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드 아트 온라인(애니메이션 1기)

덤프버전 : (♥ 0)



이토 토모히코 감독 애니메이션

[ 펼치기 · 접기 ]


소드 아트 온라인 (2012)
ソードアート・オンライン
Sword Art Online
파일:소드 아트 온라인 투니버스 한국 방영 포스터.png
작품 정보 ▼

장르가상현실, SF
원작카와하라 레키
캐릭터 원안abec
원작 일러스트
감독이토 토모히코
캐릭터 디자인아다치 신고
서브 캐릭터 디자인카와카미 테츠야
메인 애니메이터사이토 아츠시
몬스터 디자인야나기 류타
프롭 디자인츠치야 유타(土屋祐太)
시카마 타카히로
치바 시게루(千葉 茂)
미술 감독타케다 유스케
나가시마 타카유키(長島孝幸)
미술 설정타니우치 유호(谷内優穂)
컨셉 아트호리 소타로(堀 壮太郎)
색채 설계나카시마 카즈코(中島和子)
촬영 감독우스다 무츠미(臼田 睦)
히로오카 가쿠(廣岡 岳)
CG 디렉터운도 류타(雲藤隆太)
모션 그래픽스히로오카 가쿠
편집니시야마 시게루(西山 茂)
음향 감독이와나미 요시카즈
음향 효과콘노 야스유키(今野康之)
음향 제작닥스 프로덕션(ダックスプロダクション)
음악카지우라 유키
음악 제작애니플렉스
프로듀스젠코
치프 프로듀서이와카미 아츠히로(岩上敦宏)
오오사와 노부히로(大澤信博)
제작총괄우에다 마스오
오치코시 토모노리(落越友則)
프로듀서카시와다 신이치로(柏田真一郎)
미키 카즈마
애니메이션 프로듀서카토 준(加藤 淳)
애니메이션 제작A-1 Pictures
제작SAO Project
방영 기간2012. 07. 08. ~ 2012. 12. 23.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MX / (일) 00: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애니플러스 / (화) 23:30
파일:투명.png투니버스[1] / (금, 토) 22:002화 연속 방영
스트리밍애니플러스
넷플릭스
Laftel
네이버 시리즈온
편당 러닝타임24분
화수25화
시청 등급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폭력성, 선정성, 모방위험)
관련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제휴작이며, VOD 자막판 서비스. 그리고 10년 만에 TV에서 방영한다.

1. 개요
2. 공개 정보
2.1. 키 비주얼
4. 음악
4.1. 주제가
4.2. OST
5. 회차 목록
6. 평가
6.1. 호평
6.1.1. 연출
6.1.2. 음악
6.2. 혹평
6.2.1. 작화
6.2.2. 스토리
7. 판매량
8. 소드 아트 온라인 Extra Edition
8.1. 주제가
8.2. 판매량
9. 기타



1. 개요[편집]


일본의 라이트 노벨 소드 아트 온라인을 원작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시리즈TV판 제1기. 감독은 이토 토모히코, 제작사는 A-1 Pictures. 방영 시기는 2012년 7월.


2. 공개 정보[편집]


PV 및 각종 CM영상, 소아온의 최신 정보와 PV 및 영상 시청이 가능하다. 모바일로도 지원되며 영상 시청도 가능하다. 총 25부작이며, 원작 1부(1~2권) '아인크라드' 편과, 2부(3~4권) '페어리 댄스' 편을 애니메이션화하였다.

캐릭터 디자인/총 작화 감독이 WORKING!!과 동일인물인 아다치 신고라서 방송 전 그림체가 매우 워킹스럽다는 우려의 평이 많았다. 일명 워킹 아트 온라인.(...) 무엇보다 당시만 해도 이 그림체는 소아온에 안 맞게 너무 어려보인다는 비판이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오히려 애니 작화로 만든 캐릭터 상품이 더 잘 팔릴 정도가 되었다.


