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삼성 썬더스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3-24 시즌에 대한 내용은 서울 삼성 썬더스/2023-24 시즌 문서
서울 삼성 썬더스/2023-24 시즌번 문단을
서울 삼성 썬더스/2023-24 시즌#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썬더스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비슷한 이름의 NBA 농구팀에 대한 내용은 오클라호마시티 썬더 문서
오클라호마시티 썬더번 문단을
오클라호마시티 썬더#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svg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유색배경).svg[1]
{{{#fff {{{+1 서울 삼성 썬더스}}}}}}
SEOUL SAMSUNG thunders
정식 명칭서울 삼성 썬더스 농구단
영문 명칭Seoul Samsung Thunders Basketball Team
창단1978년 2월 28일(46주년)
구단명 변천삼성 농구단 (1978~1982)
삼성전자 농구단 (1982~1997)
수원 삼성 썬더스 (1997~2001)
서울 삼성 썬더스 (2001~ )
연고지 변천경기도 수원시 (1997~2001)
서울특별시 (2001~ )
운영 법인삼성전자주식회사[2] (1982~2014)
주식회사제일기획[3] (2014~ )
모기업제일기획
구단주김종현[4]
단장조동율[5]
감독은희석
주장이정현
영구 결번10 김현준[6]
구단 사무국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정로 5 (보정동)[7]
홈구장 변천수원실내체육관 (1997~2001)
잠실실내체육관 (2001~ )
클럽 하우스삼성 트레이닝 센터
키트 스폰서 언더아머
마스코트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마스코트.svg
천이, 둥이
웹 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svg[[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유색배경).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승 기록
★ ★
챔피언 결정전 우승 (2회)
{{{#ccac00 2000-01, 2005-06}}}
정규 시즌 우승 (1회)
2000-01
컵 대회 우승 (0회)
플레이오프 진출
[ 펼치기 · 접기 ]
챔피언 결정전
(5회 / 2승 3패)
2000-01, 2005-06, 2007-08, 2008-09, 2016-17
4강 플레이오프
(8회 / 5승 3패)
1998-99, 1999-2000, 2000-01, 2004-05, 2005-06
2007-08, 2008-09, 2016-17
6강 플레이오프
(13회 / 6승 7패)
1998-99, 1999-2000, 2002-03, 2003-04, 2004-05
2006-07, 2007-08, 2008-09, 2009-10, 2010-11
2012-13, 2015-16, 2016-17
프랜차이즈 구단 기록
[ 펼치기 · 접기 ]
최고 승률.756
2000-01 시즌 45경기 34승 11패
최저 승률.167
2021-22 시즌 54경기 9승 45패
최다 승34승
2000-01 시즌 45경기 34승 11패
2016-17 시즌 54경기 34승 20패
최다 패45패
2021-22 시즌 54경기 9승 45패
최고 FA 계약2년 8억 3천만 원[1]
2015-16 시즌 문태영
[1] 첫 시즌 연봉

1. 개요
2. 우승 기록
4. 운영 방식
6. 상징적 인물
7. 파이널 MVP
8. 역대 감독
9. 역대 주장
10. 역대 성적
10.1. 역대 플레이오프 상대 전적
12. 응원단
15. 타 구단과의 관계
16. 여담
1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FEAR THE THUNDER[8]

HEAR THE ROAR


즐겁게 나눠요 우리 모두 다 함께

파워를 느낄 수 있는 삼성 썬더스

사랑해 사랑해 모두 이길 수 있죠

서울 삼성 썬더스[9]


한국프로농구의 프로 농구단. 연고지는 서울특별시, 홈구장은 송파구 잠실동에 위치한 잠실실내체육관이다.

전신은 삼성 농구단 - 삼성전자 농구단 - 수원 삼성 썬더스. 서울로 연고지를 옮긴 이후부터는 서울 삼성 썬더스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참고로 현존하는 남자 프로농구단 중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팀이자[10] 가장 오랜 기간 동안 구단의 모그룹이 변하지 않은 전통의 구단이다.[11]

2000-01 시즌 이후, 중립 지역이었던 서울 연고가 허용되면서 서울 SK 나이츠와 함께 서울로 연고지를 이전했다. 연고 이전 초창기에는 잠실실내체육관을 SK와 함께 사용했다가, SK가 잠실학생체육관으로 이사가면서 잠실실내체육관의 유일한 홈팀이 되었다.

