의 경주마로 우뚝서게되었다.
신세대가 우승한 98년 그랑프리

그 이후는 최강마로써 거의 일반 대회 위주로 승수를 쌓아오며 대상경주에도 마주협회장배, 문화관광부장관배, 99년 그랑프리, AJC트로피 등에도 출전하지만 우승권을 노리진 못했다.

경주 초반부터 시원시원하게 선행, 때로는 도주에 가까운 작전을 보여주며 멋진 경주전개를 보여주었던 신세대는 이성일 기수와 호흡을 맞추며 절정의 기량을 보여주었다.

상대와의 싸움보다도 부담중량과의 싸움이 이어졌다. 높아진 부담중량은 주전기수가 기승을 할 수 없게 만드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신세대의 전적을 살펴보면 60kg 이상의 부담중량을 짊어지고 달린것이 25회나 된다. 그것도 조교사가 배려를 해줘서 그리된것이지 그렇지 않았다면 40회가 넘는 횟수의 60kg 이상의 과중량을 받았을 것이다.

감량혜택이 주어지지 않는 핸디캡경주는 어쩔수 없이 주전기수가 기승했지만 별정경주에 나서는 신세대에게 기승기회가 돌아간것은 신인급의 기수들이었다. 3kg의 감량을 받게해서 원래 60kg을 짊어져야할 신세대가 57kg을 받고 달리게 조교사는 배려를 해줬다. 그 당시 신세대에 감량을 위해 기승기회가 주어졌던 기수는 박을운, 문정균, 원정일등이었는데 이들이 기승한 횟수는 총 20회가 넘는다. 이 세 기수가 기승한 이유는 거의 감량때문이었고 어쩌면 그것이 신세대가 더 오래 부상없이 뒬수 있었던 요인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런점이 경마팬들에게는 약간 비겁하게 보였는지도 모른다. 그 나이많은 경주마를 이기지 못하는게 문제였던거다. 세명의 감량기수가 신세대에 기승해 거둔 승리가 무려 15승이니 신세대의 상대가 되는 라이벌측 입장에서보면 약이 오를법도 하다. 같이 출전했던 경주마중에는 신세대보다 약한 경주마가 있는데 그들이 더 높은 중량을 달고 뛰고 있으니 비겁하다고 생각 할 수도 있겠지만, 그러나 그 당시 신세대는 나이가 이미 8세를 넘어 9세, 10세가 되어가던 시점이었다. 신세대에게 해줄 수 있던 최소한의 배려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신세대는 2003년 7월 12일에 마지막 경주를 뛰었다. 그때 신세대의 나이는 12세였고 엄청난 고령의 나이때 까지 경기를 뛴 것이다. 그 경주에서 3착를 기록하며 사실 상의 은퇴경주를 마치고 통산 78전 43승, 2위 11회의 성적에 대상경주 4승을 기록하였다.


3.3. 이후[편집]


경주마 은퇴 이후 6년간은 마사회 소속으로 관상마로 있다가 2009년에 일반인에게 분양되었고 그곳에서 여생을 지냈고 2016년 1월 27일에 폐사하였다.


4. 경주 성적[편집]



경주일경마장경기명그레이드트랙순위기수1착마
(2착마)
1995년 (3세)
5.21서울신마1000m6위김재섭
6.17서울신마1200m2위김혜성라이파이투
7.9서울신마1000m1위김태경(일직선)
8.19서울C51200m1위한유영(압해)
9.16서울C41700m1위이성일(뉴탄생)
10.8서울특별C31900m2위한유영황금어장
1996년 (4세)
1.7서울특별C31900m5위김혜성흥부
2.25서울특별C31900m3위한유영뉴탄생
5.18서울C31900m1위이성일(모도리)
6.23서울특별C22000m1위(수도서울)
8.18서울특별C12000m1위박태종(아침누리)
10.13서울문화관광부장관배C12000m1위김혜성(아침누리)
12.15서울그랑프리C12300m4위김혜성훌랑밍고
1997년 (5세)
2.16서울특별C12000m4위김혜성튜더라인
5.17서울C12000m1위이성일(외포리)
6.28서울C11800m1위김혜성(매직불릿)
8.24서울특별1군2300m1위이성일(비결)
9.28서울JRA트로피1군1800m2위아담
11.2서울동아일보배1군1400m1위(대견)
12.4서울그랑프리1군2300m5위풀그림
1998년 (6세)
1.18서울1군1400m1위김효섭(안성호)
2.15서울1군1800m1위(원파워)
3.21서울1군1800m1위(월드영웅)
4.19서울1군1800m1위이성일(싹스킹)
5.23서울1군2000m1위김효섭(무파싸)
6.21서울한국마사회장배1군2000m7위천창기미스터헬로
7.19서울ITC 트로피1군1200m2위이성일청파
9.12서울1군1800m1위임대규(흥부)
10.25서울문화관광부장관배1군2000m1위이성일(클래식리절트)
11.28서울1군1800m1위박을운(클라이딘스플렌더)
12.13서울그랑프리1군2300m1위이성일(울프사일런서)
1999년 (7세)
1.24서울1군1800m1위박을운(싹스킹)
2.21서울1군1800m1위(강타)
3.20서울1군1700m1위(오션드림)
4.25서울마주협회장배1군2000m4위이성일울프사일런서
5.8서울1군1700m1위문정균(화이어어웨이)
6.26서울1군1700m2위아담
7.24서울1군1800m1위(장대한)
8.22서울1군1800m1위박을운(그린라이트)
9.12서울특별1군2000m1위박태종(오데인드)
10.24서울문화관광부장관배1군2000m8위이성일글라이딩투댈러스
11.21서울1군1900m1위박을운(라이샤워)
12.12서울그랑프리1군2300m7위새강자[1]
2000년 (8세)
1.15서울1군1800m1위박을운(흑성)
2.13서울1군1700m1위(승문교)
3.11서울1군1800m1위원정일(머스코카프라스펙)
4.2서울1군1700m1위(샤이닝타임)
5.28서울ACJ트로피1군1800m4위박을운다함께
6.24서울1군1700m1위원정일(클래시돌)
7.22서울1군1900m5위원정일샤이닝타임
10.8서울1군1800m1위원정일(콤비네이션)
11.18서울1군1900m1위박태종(클래식리절트)
12.23서울1군1900m7위원정일대견
2001년 (9세)
3.10서울1군1800m1위박태종(울프사일런서)
4.14서울1군1800m7위박을운글라이딘스플렌더
5.19서울1군1900m2위박태종차령장군
6.30서울1군1900m2위더스파이커
7.28서울1군1900m1위박을운(오세아니안드림)
8.26서울1군1900m2위박태종포트오먼
9.22서울1군1900m5위정신력
11.24서울1군1900m1위김옥성(힘찬고동)
12.23서울1군2000m2위김혜성배리씰
2002년 (10세)
1.27서울외12000m3위김혜성다함께
2.23서울외12000m2위더스파이커
3.30서울외11900m2위퍼스트코트
4.21서울외12000m1위이성일(정신력)
5.19서울외12000m1위(애증)
6.23서울외11400m9위스트라이크테러
9.14서울외11900m1위고홍석(은유정상)
10.19서울외11900m1위(스트라이크테러)
11.24서울외12000m6위태성
2003년 (11세)
1.25서울외11900m10위고홍석미네럴워터
2.22서울외11900m11위한상규미네럴워터
3.15서울외11900m1위(스타퓨필)
4.20서울외12000m7위김효섭토창고
5.25서울외11800m3위이성환아일랜드피버
6.21서울외11900m11위서도수골드머니
7.12서울외11900m3위[2]김효섭스포런


