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SPL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스코틀랜드의 축구 리그에 대한 내용은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문서
스코티시 프리미어십번 문단을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부분을
, SPC그룹의 계열사에 대한 내용은 SPL(SPC그룹) 문서
SPL(SPC그룹)번 문단을
#s-번 문단을
SPL(SPC그룹)#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파일: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로고.png
[1]

1. 설명
2. 역대 대회 전적[2]
3. 역대 우승 횟수
4. 기타 기록
4.1. 역대 100승 달성 순서
4.2. 역대 프로리그 통산 다승 순위
4.3. 역대 프로리그 경기수
4.4. 역대 무승부 경기 목록
5. 역대 다승왕(최다승), MVP, 신인왕, 감독상
6. 역대 로고
7. 역대 프로리그 대회들
8. 올스타전
9. 시즌별 중계진
9.3.1. 온게임넷
9.3.2. MBC GAME
9.6.1. 온게임넷
9.6.2. SPOTV[3]


1. 설명[편집]


2003년 3월 1일부터 2016년 10월 18일까지 KeSPA가 개최한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의 최대규모 팀 단위 e스포츠 리그.

원래는 온게임넷이 주관하는 대회였으나, 경기수 과다로 인한 선수혹사와 시청률 불균등 현상 등을 이유로 온게임넷의 프로리그와 MBC GAME팀리그를 통합하여 만들어지면서 스타크래프트의 대표적인 팀단위 리그로 거듭났다.[4][5] 또한 KPGA도 KeSPA로 조직을 개편하면서 이 흐름이 12-13 시즌까지 이어져 왔다.

2003년 KTF EVER 프로리그네오위즈 피망컵 프로리그에서는 1세트와 3세트는 개인전, 2세트는 팀플레이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경기는 승부에 관계없이 무조건 3경기를 치렀다. 하지만, 2:0 상황이 돼버린다면 이미 승패가 갈린 상황이라 세트 득실까지 가지 않는 이상 지루한 경기가 나올 수밖에 없었고, 결국 피망 프로리그는 같은 날 MBC GAME에서 진행했던 KT-메가패스 네스팟 프리미어 리그에게 시청률로 처참하게 관광당했다.[6][7]

그래서 2004년 SKY 프로리그는 대대적인 개편을 하게 되는데 정규 시즌은 전 시즌과 같은 3전 2선승제지만 2:0이 나오면 그대로 종료가 되는 것으로 변경되었으며 또한 승수가 동률일 경우 세트득실차(승리 세트 수 - 패배 세트 수)를 통해서 순위를 가렸다. 당시 세트제 스포츠의 경우 승수가 동일하다면 세트승률(승리 세트 수 ÷ (승리+패배) 세트 수) 혹은 이를 기반으로 한 세트득실비(승리 세트 수 ÷ 패배 세트 수)[8]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라서, 이 제도는 당시로써는 생소한 개념이었다. 실제러 현재까지도 테니스는 세트승률을, 배구는 세트득실비를 여전히 쓰고 있다.

세트득실비를 기준으로 하지 않은 이유는, 세트득실비의 경우 상위권으로 갈 수록 하 세트를 패하는 것이 리스크가 매우 커지기 때문이다.[9] 모든 세트가 거의 같은 조건에서 시행되는 기성 스포츠와 달리 스타크래프트는 맵 상성 요소로 인해 각 세트별로 조건이 매우 상이해 업셋이 잘 발생하므로 기존의 세트득실비로 할 경우 논란이 생길 여지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세트득실차가 도입된 것이다. 이 리그의 성공으로 대부분의 세트제 e스포츠에서는 기존 기성 스포츠와 달리 세트득실차가 세트득실비를 밀어내고 주류 타이브레이커로 자리잡게 되었다. 각 라운드 우승팀과 1~3라운드에서 가장 좋은 정규 시즌 성적을 보여준 와일드카드 한 팀, 이렇게 네 팀이 그랜드 파이널을 진행하는 방식이었다. 그리고 1라운드는 1세트가 팀플레이, 2라운드는 2세트가 팀플레이, 3라운드는 3세트가 팀플레이로 진행되었다.

2005년부터 전후기제가 도입되었고[10], 이후 2006년과 2007년까지는 전기리그+후기리그+통합 챔피언전 체제로 나갔으며 5세트에 개인전 3경기 팀플 2경기로 한 경기를 치렀고, 플레이오프나 결승에서는 7세트에 개인전 4경기 팀플 3경기 방식으로 치렀다. 이후 팀플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어 2006 시즌부터는 팀플 경기 수가 정규 시즌에는 1경기로, 플레이오프에서는 2경기로 대폭 줄어든다. 그리고 2007년에는 다소 프로리그가 격변의 시기를 맞이하는데, 우선 연초에는 한국e스포츠협회가 중계권이 자신들에게 있다고 주장하게 되면서 양대 방송사와 갈등을 빚었던 위기의 시기였다. 이는 프로리그 중계권 사태를 참조하면 된다. 그리고 게이머들의 경기력 향상과 더불어 시청자들의 관심도를 높이기 위해, 사전 엔트리 예고제가 도입되고, 토, 일, 월, 화, 수로 주 5일 동안 진행하게 되었다.

2008년에는 프로리그의 전통이었던 광안리 결승에 대한 주목도를 높이기 위하여 연간 프로리그 체제를 구축하게 되었다. 그래서 2008년 전반기에는 전기리그가 아닌 그냥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로 반년 동안 진행하게 된다. 2008년 10월 4일부터 08-09 시즌으로 개편, 5라운드의 풀 리그로 진행하기로 하고, 1, 2, 4, 5라운드는 기존 사전 엔트리 예고제 방식으로 진행되지만 3라운드는 위너스 리그라는 이름으로 과거 MBC GAME 팀리그의 향수를 불러 일으키고자 팀배틀 방식을 도입하였다. 위너스 리그는 독립적으로 순위를 정하여 위너스 리그만의 포스트 시즌을 진행하기도 하였다.[11]

명칭은 다른 수식어 없이 '스폰서 이름+프로리그'라는 형태로 오랫동안 유지되었다. 이것은 온게임넷이 처음 KTF EVER Cup 프로리그를 시작할 때 '프로' 팀들이 참여하는 리그라는 의미로 '프로리그'라는 명칭을 사용한 게 그대로 이어진 것. 결국엔 지적재산권 문제로 인해 공식 명칭이 '프로리그'에서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로 변경되었고,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부터는 항상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라고 지칭하게 되었다.