농구대잔치 시절에는 삼성 라이온즈의 마스코트인 블레오를 이쪽에서 써먹기도 했으며, 럭비단이나 배드민턴단, 배구단에서도 써먹었다. 물론 야구와는 다르게 타이즈 복장이고 눈은 검정색이지만. 수원 삼성 썬더스로 프로 창단 시에는 '썬더보그'라는 머리와 꼬리에 천둥번개 모양이 달린 고릴라 마스코트를 사용하기도 했다. 현재 마스코트는 천이와 둥이.

삼성스포츠의 프로 스포츠단 중 수원 삼성 블루윙즈, 삼성 라이온즈, 삼성 갤럭시 등과 함께 자체적으로 유망주를 육성하여 성공시킨 팀 중 하나로 평가 받고 있다. KBL의 엄격한 샐러리 캡과 외국인 선수 연봉 제한 때문에 크게 쏘려고 해도 쏠 수가 없는 탓도 있긴 하지만(...)[12] 그러나 9시즌에 걸친 연속 플레이오프 진출로 인한 쓸 만한 신인 부재, 김상준 감독 취임과 동시에 바뀐 프런트의 소홀한 전력 보강 등 문제점을 노출하며 농구 팬들에게 까이고 있었다. 그러다 이상민 감독 취임 이후 첫 시즌이 대망하자 감독과 프런트가 합심하여 대대적인 전력보강에 나섰고, 2015-16 시즌부터 성적이 다시 나아지면서 이런 까임을 잦아들었다. 그러나 2016-17 시즌 준우승 이후 두 시즌 연속 PS 진출 실패와 2018-19, 2021-22, 2022-23 시즌 최하위로 다시 약체팀이 된 상태.

기존의 모기업은 삼성전자였으나 2014년 9월 1일부로 제일기획으로 전환되었다.


2. 우승 기록[편집]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14%><rowbgcolor=#001658> 년도 ||<-2><width=40%> 우승 구단 ||<width=16%> 우승 횟수 ||
|| 1997 || 파일:LreU3kv.png ||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
1회 ||
|| 1997-98 ||<|2> 파일:대전 현대 다이냇 엠블럼.svg ||<|2> 대전 현대 다이냇 ||<|2> ★ ★
2회 ||
|| 1998-99 ||
|| 1999-2000 || 파일:서울 SK 나이츠 로고(1997~2001).svg || 청주 SK 나이츠 ||
1회 ||
|| 2000-01 || 파일:수원 삼성 썬더스 엠블럼.svg || 수원 삼성 썬더스 ||
1회 ||
|| 2001-02 || 파일:대구 오리온스 엠블럼.svg || 대구 동양 오리온스 ||
1회 ||
|| 2002-03 || 파일:Wonju_DB_Promy_PBC_(2002).png || 원주 TG 엑써스 ||
1회 ||
|| 2003-04 || 파일:전주 KCC 이지스 엠블럼.svg || 전주 KCC 이지스 || ★ ★ ★
3회 ||
|| 2004-05 || 파일:원주 TG삼보 엑써스 로고.png || 원주 TG삼보 엑써스 || ★ ★
2회 ||
|| 2005-06 ||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2004~2011).svg || 서울 삼성 썬더스 || ★ ★
2회 ||
|| 2006-07 || 파일:울산 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 || 울산 모비스 피버스 || ★ ★
2회 ||
|| 2007-08 || 파일:원주 동부 프로미 엠블럼.svg || 원주 동부 프로미 || ★ ★ ★
3회 ||
|| 2008-09 || 파일:전주 KCC 이지스 엠블럼.svg || 전주 KCC 이지스 || ★ ★ ★ ★
4회 ||
|| 2009-10 || 파일:울산 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 || 울산 모비스 피버스 || ★ ★ ★
3회 ||
|| 2010-11 || 파일:전주 KCC 이지스 엠블럼.svg || 전주 KCC 이지스 || ★ ★ ★ ★ ★
5회 ||
|| 2011-12 || 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svg || 안양 KGC인삼공사 ||
1회 ||
|| 2012-13 ||<|3> 파일:울산 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 ||<|3> 울산 모비스 피버스 ||<|3> ★ ★ ★ ★ ★ ★
6회 ||
|| 2013-14 ||
|| 2014-15 ||
|| 2015-16 || 파일: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엠블럼.svg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 ★ ★
2회 ||
|| 2016-17 || 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svg || 안양 KGC인삼공사 || ★ ★
2회 ||
|| 2017-18 ||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 || 서울 SK 나이츠 || ★ ★
2회 ||
|| 2018-19 || 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 ★ ★ ★ ★ ★ ★
7회 ||
|| 2020-21 || 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svg || 안양 KGC인삼공사 || ★ ★ ★
3회 ||
|| 2021-22 ||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 || 서울 SK 나이츠 || ★ ★ ★
3회 ||
|| 2022-23 || 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svg || 안양 KGC인삼공사 || ★ ★ ★ ★
4회 ||