파일:krawci.png 그랑프리
()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1982
연안부두
1983
금란초
1984
암말자격루
1985 · 1986
포경선
1987
청하
1988
왕방울
1989
차돌
1990 · 1991
암말가속도
1992
암말춘풍
1993
기쁜소식
1994
지구력
1995
대견
1996
암말훌라밍고
1997
풀그림
1998
신세대
1999
새강자
2000
암말즐거운파티
2001
다함께
2002
보헤미안버틀러
2003
템피스트웨스트
그레이드제 도입후, GI 지정
2004
밸류플레이
2300m로 거리변경
2005
섭서디
2006
플라잉캣
2007
밸리브리
2008 · 2009
동반의강자
2010
부산경남미스터파크
2011
터프윈
2012
부산경남(암말)감동의바다
2013
부산경남인디밴드
2014
부산경남경부대로
2015
부산경남볼드킹즈
2016
클린업조이
2017
부산경남파워블레이드
2018
부산경남트리플나인
2019
문학치프
2020
취소
2021
행복왕자
2022 · 2023
부산경남위너스맨



파일:krawci.png 농림축산식품부장관배
()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문화관광부장관배
1993
고대산
1994
대견
1995
금맥암말
1996
신세대
1997
풀그림
1998
신세대
1999
글라이딩투댈러스
2000
다함께
농림부장관배
2001
무비동자
2002
해암장군암말
2003
기립환호
그레이드제 도입후, GII로 지정
2004
무패강자
2005
가문영광암말
2006
백광
2000m로 거리변경
2007
제이에스홀드
농림수산식품부장관배
2008
개선장군부산경남
2009
남도제압부산경남
2010
당대불패 부산경남
2011
동서정벌부산경남
2012
지금이순간
농림축산식품부장관배
2013
메이저킹부산경남
2014
네버신비포부산경남
2015
록밴드부산경남
2016
파워블레이드부산경남
2017
영광의헌터부산경남
2018
월드선부산경남
2019
록초이스부산경남
2020
터치스타맨부산경남
2021
히트예감부산경남
2022
캡틴양키부산경남
2023
글로벌히트부산경남



파일:krawci.png KRA컵 클래식
()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한국마사회장배
1985
파수병
1986
진격
1987
평도
1988
적극성
1989
차돌
1990
정상
1991
보은
1992
오류천
1993
대왕
1994
암말한계돌파
1995
지구력
1996
대견
1997
아담
1998
미스터헬로
1999 ~ 2001
새강자
2000m 경주로 변경
2002 · 2003
쾌도난마
그레이드제 도입후, GIII 선정
2004
무패강자
2005 · 2006
밸류플레이
KRA컵 클래식
2007
암말포킷풀어브머니
2008
암말플라이퀸
2009
암말탑포인트
2010
터프윈
2011
에이스갤러퍼
2012
싱싱캣
2013
마리대물
2014
삼정제왕
GII 승격 이후
2015
치프레드캔
2016
클린업조이
2017 · 2018
청담도끼
2019
돌콩
2020
취소
2021
부산경남미스터어플릿
2022
라온더파이터
2023
위너스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00:45:41에 나무위키 신세대(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90년대에서 2000년대 초를 호령했던 한국명마로 국내산마 최초로 그랑프리를 우승하였으며 통상 7번의 대상경주를 우승하였다.[2] 일성과 동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