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도권 전철 1호선/역 목록

덤프버전 : (♥ 0)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수도권 전철 1호선




파란 칸은 지상역임을 표시한다.





1. 일러두기
2. 경인/경원선 운행계통 (소요산 ↔ 인천)
3. 경부/장항선 운행계통 (광운대 ↔ 서동탄·천안·신창, 청량리 ↔ 천안·신창 급행)
4. 경부고속선
5. 병점기지선



1. 일러두기[편집]


일러두기(역 등급)
관리역보통역
배치간이역무배치간이역
임시승강장을종승차권발매소
신호장신호소

표기급행구간
경인선 특급용산~동인천
경인선 급행
경원선 급행소요산~광운대/인천
경부선 급행청량리~천안/신창
{{{#14a676 }}}서울~천안/신창


2. 경인/경원선 운행계통 (소요산 ↔ 인천)[편집]


회색 승강장은 일반열차만 정차하는 곳이며, 소요산역·시청역을 제외한 모든 역사의 승강장 횡단이 가능하다. 하지만 소요산역은 반대편 승강장이 없고, 시청역은 환승통로를 이용하면 횡단이 가능하므로, 사실상 경인·경원선 계통 모든 역사의 승강장 횡단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취소선은 건설 중인 역을 일컫는다. 또한 역번호란의 빈칸은 역번호가 미지정된 역이다.

2022년 12월 개정된 신형 노선도에 의거하여, 연천 연장의 역번호에는 09n번대가 아닌 100-1~100-3이 쓰이게 된다. 다만 회천중앙역 등 경원선 구간에 중간역이 개통할 경우 해당 구간의 역번호가 바뀔 수 있으며 1호선 역 번호 전체를 개편할 가능성도 있다.

구간역번역명승강장등급급행환승노선소재지
형태횡단


100-3-18.2연 천漣 川│││■││■│연천군

100-2-9.6전 곡全 谷│││││■│
100-1-4.1청 산靑 山■││■
1000.0소요산逍遙山■││■ (지상 1층)×[1][2]동두천시
1012.5동두천東豆川│■││■│ (지상 1층)
1024.1보 산保 山■││■ (지상 3층)
1035.5동두천중앙東豆川中央│■││■│ (지상 3층)
1046.5지 행紙 杏│■││■│ (지상 2층)
10512.1덕 정
(서정대)
德 亭│■││■│ (지상 2층)양주시
13.4회천중앙檜泉中央
10615.0덕 계德 溪■││■ (지상 2층)
10720.3양 주
(경동대)
楊 州│■││■│ (지상 2층)
10821.9녹 양綠 楊■││■ (지상 2층)의정부시
10923.2가 능
(을지대병원)
佳 陵│■││■ (지상 2층)
11024.4의정부議政府│■││■│ (지상 1층)
11126.0회 룡回 龍■││■ (지상 1층)파일:ULine_icon.svg 의정부 경전철
11227.4망월사
(신한대 제1캠퍼스)
望月寺■││■ (지상 2층)
11329.7도봉산道峰山│■││■│ (지상 1층)파일:Seoulmetro7_icon.svg 7호선도봉구



11430.9도 봉道 峰■││■ (지상 2층)
11532.2방 학
(도봉구청)
放 鶴■││■ (지상 2층)
11633.9창 동倉 洞│■││■│││ (지상 1층)[3]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11734.9녹 천鹿 川■││■ (지상 1층)
11836.3월 계
(인덕대)
月 溪■││■ (지상 1층)동북선[착공]노원구
11937.4광운대光云大■││■││■│ (지상 1층)파일:GyeongchunLine_icon.svg 경춘선[4]
12038.5석 계石 溪│■│ (지상 2층)파일:Seoulmetro6_icon.svg 6호선
12139.9신이문新里門■││■ (지상 1층)동대문구
12240.7외대앞外大앞■│■│ (지상 1층)
12341.5회 기回 基│■│ (지상 1층)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경춘선





