셴현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지급행정구
지급시 17
현급행정구
시할구 54, 현급시 21, 82, 성직할현급행정구 1
정저우시
성도
郑州市
중위안구
中原区
얼치구
二七区
관청후이족구
管城回族区
진수이구
金水区
상제구
上街区
후이지구
惠济区
궁이시
巩义市
싱양시
荥阳市
신미시
新密市
신정시
新郑市
덩펑시
登封市
중무현
中牟县
카이펑시
开封市
구러우구
鼓楼区
룽팅구
龙亭区
순허후이족구
顺河回族区
위왕타이구
禹王台区
샹푸구
祥符区
치현
杞县
퉁쉬현
通许县
웨이스현
尉氏县
란카오현
兰考县
뤄양시
洛阳市
뤄룽구
洛龙区
라오청구
老城区
시궁구
西工区
찬허후이족구
瀍河回族区
젠시구
涧西区
옌스구
偃师区
멍진구
孟津区
신안현
新安县
롼촨현
栾川县
쑹현
嵩县
루양현
汝阳县
이양현
宜阳县
뤄닝현
洛宁县
이촨현
伊川县
핑딩산시
平顶山市
신화구
新华区
웨이둥구
卫东区
스룽구
石龙区
잔허구
湛河区
우강시
舞钢市
루저우시
汝州市
바오펑현
宝丰县
예현
叶县
루산현
鲁山县
자현
郏县
안양시
安阳市
베이관구
北关区
원펑구
文峰区
인두구
殷都区
룽안구
龙安区
린저우시
林州市
안양현
安阳县
탕인현
汤阴县
화현
滑县
네이황현
内黄县
허비시
鹤壁市
치빈구
淇滨区
허산구
鹤山区
산청구
山城区
쉰현
浚县
치현
淇县
신샹시
新乡市
웨이빈구
卫滨区
훙치구
红旗区
펑취안구
凤泉区
무예구
牧野区
웨이후이시
卫辉市
후이셴시
辉县市
창위안현
长垣市
신샹현
新乡县
훠자현
获嘉县
위안양현
原阳县
옌진현
延津县
펑추현
封丘县
자오쭤시
焦作市
제팡구
解放区
중잔구
中站区
마춘구
马村区
산양구
山阳区
친양시
沁阳市
멍저우시
孟州市
슈우현
修武县
보아이현
博爱县
우즈현
武陟县
원현
温县
푸양시
濮阳市
화룽구
华龙区
칭펑현
清丰县
난러현
南乐县
판현
范县
타이첸현
台前县
푸양현
濮阳县
쉬창시
许昌市
웨이두구
魏都区
젠안구
建安区
위저우시
禹州市
창거시
长葛市
옌링현
鄢陵县
샹청현
襄城县
뤄허시
漯河市
옌청구
郾城区
위안후이구
源汇区
사오링구
召陵区
우양현
舞阳县
린잉현
临颍县
싼먼샤시
三门峡市
후빈구
湖滨区
산저우구
陕州区
이마시
义马市
링바오시
灵宝市
몐츠현
渑池县
루스현
卢氏县
난양시
南阳市
워룽구
卧龙区
완청구
宛城区
덩저우시
邓州市
난자오현
南召县
팡청현
方城县
시샤현
西峡县
전핑현
镇平县
네이샹현
内乡县
시촨현
淅川县
서치현
社旗县
탕허현
唐河县
신예현
新野县
퉁바이현
桐柏县
상추시
商丘市
량위안구
梁园区
쑤이양구
睢阳区
융청시
永城市
민취안현
民权县
쑤이현
睢县
닝링현
宁陵县
저청현
柘城县
위청현
虞城县
샤이현
夏邑县
신양시
信阳市
핑차오구
平桥区
스허구
浉河区
뤄산현
罗山县
광산현
光山县
신현
新县
상청현
商城县
구스현
固始县
황촨현
潢川县
화이빈현
淮滨县
시현
息县
저우커우시
周口市
촨후이구
川汇区
화이양현
淮阳区
샹청시
项城市
푸거우현
扶沟县
시화현
西华县
상수이현
商水县
선추현
沈丘县
단청현
郸城县
타이캉현
太康县
루이현
鹿邑县
주마뎬시
驻马店市
이청구
驿城区
시핑현
西平县
상차이현
上蔡县
핑위현
平舆县
정양현
正阳县
췌산현
确山县
비양현
泌阳县
루난현
汝南县
쑤이핑현
遂平县
신차이현
新蔡县
성직할
현급행정구
지위안시
济源市
부지급행정구 부지급시



파일:河北献县城区航拍,_2023-02-20.jpg

1. 개요
2. 역사
2.1. 4차례의 하간국 설치
2.2. 중세 ~


1. 개요[편집]