한국프로농구 정규 리그 우승 구단
1999-20002000-20012001-2002
대전 현대 걸리버스수원 삼성 썬더스대구 동양 오리온스


3.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 삼성 썬더스/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운영 방식[편집]


농구 특성상 샐러리캡 제도 내에서 충분한 소진율을 기록하던 팀이다. 필요할때 대형 FA를 영입해서 전력을 보강하였는데 대표적인 케이스가 2000년대 중반의 서장훈과 2010년대 중반의 문태영이다. 이를 통해 단기간내에 전력 상승을 추구해서 호성적을 나타내기도 했다.

그러나 점점 무능한 운영 능력을 보여주면서 암흑기가 장기화되고 있다. 특히 이상민 감독 체제를 오랫동안 연임시키는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선택을 통해 삼성의 성적은 그야말로 나락으로 떨어지는 상황이다. 이러면서 2010년대 부터 2020년대까지 이상민 체제에서만 최하위를 무려 3번이나 기록할 만큼 KBL 의 대표적인 최약체팀으로 자리잡고 있다.

선수영입 무브를 보면 가히 최악 그 자체인데, 네임드급 선수를 영입을 해도 꼭 전성기가 한창 지난 상태로 영입을 하고 있다.

5. 영구결번[편집]


서울 삼성 썬더스 영구결번
No. 10 김현준

영구결번은 10번으로 김현준의 현역 시절 등번호이기도 하다. 이상민서장훈의 11번이 영구결번될 뻔 했으나[13] 영구결번 지정 한 시간만에 철회했다. 영구결번 배너는 현재의 파랑색이 아니라 농구대잔치 시절의 빨강색 유니폼이다. 2022-2023 시즌 기준으로 영구결번 배너는 잠실실내체육관 천장에 액자 형태로 걸려있다.

농구팬들 사이에서는 다른 팀들에 비해서 삼성이 유독 영구결번 기준이 짜다고 말한다. 똑같이 영구결번이 1명인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는 KBL 출범 직전이던 1996년에 창단했지만 삼성은 실업 농구단 시절까지의 역사를 포함해 40년이나 되었는데도 단 1명 뿐이다. 김현준도 생전에 영구결번이 된 것이 아니라 사후 지정된거라 (레전드인 것과는 별개로) 추모의 의미가 강해 사고사하지 않았다면 현재까지도 지정되었을지 의문이다.


6. 상징적 인물[편집]


삼성전자 농구단/서울 삼성 썬더스 영구결번
No. 10 김현준


삼성전자 농구단
No. 12 김진


삼성전자 농구단/수원 삼성 썬더스
No. 14 문경은


수원 삼성 썬더스/서울 삼성 썬더스
No. 9 주희정


수원 삼성 썬더스/서울 삼성 썬더스
No. 7 강혁


수원 삼성 썬더스/서울 삼성 썬더스
No. 9/13 이규섭


서울 삼성 썬더스
No. 11 서장훈


서울 삼성 썬더스
No. 11 이상민


서울 삼성 썬더스
No. 2/3/5/6/7 이관희


서울 삼성 썬더스 3대 감독
안준호


수원/서울 삼성 썬더스 2대, 5대 감독
김동광


7. 파이널 MVP[편집]