2.1. 키 비주얼[편집]


파일:소드 아트 온라인 TVA 1기 키비주얼_1.jpg
파일:소드 아트 온라인 TVA 1기 키비주얼_2.jpg
1부 일판 키 비주얼2부 페어리 댄스


3. 등장인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소드 아트 온라인/등장인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음악[편집]



4.1. 주제가[편집]


아스나역의 토마츠 하루카를 제외하면 전부 Fate/Zero 사단. Fate/Zero 온라인 이는 2기에서도 그대로... 심지어 2쿨 오프닝을 만든 사람은 놀랍게도 Fate/Zero의 감독인 아오키 에이.노렸다.


4.1.1. OP1[편집]


OP1
crossing field
TV ver.
Full ver.
노래LiSA
작사와타나베 쇼
작곡
편곡Toku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이토 토모히코
연출
작화감독아다치 신고



4.1.2. ED1[편집]


ED1
ユメセカイ
꿈 세계
TV ver.
Full ver.
노래토마츠 하루카[1]
작사후루야 신
작곡미나미다 켄고
편곡후루카와 타카히로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아사카 모리오
연출
작화감독아다치 신고



4.1.3. OP2[편집]


OP2
INNOCENCE
TV ver.
Full ver.
노래아오이 에일
작사Eir
시게나가 료스케
작곡시게나가 료스케
편곡시게나가 료스케
시모카와 카요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아오키 에이
연출
작화감독아다치 신고



4.1.4. ED2[편집]


ED2
Overfly
TV ver.
Full ver.
노래하루나 루나
작사Saku
작곡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데아이 코토미
연출
작화감독아다치 신고



4.2. OST[편집]


OST는 블루레이 4권에서 VOL.1이, 블루레이 7권에서 VOL.2가 수록되었다.

VOL.1은 애니메이션판과 같은 느낌으로 수록 되었으나
VOL.2는 대부분 곡들이 애니메이션 판과 달리, 조금 늘어진 느낌으로 수록 되었다.
그래서 OST판 곡을 재생속도를 살짝 빠르게 조정하고 음정도 살짝 올리면 애니메이션판과 비슷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중에 발매된 Music collection 버전에선 원래대로 수정되었다.