2010년 최대 위기를 맞았다. 신한은행과의 스폰서 기간도 종료되었을 뿐만 아니라 eSTRO 팀을 맡고 있는 IEG가 e스포츠 시장에서 손을 떼었고[12] 팀도 해체되었으며, 조정웅, 조규남, 하태기 감독 등이 팀을 떠났다. 설상가상으로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 사건이 터졌고, 그 여파로 선수들이 많이 연루된 하이트 스파키즈까지 CJ 엔투스에 흡수되어 사라졌다.[13] 거기에 KeSPA와 그래텍과의 협상도 결렬 상태에 빠지며 당장 10-11 시즌에 프로리그의 개최 여부조차 의문시되고 있다.

KeSPA는 그래텍과의 협상이 결렬되자 프로리그 강행도 불사하겠다고 하고 있으나, 만에 하나 실천에 옮길 경우에는 오히려 멸망을 재촉하게 될 것으로 보였다. 협상을 전제로 하고 있는 리그 마치라고 유예 기간까지 준 상황인데 KeSPA가 프로리그를 강행하는 것을 그래텍이 봐줄리 만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결국 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되면서 리그 파행이라는 최악의 사태는 면했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화승 오즈위메이드 폭스가 게임단 운영에 손을 떼었고, MBC GAME HERO도 모기업의 음악 방송 전환으로 인해 해체되었다. 다행히도 KeSPA가 해체된 팀들의 우수 선수들을 따로 모아서 제8게임단을 만들어 일단 한숨을 돌리게 되었다. 이러한 부침의 시기 동안 오랫동안 열리지 않았던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는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으로 재개되었고, 이 리그는 브루드 워만으로 진행된 마지막 프로리그가 되었다.

이후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시즌 2스타크래프트 2가 붙었다는 것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브루드 워에서 스타크래프트 2(자유의 날개)로 전환됨을 천명하는 리그였다. 다만 기존 팬층의 급격한 이탈을 우려, 전반 브루드 워, 후반+에결 스타 2로 진행하는 병행 방식이라는 초유의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데일리E스포츠 이러한 진행 방식에 대해서 기존 브루드워, 스타 2 팬층 모두 의구심을 드러냈으나, 어차피 스타 2로 전환해야 할 상황에서 브루드 워 시절의 팬들을 한 명이라도 더 끌고오는 게 이득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하지만 병행의 결과는 결승전의 관객 수에서 나타나듯이[14] 흥행 참패로 나타났고 여러 프로 팀들이 해체설이 돌거나 정말로 해체를 선언하는 마당에 앞으로 프로리그가 정상적으로 열릴 수 있을 지는 미지수로 보였다.

이후 스타 2로 완전 전환된 첫 시즌인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12-13부터는 다시 7전 4선승제와 연간 프로리그로 진행되었다. 또한 이 시즌부터 SPOTV가 프로리그 중계에 참여하여 평일을 담당, 인텔 e-스타디움을 경기장으로 활용했다. 물론 주말에는 온게임넷이 기존의 용산에서 진행. 그리고 후반 라운드부터 자유의 날개에서 군단의 심장으로 넘어갔다. 이 리그의 경우 결승을 마지막으로 팀을 해체한 STX SouL웅진 스타즈의 맞대결이 흥미진진하게 펼쳐지면서 결승 폭망은 면했지만, 페넌트레이스 기간 동안 관객 수가 손에 꼽을 정도로 적은 것이 훤히 보일 정도로 처참한 시즌이기도 했다. 특히 처음으로 프로리그 중계를 맡은 SPOTV는 인텔 e-스타디움의 열악한 여건+김철민, 한승엽, 유대현의 처참한 해설[15] 등으로 온게임넷과 비교당하며 극딜당하기 일쑤였다. 그렇게 첫 시즌부터 호된 신고식을 치른 SPOTV는...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4에서는 온게임넷이 자신들이 만들어 낸 프로리그의 중계에서 손을 떼는 대격변이 일어나면서, 지난 시즌 함께 프로리그를 중계했던 SPOTV가 단독으로 중계하게 되었다. 아울러 SPOTV 또한 eSTRO 시절을 잊지 않았는지 e스포츠에 대한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이번 시즌부터는 SPOTV의 게임 전문 채널 SPOTV GAMES에서 프로리그의 전 경기를 중계하게 되었다. 아울러 경기장 또한 넥슨과 반반 출자를 통해 만들어진 넥슨 아레나로 전환.

한편 e스포츠 연맹에서 탈퇴한 3팀이 합류하여 다시 8팀 체제가 되었으며, 선수층이 얇아진 일부 팀들의 사정을 감안해 7전 4선승제에서 다시 5전 3선승제로 복귀하였다. 이번 시즌에서 SPOTV GAMES는 준수한 운영 능력으로 페넌트레이스에 이어, 통신사 매치라는 희대의 결승 대진을 세빛섬에서 야외 중계로 성사시키며 프로리그 부활의 신호탄을 쏘았단 평가를 받았다. 아울러 유대현, 고인규 해설의 성장이 돋보였고, 스2에 조예가 깊은 채민준 캐스터의 발굴 또한 커다란 성과. 이유라는... 그냥 잊자

2015 시즌 또한 SK텔레콤이 스폰을 맡게 되었고, SPOTV GAMES 단독중계인 것도 동일하다. 다만 해외대회 출전을 고려하여 월, 화 평일에만 중계되며, 김철민 캐스터는 프로리그에서 하차하여 고채유 조합으로만 진행된다. 아울러 KeSPA에서는 해외 팀들의 프로리그 참여 검토에 나섰다.[16] 실제로 KeSPA에서는 팀리퀴드 사이트에 해외 팀들의 프로리그 참전과 관련해서 의견을 묻는 글을 올리는 것으로 반응을 살피고 있다.[17]

결과적으로 해외 팀 참여는 연합 형식으로 참여한 yoe Flash Wolves 뿐이었다. 역시 비협회팀으로, 프로리그에 처음 참여하는 StarTale과 연합을 구성하여 ST-Yoe로 출전한다. MVP의 경우, Invasion eSports와의 연합이 예상되었으나 없던 일이 되었다.