1

12442.9청량리
(서울시립대입구)
淸凉里
(서울市立大入口)
│■│ (지하 1층)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경춘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12543.9제기동
(한국건강관리협회)
祭基洞■││■ (지하 2층) 동북선[착공]
12644.8신설동新設洞■││■ (지하 2층)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성수지선)
파일:UiLine_icon.svg 우이신설선
12745.5동묘앞東廟앞■││■ (지하 1층) 파일:Seoulmetro6_icon.svg 6호선종로구
12846.1동대문東大門■││■ (지하 2층) 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12946.9종로5가
(삼양그룹)
鍾路5街■││■ (지하 2층)
13047.8종로3가鍾路3街■││■ (지하 2층)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13148.6종 각鐘 閣■││■ (지하 2층)
13249.6시 청市 廳■││■ (지하 2층)×[5]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중구
13350.7서울역 (지하)서울驛│■│ (지하 2층) {{{#14a676 }}}[6]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파일:AREX_icon.svg 공항철도
GTX-A노선


13452.4남 영南 營│■│ (지상 2층) 용산구
13553.9용 산龍 山■││■││■ (지상 1층)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13656.5노량진鷺梁津││■││■│■│■ (지상 1층) 파일:Seoulmetro9_icon.svg 9호선동작구
13758.0대 방大 方■││■││■││ (지상 2층) 파일:SillimLine_icon.svg 신림선영등포구
13858.8신 길新 吉■││■││■││ (지상 1층)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13959.8영등포永登浦■││■││■│ (지상 1층) {{{#14a676 }}}[7] 신안산선
14061.3신도림新道林■│■││■│││ (지상 1층)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구로구
14162.4구 로九 老■││■││■││■││■│││ (지상 1층)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경부선)


14263.8구 일
(동양미래대)
九 一│■ (위) (지상 2층)
■││■│(아래) (지상 1층)
14364.8개 봉開 峰│■││■│ (지상 1층)
14466.1오류동梧柳洞│■││■│ (지상 1층)
14568.0온 수
(성공회대입구)
溫 水│■││■│ (지상 1층) 파일:Seoulmetro7_icon.svg 7호선
14669.3역 곡
(가톨릭대)
驛 谷│■││■│ (지상 1층) 부천시

14770.8소 사
(서울신학대)
素 砂│■││■│ (지상 3층) 파일:SeohaeLine_icon.svg 서해선
14871.9부 천
(부천대)
富 川│■││■│ (지상 1층)
14973.6중 동中 洞│■││■│ (지상 1층)
15074.6송 내松 內│■││■│ (지상 1층)
15175.8부 개富 開│■││■│ (지상 1층) 부평구



15277.3부 평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富 平│■││■│ (지상 1층) 파일:Incheonmetro1_icon.svg 인천 1호선
15379.0백 운白 雲│■││■│ (지상 1층)
15480.5동 암銅 岩│■││■│ (지상 2층)
15581.7간 석間 石│■││■│ (지상 1층) 남동구
15682.9주 안朱 安│■││■│ (지상 1층) 파일:Incheonmetro2_icon.svg 인천 2호선미추홀구
15783.9도 화道 禾│■││■│ (지상 1층)
15884.9제물포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
濟物浦│■││■│ (지상 1층)
15986.3도 원桃 源│■││■│ (지상 1층) 동구
16087.5동인천東仁川│■││■│ (지상 1층) 중구
16189.4인 천仁 川■││■│ (지상 1층)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3. 경부/장항선 운행계통 (광운대 ↔ 서동탄·천안·신창, 청량리 ↔ 천안·신창 급행)[편집]


회색 승강장은 일반열차만 정차하는 곳이다(수도권 전철 4호선만 정차하는 금정역, 가운데 승강장이 폐쇄된 화서역 제외). 평택역을 제외한 경부·장항선 계통 모든 역사의 승강장 횡단이 가능하다.

구간역번역명승강장등급급행환승노선소재지
형태횡단
신도림


14162.4구 로九 老■││■││■││■││■│││ (지상 1층)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경인선)
부평, 인천방면
구로구



P14264.8가산
디지털단지
(마리오아울렛)
加山디지털團地■││││■ (지상 1층) 파일:Seoulmetro7_icon.svg 7호선금천구
P14366.8독 산禿 山■││││■ (지상 1층)
P14468.0금천구청衿川區廳││■││■││ (지상 1층)[A] {{{#14a676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광명)
P14570.3석 수[8]石 水│■││■│ (지상 1층) 신안산선안양시
만안구


