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세종(레)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태조 태종인종전폐제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성종헌종숙종위목제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양익제중폐제소종공황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장종중종영종세종
제17대제18대제19대복위
경종신종진종신종
제20대제21대제22대제23대
현종玄宗가종희종유종
제24대제25대제26대제27대
후폐제순종의종현종顯宗
제28대감국복위
민제숭양공민제



묘호세종(世宗)
시호적순강정용과의황제(積純剛正勇果毅皇帝)
레(Lê, 黎/여)
주이담(Duy Đàm, 維潭/유담)
생몰기간1567년 ~ 1599년
재위기간1572년 ~ 1599년

1. 개요
2. 생애
3. 가계도



1. 개요[편집]


베트남 후 레 왕조의 제15대 황제. 묘호는 세종(世宗), 시호는 의황제(毅皇帝). 이름은 여유담(黎維潭). 영종(英宗) 여유방(Lê Duy Bang, 黎維邦)의 다섯번째 아들이다.


2. 생애[편집]


1572년, 아버지 영종이 찐씨 정권의 성조(成祖) 정송(鄭松)에게 살해당하자, 그에게 추대받고 황제로 즉위했다. 세종의 재위기간은 권신이자 정주의 국왕 정송(鄭松)이 권력을 잡고 있었기에 실권은 없었다. 정검의 아들 정송은 하노이를 탈취한 후, 전쟁을 일으켜 승리하고 막조(莫朝)의 제5대 황제인 막무흡(英祖/영조, Mạc Mậu Hợp, 莫茂洽)을 사로잡아 처형하면서 남북조시대를 끝내고, 베트남을 통일했다. 하지만 정송이 지휘했던 전쟁이기에 정송의 입지는 견고해졌고, 레 왕조는 정씨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1599년, 세종은 32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그 뒤는 아들 경종(敬宗) 레주이떤(Lê Duy Tân, 黎維新/여유신)이 황제로 즉위하였다.


3. 가계도[편집]


  • 부 : 영종(英宗) 여유방
  • 모 : 기록 미상
    • 세종(世宗) 여유담
    • 황후 : 완씨(阮氏)
      • 자(子) : 경종(敬宗) 여유신