군단의 심장으로 치르게 된 2016 시즌은 역대 최소 구단(7구단)으로 프로리그를 치뤘고, 시즌 초부터 시즌 후반까지도 악재가 쌓이고 겹쳐서 정말 굉장히 서러운 대회가 되었다.

여담으로 스타2로 완전히 전환한 프로리그 (프로리그 12-13) 이후 우승팀의 모기업들이 (통신사가 아니면) 나름대로의 잔혹사를 쓰고 있다는 징크스가 있다. 12-13 당시 우승팀이었던 STX SouL은 우승 후 바로 모기업인 STX가 폭망해버렸고, 그 해 준우승팀이었던 웅진 스타즈마저도 시즌 후 웅진그룹(정확하게는 그 안의 계열사인 웅진홀딩스와 극동건설)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팀이 없어졌다. 그리고 이후 대회에서는 통신사 팀들이 결승진출/우승을 하면서 (2014 SKT:KT - KT 우승 / 2015 SKT:진에어 - SKT 우승) 징크스가 없는 듯 했으나[18], 2016 시즌 진에어 그린윙스의 프로리그 우승 이후 모기업인 한진그룹이 한진해운 법정관리 사태를 일으키며 폭망조짐이 보이면서 이 징크스가 다시 언급되는 상황.

2016년 10월 18일 결국 KeSPA에서 프로리그의 종료를 선언했다. 기사 이에 따라 스타 2 프로게임단인 SK텔레콤 T1, kt 롤스터, CJ 엔투스, 삼성 갤럭시, Afreeca Freecs[19]의 운영이 종료되며, 그로 인해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로 진행되었을 때부터 온게임넷을 통해 프로리그를 봐왔던 팬들은 여러 아쉬움으로 각종 사이트에서 눈물을 흘리고 있다. 진에어 그린윙스[20], MVP[21]는 존속된다지만 사실상 프로리그 폐지와 함께 대다수 구단들도 스타2 부문 해체에 들어가면서 수많은 선수들과 코칭 스태프들의 거취가 불분명한 상황.

프로리그의 폐지로 인해 이미 김명식오버워치로 종목 전향을 하는 등 주축 선수들의 대규모 은퇴, 종목 전향으로 인한 리그 규모 축소가 기정사실화되면서 그나마 남은 스타 2로 치러지는 양대리그의 전망조차 갈수록 어두워지고 있다. 은퇴 후 e스포츠를 떠나 군복무 후 진로를 모색하는 등 다른 길을 찾아갈 수도 있겠으나, 사실상 지속적으로 스타2를 하려면 한국에서 몰락한 워크래프트 3 종목의 장재호, 박준 등과 비슷하게 자신의 주 종목의 해외 대회를 찾아 다녀야 할 처지이다. 그러나 RTS 장르 자체가 2000년대 후반부터 쇠퇴를 거듭한 끝에 해외에서도 스타2 리그가 많이 줄어든 상황이라 쉽지는 않을 전망이다. 특히 워3 같은 경우는 중국에서 리그들이 크게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스타2는 중국에서도 부진한 상황이다.

그나마 전직 선수들이 아프리카에서 스타2보다는 스타1로 방송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과 스타2 리그를 지속하기보다는 스타1 리그 부활을 원하는 올드팬들도 있어서 스타2 선수들이 대규모로 개인방송을 시작하며 스타1으로 재진출할 수도 있고, ASL이 지속적으로 열리며 스타1도 리마스터 버전이 출시되었지만 기존의 선수들과 올드팬들을 제외하면 새로운 선수들이나 팬들의 유입도 사실상 끊겼기 때문에 리그의 지속성을 보장할 수 없는데다 스타2 게임단들이 스타1 재전환이 아닌 운영 종료나 오버워치 등 다른 종목으로 전환을 고려하고 있다는 점을 보면 이는 스타1의 공식리그가 부활할 가능성이 낮은 것을 의미하기에 스타1, 2를 막론하고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자체가 저물어 간다는 것에 안타까움을 표하는 팬들이 대부분이다. 설령 다시 프로팀이 창설 된다 한들, 스타1 게이머 수급도 부족한데다, 팀별 밸런스, 또 이에 참여할 의사가 없는 전 프로게이머들 등의 문제로 프로리그가 다시 재개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22]


2. 역대 대회 전적[23][편집]


횟수연도스폰서대회명우승스코어준우승
12003KTF EVER온게임넷 프로리그동양 오리온4:1한빛 스타즈
2네오위즈 피망슈마 GO4:1투나 SG
32004SKY한빛 스타즈4:2팬택앤큐리텔 큐리어스
42005프로리그SK텔레콤 T14:2KTF 매직엔스
52006MBC GAME HERO4:3SK텔레콤 T1
62007신한은행르까프 오즈4:1삼성전자 칸
72008삼성전자 칸4:1온게임넷 스파키즈
82008-09SK텔레콤 T14:0
4:3
[24]
화승 오즈
92009-10kt 롤스터4:2SK텔레콤 T1
102010-114:3
112011-12SK플래닛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SK텔레콤 T14:3kt 롤스터
122012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시즌 2CJ 엔투스2:0삼성전자 칸
132012-13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STX SouL4:2웅진 스타즈
142014SK텔레콤kt 롤스터4:2SK텔레콤 T1
152015SK텔레콤 T14:2진에어 그린윙스
162016진에어 그린윙스4:0[25]kt 롤스터