2000-01 KBL 파이널 MVP 2005-06 KBL 파이널 MVP
수원 삼성 썬더스 No. 9 주희정서울 삼성 썬더스 No. 7 강혁


8. 역대 감독[편집]


역대이름재임 기간경력비고
초대최경덕1997년한국은행 선수
삼성생명 코치-감독
시즌 종료 사퇴
금호생명 코치-감독대행
대행김현준1997년 ~ 1998년연세대-삼성전자 선수
1988 서울 올림픽 국가대표
삼성전자 코치
최경덕 감독의 사임에 따른 지휘
97 시즌 & 98-99 시즌 삼성 썬더스 코치
구단 유일의 영구결번
2대김동광1998년 ~ 2004년고려대 선수
기업은행 선수-코치-감독
서울방송-SBS 스타즈 감독
대한민국농구대표팀 코치
1997 국가대표팀 코치 ABC 대회 우승
2000-2001 KBL 통합우승
3년 연속 및 통산 5회 KBL 플레이오프 진출
2012년 8년만의 재복귀
3대안준호2004년 ~ 2011년경희대-삼성전자 선수 및 1982 뉴델리 아시안 게임 금메달
코오롱 감독
SK 나이츠 감독
2005-2006 KBL 플레이오프 우승 (7전 전승)
재임기간 7년 연속 KBL 플레이오프 진출
4대김상준2011년 ~ 2012년중앙대-한국은행 선수 및 나래 블루버드 선수
중앙대학교 감독
시즌 종료 사퇴
성균관대학교 감독
5대김동광2012년 ~ 2014년SBS 스타즈-KT&G 카이츠 감독8년만의 재복귀 및 12-13 KBL 플레이오프 진출
13-14 시즌 중 사임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 감독
삼성 역대 최장수 (1999~2004, 2013~2014)
시즌 중 자진사퇴
대행김상식2014년고려대-기업은행 선수-나산 플라망스 선수
SBS 스타즈 선수-코치
KT&G 카이츠 수석코치 및 감독대행
오리온스 수석코치-감독대행-감독
김동광 감독의 사임에 따른 지휘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 코치-감독
KGC 인삼공사 감독
6대이상민2014년 ~ 2022년연세대-현대 다이냇/걸리버스 선수 및 KCC 이지스 선수
대한민국농구국가대표팀 선수
팀 선수 및 팀 코치 출신
KBL 레전드 12 선정
삼성 장수 감독 (2014~2022.1)
시즌 중 자진사퇴
대행이규섭2022년고려대 선수
팀 선수 출신
대한민국농구국가대표팀 선수
팀 코치 출신
프랜차이즈 스타 선수-코치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금메달 선수
이상민 감독의 사임에 따른 지휘
7대은희석2022년~연세대-SBS 스타즈/KT&G 카이츠/KGC 인삼공사 선수
KGC 인삼공사 코치
연세대학교 농구부 감독


9. 역대 주장[편집]


||
[ 펼치기 · 접기 ]

#20272c,#d3dade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74ca1><bgcolor=#ffcc33> {{{#074ca1 1997~2002}}} ||<bgcolor=#ffcc33> {{{#074ca1 2002~2003}}} ||<bgcolor=#ffcc33> {{{#074ca1 2003~2007}}} ||<bgcolor=#ffcc33> {{{#074ca1 2007~2010}}} ||<bgcolor=#ffcc33> {{{#074ca1 2010~2013}}} || ||<width=20%><rowbgcolor=#f7f7f7,#191919> ? ||<width=20%> [[김희선(농구)|김희선]] ||<width=20%> [[서장훈]] ||<width=20%> [[강혁(농구)|강혁]] ||<width=20%> [[이규섭]] || ||<bgcolor=#ffcc33> {{{#074ca1 2013~2014}}} ||<bgcolor=#ffcc33> {{{#074ca1 2014~2015}}} ||<bgcolor=#ffcc33> {{{#074ca1 2015~2017}}} ||<bgcolor=#ffcc33> {{{#074ca1 2017~2019}}} ||<bgcolor=#ffcc33> {{{#074ca1 2019~2021}}} || ||<width=20%><rowbgcolor=#f7f7f7,#191919> [[김승현(농구)|김승현]] ||<width=20%> [[이정석]] ||<width=20%> [[문태영]] ||<width=20%> [[김태술]] ||<width=20%> [[김동욱(농구선수)|김동욱]] || ||<bgcolor=#ffcc33> {{{#074ca1 2021~2022}}} ||<bgcolor=#ffcc33> {{{#074ca1 2022~ }}} || ||<width=20%><rowbgcolor=#f7f7f7,#191919> [[김시래]] ||<width=20%> [[이정현(1987)|이정현]] ||




