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시왕(부여)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부여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모수왕부루왕금와왕대소왕
해두국갈사국
말대초대제2대제3대
해두왕갈사왕 1세갈사왕 2세도두왕
중국사서
초대시조계보 미상칭왕 초대
영품리왕동명왕부여왕
계보 미상초대제2대제3대
시왕부태왕위구태왕
제4대제5대제6대제7대
간위거왕마여왕의려왕의라왕
제8대제9대계보 미상말대
현왕울왕잔왕
졸본부여
말대말대
연타발추모성왕
남부여문헌상 언급두막루
초대왕족수령
성왕위거낙개제





[ 펼치기 · 접기 ]

원삼국시대 이전
단군조선위만조선진국삼한연맹
단군역대 군주진왕천군
예맥
부여예맥족장최씨낙랑국비류국
역대 군주남려최리송양
고리국졸본부여비류백제온조백제
영품리추모비류온조
마한
초대제2대제3대제?대
준왕마한왕 2세마한왕 3세마한왕
진한
실직국감문국골벌국음즙벌국
안일왕금효왕아음부타추간
진한변한탐라
사로국금관국반파국탐라국
거서간김수로이진아시역대 군주




부여 초대 군주
始王 | 시왕
출생연대 미상
부여
사망연대 미상
부여
능묘미상
재위기간초대 군주
136년 전후
[ 펼치기 · 접기 ]

성씨해(解)
시(始)?
부친불명
모후불명
왕후불명
왕자해위구태
왕호시왕(始王)


1. 개요
2. 문헌



1. 개요[편집]


부여의 군주로 위구태왕의 아버지이다. 동명(東明), 선대 부여왕과의 관계는 불분명하며, 왕위는 아들인 위구태가 아닌 친족인 부태가 계승했다. 후한 안제 시기 낙랑을 노략질했으며 이후 태자 위구태를 후한에 보내 조공을 바쳤다. 136년에는 직접 한나라를 방문했다.


2. 문헌[편집]


夫余王始將步騎七八千人寇抄樂浪,殺傷吏民,後復歸附。

안제 영초(永初) 5년(A.D. 111; 고구려 태조대왕 59)에, 부여 왕이 처음으로 보병(步兵)과 기병 7~8,000명을 거느리고 낙랑을 노략질하여 관리와 백성을 죽였으나, 그 뒤에 다시 귀부(歸附)하였다.

永寧元年, 乃遣嗣子尉仇台詣闕貢獻, 天子賜尉仇台印綬金綵.

영녕(永寧) 원년(120년), 사자(嗣子) 위구태(尉仇台)를 보내 예궐하고 공헌하니, 천자는 위구태에게 인수(印綬)와 금채(金彩)를 내렸다.

順帝永和元年,其王[1]

來朝京師,帝作黃門鼓吹,角抵戲以遣之。

순제(順帝) 영화(永和) 원년(136)에 그 왕이 경사(京師, 도읍)에 와서 조알하니, 순제[帝]가 황문고취(黃門鼓吹)와 각저희(角抵戲)로써 이에 돌려보냈다.

후한서》 <동이열전>(東夷列傳)

'夫余王始'라는 구절이 '부여의 왕 시'라고 해석될 수도 있고, '부여의 왕이 비로소(처음으로)'라고 해석될 수도 있기에 논란이 있다. 일단 해당 문서에는 이름으로 적혀있다.

일단 始를 음차로 쓴 예가 거의 없는 데다가 고구려의 인명은 절대 다수가 2자 이상이거나 1자인 경우, 음차를 다르게 하든지 성을 붙이든지 해서 문건에는 꼭 2자로 기록하고, 문맥적으로 "처음 공격한 것"이 맞기 때문에 이름이 아닌 것으로 본다. 이전에는 부태왕으로 본다는 의견이 있었으나 111년과 167년 사이에는 56년 간의 기간차가 있어서 맞지 않다.

물론 비슷한 시기 재위했던 차대왕의 재위기간이 121년 ~ 165년이고, 그 동생인 신대왕이 다시 179년까지 재위하는 것을 감안하면 111년에 재위 극초반, 167년에 재위 극후반이었던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 '시'(始)를 파자해서 보자는 의견도 있으나 문건이 세로쓰기로 쓰여졌음을 고려했을 때 가능성이 없다. 그냥 부사로 쓰인 것이 맞는 것 같다. 국사편찬위원회에서도 '시'(始)를 고유명사가 아닌 부사로 처리했다.

[1] 앞에 나온 명사를 다시 받는 대명사이다. 앞 문장에서는 주어가 생략되어 있는데 그 앞 문장과 인과관계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그 왕"은 시왕을 뜻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13:25:05에 나무위키 시왕(부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