3. 역대 우승 횟수[편집]


||
[ 펼치기 · 접기 ]


파일: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로고 투명 ver.pngStarCraft
ProLeague

역대 준우승팀
||
[ 펼치기 · 접기 ]


우승준우승우승 년도준우승 년도
SK텔레콤 T17회4회2003 KTF EVER, 2005 전기리그, 2005 후기리그,
2006 전기리그, 08-09, 2012 시즌1, 2015
2004 1라운드, 09-10, 10-11, 2014
kt 롤스터3회4회09-10. 10-11, 20142004 3라운드, 2005 전기리그, 2012 시즌1, 2016
CJ 엔투스2회2회2003 네오위즈 피망, 2012 시즌22006 후기리그, 2007 후기리그
삼성 갤럭시2회2회2007 전기리그, 20082005 후기리그, 2012 시즌2
화승 오즈1회2회2007 후기리그2007 전기리그, 08-09
웅진 스타즈1회2회2004 1라운드2003, 12-13
하이트 스파키즈1회1회2004 3라운드2008
MBC GAME HERO1회1회2006 후기리그2006 전기리그
위메이드 폭스1회1회2004 2라운드2003 네오위즈 피망
STX SouL1회1회12-132004 2라운드
진에어 그린윙스1회1회20162015


4. 기타 기록[편집]



4.1. 역대 100승 달성 순서[편집]


기준 : 프로리그 예선[26]&포스트 시즌 제외, 개인전&팀플 승 합산.

순서선수와 그 상대개인전팀플달성일자
1박정석 (vs 박지수)34662009.4.21
2이제동 (vs 이경민)10002009.6.1
3이영호[27] (vs 마재윤)10002009.12.6
4김택용 (vs 신노열)85152009.12.19
5염보성 (vs 정종현)9372009.12.20
6송병구 (vs 김명운)10002009.12.23
7김윤환 (vs 우정호)76242010.1.19
8윤용태 (vs 신상문)10002010.2.6
9김구현 (vs 구성훈)90102010.3.7
10이재호 (vs 김택용)9282010.4.21
11신상문 (vs 윤용태)10002010.5.15
12이윤열 (vs 신재욱)81192010.6.26
13오영종 (vs 김구현)9192010.7.4
14김명운 (vs 이영호)9282011.1.26
15구성훈 (vs 김재훈)9732011.2.23
16정명훈 (vs 최용주)10002011.3.16
17변형태 (vs 진영화)78222011.3.20
18이성은 (vs 윤용태)9732011.6.27
19도재욱[28] (vs 이성은)10002011.6.29
20허영무[29] (vs 변형태)10002012.5.20
21신노열 (vs 조성호)9462012.6.25
22김정우 (vs 김성대)9732012.8.12
23김재훈 (vs 허영무)9552013.4.28
24김대엽 (vs 김재훈)10002013.4.30
25전태양 (vs 변영봉)10002013.5.13
26김민철[30] (vs 조성주)10002014.1.20
27이신형[31] (vs 황강호)10002015.8.24
28김준호 (vs 이병렬)10002016.7.3
29주성욱[32] (vs 서성민)10002016.7.10


4.2. 역대 프로리그 통산 다승 순위[편집]



파일: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로고 투명 ver.pngStarCraft
ProLeague

역대 통산 다승
TOP 10
||
[ 펼치기 · 접기 ]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프로리그 [1]
순위이름승률종족
1Jaedong
이제동
22710069.4%파일:저그아이콘.png
2FlaSh
이영호
2187474.7%파일:테란아이콘.png
3Bisu
김택용
1928469.6%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4Stork
송병구
17911660.7%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5Sea
염보성
16910960.8%파일:테란아이콘.png
6Light
이재호
15411557.2%파일:테란아이콘.png
7GooJila
김구현
15212954.1%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8Calm
김윤환
15012554.5%파일:저그아이콘.png
9Leta
신상문
1458962.0%파일:테란아이콘.png
10free
윤용태
14311555.4%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1] 기준 : 프로리그 예선 (2003 KTF EVER 예선, 2003 Neowiz Pmang 예선) 및 포스트시즌 제외, 팀플레이 포함.
※ 팀플레이를 제외한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프로리그 역대 개인전 다승 순위는 해당 문서를 참고.




파일: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로고 투명 ver.pngStarCraft2
ProLeague

역대 통산 다승
TOP 10
||
[ 펼치기 · 접기 ]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1]
순위이름승률종족
1herO
김준호
954866.4%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2Zest
주성욱
844863.6%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3sOs
김유진
804564.0%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4FlaSh
이영호
775558.3%파일:테란아이콘.png
5Stats
김대엽
713467.6%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6Rain
정윤종
643266.7%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7INnoVation
이신형
623464.6%파일:테란아이콘.png
8TY
전태양
615353.5%파일:테란아이콘.png
9RorO
신노열
543362.1%파일:저그아이콘.png
10soO
어윤수
533361.6%파일:저그아이콘.png
Dear
백동준
534156.4%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1] 기준: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시즌 2부터 시작.




스타크래프트 1 프로리그 통산 다승 순위
순위선수승률종족
1이제동22710069.4%Z
2이영호2187474.7%T
3김택용1928469.6%P
4송병구17911660.7%P
5염보성16910960.8%T
6이재호15411557.2%T
7김구현15212954.1%P
8김윤환15012554.5%Z
9신상문1458962.0%T
10윤용태14311555.4%P
11김명운13712252.9%Z
12정명훈1308460.7%T
13구성훈1149355.1%T
14도재욱1128556.9%P
15변형태1119055.2%T
16박정석1099952.4%P
17오영종10711049.3%P
18이성은1069552.7%T
19허영무10510051.2%P
20이윤열1017657.1%T
21박상우9910349.0%T
22신노열978952.2%Z
23김정우915761.5%Z
-박명수917255.8%Z
24박성균908950.3%T
25전상욱836456.5%T
-진영수818150.0%T
26전태양806455.6%T
27박영민797451.6%P
28김대엽785558.6%P
-마재윤767650.0%Z
29김재훈759045.5%P
30신대근748446.8%Z