10. 역대 성적[편집]


­우승
­준우승
­포스트시즌 진출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연도순위/팀숫자포스트시즌경기수승률
수원 삼성 썬더스
19978/88위216150.286
97-989/109위4517280.378
98-996/106위4525200.556
99-003/103위4523220.511
00-011/10우승4534110.756
서울 삼성 썬더스
01-028/108위5424300.444
02-035/105위5428260.519
03-045/105위5428260.519
04-055/105위5427270.500
05-062/10우승5432220.593
06-075/105위5429250.537
07-083/10준우승5432220.593
08-094/10준우승5430240.556
09-106/106위5426280.481
10-116/106위5427270.500
11-1210/1010위5413410.241
12-136/106위5422320.407
13-148/108위5419350.352
14-1510/1010위5411430.204
15-165/105위5429250.537
16-173/10준우승5434200.630
17-187/107위5425290.463
18-1910/1010위5411430.204
19-207/10미개최[20]4319240.442
20-217/107위5424300.444
21-2210/1010위549450.167
22-2310/1010위5414400.259
KBL 통산 27시즌V213786187600.448

실업 시절과 비교하면 확실히 아쉬운 성적이다. 통산 승률이 5할 아래에다 22-23 시즌 종료 기점으로 삼성은 KBL 구단들 중 승률이 가장 낮은 팀이다.[21] 특히나 2010년대 승률은 독보적인 꼴찌를 기록할 정도였다. 때문에 삼성은 역사만 긴 팀이지 명문팀이라고 불리지 않는다. 이 팀보다 역사가 한참 짧은 이웃집이 2010년대에 우승 1번에 준우승 1번을 기록하고 2022년엔 3번째 우승까지 할 만큼 잘나갈 정도이니...


10.1. 역대 플레이오프 상대 전적[편집]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98-99 6강PO : 3승 1패
03-04 6강PO : 1승 2패
12-13 6강PO : 3패
16-17 6강PO : 3승 2패
6강PO 2승 2패
개별 경기 합계 : 7승 8패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98-99 4강PO : 1승 3패
99-00 6강PO : 3승 1패
05-06 챔프전 : 4승
08-09 4강PO : 3승 1패
6강PO 1승
4강PO 1승 1패
챔프전 1승

개별 경기 합계 : 11승 5패
서울 SK 나이츠99-00 4강PO : 3패4강PO 1패
개별 경기 합계 : 3패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00-01 4강PO : 3승 1패
15-16 6강PO : 1승 3패
16-17 챔프전 : 2승 4패
6강PO 1패
4강PO 1승
챔프전 1패

개별 경기 합계 : 6승 8패
창원 LG 세이커스00-01 챔프전 : 4승 1패
07-08 6강PO : 2승
08-09 6강PO : 3승 1패
6강PO 2승
챔결 1승

개별 경기 합계 : 9승 2패
수원 kt 소닉붐02-03 6강PO : 2패
04-05 6강PO : 2승
6강PO 1승 1패
개별 경기 합계 : 2승 2패
원주 DB 프로미04-05 4강PO : 3패
07-08 챔프전 : 1승 4패
4강PO 1패
챔프전 1패

개별 경기 합계 : 1승 7패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05-06 4강PO : 3승
06-07 6강PO : 1승 2패
16-17 4강PO : 3승 2패
6강PO 1패
4강PO 2승

개별 경기 합계 : 7승 4패
부산 KCC 이지스07-08 4강PO : 3승
08-09 챔프전 : 3승 4패
09-10 6강PO : 1승 3패
10-11 6강PO : 3패
6강PO 2패
4강PO 1승
챔프전 1패