소드 아트 온라인 OST VOL.1
번호곡명[2]비고
1Swordland커피소다 모리서머
소드 아트 온라인의 메인테마. 키리토의 테마곡이기도 하다. 비장하고 웅장한 느낌의 곡으로, 중요한 전투신에서 많이 쓰였다.
2Feel Uneasy'불안함을 느끼다' 라는 뜻.
3Everyday Life'일상생활' 이라는 뜻. 평온하고 조용한 곡으로 주로 키리토와 아스나의 신혼생활 부분에서 자주 나온다.
4Quiet Strain조용하면서도 긴장감이 느껴지는 곡.
5No Way
6Stand At Bay'궁지에 몰리다.'라는 뜻으로, 비장함과 긴박감이 동시에 드러나는 곡.
7Weird Place
8Survive The Swordland메인테마 Swordland를 어레인지한 곡. 아인크라드에서 살아남으려는 플레이어들의 의지가 느껴지는 곡이다.
9Taut Nerves
10A Tense Situation
11A Strategy Meeting'전략 회의'라는 이름의 곡으로, 전투 전의 비장함을 드러내는 곡.
12In Your Past상당히 슬픈 곡. 사치가 키리토에게 마지막 메시지를 전하는 부분에서 쓰였다.
13March Down아인크라드 1층 톨바나에서 회의가 끝난 뒤에 다 같이 한잔 하면서 의지를 다질때 나온다.
14Left In Suspense
15We Have to Defeat It더 글림아이즈, 더 스컬 리퍼 등의 강력한 플로어 보스가 등장할 때 흘러나오는 곡.
16At Our Parting'우리가 이별할 시간'이라는 뜻으로, 12화에서 유이와 작별할 때, 14화에서 스포일러를 쓰러뜨리고 죽어버린 키리토아스나가 하늘 위에서 서로 헤어질 때 흐른 곡이다.
17Confront Battle위급한 상황을 나타내는 전투곡이다.
18At Our Parting -Piano Only'At Our Parting'에서 피아노 선율만 흐르는 곡.
19Luminous Sword'빛나는 검'이라는 뜻으로, 아스나의 테마곡. 2화와 8화에서 아스나의 전투씬에 쓰였으며, 나중에 마더즈 로자리오 편에서는 Light your Sword라는 이름으로 리메이크되어 유우키와 아스나의 전투씬에서 쓰였다.
20At our Parting -Vc Only
21A Close Battle
22A Tender Feeling키리토와 아스나의 사랑을 아름다운 피아노 선율을 통해 표현한 곡이다. 잔잔하게 흐르는 멜로디가 감동을 자아내며 몽환적인 느낌을 준다. 25화에서 현실로 돌아온 아스나를 맞아주는 장면에 쓰여 팬들의 눈물을 터뜨리기도 했다.
23A Narrow Escape
24He Rules Us제목의 뜻은 '그가 우리를 지배한다.' 로, 카야바 아키히코의 테마곡이다.[스포일러]
25Fight!제목 그대로 활기찬 전투신에서 쓰이는 곡.
26A Tiny Love키리토와 아스나의 사랑 장면에서 자주 나오는 곡으로, 슬픈 느낌을 주기도 한다.
27Smile For Me평온한 일상곡.
28Gracefully'우아하게' 라는 뜻이다. 실제로는 슬픈 곡.
29A Squabble
30With My Friend개그적인 장면에서 자주 쓰인다.
31The First Town'시작의 마을'의 테마곡이다. 오디널 스케일에서 유나가 이 노래에 가사를 붙여서 부르는 게 나온다.
32At Nightfall신비로운 분위기의 곡으로, 10화의 윤리코드 해제 장면(...)에서 흘러나왔다. 처음으로 쓰인건 4화에서 프네우마의 꽃을 가지러 가는 장면.
33Despaired'절망' 이라는 뜻으로, 절망적인 순간에 자주 흐르는 곡이다.[3]

소드 아트 온라인 OST VOL.2
번호곡명비고
1swordland ~ to be continued
2friendly feelings
3sorrowfully
4critical phase
5victory
6a new world of fairies'요정의 새로운 세계' 라는 뜻의 곡
키리토가 처음 ALO에 들어오고 머리박고 풍경을 보여주며 노래가 흐른다.
7fly higher and faster키리토가 처음 날개를 펴고 나는 법을 익힐 때 흐른 곡.
8in time of peace
9fly, if you can
10fight with a devil
11she is still sleeping
12past sadness
13is this love
14town in the morning
15climbing up the world tree
16I wonder
17Yui잔잔하며 서정적인 곡으로 유이의 눈물로 유이를 ALO에서 복구 시키고 과거회상을 할 때 흘렀던 곡이다.
18is this love ~ piano only ver'is this love'에서 피아노 선율만 흐르는 곡
19Oberon
20in the cage
21got to win
22aerial fight
23false king
24last flight
25reconciliation
26dance with me
27aincrad


5. 회차 목록[편집]