스타크래프트 1 프로리그 개인전 다승 순위
순위선수승률종족
1이제동22710069.4%Z
2이영호2187474.7%T
3송병구17911660.7%P
4김택용1777669.9%P
5염보성16210560.7%T
6이재호14610957.3%T
7신상문1458962.0%T
8윤용태14311555.4%P
9김구현14212353.6%P
10정명훈1308460.7%T
11김명운12911852.2%Z
12김윤환12610255.3%Z
13도재욱1128158.0%P
14구성훈1118855.8%T
15허영무10510051.2%P
16이성은1039452.3%T
17박상우9910349.0%T
18오영종989949.7%P
19신노열918751.1%Z
20박성균908950.3%T
21변형태897653.9%T
22김정우885462.0%Z
23이윤열827053.9%T
24박찬수815957.9%Z
전상욱816057.4%T
26전태양806455.6%T
27김대엽785558.6%P
28박영민747151.0%P
29진영화735955.3%P
30고석현718047.0%Z
31김재훈708046.7%P

스타크래프트 1 프로리그 팀플 다승 순위
순위선수승률종족
1박정석663168.0%P
이창훈665156.4%Z
3홍진호492863.6%Z
4강도경484054.5%Z
신정민484850.0%Z
6박성훈474352.2%P
7심소명392461.9%Z
8윤종민362262.1%Z
주진철363451.4%Z
10이재항341668.0%Z

포스트시즌
순위선수승률종족
1김택용191261.3%P
2정명훈17770.9%T
3이영호17965.4%T
4염보성14670.0%T
고강민14670.0%Z
이제동14766.7%Z
7송병구13668.4%P
8이재호131252.0%T
9조병세12475.0%T
10김대엽10758.8%P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개인전 다승 순위
순위선수승률종족
1김준호954866.4%P
2주성욱844863.6%P
3김유진804564.0%P
4이영호775558.3%T
5김대엽713467.6%P
6정윤종643266.7%P
7이신형623464.6%T
8전태양615353.5%T
9신노열543362.1%Z
10어윤수533361.6%Z
백동준534156.4%P
12이병렬504055.6%Z
13조성주492665.3%T
14김민철482962.3%Z
조성호483855.8%P
16김도우473061.0%P[34]
17한지원433158.1%T
18김도욱404547.1%T
19김정우394248.1%Z
20허영무382659.4%P
21정명훈373055.2%T
신동원373948.7%Z
23정우용363650.0%T
24송현덕353649.3%P
25송병구334343.4%P
26김재훈302851.7%P
27이제동293247.5%Z
28노준규281663.6%T
29윤용태271860.0P
30고병재261366.7%P


4.3. 역대 프로리그 경기수[편집]


종목종류예선본선총합
스타크래프트개인전6378567919
팀플레이2810341062
스타크래프트 2개인전26872687

연도별예선정규시즌기타[35]포스트시즌
1vs12vs21vs12vs21vs12vs21vs12vs2
200363281346775
2004212122741712
200536025212722
200635811013924
2007795254209
20089371423111
2009142180
2010157091
2011115889
2012857[36]60[37]
2013831[38]30
20144502113
201541295
201625880

리그예선정규시즌기타[39]포스트시즌
1vs12vs21vs12vs21vs12vs21vs12vs2
KTF EVER Cup217864375
neowiz Pmang Cup4221683453
SKY 2004 1R775543
SKY 2004 2R55397486
SKY 2004 3R8021197
SKY 2004 GF99
SKY 2005 전기1309696
SKY 2005 후기210153108
SKY 2005 GF88
SKY 2006 전기181551114
SKY 2006 후기17755146
SKY 2006 통합52
신한은행 2007 전기419132115
신한은행 2007 후기409132146
신한은행 2007 통합41
신한은행 2008403132134
신한은행 08-09148880
신한은행 09-10147691
신한은행 10-11157689
SK플래닛 시즌 135035
SK플래닛 시즌 2462[40]25[41]
SK플래닛 시즌 12-13961[42]30
SK텔레콤 시즌 20144422113
SK텔레콤 시즌 201544595
SK텔레콤 시즌 201625880


4.4. 역대 무승부 경기 목록[편집]


날짜리그선수 1선수 2
2003-04-19KTF EVER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신 개마고원성학승 Z최수범 T
2003-12-13neowiz Pmang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신 개마고원김정민 T나도현 T
2004-09-08SKY 프로리그 2004 2Round머큐리제로박신영 Z
이재훈 rT
도진광 P
임정호 Z
2006-11-05SKY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블리츠박영민 P박정석 P
2006-12-04SKY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신 백두대간윤용태 P서기수 P
2007-06-26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팔진도안기효 P이승훈 P
2007-07-11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팔진도한동훈 P박종수 P
2008-05-14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블루스톰염보성 T진영수 T
2008-07-07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블루스톰이영호 T허영무 P
2011-05-23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벨트웨이오세기 T박재영 P
2012-01-15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제이드김재훈 P이경민 P
2014-02-10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4우주정거장김기현 T김민철 Z
2016-02-15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6울레나한이석 T김도욱 T


5. 역대 다승왕(최다승), MVP, 신인왕, 감독상[편집]