개별 경기 합계 : 7승 10패

11. 선수단[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 삼성 썬더스/선수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유색배경).svg서울 삼성 썬더스
2023-24 시즌 선수단
||
[ 펼치기 · 접기 ]

감독 대행김효범
코치김보현
스태프
매니저
천재민 ·
트레이너
최승조 ·
전력 분석
최수현 ·
통역
왕준일 ·
기사
임병길
가드1 이동엽 · 3 이정현
C
· 5 김시래 · 6 김무성 · 7 홍경기 · 8 조준희 파일:부상 아이콘.svg · 9 김광철 · 14 김진영 · 15 나바 · 17 박민채 · 23 김근현
포워드2 최승욱 · 13 차민석 파일:부상 아이콘.svg · 20 레인 · 24 신동혁 · 27 윤성원 ·
센터11 이원석 · 21 코번 · 22 김한솔 · 31 김승원 · 32 조우성
타 한국프로농구 구단 명단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선수단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12. 응원단[편집]


2023-24 시즌 서울 삼성 썬더스 응원단
응원단장 김주일
장내 아나운서 박수미
치어리더 나혜인, 이주희, 김하나, 이예빈
마서연, 박재령, 조다정, 강수경


13. 유니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 삼성 썬더스/유니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4. 사건사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 삼성 썬더스/사건사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5. 타 구단과의 관계[편집]



15.1. 서울 SK 나이츠[편집]


S-더비 항목 참조. 2001-2002 시즌을 앞두고 당시 KBL에서 KBL 플레이오프 챔피언 팀들에 대한 서울 연고 입성 심사를 했다. 여기에 당첨된 게 수원 삼성과 청주 SK였다. 3년간 잠실실내체육관을 홈으로 치렀으나 2004-2005 시즌부터 SK가 잠실학생체육관으로 홈구장을 바꾸면서 현재에 이르게 된다. 추가로 2017-2018시즌부터 현재의 S더비 명칭과 함께 양 팀이 서로 만나면 홈 유니폼을 입고 경기를 한다.


15.2. 창원 LG 세이커스[편집]


전자 더비 항목 참조. 원년 구단인 삼성과 1997-1998 시즌부터 가세한 LG를 의미. 공식 명칭은 전자 라이벌전. 세계적인 전자회사로 야구에서도 치열한 경쟁 관계다.[22] 실제로 두 팀은 모기업 광고가 전자 브랜드다. 추가로 트레이드도 같이 하지 않는다. 2008-2009 시즌부터 2018-2019 시즌까지는 양 팀이 서로 홈 유니폼을 입고 경기를 했다. 현재는 예전같지 않지만 감독을 기준으로 과거의 라이벌 스토리가 짙게 깔려있다. 삼성 출신이 한 때 LG의 감독 혹은 선수가 되기도 했고 LG 출신이 삼성에 거쳐가기도 했다. 최근 이관희, 김준일, 임동섭 등 LG로 간 삼성 선수들이 많아졌다.


15.3. 부산 KCC 이지스[편집]


클래식 더비 참조. 과거 현대 시절부터 이어진 유서 깊은 역사로 모기업의 라이벌 관계와 슛도사 이충희와 전자 슈터 김현준의 대결이 시작이었다. 프로에 와서는 현대 걸리버스가 KCC로 넘어가면서 라이벌 관계가 사그라드나 싶었지만 2007년 삼성에서 뛰던 서장훈이 KCC로 이적하면서 보상 선수로 이상민을 데리고 가면서 KCC 팬들이 분노를 하는 일도 있었다. 농구대잔치 세대 선수들이 물러난 후에는 이정현이관희의 악연 등으로 화제를 모으고 있었지만, 이관희는 2021년에 LG로 트레이드되었다. 22-23 시즌을 앞두고 이정현은 삼성으로 FA 이적했다. 추가로 이정현을 보고 배우는 허재의 장남인 허웅이 이정현의 후임으로 FA로 KCC에 이적했다.


