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쿨드(세븐나이츠)/각성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스쿨드(세븐나이츠)

세계의 예언자 스쿨드

역시~ 난 틀리지 않지~


파일:Skuld7_Icon.png스쿨드
유형지원형소속천상의 수호자
시간이 흐를수록, 생명의 운명뿐만 아니라 세계의 운명에 관련된 일들까지 예언하게 된다.
또한 타인의 운명에 조금씩 개입할 수 있는 능력이 드러나기 시작한다.

능력치레벨Lv.40 +5Lv.50 +10
생명력620110301
공격력26084569
방어력11722042
속공31

1. 개요
2. 배경설정 및 스토리
3. 게임 내 성능
3.1. 스킬
3.1.1. 고유 지속 효과 - 어린 예언가
3.1.2. 별자리 여행
3.1.3. 운명 점치기
3.1.4. 각성 - 운명의 빛깔
3.2. 콘텐츠 별 평가
3.3. 추천 장비
5. 기타
6. 코스튬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한국 세븐나이츠에서 2019년 7월 25일 업데이트로 추가된 스쿨드의 각성 영웅. 성우는 장예나.[1]

2. 배경설정 및 스토리[편집]


영웅 도감, 관계도 등에서 알 수 있는 설정들.

3. 게임 내 성능[편집]


신화 각성부터 하고 쓰자.

3.1. 스킬[편집]




3.1.1. 고유 지속 효과 - 어린 예언가[편집]


파일:Crescent_Prophecy.png자신에게 모든 피해 면역이 5턴간 부여되며 자신이 공격받을 때 공격 1회마다 최대 생명력의 30% 피해만 받습니다. 추가적으로 자신이 피해를 받아 생명력이 40% 이하가 될 때마다 마법력의 100%만큼 생명력을 회복합니다. (최대 5회)

3.1.2. 별자리 여행[편집]


「빵빵! 엇 저..저기!」


파일:Lightning!_Constellation_Journey.png

100초적군 전체에게 마법력의 100%의 피해를 두 번 입힙니다. 추가적으로 횟수제 버프를 1회 차감시킵니다.

3.1.3. 운명 점치기[편집]


「결정! 너희의 미래는...죽음! 히힛」


파일:Constellation's_Secret.png

100초아군 전체의 해로운 효과를 제거합니다. 추가적으로 적군에게 100만큼의 고정 피해를 입힙니다.

3.1.4. 각성 - 운명의 빛깔[편집]


「결정을 지어 봅시다! 따다단~!」


파일:Splendor_of_Fortune.png적군 전체의 턴제 버프를 2턴 감소시킵니다. 추가적으로 적군 2명의 현재 생명력을 1로 만듭니다.

3.2. 콘텐츠 별 평가[편집]


모험모험 클리어에 있어 얼마나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지 설명
쫄/장비작쫄작, 장비작을 하는 데 있어 얼마나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지 설명
요일 던전요일 던전을 클리어하는 데 있어 얼마나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지 설명
공성전공성전 점수를 내는 데 있어 얼마나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지 설명
길드 던전길드 던전 점수를 내는 데 있어 얼마나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지 설명
고대의 흔적스페셜 던전 점수를 내는 데 있어 얼마나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지 설명
결투장결투장에서 얼마나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지 설명
무한의 탑무탑 등반에 있어 얼마나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지 설명
드래곤 레이드드래곤 레이드 등반에 있어 얼마나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지 설명
보스전보스전 던전 등반에 있어 얼마나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지 설명
강자 레이드강자 레이드 등반에 있어 얼마나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지 설명
총평종합적인 평가


3.3. 추천 장비[편집]



4. 신화 각성[편집]


파일:스쿨드_일러스트.jpg
문서 참고.


5. 기타[편집]


  • 이름의 유래는 북유럽 신화의 운명을 다루는 노른 세 여신 중 막내인 스쿨드. 스쿨드는 미래를 담당하니 세나의 스쿨드 또한 미래예지능력이 있다. 여담으로 세 자매 중 막내라 그런지 여기 문서를 잘 보면 3이 꽤나 많이있다.

6. 코스튬[편집]




7.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00:24:00에 나무위키 스쿨드(세븐나이츠)/각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바토리와 중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