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끝장전/경기 목록/2019년

덤프버전 : (♥ 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5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5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
2. 경기 목록
2.1. 1경기
2.2. 2경기
2.3. 3경기
2.4. 4경기
2.5. 5경기
2.6. 6경기
2.7. 7경기
2.8. 8경기
2.9. 9경기
2.10. 10경기
2.11. 11경기
2.12. 12경기
2.13. 13경기
2.14. 14경기
2.15. 15경기
2.16. 16경기
2.17. 17경기
2.18. 18경기(레전드 끝장전)
2.19. 19경기
2.20. 20경기
2.21. 21경기


1. 개요[편집]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끝장전의 2019년도의 경기들이다.


2. 경기 목록[편집]



2.1. 1경기[편집]


1경기(2019.5.14)
선수승패승패선수
파일:attachment/Ticon_small.png이영호투혼파일:attachment/Picon_small.png도재욱
써킷 브레이커
메두사
콜로세움
그라운드 제로
오버워치
크로스 게임
투혼
써킷 브레이커
7결과2

2.2. 2경기[편집]


2경기(2019.5.21)
선수승패승패선수
파일:attachment/Ticon_small.png이영호메두사파일:attachment/Zicon_small.png김민철
투혼
오버워치
써킷 브레이커
콜로세움
크로스 게임
그라운드 제로
메두사
오버워치
6결과3

  • 이 경기부터 패자가 맵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 0:3으로 수세에 몰리던 이영호가 멘탈이 나갔는지 씨익 웃음을 짓더니 내리 6연승을 거둬 이겨버렸다.

2.3. 3경기[편집]


3경기(2019.5.28)
선수승패승패선수
파일:attachment/Ticon_small.png이영호콜로세움파일:attachment/Picon_small.png변현제
크로스 게임
써킷 브레이커
오버워치
그라운드 제로
투혼
메두사
써킷 브레이커
메두사
6결과3

2.4. 4경기[편집]


4경기(2019.6.9)
선수승패승패선수
파일:attachment/Ticon_small.png이영호그라운드 제로파일:attachment/Zicon_small.png김명운
투혼
써킷 브레이커
메두사
오버워치
콜로세움
크로스 게임
투혼
메두사
5결과4
  • 이 경기의 승패와 상관없이 이영호가 명예졸업을 선언[1]하면서 마지막 끝장전이 되었다.
  • 이 경기에는 +100만 원 내차팔기앱 "헤이딜러"가 스폰서로 참여했으며 상금이 2배로 지급된다.


2.5. 5경기[편집]


5경기(2019.6.11)
선수승패승패선수
파일:attachment/Ticon_small.png김성현오버워치파일:attachment/Picon_small.png장윤철
써킷 브레이커
투혼
콜로세움
크로스 게임
메두사
그라운드 제로
오버워치
써킷 브레이커
3결과6
  • 2019년 6월 11일(화)

2.6. 6경기[편집]


6경기(2019.6.18)
선수승패승패선수
파일:attachment/Picon_small.png장윤철크로스 게임파일:attachment/Zicon_small.png임홍규
투혼
오버워치
그라운드 제로
메두사
써킷 브레이커
콜로세움
그라운드 제로
써킷 브레이커
4결과5
  • 2019년 6월 18일(화)
  • 지난 번에 스폰으로 참여했던 헤이딜러가 이번주도 스폰을 맡게 되었다.
  • 이번 주는 3연승부터 연승 상금이 추가로 지급된다.[2]

2.7. 7경기[편집]


7경기(2019.6.25)
선수승패승패선수
파일:attachment/Zicon_small.png임홍규써킷 브레이커파일:attachment/Picon_small.png송병구
투혼
오버워치
그라운드 제로
콜로세움
메두사
크로스 게임
써킷브레이커
크로스 게임
5결과4


2.8. 8경기[편집]