15.4. 원주 DB 프로미[편집]


이 팀 역시 KBL 원년 시절부터 라이벌 관계가 있었다. 전신 나래 시절 기아를 떠나려 했던 허재 영입전으로 경쟁했고 이후 인수된 TG삼보 시절 삼성 매니저 겸 삼성 코치였던 전창진은 허재를 의식해서 그런지 수비코치직을 주었다. 추가로 양경민김승기를 트레이드로 데리고 왔다. 심지어 김주성이 FA로 풀릴 때 영입을 추진하기도 했다. 전창진 사단이라 불리우는 전창진, 허재, 김승기 3인방은 감독으로 삼성에 모두 비수를 꽂았다. 플레이오프에서는 2007-2008 챔피언결정전에서 만난 이들은 동부가 삼성에 4:1로 우승을 하게 되며 2년전 2005-2006 KBL 플레이오프 7전 전승의 삼성을 넘게 된다. 2008-2009 시즌에는 프로농구 최초로 5차 연장 혈투를 펼쳤다. 또한 천적 관계로 불리는 팀이다.


15.5.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편집]


이 팀 역시 농구대잔치 기아 시절부터 라이벌 관계가 있었다. 이충희와 김현준의 라이벌 관계에 허재라는 신성이 등장했고, 이충희, 김현준이 물러난 후 삼성에는 문경은이라는 대형신인이 들어오게 된다. 프로 전환 후 21세기에는 두 팀간의 정규리그와 플레이오프에서 극과 극을 달리기도 했는데 정규리그의 경우 모비스가 삼성을 상대로 23연승을 기록한 바 있었고, 플레이오프에서는 2005-2006 챔피언결정전에서 만난 이들은 삼성이 4:0으로 전승 우승을 하고 2008~2009 시즌 4강 플레이오프에서 당시 1위로 4강에 직행한 모비스가 4위로 6강에서 창원 LG를 이기고 올라온 삼성에게 1승 3패로 패배하면서 KBL 출범 이후 처음으로 1위팀이 4강에서 탈락했다.


16. 여담[편집]



파일:/image/410/2013/02/23/20130223_1361603696.jpg_59_20130223161808.jpg









17. 둘러보기[편집]