P14672.2관 악
(안양예술공원)
冠 岳│■││■│ (지상 1층)
P14774.6안 양安 養│■││■│ (지상 1층) {{{#14a676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경강선
P14876.8명 학
(성결대)
鳴 鶴│■││■│ (지상 1층)
P14978.2금 정衿 井■││││■│■│ (지상 1층) 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군포시
P15080.4군 포
(지샘병원)
軍 浦││■││■││ (지상 1층) {{{#14a676 }}}
P15182.0당 정
(한세대)
堂 井■││││■ (지상 1층)
P15284.6의 왕
(한국교통대)
義 王│■││■│ (지상 1층)[A] {{{#14a676 }}}의왕시
P15387.5성균관대成均館大│■││■│ (지상 1층) {{{#14a676 }}}수원시
장안구
P15490.1화 서華 西■││││■ (지상 1층) 수원시
팔달구
P15592.2수 원水 原│■││■││■││■│ (지상 1층) {{{#14a676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P15695.1세 류細 柳│■││││■ (지상 1층) 수원시
권선구
P15799.4병 점
(한신대)
餠 店│■││││■│ (지상 1층) {{{#14a676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서동탄)화성시
P158101.8세 마洗 馬■││││■ (지상 2층) 오산시
P159104.5오산대烏山大■││││■ (지상 1층)
P160107.2오 산烏 山│■│■││■│■│ (지상 1층)[9] {{{#14a676 }}}
P161111.2진 위振 威■││││■ (지상 1층) 평택시
P162115.0송 탄松 炭│■││││■ (지상 1층)
P163117.2서정리
(국제대)
西井里│■│■││■│■│ (지상 1층) {{{#14a676 }}}
P164122.0평택지제
(한경국립대)
平澤芝制■││││■ (지상 1층)
P165125.7평 택平 澤│■│■││■│■│ (지상 1층)× {{{#14a676 }}}
P166135.1성 환成 歡│■│■││■│■│ (지상 1층) {{{#14a676 }}}천안시
서북구



P167140.5직 산稷 山│■││■│ (지상 1층)
부 성富 城????
P168144.3두 정斗 井│■│││││■│ (지상 1층) {{{#14a676 }}}
P169147.3천 안天 安│■││■│ (지상 1층) {{{#14a676 }}}경부선
(조치원, 대전,
동대구, 부산 방면)
천안시
동남구


P170148.8봉 명鳳 鳴■││■ (지상 1층) {{{#14a676 }}}
P171150.3쌍 용
(나사렛대)
雙龍(나사렛大)■││■ (지상 2층) {{{#14a676 }}}천안시
서북구
P172151.8아 산
(선문대)
牙 山│■││■│ (지상 2층) {{{#14a676 }}}경부고속선
(오송, 대전, 부산 방면)
아산시
P173153.6탕 정湯 井■││■ (지상 2층) {{{#14a676 }}}
P174156.7배 방排 芳■││■ (지상 2층) {{{#14a676 }}}
P175159.3풍 기豊 基??? {{{#14a676 }}}
P176161.6온양온천溫陽溫泉 ■││■ (지상 3층) {{{#14a676 }}}장항선
(예산, 대천,
장항, 익산 방면)
P177166.7신 창
(순천향대)
新昌(順天鄕大) ■││■ (지상 1층) {{{#14a676 }}}


4. 경부고속선[편집]


광명역은 주변 지반보다 승강장과 선로가 깊은 곳에 위치하여 있는 지하역이며 자연 채광이 되는 구조이다.
역번역명승강장등급급행환승노선소재지
형태횡단
금천구청
P144-172.7광 명光 明■││■││││■││■ (지하 2층)×신안산선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경강선
경기도
광명시



5. 병점기지선[편집]


역번역명승강장등급급행환승노선소재지
형태횡단
병 점
P157-1101.6서동탄西東灘│■│ (지상 1층)경기도
오산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9:26:10에 나무위키 수도권 전철 1호선/역 목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재 단선 승강장이다.[2] 하행만 정차[3] 2021년 12월 기준, 본선 선로는 철거된 상태이다.[착공] A B 2026년 개통 예정[4] 평일에만 1일 2회 운행한다.[5] 환승통로를 이용하면 횡단이 가능하다.[6] 지상서울역 정차[7] 상행만 정차[A] A B 출퇴근시간에 왕복 4회 정차[8] 시흥동 980-2번지에 설치될 신안산선과 달리 1호선 승강장은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에 있으므로 서울시내 정기권 사용이 불가능하다.[9] 오산역 환승센터로 횡단이 불가능하다. 두 승강장을 횡단하려면 북측에 있는 오산역 환승센터에서 남측에 있는 오산역사로 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