8경기(2019.7.22)
선수승패승패선수
파일:attachment/Zicon_small.png임홍규투혼파일:attachment/Ticon_small.png조기석
블록체인 SE
파워본드
오버워치
글래디에이터
신 피의능선
트레스패스
네오 실피드
써킷 브레이커
5결과4

2.9. 9경기[편집]


9경기(2019.7.29)
선수승패승패선수
파일:attachment/Zicon_small.png임홍규신 피의능선파일:attachment/Ticon_small.png이재호
네오 실피드
오버워치
블록체인 SE
파워본드
써킷브레이커
글래디에이터
트레스패스
투혼
3결과6

2.10. 10경기[편집]


10경기(2019.8.5)
선수승패승패선수
파일:attachment/Ticon_small.png이재호파워본드파일:attachment/Picon_small.png도재욱
투혼
오버워치
블록체인 SE
신 피의 능선
글래디에이터
써킷브레이커
네오 실피드
트레스패스
6결과3

2.11. 11경기[편집]


11경기(2019.9.8)
파일:attachment/Ticon_small.png이재호트래스패스파일:attachment/Zicon_small.png김성대
오버워치
신 피의 능선
투혼
네오 실피드
블록체인 SE
글라디에이터
써킷브레이커
파워본드
6결과3

2.12. 12경기[편집]


12경기(2019.9.17)
파일:attachment/Ticon_small.png이재호네오 실피드파일:attachment/Picon_small.png송병구
파워본드
오버워치
써킷브레이커
투혼
블록체인 SE
신 피의 능선
글라디에이터
트래스패스
5결과4

2.13. 13경기[편집]


13경기(2019.9.22)
파일:attachment/Ticon_small.png이재호네오 실피드파일:attachment/Zicon_small.png박상현
투혼
써킷브레이커
글라디에이터
파워본드
블록체인 SE
오버워치
트래스패스
신 피의 능선
4결과5

2.14. 14경기[편집]


14경기(2019.9.24)
파일:attachment/Zicon_small.png박상현오버워치파일:attachment/Picon_small.png장윤철
블록체인
네오 실피드
투혼
써킷브레이커
글라디에이터
트래스패스
신 피의 능선
파워본드
4결과5


2.15. 15경기[편집]


15경기(2019.10.2)
파일:attachment/Picon_small.png장윤철써킷브레이커파일:attachment/Ticon_small.png유영진
오버워치
파워본드
실피드
투혼
트래스패스
글라디에이터
블록체인
신 피의 능선
6결과3

2.16. 16경기[편집]


16경기(2019.10.9)
파일:attachment/Picon_small.png장윤철써킷브레이커파일:attachment/Zicon_small.png김명운
오버워치
블록체인
글라디에이터
네오 실피드
피의 능선
트레스패스
파워본드
투혼
2결과7

8경기의 맵인 파워본드는 홀리월드에서처럼 중립 커맨드센터가 있어서, 커맨드를 감염시켜서 감염된 테란을 뽑아서 이겼다.

2.17. 17경기[편집]


17경기(2019.10.16)
파일:attachment/Zicon_small.png김명운블록체인파일:attachment/Picon_small.png변현제
써킷브레이커
오버워치
실피드
글라디에이터
신 피의능선
투혼
트레스패스
파워본드
6결과3

그다지 멀지않은 공중상의 거리의 특징을 띤 트레스패스 맵에서 벌어진 서로 간의 드랍 플레이와 역전이 어우러진 8경기가 명경기다.

2.18. 18경기(레전드 끝장전)[편집]


18경기(2019.10.23)
파일:attachment/Ticon_small.png이윤열투혼파일:attachment/Picon_small.png박정석
네오 정글스토리
사일런트 볼텍스
짐 레이너스 메모리
노스텔지아
파이썬
레퀴엠
신 개마고원
몽환
5결과4

레전드 선수들의 대결인 만큼 두 선수가 뽑은 맵들을 위주로 경기가 진행됐다.
그 덕에 올드맵들이 많이 등장했다. 가장 최근까지 사용된 투혼과 함께 몽환, 파이썬은 물론 레퀴엠, 개마고원, 노스텔지아, 짐 레이너스 메모리의 추억의 맵과 초창기 공식맵인 사일런트 볼텍스와 네오 정글스토리까지 등장했다.