  • 액션 작화감독: [A]
회차제목[4]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총작화감독방영일
1부 아인크라드 (1쿨)
#01剣の世界
검의 세계
키자와 유키토
(木澤行人)
스가와라 유키에
(菅原雪絵)
이토 토모히코카와카미 테츠야
야나기 류타[A]
아다치 신고日: 2012.07.08.
韓: 2012.07.10.
#02ビーター
비터
나카모토 무네오
(中本宗応)
이토 토모히코
시카마 타카히로
후지와라 요시유키치카오카 스나오
하베 타카시
(波部 崇)
시카마 타카히로[A]
日: 2012.07.15.
韓: 2012.07.17.
#03赤鼻のトナカイ
루돌프 사슴 코
[5]
스가와라 유키에이토 토모히코이토 유키나카무라 나오토
야나기 류타[A]
카와카미 테츠야日: 2012.07.22.
韓: 2012.07.24.
#04黒の剣士
흑의 검사
무카이 요시카즈
(向井良和)
타카하시 토오루
(高橋 亨)
와타다 신야오오바 사에
(大庭小枝)
오치아이 히토미
(落合 瞳)
시카마 타카히로[A]
아다치 신고日: 2012.07.29.
韓: 2012.07.31.
#05圏内事件
권내 사건
키자와 유키토후지와라 요시유키후세 야스유키
(布施康之)
미야지마 히토시
(宮嶋仁志)
카와카미 테츠야日: 2012.08.05.
韓: 2012.08.07.
#06幻の復讐者
환영의 복수자
이토 토모히코사토 카즈마
(佐藤和磨)
콘도 나츠코
(近藤奈都子)
시카마 타카히로[A]
日: 2012.08.12.
韓: 2012.08.14.
#07心の溫度
마음의 온도
무카이 요시카즈타치카와 유즈루호시노 마코토
(星野 真)
사이토 아츠시
야나기 류타[A]
아다치 신고日: 2012.08.19.
韓: 2012.08.21.
#08[6]黒と白の剣舞
의 검무
이리야마 슈지
(入山修司)
오카무라 텐사이후지이 타츠미
(藤井辰己)
요네야마 마이
시카마 타카히로[A]
카와카미 테츠야日: 2012.08.26.
韓: 2012.08.28.
#09青眼の悪魔
푸른 눈의 악마
쇼우지 나오키
(東海林直樹)
나카모토 무네오
키쿠타 코이치하베 타카시
코바야시 케이스케
토야 켄토
(戸谷賢都)
야나기 류타[A]
아다치 신고日: 2012.09.02.
韓: 2012.09.04.
#10紅の殺意
붉은 살의
키자와 유키토이토 토모히코타카하시 히데야나카무라 나오토
시카마 타카히로[A]
카와카미 테츠야日: 2012.09.09.
韓: 2012.09.11.
#11 朝露の少女
아침 안개의 소녀
[7]
스가와라 유키에후지와라 요시유키허평강와타나베 케이스케
(渡辺敬介)
야나기 류타[A]
아다치 신고日: 2012.09.16.
韓: 2012.09.18.
#12ユイの心
유이의 마음
나카츠 타마키
(中津 環)
콘도 나츠코
니시구치 토모야
(西口智也)
토야 켄토
야나기 류타[A]
카와카미 테츠야日: 2012.09.23.
韓: 2012.09.25.
#13奈落の淵
나락의 못
무카이 요시카즈시카마 타카히로오쿠다 요스케
시카마 타카히로[A]
아다치 신고日: 2012.09.30.
韓: 2012.10.02.
#14世界の終焉
세계의 종언
키자와 유키토이토 토모히코요네자와 마사루
(米澤 優)
야나기 류타[A]
카와카미 테츠야日: 2012.10.07.
韓: 2012.10.09.
2부 페어리 댄스 (2쿨)
#15帰還
귀환
나카모토 무네오마츠모토 쇼지
(松本正二)
이케다 시게타카
(池田重隆)
와타나베 루리코
(渡辺るりこ)
사이토 아츠시
야나기 류타[A]
아다치 신고日: 2012.10.14.
韓: 2012.10.16.
#16 妖精たちの国
요정들의 나라
스가와라 유키에아보 타카오후세 야스유키이카이 카즈유키
주현우
(ジュ・ヒョンウ)
시카마 타카히로[A]
카와카미 테츠야日: 2012.10.21.
韓: 2012.10.23.
#17囚われの女王
갇혀 있는 여왕
무카이 요시카즈후지와라 요시유키토야 켄토
야나기 류타[A]
아다치 신고日: 2012.10.28.
韓: 2012.10.30.
#18世界樹へ
세계수로
키자와 유키토이토 토모히코모리미야 타카요시
(森宮崇佳)
코지마 치카
오카다 마이코
(岡田万依子)
야마모토 젠야
(山本善哉)
시카마 타카히로[A]
카와카미 테츠야日: 2012.11.04.
韓: 2012.11.06.
#19ルグルー回廊
르구르 회랑
이리야마 슈지야나기 류타
허평강
허평강나카무라 나오토
니시구치 토모야
야나기 류타[A]
아다치 신고日: 2012.11.11.
韓: 2012.11.13.
#20猛炎の将
맹염의 장군
쇼우지 나오키시카마 타카히로
후지와라 요시유키
호시노 마코토
시카마 타카히로
오쿠다 요스케
하베 타카시
시카마 타카히로[A]
카와카미 테츠야日: 2012.11.18.
韓: 2012.11.20.
#21アルヴヘイムの真実
알브헤임의 진실
나카모토 무네오타무라 코타로허평강아사이 세이코
(朝井聖子)
야나기 류타[A]
아다치 신고日: 2012.11.25.
韓: 2012.11.27.
#22グランド・クエスト
그랜드 퀘스트
키자와 유키토나가이 타츠유키쿠하라 켄이치
(久原謙一)
요네자와 마사루
시카마 타카히로[A]
카와카미 테츠야日: 2012.12.02.
韓: 2012.12.04.
#23
인연
무카이 요시카즈아라키 테츠로이케다 시게타카사이토 아츠시
토야 켄토
야나기 류타[A]
아다치 신고日: 2012.12.09.
韓: 2012.12.11.
#24鍍金の勇者
허우대 용사
스가와라 유키에타카하시 토오루이토 토모히코나카무라 나오토
오쿠다 요스케
니시구치 토모야
시카마 타카히로[A]
카와카미 테츠야日: 2012.12.16.
韓: 2012.12.18.
#25世界の種子
세계의 씨앗
나카모토 무네오이토 토모히코카와카미 테츠야
아다치 신고
야나기 류타[A]
아다치 신고日: 2012.12.23.
韓: 2012.12.25.


