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창군

덤프버전 : (♥ 0)

||


전북특별자치도자치군
파일:순창군 CI.svg순창군
淳昌郡
Sunchang County
||

군청 소재지순창읍 경천로 33 (순화리)
광역자치단체전북특별자치도
하위 행정구역1읍 10면
면적495.79㎢
인구26,804명[1]
인구밀도54.06명/㎢[2]
군수

최영일 (초선)
군의회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8석[3]
도의원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오은미 (3선)
국회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희승 (초선)
상징군화백일홍
군목느티나무
군조까치
군가군민의 노래
슬로건파일:순창군CI(2022).jpg
마스코트파일:초롱비.png
초롱비
지역번호063
웹사이트www.sunchang.go.kr
SN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3. 지리
3.1. 인구
4. 교통
5. 관광
5.1. 관광지
5.2. 고추장
5.3. 특산물
6. 경제
6.1. 금융
7. 교육
8. 정치
9. 하위 행정구역
10. 사건사고
11. 기타
12. 자매우호도시
13. 출신 인물



1. 개요[편집]


파일:attachment/sunchang_gurim.jpg
고추장 체험관 (구림면)

전북특별자치도의 군. 면적 495.97㎢. 동쪽이 남원시, 서쪽이 정읍시, 장성군, 서남쪽이 담양군, 남쪽이 곡성군, 북쪽이 임실군에 접한다.

설공찬전의 무대이기도 하다.


2. 역사[편집]


마한의 오산(烏山), 옥천(玉川), 백제의 도실군(道實郡)이었다가 통일신라 경덕왕 때 순화군(淳化郡)이라 고쳤다. 고려시대에는 순창현(淳昌縣)이 되어 남원부(府)에 속하였고 복흥현을 흡수하였다. 조선시대 이후로는 순창군이었다.

원래 이름은 옥천이였다. 그래서 옹씨의 본관인 옥천은 충북 옥천군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여기 순창군을 가리키는 것이다.

1935년 구암면(龜岩面)과 무림면(茂林面)을 통합하여 구림면으로 개편, 11개 면이 되었다. 1979년 순창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3. 지리[편집]


산간 지역답게 산지가 많다. 무주군, 장수군에 비하면 고도가 그리 높지 않지만, 산세가 제법 험준한 편이라 겨울철에 폭설이라도 내리면 산간 마을의 교통이 빈번하게 두절되곤 한다. 이 지역의 명산으로는 군립공원 제1호인 강천산을 꼽을 수 있는데, 아담하면서도 경치가 좋고, 특히 가을 단풍철이면 인접한 내장산, 지리산 못지 않게 단풍이 곱게 물들어서 전주 및 광주 등지에서 단풍객이 많이 찾는다. 가을철 지리산과 내장산의 혼잡함을 피하고 싶다면 이 곳을 찾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복흥면과 쌍치면은 순창군 내에서도 타 읍면과 고립되어 있는 지역으로(위 의 역사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고려시대까지는 '복흥현'이라는 다른 고을이었다), 순창과 정읍 사이의 분지지형에 위치한다. 타 읍면은 섬진강 본류에 접해 있다면, 이 두 면은 섬진강댐 위쪽 지류인 추령천에 접해 있고 순창읍을 비롯한 타 읍면과 여분산-강천산 줄기로 막혀 있다. 그래서 정읍 생활권인데 그렇다고 정읍시내와 연결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고담산-내장산-백암산 줄기로 막혀 있다.

한편 임실군과 경계를 이루는 지점에 6.25 전쟁 당시 남부군 빨치산의 주요 활동 거점이었던 회문산이 있다.

전주시보다 광주광역시가 더 가까워서 광주의 입김이 강하다.[4]


3.1. 인구[편집]


파일:순창군 CI.svg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4,966명
1970년 96,515명
1975년 91,688명
1980년 73,624명
1985년 60,576명
1990년 45,457명
1995년 39,728명
2000년 34,587명
2005년 32,012명
2010년 30,209명
2015년 30,248명
2020년 27,810명
2024년 4월 26,80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0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읍면별 인구 통계
[ 펼치기 · 접기 ]

순창읍 10,225명
구림면 2,254명
복흥면 2,061명
동계면 1,927명
쌍치면 1,892명
금과면 1,724명
풍산면 1,636명
인계면 1,455명
팔덕면 1,371명
적성면 1,229명
유등면 1,049명
2023년 4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4. 교통[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순창군/교통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관광[편집]