대회개인전 최다승[43]팀플 최다승[44]MVP신인왕감독상
선수선수정규결승
KTF EVER Cup최연성7강도경
박정석
10박정석[45]이창훈최연성주훈
neowiz Pmang Cup이병민8강도경8강도경[46]강민이병민조규남
SKY 2004 1R차재욱[47]
이재항
5강도경7강도경김선기
나도현[48]
X이재균
SKY 2004 2R차재욱
박정석
4곽동훈
박상익
심소명
6심소명이병민XX
SKY 2004 3R강민[49]
안석열
한동욱
5김갑용
장진수
조용호
주진철
홍진호
3강민차재욱XX
SKY 2004 GF이재항10곽동훈
김갑용
심소명
장진수
13차재욱박대만박종수이재균
SKY 2005 전기강민
박성준
박지호
송병구
김준영
오영종
6이창훈11강민박태민X[50]주훈
SKY 2005 후기이윤열13변형태16변형태최연성X주훈
SKY 2005 GFXXXXX박용욱XX
SKY 2006 전기이윤열9이창훈8심소명고인규이제동주훈
SKY 2006 후기이제동10김윤환9이제동박성준김구현조규남
SKY 2006 통합XXXXX염보성XX
신한은행 2007 전기윤용태17신정민13송병구송병구박정욱김가을
신한은행 2007 후기오영종17김광섭16오영종오영종배병우조정웅
신한은행 2007 통합XXXXX오영종XX
신한은행 2008이영호17손재범13이영호이성은신대근김가을
신한은행 08-09이영호
이제동
54XX김택용
이제동
정명훈조병세박용운
신한은행 09-10이영호57XX이영호이영호장윤철이지훈
신한은행 10-11김택용63XX김택용이영호정윤종박용운
SK플래닛 시즌 1이영호15XX이영호김택용백동준박용운
SK플래닛 시즌 2조성호19XX이제동김정우조성호김가을
SK플래닛 12-13이영호42XX이영호조성호송현덕이재균
SK텔레콤 2014김유진
김준호
20XX이영호조성주최연성
SK텔레콤 2015김준호
주성욱
21XX이신형박령우
SK텔레콤 2016김준호18XX조성주조지현


6. 역대 로고[편집]


파일:external/i4.ytimg.com/0.jpg
네오위즈 피망 컵 프로리그 당시의 로고. 이 당시의 로고는 스타리그 엠블럼에 색깔만 바꾼 형태였다.[51]

파일:skypl.jpg
파일:스카이 프로리그 2005 로고.jpg
파일:스카이 프로리그 2006 로고.jpg
SKY 프로리그 기간에 쓰인 로고. 이때부터 프로리그의 상징인 별이 들어가기 시작.

파일:2007proleague_logo.jpg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에 쓰인 로고. 별이 마지막으로 쓰인 로고로, 별이 더 화려해졌다.

파일:1216616091_1.jpg
파일:1224220629_1.jpg
파일:2009100802019971734019.jpg
파일:20110419_a2826042030e90170a22acd44a77ddce.jpg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부터 10-11까지의 로고. 별이 사라졌고, 신한은행의 표기가 영문에서 한글로 변경되었다.

파일:external/image.newsngame.com/WD8HG8RjaNCd7UXTXdyy.jpg
SK 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의 로고.[52]


7. 역대 프로리그 대회들[편집]



7.1. KTF EVER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편집]



7.2. neowiz Pmang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편집]



7.3. SKY 프로리그 2004 1Round[편집]



7.4. SKY 프로리그 2004 2Round[편집]



7.5. SKY 프로리그 2004 3Round[편집]



7.6. SKY 프로리그 2004 그랜드 파이널[편집]



7.7.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편집]



기존의 온게임넷 프로리그와 MBC GAME팀리그가 통합하여 이루어지는 첫 시즌.

7.8.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편집]



7.9. SKY 프로리그 2005 그랜드 파이널[편집]



7.10. SKY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편집]



7.11. SKY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편집]



7.12. SKY 프로리그 2006 통합 챔피언전[편집]



7.13.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편집]



7.14.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리그[편집]



7.15.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통합 챔피언전[편집]



7.16.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편집]



팀플레이가 마지막으로 진행된 시즌.

7.17.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편집]



팀플레이가 폐지되고 모든 경기가 개인전으로만 이루어지는 첫 시즌. 또한 위너스 리그가 처음 도입된 첫 시즌.

7.18.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편집]



7.19.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편집]



7.20.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편집]



7.21.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시즌 2[편집]



최초이자 최후의 병행리그이자, KeSPA에서 스타크래프트 2를 시작한 첫 시즌. 또한 브루드 워 마지막 시즌이자 자유의 날개 기준 프로리그 최초 시즌이다.


7.22.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12-13[편집]



자유의 날개 마지막 시즌이면서 군단의 심장 최초 시즌이자, 온게임넷에서 중계한 마지막 프로리그이다.

7.23.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4[편집]



온게임넷이 프로리그 중계를 담당하지 않는 첫 번째 시즌이자, 이전 시즌 공동 중계[55]를 맡았던 SPOTV GAMES[56]에서 처음 중계하는 시즌이다.


7.24.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5[편집]



군단의 심장 마지막 시즌.


7.25.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6[편집]



공허의 유산 최초 시즌이면서 최후 시즌이자, 최후의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이기도 하다.[57]


8. 올스타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올스타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정규시즌이 끝난 후 투표로 뽑힌 인기 선수들끼리 여는 이벤트전이다.


9. 시즌별 중계진[편집]


가독성 고려 및 검색 용이를 이유로 문단으로 나눴다.

공동 중계의 경우 하위 문단으로 구별한다.


9.1.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MBC GAME)[편집]


토, 월, 수 - 박상현, 이승원, 유대현
일, 화 - 김철민, 한승엽, 강민


9.2.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MBC GAME)[편집]


토 - 박상현, 이승원, 유대현
일 - 김철민, 임성춘 정인호
월 - 박상현, 이승원, 유대현
화 - 김철민, 임성춘, 유대현
수 - 박상현, 이승원, 정인호
토, 월 - 김철민, 유대현, 한승엽
일, 화 - 박상현, 이승원, 임성춘
수 - 박상현, 이승원, 유대현


9.3.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편집]



9.3.1. 온게임넷[편집]


토 - 전용준, 엄재경, 박용욱
일, 수 - 성승헌, 김태형, 박용욱
월 - 정소림, 엄재경, 박용욱
화 - 전용준, 김창선, 박용욱

준PO - 전용준, 박용욱, 박태민
PO - 성승헌, 박용욱, 김정민
결승 - 전용준, 박용욱, 김정민

토, 화 - 전용준, 박용욱, 김정민
일 - 성승헌, 박태민, 김정민
월 - 정소림, 박용욱, 김정민
화 - 전용준, 박용욱, 김정민
수 - 성승헌, 박용욱, 박태민