6. 평가[편집]



6.1. 호평[편집]



6.1.1. 연출[편집]


연출의 경우 콘티에 시카마 타카히로, 오카무라 텐사이, 타치카와 유즈루, 아라키 테츠로, 나가이 타츠유키, 마츠모토 리에, 타무라 코타로, 데아이 코토미, 후지와라 요시유키, 허평강, 키쿠타 코이치, 아사카 모리오, 아오키 에이, 아보 타카오 등 업계에서 유명한 실력파 연출가들이 대거 참여했으며, 대부분 본작의 감독 이토 토모히코의 인맥이다.[8] 이 덕분에 작화나 전개는 둘째치고 연출 만큼은 굉장히 좋은 평가를 받는 작품이다. 영상미, 미장센, 색감, 컷 구성, 액션 등에서는 여타 라이트 노벨 원작 작품들과는 격이 다른 수준 높은 연출을 보여준다. 저 중에선 오카무라 텐사이 연출의 8화가 요네야마 마이도 참가해 작화가 좋기로 유명하고 액션으로는 아라키 테츠로 연출의 23화가 유명하다.[9]


6.1.2. 음악[편집]


음악 쪽은 공의 경계,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Fate Zero 등에서 음악을 담당해 히트를 쳤던 카지우라 유키가 담당했다.


6.2. 혹평[편집]



6.2.1. 작화[편집]


작화는 아다치 신고가 맡은 에피소드는 확실하지만 간혹 아다치 신고가 안 맡으면 작화가 무너진다. 아다치 신고가 그렇게 손이 빠른 작화감독이 아니라 격주로 참여했기 때문에 한편은 작화가 좋으면 다른편은 작화가 안 좋은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카와카미 테츠야도 잘 그리는 애니메이터로 유명하지만 액션 신 작화 수정 실력은 아다치 신고보다 떨어진다. 3D 효과가 2D와 잘 안섞여들어서 그런지 붕뜬 느낌도 있었다. 그중에서도 최악이었던 것은 10화의 키리토 VS 히스클리프의 뱅크신 우려먹기.(...)[10] 다만 이 화를 기점으로 작화가 안정되더니 1쿨 마지막화인 14화(특히 끝에 히스클리프와 문답할때)에선 굉장한 퀄리티를 보여주며 작화 문제를 종결시켰다. 특히 상기한 우려먹기가 욕을 엄청나게 먹은걸 알았는지 키리토 VS 히스클리프 2차전에선 제대로 된 전투신을 연출했다. 이후에도 욕먹을 정도로 나빠지는 일은 별로 없었다.