2.19. 19경기[편집]


19경기(2019.12.12)
파일:attachment/Zicon_small.png김명운단장의 능선파일:attachment/Ticon_small.png조기석
네오 실피드
써킷브레이커
화이트아웃
라만차
태풍의 눈
투혼
오버워치
글라디에이터
6결과3

1:3으로 밀리다가(5전제였으면 이미 여기서 패배한 스코어이다) 5세트를 연이어 따내 6:3으로 김명운이 큰 스코어 차로 이겼다. 다전제의 경기 횟수가 늘어날수록 종족상성이 더욱 크게 작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도 그걸 뒤집은 건 아무래도 선수 간의 소위 클라스의 차이 때문으로 보인다. 8배럭 벙커링으로 앞마당이 깨졌는데도 원해처리 러커 이후 초 패스트 하이브를 올려서 다크스웜 징검다리로 역전한 6경기, 마찬가지로 8배럭 벙커링으로 앞마당 해처리의 체력이 530대로 반 이하까지 떨어졌는데도 적절한 성큰 배치와 저글링 컨트롤로 앞마당을 지켜내고 역전한 후 엄연한 지상맵(글래디에이터)에서 6가스 가디언+디바우러 관광을 보여준 9경기가 명경기다.

2.20. 20경기[편집]


20경기(2019.12.16)
파일:attachment/Zicon_small.png김명운투혼파일:attachment/Picon_small.png김택용
데스티네이션
네오 실피드
써킷브레이커
오버워치
태풍의 눈
라만차
화이트아웃(스타크래프트)
글라디에이터
3결과6

특이사항으로, 김택용은 화이트아웃 맵을 끝장전 바로 전날인 12월 15일에 처음으로 해봤다. 이 VOD를 2시간 8분 4초부터 보면 김택용이 "화이트아웃? 맵을 모르는데?"라고 반응을 했다는 점이 그 증거다. 아마도 김택용의 군 복무 중에 이 맵이 나와서 일어난 해프닝으로 보인다. 그렇게 화이트아웃은 졌으나 세트스코어로는 6:3으로 압승했다. 특히 마지막 9세트는 질럿, 커세어로 압도했다.

2.21. 21경기[편집]


21경기(2019.12.25)
파일:attachment/Ticon_small.png이재호단장의 능선파일:attachment/Picon_small.png김택용
투혼
글래디에이터
오버워치
라만차
써킷브레이커
네오 실피드
데스티네이션
화이트아웃
6결과3

특이사항은 이번 승리로 이재호는 역대 끝장전 선수 중 최다승 선수(5승)가 되었다.[3] 한편 송병구, 도재욱에 이어 김택용까지 9전제에서 잡아냈다는 점은 이재호가 현역 시절 토막의 오명을 어느 정도 벗어던지고 일신했다는 충실한 방증이 된다.
그리고 김택용은 패배의 후유증으로 한달간 RUN 하게 된다. 이재호-김택용의 소위 남북대전 스토리의 시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9 12:36:17에 나무위키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끝장전/경기 목록/2019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본인피셜로는 손목부상 때문이라고 하는데, 아마도 일부 사람들의 "또 이영호냐"는 여론을 보기 싫어서 하차한 것도 있어 보인다.[2] 3연승부터 10만 원, 15만 원, 20만 원, 25만 원, 30만 원, 40만 원, 50만 원.[3] 이 경기 이전까지는 4승을 하고 자진해서 끝장전에서 하차한 이영호와 공동으로 1등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