5.1. 관광지[편집]


대한민국 군립공원 제 1호. 순창군 팔덕면에 속해 있으며 강천산을 비롯한 광덕산, 산성산의 세 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려한 경관으로 명성이 높으며 여름철에는 계곡에서의 피서를 위해, 가을철에는 혼잡한 내장산의 대체재로서 단풍 구경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몰린다. 유명한 포인트로는 군데군데 위치한 인공폭포와 신라시대에 지어진 자그마한 절인 강천사, 산 중턱에 걸쳐 있는 현수교가 있다. 기본적인 탐방로는 계곡 지형에 위치한 점도 있고 가끔씩 차량도 다니기에 상당히 평탄한 편이지만, 그 덕분에 본격적으로 등산을 해보려 하면 끝도 없는 계단을 하나하나 올라가야 한다. 아래쪽에서 위를 올려다 보면 종종 까마득한 높이에 목제 데크가 살짝 보이는 곳이 있는데 그게 그 예. 거기다 경사도가 좀 있어서 계단이 가파른 경우가 많기에 겨울에는 등산로에는 인적이 드물다.

가을철 단풍으로 유명한 산. 문서 참고. 다만 내장산 중에서 유명한 지역인 내장사 지구와 백양사 지구는 각각 정읍시전라남도 장성군에 속해 있다.






5.2. 고추장[편집]


이 지역의 대표적인 특산품은 두말할 것 없이 '고추장'이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 8호이기도 한 순창고추장이란 말 자체가 고유명사처럼 되어 대상그룹 청정원에서 브랜드화하기도 했다. 물론 고추장은 조선 팔도 어디에서나 다 만드는 물건이지만, 순창에서 만들어진 고추장은 다른 지역에서 만든 고추장과 다르게 짜지도 맵지도 텁텁하지도 않고 감칠맛이 난다. 오죽하면 고추장을 담글 때 꿀이나 설탕 혹은 사카린을 섞지 않았나 하고 의심할 정도... 조선 왕조를 세운 이성계가 무학대사를 찾아가는 도중에 순창의 한 민가에서 잠시 머물렀을 때, 그 집에서 내놓은 고추장을 밥에 비벼 먹었더니 그 맛이 일품이라 나중에 왕이 되어서는 순창 현감에게 고추장을 진상하도록 명했다는 전설이 있는데, 이는 어디까지나 전설일 뿐, 이성계가 왕위에 있던 시기는 이 땅에 고추가 전래되기도 훨씬 전이었다. 한반도에 고추를 들여온 장본인이 바로 임진왜란때 쳐들어온 왜군이다. 원래 일본은 이 고추를 화생방 무기로 쓰려고 임진왜란 때 챙겨왔지만 정작 조선사람들의 입맛에 고추가 맞은 탓에 고추로 김치도 해먹고 고추장도 담그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순창군에서도 이 점을 알고 있는지 전설에 나오는 고추장은 현대의 고추장과는 좀 다른 형태로, 산초와 같은 향신료를 넣어서 만든 장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여담인데 미국에서 순창이란 이름을 멋대로 왜곡하여 순창을 Pure Spear(...)이라는 영어로 상표 특허를 내고(당연히 본래 뜻과 한 치도 관련없는 엉터리 표기다.) 순창 고추장을 판매하는 대상그룹에 상표등록 저작권비를 요구한 사건이 있었다. 소송 끝에 순창은 한국 도시임이 인정(대상 측은 동아시아학 학자를 증인으로 신청하고 고지도 복사본까지 미국 법원으로 보내서 순창이란 이름의 역사에 대하여 알리며 맞대응했다.)되어 패소한 바 있다. 비슷한 경우로 금산인삼(말 그대로 골드 마운틴!)과 영광굴비(여긴 영광을 Glory로 선점 상표등록했다! 진짜 글로리 군은 북쪽에 있다.)를 비롯한 곳도 같은 문제를 겪어서 각자 법정 대결 끝에 승소하기도 했는데 먼저 상표등록하여 저작권비를 뜯고자 하는 억지행위이며 이미 일본에선 70년대부터 지겹게 당해왔던 일이라고 한다.