파일:삼성스포츠 BI 화이트.png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4:23:36에 나무위키 서울 삼성 썬더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국문 엠블럼은 다음과 같다.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국문).svg
[2] 별도의 독립 법인화 없이 모기업 법인에서 직접 운영했다. 한국프로스포츠협회에서는 그러한 형태의 구단을 '부서형 구단'으로 분류한다.[3] 2014년 8월 13일부터 운영 주체가 제일기획으로 변경되었다. 별도의 독립 법인화 없이 모기업 법인에서 직접 운영하고 있다. 한국프로스포츠협회에서는 그러한 형태의 구단을 '부서형 구단'으로 분류한다.[4] 제일기획 대표이사[5] 같은 모기업 여자 농구단 단장도 같이 맡는다.[6] 타 체육관과 달리 천장에 현수막을 걸 수 없는 잠실실내체육관의 특성상 영구 결번판은 작은 액자로만 설치돼 있다가, 2019-20 시즌부터 기자석 테이블 전체를 래핑한 카드섹션의 형태로 재단장했다.[7] 삼성 트레이닝 센터[8] 해당 문구는 밀워키 벅스의 슬로건인 Fear The Dear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9] 2000년대부터 사용해온 썬더스 경기 시작을 알리는 음악이며 하프타임에도 나오는 음악이다.[10] 1978년 2월 삼성 실업농구단으로 창단한 후 현재까지 명맥이 이어지고 있다. 이 팀의 창단 후 한 달 정도 지난 1978년 3월 현대중공업 농구단이 창단됐다.[11] 직접적인 운영 주체는 2014년부터 삼성전자에서 제일기획으로 바뀌었지만 두 회사 모두 엄연한 삼성그룹 계열사이고 43년째 삼성 농구단이라는 이름을 쓰고 있으니 모기업이 바뀌지 않았다는 표현도 틀리지는 않다. 어쨌든 이런 전통을 가진 덕분에 KBL 10개 구단 중 유일하게 올드 유니폼 데이 이벤트 경기를 꾸준히 한다.[12] 예외조항이 없는 하드캡인데다가 보상 선수 제도 때문에 다른 팀과 차별되는 돈지랄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FA 때 크게 질러봤자 전 시즌 연봉 30위 이내 선수였다면 보상 선수 1명을 내줘야되고, 한 선수에게 거액의 연봉을 준다면 그만큼 다른 선수에게 주는 연봉이 줄어들 수밖에 없으니 결국 쓰는 돈은 똑같다. 그나마 돈 쓸 수 있는건 경기장 시설이나 연습 시설 정도인데 여기에 돈을 크게 쓰는 것도 아니다. 결국 모기업이 삼성 계열이라는 데서 이득을 보는건 의료제도 정도 밖에 없다. 부상 후 치료 및 재활 과정은 정말 잘해준다고.[13] 두 선수 모두 빼어난 성적과 엄청난 인기를 구가한 선수라는 점에서는 논란의 여지가 없지만 삼성의 영구결번으로 지정하기에는 다소 논란이 많다. 이상민은 삼성보다 현대-KCC의 이미지가 강하고 서장훈은 전성기 시절을 삼성에서 보냈으나 여러 팀에서 많이 뛰어 저니맨 이미지가 강하다. 실제로 이상민은 KCC에서 영구결번의 영예를 안았고 서장훈은 영구결번 대신 KBL 사상 최초로 은퇴 투어의 주인공이 됐다.[14] 정작 문경은이 가장 오래 머물렀던 소속팀은 삼성도 SK도 아닌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다.[15] 김동광 감독과 팀내 입지를 놓고 갈등을 벌였고 결국 대학 후배인 우지원과 트레이드됐다.[16] 삼성 5년, SK 4년, 전자랜드 3년, KCC/LG/KT 각 1년[17] 농구대잔치 시절 서장훈을 상대로 심각하다 싶을 정도의 몸싸움을 걸었던 박상관이창수의 당시 소속팀이 삼성이었다.[18] 한참이 지난 2015-16 시즌 6강 플레이오프에서 서장훈은 푸른 티셔츠를 든 채 이상민을 응원하기 위해 삼성의 홈구장 잠실실내체육관찾았다. [19] 단일 재임기간이 가장 긴 삼성 감독은 안준호다. 나간 후 돌아온 감독까지 합치면 김동광이 1위, 안준호가 2위, 이상민은 3위가 된다.[20]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한 시즌 조기종료 및 플레이오프 미개최[21] 21-22 시즌 종료 후 통산 승률 최하위 고양 오리온과 승률이 똑같아졌고 22-23 시즌에 삼성이 또 말아먹으며 통산 승률 단독 꼴찌를 확정지었다. 사실 2011년 이후로 삼성은 6강에 딱 3번 가고 툭하면 하위권에 쳐박혀 있었는데 그걸 생각하면 이상할 것도 없다.[22] 축구에서도 지지대 더비라는 더비를 탄생시킬만큼 치열한 관계였으나 연고이전 이후 LG에서 축구단에 손을 떼면서 끊겼다.[23] 유타 재즈, 마이애미 히트 등도 팀 이름을 단수로 쓰는 걸 보면 알 수 있다.[24] KCC현대모비스 모두 범현대가 기업이다.[25] 프로 초창기까지만 해도 SK텔레콤의 상징색은 파란색이었으며, 같은 모기업의 SK 와이번스도 2000년대 중반까지 푸른 유니폼을 입었다. 참고로 SK에너지의 전신인 SK주식회사는 그 당시에도 빨간색이었으며, 이는 부천 SK 컬러에도 반영되었다.[26] 실업 농구단 시절[27] 이 영화에 출연하는 닉스 선수 역할 중 가장 비중이 높은 이는 건방진 슈퍼스타 스테이시 패튼 역의 말릭 실리(케빈 가넷의 전 동료이자 가장 존경하던 선수)였고 그나마 현명한 베테랑 선수로 출연한 존 샐리도 제법 대사가 있지만, 싱글턴은 큰 비중이 없다. TV에서 방영할 때는 싱글턴이 화면에 나올때마다 "버넬 싱글턴"이란 자막이 떴다.[28] 이 두번의 2순위도 전시즌 꼴찌를 했기 때문에 픽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아졌던 상황에서 나온 결과물이다.[29] 여담으로 이후 플레이오프에서 모든 구단을 다 만난 팀은 전자랜드 시절 포함 새롭게 창단한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로 2020-2021 6강 PO 고양 오리온전에 달성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