6.2.2. 스토리[편집]


전개의 경우 라노벨을 애니화했을 때 흔히 보이는 문제인 스토리 압축과 광속진행 부분, 고증 파괴가 꽤나 악평을 받았다. 설명이야 소설에 비해 불친절할 수밖에 없고[11] 일부 장면들은 극적으로 하기위해 원작과 달라질수도 있지만(분량을 줄이기 위해 내용 전개 자체를 바꾼 권내사건 편이라던가) 그걸 감안하더라도 캐릭터 파괴와 중간중간 세세한 부분들이 꽤나 차이가 나게 됐다.[12]


7. 판매량[편집]


BD+DVD의 평균 판매량은 35879장으로 2012년 3분기 1위, 2012년 3위를 기록했는데 A-1 Pictures의 작품 중에 가장 많이 팔렸다. 이 작품보다 더 많이 팔린 애니는 니세모노가타리Fate/Zero이다.

1기의 DVD/BD의 권당 총장수는 아래와 같다.

  • 1권 - 45372장
  • 2권 - 39348장
  • 3권 - 37315장
  • 4권 - 36620장
  • 5권 - 34859장
  • 6권 - 33056장
  • 7권 - 32443장
  • 8권 - 31556장
  • 9권 - 32339장

2013년에 투니버스에서 제휴작으로 VOD 서비스를 한 적 있다. 그리고 10년 후인 2023년 1월 투니버스에서 청소년 애니 블록 시간대 투니틴의 네번째 대작으로 TV에서 공식적으로 재방영하는 것이 확정났다.


8. 소드 아트 온라인 Extra Edition[편집]


소드 아트 온라인 Extra Edition
ソードアート・オンライン Extra Edition
Sword Art Online Extra Edition
파일:attachment/소드 아트 온라인/애니메이션/extraedition.jpg

엑스트라 에디션은 애니판 1기 이후의 상황에서 진행되는 총집편. 뭔가 바라고 기대했던 팬들에게는 실망을 주었지만 2기 발표로 그나마 무마되었다. 실은 이게 중점이라더라 키쿠오카 세이지로가 SAO와 ALO 사건의 추가정보 수집을 위하여 카즈토에게 직접 이야기를 듣는 부분 + 수영을 못하는 스구하를 코치하기 위하여 모인 아스나&리카&케이코가 과거를 회상하는 구성으로 1기 내용을 요약하는 전반부와 후반부의 오리지널 내용인 수중던전 퀘스트로 이루어져 있다.

이 에피소드와 함께 캘리버편[13]이나 캘리버ss[14]를 본 사람은 알겠지만 알프헤임 온라인의 세계관에는 게임의 제목과 세계수 외에도 북유럽신화의 요소가 잔뜩 배치되어 있다. 그 중에는 작가가 상당히 흥미진진한 떡밥을 숨겨둔 것이 많은데, 요툰헤임 아래의 나라라던가, 아스 신족의 등장 등 앞으로도 키리토의 모험이 계속 이어질 수 있음을 암시하는 것들이 있다. 특히 엑스트라 에디션 DVD/BD에 동봉된 특전소설 '무지개의 다리'는 본편 이후의 스토리를 담고 있는데 이것이 또 상술한 것들과 교묘하게 이어지면서 알프헤임 온라인에서의 키리토 일행의 이야기[15]에 기대를 갖게 한다. 수중던전 퀘스트를 진행하기 전, 키쿠오카 세이지로와 헤어지기 직전 "더 시드에 대해 알고있냐"고 물어 4부인 프로젝트 앨리시제이션에 대한 떡밥도 던져놓았다.