献县
영어 Xian County

허베이성 창저우시의 현. 헝수이시, 창저우 사이의 평원에 위치하며 인구는 약 57만명이다. 시가지는 옛 황하의 하도를 따라 보하이만까지 흐르는 베이파이허 (北排河)의 남안에 위치한다. 옛 지명은 낙성 (樂城)이었고, 진나라 ~ 위진남북조의 시기까지 하간군 (河間郡)의 치소였으나 수나라 들어 북쪽의 허졘시가 새 중심지로 거듭났다. 12~14세기 헌주 (獻州)라 불리다가 명대에 현 지명으로 고정되었다. 근대부터 많은 인사들을 배출한 땅이다. 출신 인물로 사고전서의 편집자 기윤 (紀昀), 서북군벌의 류루밍 (刘汝明), 중일전쟁에서 활약한 팔로군후이족 장군 마번자이 (马本斋), 현대 중국 사상사 장다이녠 (张岱年), 중국 공산당의 창당 인사 중 하나인 장선푸 (张申府) 등이 있다.

2. 역사[편집]


진나라 시기 현 시가지 동쪽에 낙성현 (樂城縣)이 설치되어 하간군 (河間郡)의 치소가 되었다. 전한 건국 후 일대는 제후국인 조나라에 속했다가, 기원전 178년 조왕 유우의 아들이자 한고제의 손자인 유벽강이 봉해지며 하간국 (河間國)으로 개편되었다.

2.1. 4차례의 하간국 설치[편집]


기원전 165년, 유벽강의 아들 유복이 후사 없이 죽으며 하간군은 폐지되어 하간군으로 환원되었다. 다만 기원전 155년, 한경제가 아들 유덕을 재차 봉하며 하간국이 재설치되었다. 그로부터 부자상속으로 유불해, 유기, 유수, 유경, 유원까지 이어지다가 기원전 38년 유원이 잔인한 행태로 인해 폐위된 후 하간군으로 돌아갔다. 다만 기원전 32년, 유원의 동생 유량이 하간왕에 봉해지며 하간국은 3번째로 설치되었다.

유량의 사후 유상이 계승했다가, 서기 9년 신나라 건국과 함께 하간국은 폐지되었다. 이후 삭정군 (朔定郡)이 신설되고 낙성현은 육신현 (陸信縣)으로 개칭되었다가, 왕망 사후 경시제광무제가 유상의 아들 유소를 하간왕에 봉하며 재차 하간국 낙성현으로 환원되었다. 다만 38년, 유소는 참소를 당하여 하간왕에서 낙성후로 강등되었다. 이로써 재설치된 하간군은 한명제 시기 신도군 (信都郡) 및 그 후신인 낙성군(樂城郡)에 병합되었다가 90년, 한장제의 아들 유개가 하간왕으로 봉해지며 4번째로 하간국이 되었다.

유개에게는 유정, 유익, 유덕, 유숙 등의 아들이 있었다. 그중 유익의 아들 유지가 한환제로 즉위했고, 유개와 유익은 각각 효목황 및 효숭황으로 추숭되었다. 유숙의 아들 유장의 아들 유굉이 한영제가 된 후에는 유장이 효인황으로 추숭되었다. 한편 하간왕은 유개의 장남 유정으로부터 부자상속으로 유건, 유리, 유해로 이어지다가 220년 조위 건국과 함께 폐지되었다. 한편 조조의 실질 지배 하에 있던 211년에 전은이 하간에서 난을 일으켰으나 가비능이 진압하였다.

2.2. 중세 ~[편집]


조위 시기인, 222년 조비가 막내 동생 조간을 하간왕에 봉했다가 224년 낙성왕으로 바꾸며 다시 하간군이 되었다. 226년 낙성왕이 폐지되고[1] 표기장군 조홍이 낙성후로 봉해졌다. 265년 서진 건국과 함께 사마의의 종손 사마홍이 하간왕에 봉해졌다가, 277년 그가 사망한 후 폐지되어 다시 하간군이 되었다.

북위 시기 하간군은 영주 (瀛州)에 속했고, 수나라 들어 영주로 일원화되며 그 치소가 현 허졘시인 하간현으로 고정되었다. 598년, 낙성현은 광성현 (廣城縣)으로 개칭되었다가 604년 수양제의 피휘를 위해 낙수현 (樂壽縣)으로 바뀌었다.

북송 대에는 하간부 (河間府)에 속했다. 금나라의 정복 직후인 1129년, 낙수를 중시으로 한 수주 (壽州)가 설치되었다가 1151년 헌주 (獻州)로 개칭되었다. 1167년에는 낙수현의 동남부가 분리되어 교하현 (交河縣)이 신설되었다.[2] 명나라 시기인 1374년, 헌주가 폐지되며 낙수현은 헌현 (獻县)으로 개칭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3-11 20:39:07에 나무위키 셴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32년 조간은 조왕이 된다[2] 현 자오허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