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지키스탄 소모니

최근 편집일시 : (♥ 0)



Тоҷик Сомонӣ (타지크어)

파일:600px-National_Bank_of_Tajikistan.png

1. 개요
2. 지폐
3. 동전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타지키스탄의 통화. ISO 4217 코드는 TJS, 기호는 SM이며 보조단위는 디람(дирам).

얼핏 들으면 솜계열 통화 같으나 실은 타지크인의 국부 이스모일 소모니[1]에서 따온 것. 중앙아시아는 물론, 전 세계에서도 가장 늦게 만들어진 통화단위이다.

전신은 소련 루블을 임시로 대체했던 타지키스탄 루블로 2000년 10월 30일에 처음 등장했고, 구권과의 교환비는 1소모니 = 1,000루블이다. 문제는 당시 동전을 아직 찍지를 못해 급하게나마 디람화 지폐도 동시에 찍어냈었다. 덕분에 동전이 활성화 된 현재는 이 소액지폐들이 거의 애물단지.

인플레이션은 6%(2012년 추정치).

2023년 3월 기준 1소모니는 한화로 약 120원 정도에 해당한다.

2. 지폐[편집]


앞면뒷면
파일:attachment/소모니/somoni005.jpgSM 1미르조 투르순조다, 타지키스탄 지도타지키스탄 국립은행
파일:attachment/소모니/somoni006.jpgSM 3쉬린쇼 쇼테무르마즐리시 올리[2]
파일:attachment/소모니/somoni07.jpgSM 5사드리딘 아이니, 그의 책상루다키 영묘
파일:attachment/소모니/somoni008.jpgSM 10미르 사이드 알리 하마다니하마다니 영묘
파일:attachment/소모니/somoni009.jpgSM 20이븐 시나히사르 성문
파일:attachment/소모니/somoni010.jpgSM 50보보존 가푸로프, 그의 저서차이카나 시노[3]
파일:attachment/소모니/somoni011.jpgSM 100이스모일 소모니, 그의 영묘나브루즈 궁전
파일:attachment/소모니/somoni012.jpgSM 200누스라툴로 막숨, 구 중앙집행위원회 건물국립도서관
파일:attachment/소모니/somoni013.jpgSM 500루다키대통령궁


3. 동전[편집]


파일:1000004199.jpg

처음 등장한 동전은 5, 10, 20, 25, 50디람 및 1, 3, 5소모니의 8종이고, 2003년과 2011년에 개정이 이루어졌고 2019년에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현재는 1, 2, 5, 10, 20, 50디람과 1, 3, 5소모니 9종이 있지만, 10디람 미만은 한국의 1, 5원처럼 법정통화로만 쓰이며 실제 통용되는 건 6종. 또 2018년 소모니 주화 3종을 다시 개정하면서 이전 지폐 도안의 인물들이 승계되었다.



4. 둘러보기[편집]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cc0000 10%,#fff 10%,#fff 90%,#006600 9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aaa"
[[타지키스탄|[[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타지키스탄
관련 문서
}}}}}}
<^|1><height=34><color=#fff><bgcolor=#006600,#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7 22:58:14에 나무위키 타지키스탄 소모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발음특성상 이스마일 사마니(Ismail Samani)라고도 한다. 이건 타지크어 o(페르시아어 â)를 'ㅏ'로 표기한 표기.[2] 국회의사당[3] 이스파라의 전통 찻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