엔딩크레딧이 끝난 이후에 키리토의 방에 전화가 한통 오는데 발신인은 키쿠오카 세이지로. 2기를 보면 알겠지만 1화에서 키리토와 키쿠오카 세이지로가 만나는데 이를 위한 전화로 추정된다. 전화 후에는 시논의 모습이 나오면서 소드 아트 온라인 2기를 2014년에 방영한다는 소식이 나온다.


8.1. 주제가[편집]


테마송[br]虹の音[br]무지개의 소리
MV ver.
Full ver.
노래아오이 에일
작사
작곡시게나가 료스케
편곡시게나가 료스케
아라이 히로키


8.2. 판매량[편집]


총 DVD/BD 판매량은 24063장.


9. 기타[편집]


  • 작중 배경은 2022년으로 나오는데, 2022년은 애니메이션의 10주년이기도 하다. 2022년 7월 8일, 첫방송 10주년을 맞이하였다.
  • 방영 10주년을 기념하여 FictionJunction, ASCA, 아오이 에일, ReoNa가 부른 곡인 "蒼穹のファンファーレ"의 MV가 공개되었다.#

[1] 본편에선 아스나를 맡고 있다.[2] 곡의 제목을 번역하는 데에는 약간의 오역이 있을 수도 있음을 밝힘.[스포일러] 혈맹기사단 본부에서 히스클리프가 등장할 때에도 이 곡이 흐른다. 일종의 떡밥인 셈.[3] 달밤의 고양이단들이 함정에 빠져 죽고 길드장마저 자살하면서 이 곡이 흘렀는데 그 때의 키리토의 절망감이 잘 드러났다.[A]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액션 작화감독[4]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5] 처음에는 '붉은 코 사슴'으로 번역되었다가 수정되었다.[6] 트리거 하청 편.[7] 정발판 소설의 오역을 그대로 쓰는 바람에 생긴 오역. 옳은 번역은 아침 이슬의 소녀. 아침 이슬은 햇볕에 금방 사라지므로 덧없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이 에피소드의 결말을 고려하면 아침 이슬이 더 적절하다.[8] 특히 이토 토모히코가 매드하우스 출신이여서 그런지 매드하우스 관련 인물들이 많다.[9] 23화의 경우 키리토가 적들을 드릴마냥뚫으면서 날려버리는 장면에서의 롱테이크 카메라 무빙과 화면 구도를 부감으로 잡고 상하 반전을 시킨 다음 180도로 회전시키며 마무리 짓는 연출은 굉장한 화제를 불러일으켰다.[10] 직접 보면 알겠지만 키리토가 검 휘두르는게 프레임만 빨리 돌린거다(...)[11] 이 점을 보충하기 위해 원작자인 카와하라 레키가 트위터로 시청자들과 같이 보면서 코멘트(+작중 모자르는 설명)를 덧붙이기도 했고, Blu-ray & DVD판 특전 영상인 소드 아트 오프라인 중 소드 아트 트리비아에서 보충하기도 했다.[12] 캐릭터 파괴야 2부에서 키리토가 이도류 들고 왔다고 샌드백처럼 두들겨맞다가 찌질하게 죽은(...) 유진이 대표적이고(원작에서는 샐러맨더 군조차 함께 환호할 정도로 멋진 전투가 있었다고 한다. 여기서 끝났으면 모를까 카오게이 수준의 멋진 얼굴(...)을 하고 죽은게...), 달라진 부분이야 밑의 설정 변경과 스타버스트 스트림의 타격 횟수를 보라. 뭐 특정 인물이 이 상황에서 조금씩 다르게 행동하는거야 '얘네 소아온 대충 봤구나'라고 넘어갈 수 있지만 요툰헤임을 빼버리면 어쩌려고.[13] 8권 수록[14] 전격문고 매거진 2011년 7월호 부록에 수록[15] 키리토 일행은 여전히 신 아인크라드 100층 클리어를 목표로 게임에 매진하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8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8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0:39:18에 나무위키 소드 아트 온라인(애니메이션 1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