9.3.2. MBC GAME[편집]


토, 월, 수 - 박상현, 이승원, 유대현
일, 화 - 김철민, 임성춘, 한승엽
토 - 박상현, 이승원, 임성춘
일 - ?
월, 수 - 박상현, 이승원, 유대현
화 - 김철민, 유대현, 서경종
토, 수 - 박상현, 이승원, 유대현
일 - 김철민, 김동준, 서경종
월 - 박상현, 이승원, 김동준
화 - 김철민, 김동준, 임성춘


9.4.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 (온게임넷)[편집]


토 1 - 전용준, 김정민, 이승원
토 2, 수 - 성승헌, 김정민, 유대현
일 1 - 전용준, 김정민, 박태민
일 2 - 정소림, 김정민, 이승원
화 - 전용준, 이승원, 박태민


9.5.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시즌 2 (온게임넷)[편집]


토 1 - 전용준, 김정민, 이승원
토 2 - 성승헌, 이승원, 유대현
일 1 - 김철민, 김정민, 박태민
일 2 - 정소림, 김정민, 이승원
월 - 정소림, 이승원, 박태민
화 - 성승헌, 김정민, 유대현


9.6.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12-13[편집]



9.6.1. 온게임넷[편집]


토 1 - 정소림, 김정민, 이승원
토 2 - 성승헌, 이승원, 박태민
일 1 - 전용준, 김정민, 박태민
일 2 - 김정민, 이승원
토 1 - 정소림, 김정민, 이승원
토 2 - 성승헌, 이승원, 박태민
일 1 - 전용준, 김정민, 박태민
일 2 - 정소림, 김정민, 이승원


9.6.2. SPOTV[58][편집]


월~화 - 김철민, 한승엽
월 - 김철민, 유대현, 한승엽
화 - 김철민, 한승엽, 고인규


9.7.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4[편집]


1라운드 일, 월, 화 - 김철민, 유대현, 고인규
2라운드 이후 일, 화 - 김철민, 유대현, 고인규
2라운드 이후 월 - 채민준, 유대현, 고인규


9.8.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5[편집]


채민준, 유대현, 고인규


9.9.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6[편집]