5.3. 특산물[편집]



의외로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한정식이 엄청나게 강력하다. 1인당 1만원대 초반 정도(2011년 기준)의 부담없는 가격이지만 상차림은 그야말로 상다리가 휘어질 지경. 음식의 퀄리티도 타지역의 비싼 한정식과 비교해서 절대 뒤지지 않는다. 먹부심으로 대한민국에서 둘째 가라면 서러워할 동네인 전주시에서까지 일부러 순창까지 한정식 먹으러 올 정도라면 말 다했다. 실제로 전주에서 두세배씩 비싸게 받는 한정식과 비교해도 순창 쪽이 낫다는 이야기가 많다. 순창에 들를 일이 있거든 고추장만 사가지 말고 꼭 한번 맛보자. 순창 한정식을 소개한 포스팅. 상차림에 주목하자.


6. 경제[편집]


전북특별자치도의 군 지역들이 대부분 그렇듯, 평범한 농촌 지역이다. 다만 고추장으로 유명한 지역 특성상 대상그룹이 순창고추장이라는 제품을 실제로 순창군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관내의 유일한 대기업 생산시설이다. 또한 고추장 등 장류의 발효에는 미생물이 필요하다는 특성 상 미생물 산업을 최근 육성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는 중이다. 그 예시로 2021년 완공된 발효미생물산업화센터가 있다.

광주랑 가까워서인지 풍산면에 풍산농공단지, 풍산제2농공단지등이 들어서 있고 나머지는 가남농공단지, 인계농공단지, 쌍암농공단지로 총 5개소가 들어서 있다.


6.1. 금융[편집]


순창군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제1금융권 [괄호]
국가기관
순창우체국 (10)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2)
지방은행
전북은행(1)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순창농협 (8)서순창농협 (2)동계농협 (1)순정축협 (2)
새마을금고
순창새마을금고 (1)쌍치새마을금고 (1)
신용협동조합
순창신용협동조합 (1)동계신용협동조합 (1)
산림조합
순창군산림조합 (1)


7. 교육[편집]




파일:순창군 CI.svg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중학교
[ 펼치기 · 접기 ]

구림중학교동계중학교복흥중학교순창북중학교순창여자중학교
순창중학교쌍치중학교
푸른색 바탕은 남자중학교, 붉은색 바탕은 여자중학교. 흰색 바탕은 남녀공학.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순창군 CI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고등학교
[ 펼치기 · 접기 ]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고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8. 정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순창군/정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하위 행정구역[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순창군/행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0. 사건사고[편집]





11. 기타[편집]


좋게 말하면 공기 좋고 물 맑은 청정 지역, 좋지 않게 말하면 낙후된 지역이다. 순창군을 비롯한 전북특별자치도의 각 시/군들은 1960년대 ~ 1990년대에 벌어진 경부선 중심의 경제 개발로 인해, 인구가 거의 유출이 되어서, 순창군 전체 인구의 4분의 1 이상이 65세 이상일 정도로 초고령 사회에 진입해 있다. 2003년 7월 미국 시사주간지 'TIME'에서 선정한 세계의 장수촌에 포함된 적이 있다고 한다.

과거 전남과학대학교가 이 순창군으로 유치되려던 적이 있었다. 그렇지만 그 장소가 순창제일고등학교 위치였기 때문에 그 고등학교의 졸업생들이 필사적으로 반대하여 유치가 취소되었다. 팀킬. 그리고 훗날 지역주민들에게 두고두고 까이고 있다.

사립유치원이 없는 26개 군 중 하나이다.


12. 자매우호도시[편집]




13. 출신 인물[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2 14:01:37에 나무위키 순창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4년 4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2] 2024년 4월 기준.[3] 순창군 가선거구 (순창읍, 유등면): 이성용, 신정이
순창군 나선거구 (인계면, 동계면, 적성면): 최용수, 오수환
순창군 다선거구 (풍산면, 금과면, 팔덕면, 복흥면, 쌍치면, 구림면): 마화룡, 손중석, 조정희
순창군 비례대표: 김정숙
[4] 순창군청 - 광주광역시청 거리(43.5km), 순창군청 - 전주시청 거리(54.5km). 순창군과 마찬가지로 고창군전주시보다 광주광역시가 더 가까우며 이 곳 역시 광주의 영향을 받는다.[괄호] A B C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5] 지역구 : 서울특별시 강동구 갑.[6] 이 때문에 게임 중 집에 전화가 걸려오거나 다른 사람이 과도한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인터넷 사이트 (ex. 유튜브)에 접속하면 네트워크 핑이 3000까지 올라가며 게임이 튕겼다고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