채민준, 유대현, 고인규

그리고 스타크래프트 시리즈로 진행하는 마지막 프로리그가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02:35:11에 나무위키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스페셜 포스 2 프로리그와 로고를 공유했다.[2] 라운드 우승 제외.[3] 당연하지만 이 당시는 SPOTV GAMES 개국 전이다. 2014 시즌부터는 단독 중계이므로 별도 표기는 하지 않겠다.[4] 2013년에 공개된 KeSPA 역대 프로리그 전적에서는 팀리그의 기록이 제외되어 있다.[5] 팀리퀴드의 위키인 리퀴피디아프로리그 항목처럼 팀리그도 프로리그 역사의 일부로 보는 경우도 있다.[6] 최대 시청률 차이가 0.3%까지 벌어진 적이 있다는 이야기도 있는데 2003년 당시 케이블 방송에서 시청률 0.3%면 압도적인 차이다. 더군다나 당시 엠겜은 보급률에서 온겜에 한참 밀릴 때였다.[7] 이때 프리미어 리그는 초청제라서 공정성 문제가 제기되긴 했지만 리그 구도 자체가 굉장히 흥미진진했기 때문에 관심이 그쪽으로 쏠려버렸다.[8] 참고로 이것이 동일한 기준임을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세트승률을 [math(x)], 세트득실비를 [math(y)]라고 하면 [math(y= \displaystyle\frac{x}{1-x})]가 성립하며 이는 [math(0<x<1)]인 모든 [math(x)]에서 증가하므로 세트승률을 사용하나 세트득실비를 사용하나 결과늦 같다.[9] 예를 들어서 A팀과 B팀을 포함한 8개 팀이 3전 2선승제 싱글 풀 리그를 한다고 하자. 여기서 B팀이 A팀을 2:0으로 이겼으며, 나머지 6개 팀을 상대로 A팀은 1팀에게 0:2로 무기력하게 지고 나머지 5개 팀을 상대로 2:0 완승을 거둔 반면 B팀은 2팀에게 1:2로 아깝게 지고 나머지 4개 팀 중 3팀에게는 2:0 완승했으나 1팀에게 한 세트 업셋을 당하여 2:1로 이기게 되었다고 하자. 그러면 A팀과 B팀 모두 5승 2패이므로 세트득실을 따져야 하는데 A팀은 10득 4실이고 B팀은 12득 5실이다. 세트득실차 기준에서는 B팀(+7)이 A팀(+6)을 앞서지만, 세트득실비 기준에서는 오히려 A팀(2.5)이ㅣ B팀(2.4)를 앞서게 된다. B팀 입장에서는 그야말로 업셋 하나, 그것도 매치 업셋이 아닌 세트 업셋 하나로 순위가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10] 이 시즌까지는 전후기리그를 모두 치른 이후 2004년에 치렀던 그랜드 파이널 방식의 대회를 치렀다. 단, 이 당시에는 SKT T1이 전기리그와 후기리그를 모두 우승해버린 관계로 나머지 세 자리 중 두 자리를 전·후기리그 준우승 팀이었던 KTF 매직엔스와 삼성전자 칸이, 나머지 한 자리는 이 다음으로 플레이오프에 개근했던 GO가 와일드카드로 합류를 했다.[11] 참고로 위너스 리그의 결승전 중계는 MBC GAME이 전담했었다. 온게임넷은 스튜디오에서 이원 생중계를 했었고, 통합 결승전은 반대였었다.[12] 하지만 후술하듯이 스2 들어서 SPOTV를 통해 프로리그를 직접 방영하였다.[13] 정확히는 온게임넷의 모기업 온미디어CJ그룹에 인수되면서 합병된 것이다.[14] 넉넉잡아도 1000명 미만...정도로 추산된다. 삼성과 CJ의 팬층이 얇음을 감안해도 저조한 수치.[15] 그나마 고인규가 합류하면서 상황이 '조금' 나아졌지만, 아직 고인규도 해설 새내기인지라 경험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상술했듯이 중계 여건도 열악했던지라...[16] http://esports.dailygame.co.kr/view.php?ud=2014081912340923419[17] Kespa에서 Teamliquid에 올린 글과 그에 대한 사람들의 리플(의견). 다만 전부 영어다.[18] 그러나 잔혹사가 아예 없었던건 아니었던게 2014 시즌 당시, KT는 전 회장이었던 이석채 회장이 배임/횡령 혐의로 검찰조사를 받고 있었다. 현재 KT가 이석채 회장 시절 내세웠던 올레!!! olleh 브랜드를 일종의 흑역사 처리 시킨 결정적 이유가 이것. 또한 2015년 시즌 당시 SKT는 모기업 SK그룹최태원 회장이 결승전 전에 광복절 특사를 받았으나 SKT T1이 우승한 후, 내연녀 논란에 빠져버리면서 SK그룹 주주들을 혼파망에 빠트려버린 일이 있었다.[19] 해체 후인 2018년에 동명의 팀이 재창단되었다. 물론 이쪽은 전신이 StarTale인 반면에, 이쪽은 아프리카TV 쪽에서 새로 창단한 것이라 역사가 이어지지는 않는다.[20] 프로리그 폐지 이후에도 유일하게 운영되었으나, 그마저도 2020년에 해체되었다.[21] 하지만 이후 12월 4일 김기용이 개인방송을 통해 해체되었다고 알렸다. 또한 팀원들이 흩어지면서 이는 기정사실이 되었다.[22] 게다가 2020년부로 모든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게임이 KeSPA 공인 종목에서 제외되어 재개되기 더더욱 어려워졌다. 다만 스타크래프트 2와 하스스톤은 2022년 다시 일반종목으로 재선정되었다.[23] 라운드 우승 제외.[24] 프로리그 결승전 중 유일하게 1승 1패가 된 경우 최종 에이스결정전이라는 특이한 방식으로 했던 결승전이다. 자세한 것은 광삼패 문서 참조.[25] 프로리그 처음이자 마지막 7전 4선승제 결승전 4:0 셧아웃(2:0 셧아웃의 경우 전반-후반식으로 나뉜 거라서 세부 점수상으로 들어가면 복잡하다. 물론 2012 시즌 2는 문제의 그 병행시즌이라서 계산 자체가 불가능하다.)[26] 2003 KTF EVER 예선, 2003 Neowiz Pmang 예선[27] 최연소, 최단기간, 최소경기 100승 달성[28] 스타1 마지막 100승 달성.[29] 스타2 포함 첫 100승 달성.[30] 저그 마지막 100승 달성.[31] 테란 마지막 100승 달성.[32] 프로토스 마지막 100승 달성,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마지막 100승 달성.[33] 2003 KTF EVER 예선, 2003 Neowiz Pmang 예선[34] 종족 변경 전 테란으로 16경기를 함.[35] 정규시즌 동순위일 경우 순위결정전, SKY 2004 2R 9-10위 결정전, SKY 2004 3R 잔류 결정전 등.[36] 스타1 455, 스타2 402 경기[37] 스타1 46경기, 스타2 14경기[38] 지각으로 인한 몰수패 1경기 차감함, 2013-01-19 이재호vs송현덕[39] 정규시즌 동순위일 경우 순위결정전, SKY 2004 2R 9-10위 결정전, SKY 2004 3R 잔류 결정전 등.[40] 스타1 215 경기, 스타2 247 경기[41] 스타1 11 경기, 스타2 14 경기[42] 지각으로 인한 몰수패 1경기 차감함, 2013-01-19 이재호 vs 송현덕[43] 정규시즌 기준. 최다승과 다승왕은 약간 다른 개념인데 2004년엔 승수가 같다면 승률이 높은 선수가 다승왕을 수상했다. 이후엔 승률이 달라도 승수만 같으면 다승왕에 수상하게 되었다.[44] 정규시즌 기준.[45] 팀공헌상이라는 이름으로 수상.[46] 팀공헌상이라는 이름으로 수상.[47] 동승이지만 승률이 더 높은 차재욱이 다승왕 수상함.[48]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사상 유일하게 결승전 MVP를 두 명 이상의 선수가 받은 기록이다.[49] 3자 동승이지만 승률이 더 높은 강민이 다승왕 수상함.[50] 송병구가 유력했으나 신인왕 뽑지 않음.[51] 초창기 KTF 에버 컵은 다크 아콘의 이미지 옆에 스폰서명과 프로리그라는 텍스트가 적힌 형태의 로고였다.[52] 여기서 다소 아이러니한 점이 발생하는데, 초기 프로리그는 온게임넷 스타리그의 로고를 변용한 정도의 로고로 시작했다. 그런데, Starcraft 2 StarLeague의 로고는 프로리그의 로고를 변용하여 과거 온게임넷 스타리그의 3색을 가져온 정도라는 점이다. 즉, 스타리그 옆에 프로리그로 정리되는 것이 스타1 판이라면, 프로리그 옆에 스타리그(와 GSL)로 정리되는 것이 스타2 판이라는 것이 엄청난 아이러니라고 볼 수 있겠다. 그래서 스타2 팬들은 GSL이나 SSL보다 프로리그에 훨씬 예민했다.[53] 본래는 중국 상하이 세기 광장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태풍 무이파로 인해 변경되었다.[54] 참고로 스2 맵 중에서 지난 프로리그에서 사용되었던 코랄 둥둥섬의 모티브가 이곳이다.[55] 당시에는 SPOTV에서 중계.[56] SPOTV2 이원 중계 포함.[57] 2016년 10월 18일자로 프로리그가 폐지되었다.[58] 당연하지만 이 당시는 SPOTV GAMES 개국 전이다. 2014 시즌부터는 단독 중계이므로 별도 표기는 하지 않겠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